KR20130017913A -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913A
KR20130017913A KR1020110080648A KR20110080648A KR20130017913A KR 20130017913 A KR20130017913 A KR 20130017913A KR 1020110080648 A KR1020110080648 A KR 1020110080648A KR 20110080648 A KR20110080648 A KR 20110080648A KR 20130017913 A KR20130017913 A KR 2013001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light
image
white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602B1 (ko
Inventor
고동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602B1/ko
Priority to US13/442,934 priority patent/US8730344B2/en
Priority to CN201210238528.3A priority patent/CN102957858B/zh
Publication of KR2013001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발광 장치와, 발광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장치 제어부와,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발광 장치를 발광시켜 생성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는 게인 설정부를 포함하는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여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위한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촬영한 영상의 색감이 사람이 실재 눈으로 인식한 모습과 다른 경우가 있다. 그 원인 중 하나는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화이트 밸런스 조절 기능은 영상에 피사체 자체의 고유의 색상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야외와 같이 태양광 하에서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백색등이나 기타 다양한 주변 조명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의 색감이 사용자가 원하는 색감과 크게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는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수행하여야 한다.
화이트 밸런스 조절은 매뉴얼(또는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 조절 방식과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절 방식이 있다.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 조절 방식에 의하는 경우, Gray Card와 같이 적색(R), 녹색(G), 청색(B)의 비율이 같은 물체를 촬영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각각의 색에 대한 게인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확하게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발광 장치와, 발광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장치 제어부와,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발광 장치를 발광시켜 생성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는 게인 설정부를 포함하는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발광 장치 제어부는 발광 장치의 각 색을 순차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게인 설정부는 발광 장치에서 발광한 빛에 따라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의 차이로부터 피사체의 색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게인 설정부는 발광 장치가 발광할 때 생성된 영상신호와, 발광 장치가 발광하지 않을 때 생성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조명의 색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게인 설정부는 피사체의 색과 조명의 색온도를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발광 장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발광 장치는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 색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발광 장치는 LED 또는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발광 장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발광 장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발광 장치 제어부는 발광 장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보조광으로서 복수의 색의 빛을 발광하여 피사체에 조사하는 단계와, (b) 상기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a) 단계는 복수의 색을 순차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c) 단계는 순차적으로 발광한 빛에 따라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의 차이로부터 피사체의 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c) 단계는 순차적으로 발광한 빛에 따라서 생성된 영상신호와, 보조광이 피사체에 조사되지 않을 때 생성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조명의 색온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c) 단계는 피사체의 색과 조명의 색온도를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위한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게인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지털 촬영장치(1)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1)는 본체(1b)와 렌즈부(1a)가 분리가능한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장치(1)는 렌즈부(1a)와 본체(1b)를 포함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렌즈부(1a)는 렌즈 마운트(125)을 통하여 본체(1b)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렌즈부(1a)는 촬상 렌즈(101), 렌즈 구동부(103), 렌즈 위치 검출부(104), 렌즈 제어부(105)를 포함한다.
촬상 렌즈(101)는 포커스 렌즈(102)를 포함하며, 포커스 렌즈(102)의 구동에 의하여 초점 조절이 가능하다.
렌즈 구동부(103)는 렌즈 제어부(105)로부터의 제어에 의하여 포커스 렌즈(102)를 구동하며, 렌즈 위치 검출부(104)는 포커스 렌즈(102)의 위치를 검출하여 렌즈 제어부(105)로 전송한다.
렌즈 제어부(105)는 렌즈 구동부(103)의 동작을 제어하며, 렌즈 위치 검출부(104)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렌즈 제어부(105)는 CPU(106)와 통신하여 초점 검출에 관련된 정보들을 주고받는다.
본체(1b)는 CPU(106), 촬상소자 제어부(107), 촬상소자(108),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09), A/D 변환부(110), 영상 입력 컨트롤러(111), 디지털 신호 처리부(112), 압축 신장부(113),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14), 디스플레이부(115), WB 검출부(116), AE 검출부(117), AF 검출부(118), 메모리(119), 미디어 컨트롤러(120), 메모리 카드(121), 조작부(122), 발광 장치 제어부(123), 발광 장치(124)를 포함한다.
