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176A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16176A KR20130016176A KR1020120156839A KR20120156839A KR20130016176A KR 20130016176 A KR20130016176 A KR 20130016176A KR 1020120156839 A KR1020120156839 A KR 1020120156839A KR 20120156839 A KR20120156839 A KR 20120156839A KR 20130016176 A KR20130016176 A KR 201300161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leaf
- stem
- island
- bacteria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08000010824 fish disease Diseas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607471 Edwardsiella tard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1135139 Vibrio ordal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1000269908 Platichthys fles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1313087 Carpinus laxiflor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0269978 Pleuronectiformes Species 0.000 abstract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194056 Streptococcus in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44000288784 Posoqueria la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41000194055 Streptococcus parauberi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08000035143 Bacter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41000192125 Firmicute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41000219492 Quercu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41000050850 Quercus nigr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44000019194 Sorbus aucup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GLEVLJDDWXEYCO-UHFFFAOYSA-N Trolox Chemical compound O1C(C)(C(O)=O)CCC2=C1C(C)=C(C)C(O)=C2C GLEVLJDDWXEY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06414 serbal de cazador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1000282819 Giraff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096 poison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1278836 Agrimonia pilos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0641 Agrimonia pil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577922 Dystaenia takesiman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1166194 Geranium wilfordi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155660 Phtheirospermum japo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1480055 Quercus mongolic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722 Aralia cord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024251 Aralia corda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721098 Epilobi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05426 Persicaria fil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830927 Phedimus takesim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47400 Vibrio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676 disease causative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471262 Ardisi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23982 Astilbe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988 Capreol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1148783 Davallia mariesi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1378051 Lespedeza cyrtobotry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773 Lysimachia cleth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261422 Lysimachia clethr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341 Reynoutri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167 Reynoutria japo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3152 Rhus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220 Rhus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889 Rhus java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040738 Sesamum orient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1115347 Sorbus commix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489 Sorbus commix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1381739 Adenophora erec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87769 Adenophora remot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47170 Anemone maxim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10531 Angelica decurs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305 Atriplex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79260 Chrysosplenium gray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37251 Corv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82363 Euphorbia siebol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71656 Hedera rhomb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90156 Huperzia serr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357959 Hydrangea serr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458721 Isodon inflex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67 Lactuca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993 Lactuca salig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26 Lactuca salig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617282 Melampyrum rose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246386 Mentha puleg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257 Mentha puleg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357 Mentha x piperi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11358 Patrinia scabiosae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267 Patrinia scabiosae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32171 Phryma leptostachy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86547 Pyrol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153955 Reynoutria sachal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02 Reynoutria sachal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422 Rhododendro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57228 Scrophularia takesim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967218 Selaginella tamarisci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73664 Viburnum dilat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2362 bacterial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050 hortel pim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629 microbiologica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6 standar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020 Acaciella glau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67 Aleurites moluc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67854 Bourreria suc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55283 Cayra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779 Cayrati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61843 Chand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38 Citrus me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1850 Cupressus sempervir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49274 Edwardsiella ictalu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06 Hibis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85 Hibiscus lunarii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84380 Hibiscus ros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7823 Hydrangea macro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86 Hydrangea macro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96 Juglans reg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049 Juglans reg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479 Narcis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82110 Pagrus maj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76 Panthera tig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24853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504 Po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936 Pteridium aquili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93 Pteridium aqui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84734 Pyrus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890 Ribes hudsoni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954 Ribes hudsonia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6 Ribes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047 Sep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0295 Serpent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793 T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424 Tropaeolum maj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260 Tropaeolum maj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598 Vibri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44286 Vibrio anguill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71378 Viburnum op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013 Viburnum opu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14 agar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38 analytical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82 antibacterial activity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08 hemorrha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76 herbal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72 pisc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2 plas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99 redw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35 veno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1 venom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48 veno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24 working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107—Vibrio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짚신나물, 독활, 서어나무, 섬바디, 바늘꽃, 세잎이질풀, 나도송이풀, 물참나무, 섬기린초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넙치를 포함하는 어류에 대하여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천연항균제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 넙치의 질병 세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자생식물에서 추출된 어류의 세균성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주도 등 국내에서 많이 양식하고 있는 넙치는 주로 병원성 세균에 의하여 각종 질병이 발생하여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데, 국내산 양식 넙치에서 주로 발생하는 세균성 질병은 Streptococcosis, edwardsiellosis, vibriosis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Streptococcosis의 원인 병원균으로는 S. parauberis와 S. iniae를, edwardsiellosis의 원인종은 E. tarda와 E. ictaluri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어류 vibriosis는 많은 종류의 Vibrio속 세균의 감염에 의하여 해수어 및 담수어 등 다양한 어류에서 발생하며, 특히 고밀도 양식, 고염분과 유기물 오염이 높은 경우에 그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공통적인 vibriosis의 원인균으로는 V. anguillarum이 보고되어 있으며, V. ordalli는 어류의 출혈성 패혈증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이후 어류양식이 성행하면서 양식어의 질병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각종 항생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장기간에 걸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하여 해양세균에서 항생제 내성균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세균의 항생제 내성을 결정하는 인자들은 플라스미드 전이에 의해 쉽게 다른 균체에 전달되는데 이러한 인자가 사람의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에 전이될 수 있으며, 이 때 양식어류는 이러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보고된바 있다.
