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477B1 -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477B1
KR101317477B1 KR1020120156839A KR20120156839A KR101317477B1 KR 101317477 B1 KR101317477 B1 KR 101317477B1 KR 1020120156839 A KR1020120156839 A KR 1020120156839A KR 20120156839 A KR20120156839 A KR 20120156839A KR 101317477 B1 KR101317477 B1 KR 101317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island
leaf
stem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176A (ko
Inventor
임상빈
강미애
김미보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4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107Vibri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짚신나물, 독활, 서어나무, 섬바디, 바늘꽃, 세잎이질풀, 나도송이풀, 물참나무, 섬기린초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넙치를 포함하는 어류에 대하여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천연항균제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Antibacterial compositions of Carpinus laxiflora against fish disease bacteria}
본 발명은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 넙치의 질병 세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자생식물에서 추출된 어류의 세균성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주도 등 국내에서 많이 양식하고 있는 넙치는 주로 병원성 세균에 의하여 각종 질병이 발생하여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데, 국내산 양식 넙치에서 주로 발생하는 세균성 질병은 Streptococcosis, edwardsiellosis, vibriosis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Streptococcosis의 원인 병원균으로는 S. parauberis와 S. iniae를, edwardsiellosis의 원인종은 E. tarda와 E. ictaluri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어류 vibriosis는 많은 종류의 Vibrio속 세균의 감염에 의하여 해수어 및 담수어 등 다양한 어류에서 발생하며, 특히 고밀도 양식, 고염분과 유기물 오염이 높은 경우에 그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공통적인 vibriosis의 원인균으로는 V. anguillarum이 보고되어 있으며, V. ordalli는 어류의 출혈성 패혈증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이후 어류양식이 성행하면서 양식어의 질병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각종 항생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장기간에 걸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하여 해양세균에서 항생제 내성균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세균의 항생제 내성을 결정하는 인자들은 플라스미드 전이에 의해 쉽게 다른 균체에 전달되는데 이러한 인자가 사람의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에 전이될 수 있으며, 이 때 양식어류는 이러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보고된바 있다.
그런데, 항생제에 대한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활용하고자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예로부터 한약재 추출물이나 식물정유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자원을 이용하여 항균, 항진균 및 항암효과를 갖는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식품에 존재하여 사람에게 해를 입히는 세균들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보고가 되고 있지만, 양식어류에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한 천연물의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
현재 양식장에서 발병하는 세균성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효능, 즉 항균 효과에 대해서 천연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효능을 구명하고 실제적으로 연쇄구균에 사용되는 항생제를 대체할 항균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의 목적은 항생제 내성균 발생과 내성 전이의 우려가 없고, 기존 항생제의 항균 효과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갖는 어류 세균성 질병유발 세균에 대해 항균능을 가지는 천연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어류 세균성 질병 세균에 대해 항균능을 가지는 천연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담수 및 해수 양식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고 있는 세균성 질병 원인 중 하나인 스트렙토균의 어류에 대한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천연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은, 짚신나물, 독활, 서어나무, 섬바디, 바늘꽃, 세잎이질풀, 나도송이풀, 물참나무, 섬기린초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식 넙치를 포함하는 어류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osis), 에드워드감염증(edwardsiellosis), 비브리오증(vibriosis)에 대한 항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식물에서부터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고압 용매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의하면, 자생식물로부터 추출된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담수 및 해수 양식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고 있는 세균성 질병 원인 중 하나인 스트렙토균의 어류에 대한 감염을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다.
또한, 자생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물로부터 합성 항균제를 대체할 천연 항균제로서, 합성 항생제를 장기간 사용하여 발생하는 내성균의 출현이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재료>
본 발명에 사용한 자생식물은 표 1과 같으며, 제주(16종), 전남 고흥(11종), 경북 울릉도(13종)에서 40종을 채취하여 세척ㅇ음건한 후 30 메쉬를 통과하도록 분쇄기(Ika Work, Inc., USA)로 분쇄하여 -2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추출용 재료로 사용하였다.