CPU(106)는 디지털 촬영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촬상소자 제어부(107)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촬상소자(108)에 인가하며, 이로 인하여 촬상소자(108)의 촬상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촬상소자(108)의 각 주사선에서 전하의 축적이 종료되면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독출하도록 제어한다.
촬상소자(108)는 촬상 렌즈(101)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촬상소자(108)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 및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 전하를 이동시키는 전하 전송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09)는 촬상소자(108)에서 독출된 영상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신호의 크기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시킨다. A/D 변환부(110)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09)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영상 입력 컨트롤러(111)는 A/D 변환부(11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이후의 각 부분에서 영상 처리가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영상 입력 컨트롤러(111)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는 WB 검출부(116), AE 검출부(117), AF 검출부(118) 각각에서 AWB(Auto White Balance) 처리, AE(Auto Exposure) 처리, AF(Auto Focus) 처리가 수행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WB 검출부(116)에서는 자동으로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하는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절 기능과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화이트 밸런스가 조절되는 매뉴얼(또는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 기능의 경우,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한다.
WB 검출부(116)는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수행할 경우, 후술할 발광 장치(124)에서 발광한 빛에 따라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의 차이로부터 피사체의 색을 검출한다. 그리고 WB 검출부(116)는 발광 장치(124)가 발광하지 않을 때 생성된 영상신호와 발광할 때 생성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주변 조명의 색온도를 검출한다. 즉, 발광 장치(124)가 발광하지 않을 때 생성된 영상신호와 피사체의 색을 사용하여 주변 조명의 색온도를 검출한다. WB 검출부(116)는 피사체의 색, 주변 조명의 색온도 등을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WB 검출부(116)는 게인 설정부의 일 예일 수 있다.
영상 입력 컨트롤러(111)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는 메모리(119)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9)는 SDRAM 등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12)는 영상 입력 컨트롤러(111)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감마 보정 등의 일련의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15)에서 표시 가능한 라이브 뷰 영상이나 캡쳐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12)는 WB 검출부(116)에서 검출한 화이트 밸런스 게인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의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신호 처리부(112), WB 검출부(116) 등은 화이트 밸런스 제어부의 일 예일 수 있다.
압축 신장부(113)는 영상신호 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의 압축과 신장을 수행한다. 압축의 경우, 예를 들어 JPEG 압축 형식 또는 H.264 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으로 영상신호를 압축한다.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은 메모리 컨트롤러(120)로 전송되며, 메모리 컨트롤러(120)는 메모리 카드(121)로 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14)는 디스플레이부(115)로의 영상 출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5)는 촬영 영상, 라이브 뷰 영상 등의 영상이나, 각종 설정 정보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5)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화면) 및 LCD 드라이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기 EL(OLED) 디스플레이, 그 구동부 등이어도 좋다.
메모리(119)는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될 영상 등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VRAM이나, 디지털 촬영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이나 각종 관리 정보 등을 저장하는 EEPROM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2)는 디지털 촬영장치(1)의 조작을 위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부분이다. 조작부(122)로 셔터 릴리즈 버튼, 전원 스위치, 모드 다이얼, 메뉴 버튼 등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장치 제어부(123)는 발광 장치(124)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발광 장치(124)를 구동하여 촬영시나 AF 구동시에 발광 장치(124)에 포함된 발광소자에서 피사체로 빛을 조사하도록 한다. 발광 장치 제어부(123)는 발광 장치(124)가 발광할 수 있는 복수의 색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색들을 동시에 발광시키거나 일부를 동시에 발광시켜 백색이나 기타 다양한 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발광 장치(124)는 AF 구동시 또는 촬영시에 필요한 보조광을 발광하는 장치이다. 발광 장치(124)는 복수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색을 발광하기 위한 고체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장치(124)는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색들을 조합하여 발광하는 보조광의 색을 조절할 수 있다. 