그런데, 항생제에 대한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활용하고자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예로부터 한약재 추출물이나 식물정유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자원을 이용하여 항균, 항진균 및 항암효과를 갖는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식품에 존재하여 사람에게 해를 입히는 세균들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보고가 되고 있지만, 양식어류에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한 천연물의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
현재 양식장에서 발병하는 세균성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효능, 즉 항균 효과에 대해서 천연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효능을 구명하고 실제적으로 연쇄구균에 사용되는 항생제를 대체할 항균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의 목적은 항생제 내성균 발생과 내성 전이의 우려가 없고, 기존 항생제의 항균 효과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갖는 어류 세균성 질병유발 세균에 대해 항균능을 가지는 천연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어류 세균성 질병 세균에 대해 항균능을 가지는 천연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담수 및 해수 양식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고 있는 세균성 질병 원인 중 하나인 스트렙토균의 어류에 대한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천연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은, 짚신나물, 독활, 서어나무, 섬바디, 바늘꽃, 세잎이질풀, 나도송이풀, 물참나무, 섬기린초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식 넙치를 포함하는 어류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osis), 에드워드감염증(edwardsiellosis), 비브리오증(vibriosis)에 대한 항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식물에서부터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고압 용매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의하면, 자생식물로부터 추출된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담수 및 해수 양식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고 있는 세균성 질병 원인 중 하나인 스트렙토균의 어류에 대한 감염을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다.
또한, 자생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물로부터 합성 항균제를 대체할 천연 항균제로서, 합성 항생제를 장기간 사용하여 발생하는 내성균의 출현이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재료>
본 발명에 사용한 자생식물은 표 1과 같으며, 제주(16종), 전남 고흥(11종), 경북 울릉도(13종)에서 40종을 채취하여 세척ㅇ음건한 후 30 메쉬를 통과하도록 분쇄기(Ika Work, Inc., USA)로 분쇄하여 -2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추출용 재료로 사용하였다.
학 명 | 고유명 | 채집지역 | 사용된 부분 |
Adenophora erecta | 섬모싯대 | 울릉도 | 뿌리, 줄기, 잎 |
Adenophora remotiflora | 모싯대 | 제주도 | 뿌리, 줄기, 잎 |
Agrimonia pilosa | 짚신나물 | 고흥 | 줄기, 잎 |
Angelica decursiva | 바디나물 | 제주도 | 뿌리, 줄기, 잎 |
Aralia cordata | 독활 | 울릉도 | 줄기, 잎 |
Ardisia japonica | 자금우 | 울릉도 | 뿌리, 줄기, 잎 |
Astilbe rubra | 노루오줌 | 제주도 | 줄기, 잎 |