학명, 고유명, 사용된 부분
학 명 고유명 채집지역 사용된 부분
Adenophora erecta 섬모싯대 울릉도 뿌리, 줄기, 잎
Adenophora remotiflora 모싯대 제주도 뿌리, 줄기, 잎
Agrimonia pilosa 짚신나물 고흥 줄기, 잎
Angelica decursiva 바디나물 제주도 뿌리, 줄기, 잎
Aralia cordata 독활 울릉도 줄기, 잎
Ardisia japonica 자금우 울릉도 뿌리, 줄기, 잎
Astilbe rubra 노루오줌 제주도 줄기, 잎
Atriplex subcordata 갯능쟁이 울릉도 줄기, 잎
Carpinus laxiflora 서어나무 고흥 가지, 잎
Cayratia japonica 거지덩굴 제주도 줄기, 잎
Chrysosplenium grayanum 괭이눈 제주도 줄기, 잎
Davallia mariesii 넉줄고사리 고흥 뿌리, 줄기, 잎
Dystaenia takesimana 섬바디 울릉도 줄기, 잎
Epilobium pyrricholophum 바늘꽃 울릉도 줄기, 잎
Euphorbia sieboldiana 개감수 제주도 뿌리, 줄기, 잎
Fallopia sachalinensis 왕호장근 울릉도 줄기, 잎
Geranium wilfordii 세잎이질풀 울릉도 줄기, 잎
Hedera rhombea 송악 고흥 가지, 잎
Hepatica maxima 섬노루귀 울릉도 뿌리, 줄기, 잎
Hydrangea serrata 탐라산수국 제주도 줄기, 잎
Isodon inflexus 산박하 제주도 줄기, 잎
Lactuca indica 왕고들빼기 고흥 줄기, 잎
Lespedeza cyrtobotrya 참싸리 제주도 줄기, 잎
Lycopodium serratum 뱀톱 제주도 뿌리, 줄기, 잎
Lysimachia clethroides 큰까치수염 고흥 가지, 잎
Melampyrum roseum 꽃며느리밥풀 고흥 줄기, 잎
Patrinia scabiosaefolia 마타리 고흥 줄기, 잎
Persicaria filiformis 이삭여뀌 제주도 줄기, 잎
Persicaria filiformis 이삭여뀌 울릉도 줄기, 잎
Phryma leptostachya 파리풀 고흥 줄기, 잎
Phtheirospermum japonicum 나도송이풀 제주도 줄기, 잎
Pyrola japonica 노루발 울릉도 뿌리, 줄기, 잎
Quercus mongolica 물참나무 제주도 가지, 잎
Reynoutria japonica 호장근 제주도 줄기, 잎
Rhus javanica 붉나무 고흥 가지, 잎
Scrophularia takesimensis 섬현삼 울릉도 뿌리, 줄기, 잎
Sedum takesimense 섬기린초 울릉도 줄기, 잎
Selaginella tamariscina 부처손 고흥 뿌리, 줄기, 잎
Sorbus commixta 마가목 제주도 가지, 잎
Viburnum dilatatum 가막살나무 제주도 가지, 잎
<고압용매추출>
본 발명에 사용한 고압용매 추출장치(SFX 3560, Isco Inc., USA)는 주사기 펌프, 펌프 컨트롤러, 샘플카트리지가 장착된 고압 챔버, 유량 조절을 위한 리스트릭터 그리고 수집 바이알로 구성되어 있다.
추출시료는 추출용매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샘플 카트리지e의 윗부분으로부터 바다 모래(15∼20 메쉬, Junsei Chemical Co., Ltd., Japan) 2 g, 건조시료 1 g, 다시 바다 모래 5.2 g를 순차적으로 충진하여 고압 챔버에 장착하였다.
추출용매(에탄올 40%)는 주사기 펌프에서 가압되었고 공급 밸브를 통하여 샘플 카트리지로 주입된 후 일정 온도(50℃)와 압력(13.6 MPa)에서 3분 동안 정치하였다.
그 후 고압용매는 시료가 충진된 카트리지를 통과하면서 10분 동안 1 mL/min의 유속으로 추출을 행하였고, 추출물은 리스트릭터를 통하여 수집 바이알에 포집하였다.
이것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로 농축한 후 추출용매로 10 mL 정용한 후 0.45 μm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필터(Advantec, Toyo Roshi Kaisha, Ltd., Japan)로 여과하여 -20℃에서 저장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수율은 추출물 1 mL를 취하여 105℃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여 증발잔사의 양을 구한 후 건조 시료의 무게에 대한 가용성 고형분의 무게 비율로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 측정>
총페놀 함량은 Peschel 등(2006)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료 용액 0.1 mL에 증류수 7.9 mL와 Folin-Ciocalteu's phenol 시약(Fluka, Switzerland) 0.5 mL를 가하였다.
2분 후 20% 탄산나트륨 용액 1.5 mL를 가하여 혼합하였고, 상온에서 2시간 후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갈산(gallic acid)(Sigma, USA)를 표준품으로 200∼1000 μg/L 농도로 검량선을 작성한 후 갈산당량(gallic acid equivalents)(mg GAE/g of dry sample)로 나타내었다.