발광 장치(124)에 포함된 고체발광소자는 LED나 OLED, EL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발광 장치(124) 및 발광 장치 제어부(123)는 본체(1b)에 내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124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 장치(124a)는 세 개의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장치(124a)는 각각의 색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소자들(11~1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들(11~13) 각각은 적색(R), 녹색(G), 청색(B) 빛을 발광할 수 있는 LED일 수 있다. 혹은 발광소자들(11~13) 각각은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 빛을 발광할 수 있는 LED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발광소자들(11~13)이 발광하는 색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합의 색을 발광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발광소자들(11~13)은 하나의 칩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소자들(11~13) 각각이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발광 장치(124a)는 발광 장치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서 포함하는 색들을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발광할 수도 있으며, 전체 색들을 동시에 발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발광 장치(124a)는 2 가지 색을 조합하여 순차적으로 발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발광 장치(124a)가 적색(R), 녹색(G), 청색(B) 빛을 발광할 수 있는 경우, 먼저 적색(R)과 녹색(G)을 동시에 발광시키고, 다음으로 녹색(G)과 청색(B)을 동시에 발광시키며, 마지막으로 청색(B)과 적색(R)을 동시에 발광시키는 방법으로 구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124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광 장치(124b)는 복수의 색들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좌측의 칩(20)에 포함된 발광소자들(21~23)은 적색(R), 가운데 칩(30)에 포함된 발광소자들(31~33)은 녹색(G), 우측의 칩(40)에 포함된 발광소자들(41~43)은 청색(B)으로 발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발광 장치(124a, 124b)가 세 가지 색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 가지 색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혹은 4 가지 이상의 색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장치(1)의 정면에 발광 장치(124)가 형성되어 피사체를 향하여 보조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124c) 및 발광 장치 제어부(123)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장치(124c)에는 각각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소자들(51~53),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W1~SW3), 복수의 저항들(R1~R3)을 포함한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W1~SW3)은 발광 장치 제어부(123)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발광소자들(51~53) 각각의 발광 즉, On/Off를 제어한다. 스위칭 소자들(SW1~SW3)로는 트랜지스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저항들(R1~R3)은 각각 연결된 발광소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저항들(R1~R3)로는 밝기 조절을 위하여 전류량을 조절하며, 이를 위하여 가변 저항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Vcc는 발광 장치(124c)의 발광에 사용되는 전원을 의미한다. 상기 전원은 본체(1b)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원일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2)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2)의 경우,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1)와 비교할 때, 발광 장치(224)를 포함하는 장치(2c)가 디지털 촬영장치(2)의 본체(2b)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을 동일하다.
한편, 도 1 및 도 6에서 설명한 디지털 촬영장치들(1,2)에서는 발광 장치 제어부(123,223)와 CPU(106,206)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PU(106,206)가 발광 장치 제어부(123,223)의 기능을 포함하여 직접 발광 장치(124,224)의 발광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발광 장치(224)의 발광에 사용되는 전원이 본체(2b)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혹은 상기 별도의 장치(2c) 내부에 발광 장치(224)의 발광에 사용하기 위한 전지를 구비하여 발광 장치(224)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3)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발광 장치 제어부(323)와 발광 장치(324)가 별도의 장치(3c)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도 7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3)의 경우,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1)와 비교할 때, 발광 장치 제어부(323) 및 발광 장치(324)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3c)가 디지털 촬영장치(3)의 본체(3b)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발광 장치(324)의 발광에 사용되는 전원이 본체(3b)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혹은 상기 별도의 장치(3c) 내부에 발광 장치(324)의 발광에 사용하기 위한 전지를 구비하여 발광 장치(324)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3)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원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On 되면(S100), 디스플레이부(115)를 On 시킨다(S101).
촬상소자(108)는 주기적 촬상을 개시한다(S102). 즉,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주기적으로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반복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측광을 수행하여 AE 및 AWB의 연산을 수행한다(S103). 그리고 주기적으로 촬상한 영상을 라이브 뷰 영상으로 표시한다(S104).
그리고 사용자가 화이트 밸런스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5). 만약 화이트 밸런스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우, AWB 기능에 의하여 캡쳐한 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게 된다.