Atriplex subcordata | 갯능쟁이 | 울릉도 | 줄기, 잎 |
Carpinus laxiflora | 서어나무 | 고흥 | 가지, 잎 |
Cayratia japonica | 거지덩굴 | 제주도 | 줄기, 잎 |
Chrysosplenium grayanum | 괭이눈 | 제주도 | 줄기, 잎 |
Davallia mariesii | 넉줄고사리 | 고흥 | 뿌리, 줄기, 잎 |
Dystaenia takesimana | 섬바디 | 울릉도 | 줄기, 잎 |
Epilobium pyrricholophum | 바늘꽃 | 울릉도 | 줄기, 잎 |
Euphorbia sieboldiana | 개감수 | 제주도 | 뿌리, 줄기, 잎 |
Fallopia sachalinensis | 왕호장근 | 울릉도 | 줄기, 잎 |
Geranium wilfordii | 세잎이질풀 | 울릉도 | 줄기, 잎 |
Hedera rhombea | 송악 | 고흥 | 가지, 잎 |
Hepatica maxima | 섬노루귀 | 울릉도 | 뿌리, 줄기, 잎 |
Hydrangea serrata | 탐라산수국 | 제주도 | 줄기, 잎 |
Isodon inflexus | 산박하 | 제주도 | 줄기, 잎 |
Lactuca indica | 왕고들빼기 | 고흥 | 줄기, 잎 |
Lespedeza cyrtobotrya | 참싸리 | 제주도 | 줄기, 잎 |
Lycopodium serratum | 뱀톱 | 제주도 | 뿌리, 줄기, 잎 |
Lysimachia clethroides | 큰까치수염 | 고흥 | 가지, 잎 |
Melampyrum roseum | 꽃며느리밥풀 | 고흥 | 줄기, 잎 |
Patrinia scabiosaefolia | 마타리 | 고흥 | 줄기, 잎 |
Persicaria filiformis | 이삭여뀌 | 제주도 | 줄기, 잎 |
Persicaria filiformis | 이삭여뀌 | 울릉도 | 줄기, 잎 |
Phryma leptostachya | 파리풀 | 고흥 | 줄기, 잎 |
Phtheirospermum japonicum | 나도송이풀 | 제주도 | 줄기, 잎 |
Pyrola japonica | 노루발 | 울릉도 | 뿌리, 줄기, 잎 |
Quercus mongolica | 물참나무 | 제주도 | 가지, 잎 |
Reynoutria japonica | 호장근 | 제주도 | 줄기, 잎 |
Rhus javanica | 붉나무 | 고흥 | 가지, 잎 |
Scrophularia takesimensis | 섬현삼 | 울릉도 | 뿌리, 줄기, 잎 |
Sedum takesimense | 섬기린초 | 울릉도 | 줄기, 잎 |
Selaginella tamariscina | 부처손 | 고흥 | 뿌리, 줄기, 잎 |
Sorbus commixta | 마가목 | 제주도 | 가지, 잎 |
Viburnum dilatatum | 가막살나무 | 제주도 | 가지, 잎 |
<고압용매추출>
본 발명에 사용한 고압용매 추출장치(SFX 3560, Isco Inc., USA)는 주사기 펌프, 펌프 컨트롤러, 샘플카트리지가 장착된 고압 챔버, 유량 조절을 위한 리스트릭터 그리고 수집 바이알로 구성되어 있다.
추출시료는 추출용매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샘플 카트리지e의 윗부분으로부터 바다 모래(15~20 메쉬, Junsei Chemical Co., Ltd., Japan) 2 g, 건조시료 1 g, 다시 바다 모래 5.2 g를 순차적으로 충진하여 고압 챔버에 장착하였다.
추출용매(에탄올 40%)는 주사기 펌프에서 가압되었고 공급 밸브를 통하여 샘플 카트리지로 주입된 후 일정 온도(50℃)와 압력(13.6 MPa)에서 3분 동안 정치하였다.
그 후 고압용매는 시료가 충진된 카트리지를 통과하면서 10분 동안 1 mL/min의 유속으로 추출을 행하였고, 추출물은 리스트릭터를 통하여 수집 바이알에 포집하였다.
이것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로 농축한 후 추출용매로 10 mL 정용한 후 0.45 μm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필터(Advantec, Toyo Roshi Kaisha, Ltd., Japan)로 여과하여 -20℃에서 저장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수율은 추출물 1 mL를 취하여 105℃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여 증발잔사의 양을 구한 후 건조 시료의 무게에 대한 가용성 고형분의 무게 비율로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 측정>
총페놀 함량은 Peschel 등(2006)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료 용액 0.1 mL에 증류수 7.9 mL와 Folin-Ciocalteu's phenol 시약(Fluka, Switzerland) 0.5 mL를 가하였다.