<통합적 항산화 능력(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측정>
항산화 활성은 Photochemiluminescence system(Berlin, Germany)으로 측정하였다(Besco 등, 2007). ACW와 ACL 키트는 Analytik Jena AG(Jena, Germany)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수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ACW protocol)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시약 3(R③)에 시약 2(R②)를 750 μL 가하여 시약 3 실험용액(working solution)(R③-WS)을 제조하였다.
*490 μL 시약 1(R①)과 10 μL H2SO4를 아스코르빅산(R④)가 들어 있는 바이알에 가한 후 20∼30초간 휘저어서 혼합하여 R④ 저장용액을 제조하였고, 이 용액을 R①로 1:100으로 희석하여 R④ 실험 용액(R④-WS)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 10 μL에는 1 nmol의 아스코르빅산(표준용액)이 함유되어 있다.
수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은 3단계로 측정하였다. 1단계는 R① 1500 μL과 R② 1000 μL이 들어있는 샘플링 튜브에 R③-WS 25 μL을 가하여 공백 범위(blank)를 측정하였다. 2단계는 R① 1500 μL과 R② 1000 μL이 들어있는 샘플링 튜브에 R③-WS 25 μL과 R④-WS을 10∼50 μL을 가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3단계 시료분석은 검량선 작성 시 R④-WS 대신 희석된 추출물 10 μL을 가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ACL protocol)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R③에 R②를 750 μL 가하여 R③-WS을 제조하였다. 500 μL R①을 Trolox(R④)이 들어 있는 바이알에 가한 후 혼합하여 R④ 저장용액을 제조하였고, 이 용액을 R①로 1:100으로 희석하여 R④-WS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 10 μL에는 1 nmol의 Trolox(표준용액)이 함유되어 있다.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 또한 3단계로 측정하였다. 1단계는 R① 2300 μL과 R② 200 μL이 들어있는 샘플링 튜브에 R③-WS 25 μL을 가하여 공백 범위(blank)를 측정하였다. 2단계는 R① 2300 μL과 R② 200 μL이 들어있는 샘플링 튜브에 R③-WS 25 μL과 R④-WS을 10∼50 μL 가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3단계 시료분석은 검량선 작성 시 R④-WS 대신 희석된 추출물 10 μL을 가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g당 mmol 아스코르빅산 또는 트롤록스 당량으로 나타내었다.
<항균성 검정 균주>
본 발명에서 사용한 균주는 양식넙치 질병 세균으로서 한국유전자은행인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인 KCCM(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서 그람 양성균 2종(Streptococcus iniae KCTC 3657, Streptococcus parauberis KCTC 3651)과 그람 음성균 2종(Edwardsiella tarda KCTC 12267, Vibrio ordalii KCCM 41669)을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사용배지는 BHIA(1.5% NaCl)이었으며, 각 균주의 배양조건은 표 2와 같으며 3회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어류의 질병 세균 및 배양 조건
그람 균주 배양조건
(+) Streptococcus parauberis KCTC 3651 37℃, 24 hr
Streptococcus iniae KCTC 3657 37℃, 24 hr
(-) Edwardsiella tarda KCTC 12267 37℃, 24 hr
Vibrio ordalii KCCM 41669 26℃, 48 hr
<항균활성의 측정>
항균활성은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NCCLS)의 지침에 준하여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으로 측정하였다(NCCLS, 1997). 식물 추출물(10,000 ppm)의 항균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리 배양한 균 배양액 0.2 mL(107∼108 CFU/mL)를 각각의 고체배지 표면에 취하여 스프레더(spreader)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여기에 멸균된 종이판(paper disc)(직경 8 mm, Advantec, Toyo Roshi Co., Japan)를 올려놓아 밀착시킨 후, 추출물 20 μL을 흡수시킨 다음 각 균주의 배양조건에서 배양하여 생육 저지환(clear zone)의 크기(mm)를 측정하였다.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NCCLS의 지침(NCCLS, 1993)에 따라 한천희석법(agar dilution method)로 측정하였다. 미리 배양한 균 배양액 0.2 mL(107∼108 CFU/mL)를 고체배지 표면에 취하여 스프레더로 균일하게 도말한 다음 각각의 온도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미생물의 생육이 관찰되지 않은 추출물의 최소농도를 확인하였다. 고체배지는 추출물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로 용매를 완전히 제거 한 후 잔사를 5% DMSO에 용해하여 최종농도가 1,000, 2,000, 3,000, 4,000, 5,000 ppm이 되도록 조제한 추출물 5 mL를 배지 15 mL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술한 측정 실험 결과 총고형분의 추출수율에 있어서, 제주, 전남 고흥, 경북 울릉도에서 채취한 자생식물 40종을 대상으로 고압용매 추출하여 가용성 고형분의 추출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았다.