한편, S105 단계에서 사용자가 화이트 밸런스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한 경우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수행한다(S106).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 동작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도 9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자동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혹은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 동작에 의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이 설정된 후, 셔터 릴리즈 버튼이 사용자에 의하여 반 누름 되어 S1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S107), AF 동작을 수행한다(S108). AF 동작은 콘트라스트 AF와 같은 수동형 AF 동작과 위상차 방식에 의한 능동형 AF 동작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AF 동작 완료 후 셔터 릴리즈 버튼이 사용자에 의하여 완전 누름 되어 S2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S109), 영상을 캡쳐하고, 캡쳐한 영상을 메모리 카드(121) 등에 저장한다(S110).
그리고 전원 스위치가 off되면 디지털 촬영장치(1)의 동작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102 단계로 돌아가 라이브 뷰 영상 표시, 영상 캡쳐 등의 동작을 반복한다(S111).
상기와 같은 동작들에 의하여 라이브 뷰 영상 표시, 영상 캡쳐, 화이트 밸런스 설정 등이 수행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동작들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S100 내지 S110 단계 도중 언제라도 전원 스위치가 off 되면 디지털 촬영장치(1)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 동작에 의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게인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디지털 촬영장치(1)가 조작된 경우,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용 영상을 촬영할 준비를 수행한다(S200). 그리고 발광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n 값을 1로 설정한다.
발광 장치(124)는 복수의 색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소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발광 장치 제어부(123)는 발광 장치(124)에 포함된 여러가지 색들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하도록 제어한다(S201). 그리고 발광 장치(124)가 피사체에 발광한 빛을 조사하는 동안 영상을 캡쳐한다(S202). 캡쳐한 영상은 메모리 카드(121) 등에 저장한다(S203).
영상 캡쳐 및 저장 후, 발광 장치(124)가 발광할 수 있는 모든 색의 빛이 발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4). 예를 들어, 총 m가지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n 값이 m 값과 같은지를 판단한다. 모든 색의 빛이 발광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직 발광되지 않은 색을 발광하도록 n 값에 1을 더하고(S205), S201 단계로 돌아간다.
반면에 모든 색의 빛이 발광된 경우에는 캡쳐된 영상의 영상신호들 사이의 색 변화량을 추출하고, 추출한 색 변화량에 따라서 피사체의 색을 검출한다(S206). 발광 장치(124)로부터 다양한 색의 보조광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면, 피사체의 색과 보조광의 색에 따라서 영상신호가 다양하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색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피사체의 색이 검출되면, 발광 장치(124)가 off되어 발광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을 캡쳐하고, 상기 영상의 영상신호와 피사체의 색을 사용하여 주변 조명의 색온도를 검출한다(S207).
조명의 색온도가 검출되면, 검출된 색온도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화이트 밸런스 게인으로 설정한다(S208).
한편, 본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는 발광 장치(124)가 순차적으로 발광할 때마다 영상을 캡쳐하여야 하므로, 연속 촬영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장치 제어부(123)는 발광 장치(124)가 복수의 색들을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속도를 디지털 촬영장치(1)가 영상을 캡쳐하는 속도에 따라서 조절하여야 할 것이다. 디지털 촬영장치(1)가 첫 번째 영상 캡쳐 이후 다음 영상 캡쳐시까지는 소정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발광 장치 제어부(123)는 발광 장치(124) 너무 빨리 다음 색을 발광하지 않도록 적절히 발광 시간을 조절하여야 할 것이다.