2분 후 20% 탄산나트륨 용액 1.5 mL를 가하여 혼합하였고, 상온에서 2시간 후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갈산(gallic acid)(Sigma, USA)를 표준품으로 200~1000 μg/L 농도로 검량선을 작성한 후 갈산당량(gallic acid equivalents)(mg GAE/g of dry sample)로 나타내었다.
<통합적 항산화 능력(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측정>
항산화 활성은 Photochemiluminescence system(Berlin, Germany)으로 측정하였다(Besco 등, 2007). ACW와 ACL 키트는 Analytik Jena AG(Jena, Germany)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수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ACW protocol)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시약 3(R③)에 시약 2(R②)를 750 μL 가하여 시약 3 실험용액(working solution)(R③-WS)을 제조하였다.
*490 μL 시약 1(R①)과 10 μL H2SO4를 아스코르빅산(R④)가 들어 있는 바이알에 가한 후 20~30초간 휘저어서 혼합하여 R④ 저장용액을 제조하였고, 이 용액을 R①로 1:100으로 희석하여 R④ 실험 용액(R④-WS)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 10 μL에는 1 nmol의 아스코르빅산(표준용액)이 함유되어 있다.
수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은 3단계로 측정하였다. 1단계는 R① 1500 μL과 R② 1000 μL이 들어있는 샘플링 튜브에 R③-WS 25 μL을 가하여 공백 범위(blank)를 측정하였다. 2단계는 R① 1500 μL과 R② 1000 μL이 들어있는 샘플링 튜브에 R③-WS 25 μL과 R④-WS을 10~50 μL을 가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3단계 시료분석은 검량선 작성 시 R④-WS 대신 희석된 추출물 10 μL을 가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ACL protocol)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R③에 R②를 750 μL 가하여 R③-WS을 제조하였다. 500 μL R①을 Trolox(R④)이 들어 있는 바이알에 가한 후 혼합하여 R④ 저장용액을 제조하였고, 이 용액을 R①로 1:100으로 희석하여 R④-WS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 10 μL에는 1 nmol의 Trolox(표준용액)이 함유되어 있다.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 또한 3단계로 측정하였다. 1단계는 R① 2300 μL과 R② 200 μL이 들어있는 샘플링 튜브에 R③-WS 25 μL을 가하여 공백 범위(blank)를 측정하였다. 2단계는 R① 2300 μL과 R② 200 μL이 들어있는 샘플링 튜브에 R③-WS 25 μL과 R④-WS을 10~50 μL 가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3단계 시료분석은 검량선 작성 시 R④-WS 대신 희석된 추출물 10 μL을 가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g당 mmol 아스코르빅산 또는 트롤록스 당량으로 나타내었다.
<항균성 검정 균주>
본 발명에서 사용한 균주는 양식넙치 질병 세균으로서 한국유전자은행인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인 KCCM(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서 그람 양성균 2종(Streptococcus iniae KCTC 3657, Streptococcus parauberis KCTC 3651)과 그람 음성균 2종(Edwardsiella tarda KCTC 12267, Vibrio ordalii KCCM 41669)을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사용배지는 BHIA(1.5% NaCl)이었으며, 각 균주의 배양조건은 표 2와 같으며 3회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그람 | 균주 | 배양조건 |
(+) | Streptococcus parauberis KCTC 3651 | 37℃, 24 hr |
Streptococcus iniae KCTC 3657 | 37℃, 24 hr | |
(-) | Edwardsiella tarda KCTC 12267 | 37℃, 24 hr |
Vibrio ordalii KCCM 41669 | 26℃, 48 hr |
<항균활성의 측정>
항균활성은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NCCLS)의 지침에 준하여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으로 측정하였다(NCCLS, 1997). 식물 추출물(10,000 ppm)의 항균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리 배양한 균 배양액 0.2 mL(107~108 CFU/mL)를 각각의 고체배지 표면에 취하여 스프레더(spreader)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여기에 멸균된 종이판(paper disc)(직경 8 mm, Advantec, Toyo Roshi Co., Japan)를 올려놓아 밀착시킨 후, 추출물 20 μL을 흡수시킨 다음 각 균주의 배양조건에서 배양하여 생육 저지환(clear zone)의 크기(mm)를 측정하였다.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NCCLS의 지침(NCCLS, 1993)에 따라 한천희석법(agar dilution method)로 측정하였다. 미리 배양한 균 배양액 0.2 mL(107~108 CFU/mL)를 고체배지 표면에 취하여 스프레더로 균일하게 도말한 다음 각각의 온도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미생물의 생육이 관찰되지 않은 추출물의 최소농도를 확인하였다. 고체배지는 추출물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 한 후 잔사를 5% DMSO에 용해하여 최종농도가 1,000, 2,000, 3,000, 4,000, 5,000 ppm이 되도록 조제한 추출물 5 mL를 배지 15 mL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술한 측정 실험 결과 총고형분의 추출수율에 있어서, 제주, 전남 고흥, 경북 울릉도에서 채취한 자생식물 40종을 대상으로 고압용매 추출하여 가용성 고형분의 추출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았다.
식물 학명 | TSS (%) |
TP (mg GAE/g) |
TP/TSS (%) |
Adenophora erecta | 32.1±0.07 | 8.2±0.8 | 2.6 |
Adenophora remotiflora | 30.6±0.21 | 8.9±0.9 | 2.9 |
Agrimonia pilosa | 24.0±0.32 | 174.4±8.7 | 72.6 |
Angelica decursiva | 21.8±0.33 | 17.2±1.7 | 7.9 |
Aralia cordata | 11.7±0.26 | 5.5±1.2 | 4.7 |
Ardisia japonica | 23.6±0.33 | 95.0±2.5 | 40.2 |
Astilbe rubra | 21.1±0.59 | 65.9±2.8 | 31.2 |
Atriplex subcordata | 19.4±0.45 | 8.0±0.9 | 4.1 |
Carpinus laxiflora | 24.0±0.21 | 113.3±8.9 | 47.3 |
Cayratia japonica | 19.9±0.12 | 18.2±1.9 | 9.2 |
Chrysosplenium grayanum | 39.0±0.05 | 36.6±2.3 | 9.4 |
Davallia mariesii | 34.1±1.04 | 96.9±3.9 | 28.4 |
Dystaenia takesimana | 25.9±0.21 | 19.3±1.8 | 7.5 |
Epilobium pyrricholophum | 19.6±0.33 | 78.7±2.1 | 40.1 |
Euphorbia sieboldiana | 26.0±0.00 | 43.4±1.9 | 16.7 |
Fallopia sachalinensis | 12.6±0.09 | 46.4±2.1 | 36.8 |
Geranium wilfordii | 22.0±0.05 | 82.8±1.1 | 37.6 |
Hedera rhombea | 21.3±0.09 | 14.7±2.2 | 6.9 |
Hepatica maxima | 27.7±0.05 | 14.8±2.2 | 5.3 |
Hydrangea serrata | 17.0±0.09 | 15.7±2.3 | 9.2 |
Isodon inflexus | 21.9±0.01 | 57.0±3.1 | 26.1 |
Lactuca indica | 21.2±0.09 | 16.2±1.9 | 7.6 |
Lespedeza cyrtobotrya | 23.1±0.18 | 76.1±2.0 | 32.9 |
Lycopodium serratum | 19.7±0.12 | 11.5±2.4 | 5.9 |
Lysimachia clethroides | 27.4±0.31 | 93.2±1.8 | 34.0 |
Melampyrum roseum | 30.1±0.21 | 18.9±2.9 | 6.3 |
Patrinia scabiosaefolia | 17.3±0.42 | 18.7±1.7 | 10.8 |
Persicaria filiformis (jeju) | 10.5±0.18 | 32.1±0.7 | 30.5 |
Persicaria filiformis | 15.6±0.09 | 47.0±0.5 | 30.1 |
Phryma leptostachya | 19.0±0.39 | 29.5±1.7 | 15.6 |
Phtheirospermum japonicum | 24.2±0.08 | 34.1±0.9 | 14.1 |
Pyrola japonica | 25.7±0.61 | 49.5±1.7 | 19.3 |
Quercus mongolica | 25.2±0.12 | 116.9±3.2 | 46.4 |
Reynoutria japonica | 20.4±0.21 | 80.8±2.7 | 39.7 |
Rhus javanica | 27.7±0.00 | 108.2±6.9 | 39.1 |
Scrophularia takesimensis | 39.7±0.42 | 8.8±1.4 | 2.2 |
Sedum takesimense | 31.5±0.54 | 91.1±2.3 | 28.9 |
Selaginella tamariscina | 11.1±0.26 | 7.8±1.0 | 7.0 |
Sorbus commixta | 27.7±0.14 | 92.5±2.2 | 33.4 |
Viburnum dilatatum | 20.1±0.14 | 22.4±2.7 | 11.2 |