종래에는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Gray 카드나 흰색을 띄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항상 Gray 카드를 소지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또한 희색의 피사체를 찾는 것도 쉽지가 않으며, 실제로는 완전하게 흰색이 아닌 경우도 있어서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 게인 설정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일반적인 피사체를 사용하여 정확한 매뉴얼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화이트 밸런스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된 실시 예 및 그 변형 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1~3)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119)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3 디지털 촬영장치
1a,2a,3a 렌즈부 1b,2b,3b 본체
101,201,301 촬상렌즈 102,202,302 포커스 렌즈
103,203,303 렌즈 구동부 104,204,304 렌즈 위치 검출부
105,205,305 렌즈 제어부 106,206,306 CPU
107,207,307 촬상소자 제어부 108,208,308 촬상소자
109,209,309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110,210,310 A/D 변환부
111,211,311 영상 입력 컨트롤러 112,212,312 디지털 신호처리부
113,213,313 압축 신장부 114,214,314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115,215,315 디스플레이부 116,216,316 WB 검출부
117,217,317 AE 검출부 118,218,318 AF 검출부
119,219,319 메모리 120,220,320 미디어 컨트롤러
121,221,321 메모리 카드 122,222,322 조작부
123,223,323 발광 장치 제어부
124,224,324,124a,124b,124c 발광 장치
125,225,325 마운트

Claims (16)

  1. 복수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발광 장치;
    상기 발광 장치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장치 제어부;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발광 장치를 발광시켜 생성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는 게인 설정부;를 포함하는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 제어부는, 상기 발광 장치의 각 색을 순차적으로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설정부는 상기 발광 장치에서 발광한 빛에 따라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의 차이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설정부는, 상기 발광 장치가 발광할 때 생성된 영상신호와, 상기 발광 장치가 발광하지 않을 때 생성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조명의 색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설정부는, 상기 피사체의 색과 상기 조명의 색온도를 사용하여 상기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빛을 발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 색 빛을 발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LED 또는 O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 제어부는 상기 발광 장치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2. (a) 보조광으로서 복수의 색의 빛을 발광하여 피사체에 조사하는 단계;
    (b) 상기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색을 순차적으로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순차적으로 발광한 빛에 따라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의 차이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순차적으로 발광한 빛에 따라서 생성된 영상신호와, 상기 보조광이 상기 피사체에 조사되지 않을 때 생성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조명의 색온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피사체의 색과 상기 조명의 색온도를 사용하여 상기 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080648A 2011-08-12 2011-08-12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9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48A KR101795602B1 (ko) 2011-08-12 2011-08-12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442,934 US8730344B2 (en) 2011-08-12 2012-04-1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setting a white balance
CN201210238528.3A CN102957858B (zh) 2011-08-12 2012-07-10 数字拍摄设备及控制该设备设置白平衡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648A KR101795602B1 (ko) 2011-08-12 2011-08-12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913A true KR20130017913A (ko) 2013-02-20
KR101795602B1 KR101795602B1 (ko) 2017-11-08

Family

ID=4767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648A KR101795602B1 (ko) 2011-08-12 2011-08-12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0344B2 (ko)
KR (1) KR101795602B1 (ko)
CN (1) CN1029578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6119B (zh) 2013-11-28 2019-11-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以及其驅動方法
CN105208364A (zh) * 2014-06-27 2015-12-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图像白平衡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1102A1 (en) * 2001-05-31 2002-12-19 Casio Compute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camera with light emitting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JP4467988B2 (ja) * 2004-01-08 2010-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当該撮像装置の撮像方法とプログラム
US7546032B2 (en) * 2004-09-30 2009-06-09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camera having light-emitting unit
KR20060077519A (ko) * 2004-12-30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장치
KR101595254B1 (ko) * 2009-02-20 2016-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7858A (zh) 2013-03-06
CN102957858B (zh) 2017-07-07
US20130038752A1 (en) 2013-02-14
KR101795602B1 (ko) 2017-11-08
US8730344B2 (en)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953B1 (ko)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
US8385735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taking
CN100586195C (zh) 图像摄取装置和白平衡控制方法
JP200422872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597842B2 (ja) 撮影装置
JP2013093875A (ja) 撮像装置
JP2007017623A (ja) 撮影装置、発光制御装置及び発光装置
JP579176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6143951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795602B1 (ko)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32291B2 (ja)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装置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JP2014030163A (ja) 撮像装置、及び撮影方法、プログラム
CN102025904A (zh) 数字拍摄设备和控制该数字拍摄设备的方法
JP5191251B2 (ja) 撮像装置
JP5959957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10435A (ja) 撮影装置
JP2007194986A (ja) 撮影装置
JP2008249891A (ja) ストロボ装置及びカメラ
JP4470909B2 (ja)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装置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JP2006173860A (ja) 電子カメラ
US20230396891A1 (en) Imaging apparatus, illumination apparatus, ima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1814838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22294A (ja) 撮影用照明装置
JP2020008807A (ja) 撮像装置、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4088371A (ja) ディ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