고형분의 추출수율은 섬현삼, 괭이눈이 각각 39.7%, 39.0%로 40종 자생식물 중 가장 높았고, 넉줄고사리, 섬모싯대, 섬기린초, 모싯대, 꽃며느리밥풀이 각각 34.1%, 32.1%, 31.5%, 30.6%, 30.1%로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 마가목, 붉나무, 섬노루귀, 큰까치수염, 개감수, 섬바디, 노루발, 물참나무가 25% 이상을, 나도송이풀, 짚신나물, 서어나무, 자금우, 참싸리, 세잎이질풀, 산박하, 바디나물, 송악, 왕고들빼기, 노루오줌, 호장근, 가막살이 20% 이상의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표3을 참조하면 총페놀 함량은 짚신나물이 174.4 mg GAE/g로 자생식물 중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물참나무, 서어나무, 붉나무가 각각 116.9, 113.3, 108.2 mg GAE/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외 넉줄고사리, 자금우, 큰까치수염, 마가목, 섬기린초도 각각 96.9, 95.0, 93.2, 92.5, 91.1 mg GAE/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세잎이질풀, 호장근, 바늘꽃, 참싸리, 노루오줌, 산박하는 각각 82.8, 80.8, 78.7, 76.1, 65.9, 57.0 mg GAE/g 이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노루발, 이삭여뀌(울릉), 왕호장근, 개감수, 괭이눈, 나도송이풀, 이삭여뀌(제주)는 약 30 mg GAE/g 정도의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총고형분 함량에 대한 총페놀 함량의 비율(% TP/TSS)은 짚신나물이 72.6%로 가장 높았고, 서어나무(47.3%), 물참나무(46.4%), 자금우(40.2%), 바늘꽃(40.1%)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 호장근(39.7%), 붉나무(39.1%), 세잎이질풀(37.6%), 왕호장근(36.8%), 큰까치수염(34.0%), 마가목(33.4%), 참싸리(32.9%), 노루오줌(31.2%), 이삭여뀌(제주, 30.5%)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자생식물 40종의 추출물 중 가용성 고형분 함량에 대한 총페놀 함량의 비율이 높은 16종을 선정하여 수용성과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을 측정한 결과는 표4와 같았다.
식물 학명 | 수용성 (ascorbic acid, mmol/g of soluble solid) |
지용성 (trolox, mmol/g of soluble solid) |
Agrimonia pilosa | 2.53±0.04 | 1.27±0.05 |
Ardisia japonica | 1.24±0.07 | 0.76±0.01 |
Astilbe rubra | 2.37±0.17 | 0.58±0.02 |
Carpinus laxiflora | 3.34±0.14 | 8.51±0.03 |
Davallia mariesii | 1.00±0.06 | 0.82±0.05 |
Dystaenia takesimana | 0.81±0.00 | 0.53±0.01 |
Epilobium pyrricholophum | 1.94±0.10 | 3.83±0.10 |
Geranium wilfordii | 2.59±0.03 | 5.68±0.09 |
Lespedeza cyrtobotrya | 0.97±0.03 | 0.35±0.01 |
Lysimachiaclethroides | 1.27±0.07 | 0.89±0.06 |
Phtheirospermum japonicum | 3.96±0.05 | 1.78±0.05 |
Quercus mongolica | 3.63±0.19 | 3.85±0.12 |
Reynoutria japonica | 2.87±0.13 | 1.05±0.02 |
Rhus javanica | 3.63±0.14 | 1.24±0.01 |
Sedum takesimense | 0.86±0.07 | 3.69±0.19 |
Sorbus commixta | 5.81±0.34 | 6.57±0.31 |
수용성 항산화 능력은 마가목이 5.81 mmol 아스코르빅산 당량/g 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나도송이풀, 붉나무, 물참나무, 서어나무가 각각 3.96, 3.63, 3.63, 3.34 mmol 아스코르빅산 당량/g를 나타내었으며, 호장근, 세잎이질풀, 짚신나물, 노루오줌도 각각 2.87, 2.59, 2.53, 2.37 mmol 아스코르빅산 당량/g를 나타내었다.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서어나무가 8.51 mmol 트롤록스 당량/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마가목,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바늘꽃, 섬기린초가 각각 6.57, 5.68, 3.85, 3.83, 3.69 mmol 트롤록스 당량/g를 나타내었다.
마가목, 서어나무, 물참나무, 세잎이질풀는 수용성과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 모두 높았는데, 총페놀 함량도 각각 92.5, 113.3, 116.9, 82.8 mg GAE/로 높아 이들 식물 추출물인 경우 항산화 능력과 총페놀 함량 사이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내 자생식물 40종 추출물에 대하여 양식 넙치 질병 세균인 그람양성균 2종(S. parauberis, S. iniae)과 그람음성균 2종(E. tarda, V. ordalii)에 대한 항균활성을 paper disk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식물 40종 추출물 중 9종 즉, 짚신나물, 독활, 서어나무, 섬바디, 바늘꽃, 세잎이질풀, 나도송이풀, 물참나무, 섬기린초 만이 4종의 양식 넙치 질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표 5).
S. parauberis에 대한 항균활성은 나도송이풀과 섬바디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독활, 서어나무, 바늘꽃,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섬기린초는 비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짚신나물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 iniae에 대해서는 짚신나물과 섬바디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독활, 서어나무, 세잎이질풀, 나도송이풀, 물참나무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바늘꽃과 섬기린초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E. tarda에 대해서는 독활, 서어나무, 섬바디, 바늘꽃,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섬기린초가 비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짚신나물과 나도송이풀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V. ordalii에 대해서는 식물 9종 중 짚신나물 이외에 8종의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는데, 그 중 서어나무와 세잎이질풀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독활, 섬바디, 바늘꽃, 나도송이풀, 물참나무, 섬기린초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식물 학명 | S. parauberis | S. iniae | E. tarda | V. ordalii |
Agrimonia pilosa | - | +++++ | - | - |
Aralia cordata | + | + | + | + |
Carpinus laxiflora | + | + | + | ++ |
Dystaenia takesimana | ++ | +++ | + | + |
Epilobium pyrricholophum | + | - | + | + |
Geranium wilfordii | + | + | + | ++ |
Phtheirospermum japonicum | ++++ | + | - | + |
Quercus mongolica | + | + | + | + |
Sedum takesimense | + | - | + | + |
others | - | - | - | - |
Clear zone size(paper disc diameter : 8 mm), 9 mm 이하 : "-", 9~14 mm : "+", 14~19 mm : "++", 19~24 mm : "+++", 24~29 mm : "++++", 29~34 mm: "+++++"
짚신나물, 나도송이풀, 섬바디는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았고, 서어나무와 세잎이질풀은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9종의 자생식물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그람양성균인 S. parauberis와 S. iniae에 대한 항균활성이 그람음성균인 E. tarda와 V. ordalii 보다 높았다.
특히 물참나무, 세잎이질풀, 서어나무는 총페놀 함량이 각각 116.9, 82.8, 113.3 mg GAE/로 높았으며, 수용성과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도 모두 높았는데, 이들 식물 추출물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이들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이 항산화활성은 물론 항균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들 추출물은 건강한 넙치의 생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양식 넙치 질병 세균에 대하여 비교적 항균활성이 우수한 7종의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았던 짚신나물, 나도송이풀, 섬바디, 독활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았던 서어나무,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추출물은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한 결과는 표 6과 같았다.
식물 학명 | S. parauberis | S. iniae | E. tarda | V. ordalii |
Agrimonia pilosa | >5,000 | 1,000 | --- | --- |
Aralia cordata | 4,000 | 3,000 | --- | --- |
Carpinus laxiflora | --- | --- | 5,000 | <1,000 |
Dystaenia takesimana | >5,000 | 3,000 | --- | --- |
Geranium wilfordii | --- | --- | >5,000 | <1,000 |
Phtheirospermum japonicum | 4,000 | 4,000 | --- | --- |
Quercus mongolica | --- | --- | 4,000 | <1,000 |
--- : 미측정
최소저해농도는 그람양성균인 S. parauberis인 경우에는 독활과 나도송이풀이 4,000 ppm, 짚신나물과 섬바디는 >5,000 ppm을 나타내었으며, S. iniae인 경우에는 짚신나물이 1,000 ppm으로 가장 낮았고, 독활과 섬바디는 3,000 ppm, 나도송이풀은 4,000 ppm을 나타내었다. 그람음성균인 E. tarda에 대해서는 물참나무, 서어나무, 세잎이질풀가 각각 4,000, 5,000, >5,000 ppm을 나타내었으며, V. ordalii에 대해서는 물참나무, 서어나무, 세잎이질풀 모두 1,000 ppm 이하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실험결과 짚신나물은 S. iniae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독활, 섬바디, 나도송이풀은 S. parauberis과 S. iniae 모두에 대하여, 서어나무, 세잎이질풀, 물참나무는 V. ordalii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이들 추출물은 양식넙치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천연항균제로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 그람음성균( Vibrio ordalii와 Edwardsiella tarda)에 대하여, 서어나무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 항균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식 넙치를 포함하는 어류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식물로부터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고압 용매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6839A KR101317477B1 (ko) | 2012-12-28 | 2012-12-28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6839A KR101317477B1 (ko) | 2012-12-28 | 2012-12-28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0267A Division KR101298184B1 (ko) | 2010-08-19 | 2010-08-19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6176A true KR20130016176A (ko) | 2013-02-14 |
KR101317477B1 KR101317477B1 (ko) | 2013-10-10 |
Family
ID=4789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6839A KR101317477B1 (ko) | 2012-12-28 | 2012-12-28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74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37625A (zh) * | 2019-07-17 | 2021-01-19 | 创技公司株式会社 | 包含天然萃取物的女性清洁剂用组合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33184B (zh) * | 2014-04-22 | 2016-08-31 | 湖州天健兽药有限公司 | 一种治疗鱼类白头白嘴病的中药组合物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8136B1 (ko) | 2001-10-24 | 2005-03-21 |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
KR101474216B1 (ko) * | 2007-09-19 | 2014-12-18 | 코스맥스 주식회사 |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2012
- 2012-12-28 KR KR1020120156839A patent/KR10131747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37625A (zh) * | 2019-07-17 | 2021-01-19 | 创技公司株式会社 | 包含天然萃取物的女性清洁剂用组合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7477B1 (ko) | 2013-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Orak et al. |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cv.) peel. | |
Lagnika et al. | Antifung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dansonia digitata and Vitex doniana from Bénin pharmacopeia | |
KR101298184B1 (ko)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
Pirbalouti et al. | Antibacterial activity of Iranian medicinal plants against Streptococcus iniae isolated from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
JP2018520985A (ja) | 抗菌漢方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 |
Syawal et al. | Phytochemical analysis of Rhizophora apiculata leaf extract and its inhibitory action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eromonas hydrophila and Pseudomonas aeruginosa | |
KR101806800B1 (ko) |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 |
CN104666171A (zh) | 抗菌洗手液及其制备方法 | |
Pirbalouti et al. |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Saprolegnia parasitica from cutaneous lesions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eggs | |
CN107691480A (zh) | 一种用于防治轮纹病的厚朴酚增效杀菌剂 | |
Nadimi et al. | The effect of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s of Teucrium polium on Candida albicans and two species of Malassezia | |
Lili et al. | Effectivity of solution mangosteen rind (Garciana mangostana) as medicine for black tilapia juvenile (Oreochromis niloticus Bleeker) when infected by Aeromonas hydrophila | |
KR101317477B1 (ko)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 |
KR100782500B1 (ko) |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수생곰팡이 억제제 | |
Mann et al. | Antibacterial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of Terminalia avicennioide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 |
Fereidouni et al. | Antibacterial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Lactococcus garvieae, the etiological agent of rainbow trout lactococcosis | |
KR20130016174A (ko)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
Zulkamal et al. | Bioactivity of clitoria ternatea crude extract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
Pandey et al. | In vitro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Calendula officinalis against MDR pathogens | |
Harlina | Potency of the Piper betle and Ocimum basilicum as a natural antibacterial against the acute hepatopancreatic necrosis disease (AHPND) | |
KR20130016177A (ko)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
KR20130016175A (ko)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
KR20130004557A (ko)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
Al-Edani et al. | Evaluation of the activity of alcoholic extract of Gujarat plant (Hibiscussabdariffa L.) against some dermatophytes | |
KR20180023092A (ko) | 사피움 박카툼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풋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