가용성 고형분의 추출 수율(TSS) 및 총페놀량(TP)
식물 학명 TSS
(%)
TP
(mg GAE/g)
TP/TSS
(%)
Adenophora erecta 32.1±0.07 8.2±0.8 2.6
Adenophora remotiflora 30.6±0.21 8.9±0.9 2.9
Agrimonia pilosa 24.0±0.32 174.4±8.7 72.6
Angelica decursiva 21.8±0.33 17.2±1.7 7.9
Aralia cordata 11.7±0.26 5.5±1.2 4.7
Ardisia japonica 23.6±0.33 95.0±2.5 40.2
Astilbe rubra 21.1±0.59 65.9±2.8 31.2
Atriplex subcordata 19.4±0.45 8.0±0.9 4.1
Carpinus laxiflora 24.0±0.21 113.3±8.9 47.3
Cayratia japonica 19.9±0.12 18.2±1.9 9.2
Chrysosplenium grayanum 39.0±0.05 36.6±2.3 9.4
Davallia mariesii 34.1±1.04 96.9±3.9 28.4
Dystaenia takesimana 25.9±0.21 19.3±1.8 7.5
Epilobium pyrricholophum 19.6±0.33 78.7±2.1 40.1
Euphorbia sieboldiana 26.0±0.00 43.4±1.9 16.7
Fallopia sachalinensis 12.6±0.09 46.4±2.1 36.8
Geranium wilfordii 22.0±0.05 82.8±1.1 37.6
Hedera rhombea 21.3±0.09 14.7±2.2 6.9
Hepatica maxima 27.7±0.05 14.8±2.2 5.3
Hydrangea serrata 17.0±0.09 15.7±2.3 9.2
Isodon inflexus 21.9±0.01 57.0±3.1 26.1
Lactuca indica 21.2±0.09 16.2±1.9 7.6
Lespedeza cyrtobotrya 23.1±0.18 76.1±2.0 32.9
Lycopodium serratum 19.7±0.12 11.5±2.4 5.9
Lysimachia clethroides 27.4±0.31 93.2±1.8 34.0
Melampyrum roseum 30.1±0.21 18.9±2.9 6.3
Patrinia scabiosaefolia 17.3±0.42 18.7±1.7 10.8
Persicaria filiformis (jeju) 10.5±0.18 32.1±0.7 30.5
Persicaria filiformis 15.6±0.09 47.0±0.5 30.1
Phryma leptostachya 19.0±0.39 29.5±1.7 15.6
Phtheirospermum japonicum 24.2±0.08 34.1±0.9 14.1
Pyrola japonica 25.7±0.61 49.5±1.7 19.3
Quercus mongolica 25.2±0.12 116.9±3.2 46.4
Reynoutria japonica 20.4±0.21 80.8±2.7 39.7
Rhus javanica 27.7±0.00 108.2±6.9 39.1
Scrophularia takesimensis 39.7±0.42 8.8±1.4 2.2
Sedum takesimense 31.5±0.54 91.1±2.3 28.9
Selaginella tamariscina 11.1±0.26 7.8±1.0 7.0
Sorbus commixta 27.7±0.14 92.5±2.2 33.4
Viburnum dilatatum 20.1±0.14 22.4±2.7 11.2
고형분의 추출수율은 섬현삼, 괭이눈이 각각 39.7%, 39.0%로 40종 자생식물 중 가장 높았고, 넉줄고사리, 섬모싯대, 섬기린초, 모싯대, 꽃며느리밥풀이 각각 34.1%, 32.1%, 31.5%, 30.6%, 30.1%로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 마가목, 붉나무, 섬노루귀, 큰까치수염, 개감수, 섬바디, 노루발, 물참나무가 25% 이상을, 나도송이풀, 짚신나물, 서어나무, 자금우, 참싸리, 세잎이질풀, 산박하, 바디나물, 송악, 왕고들빼기, 노루오줌, 호장근, 가막살이 20% 이상의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표3을 참조하면 총페놀 함량은 짚신나물이 174.4 mg GAE/g로 자생식물 중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물참나무, 서어나무, 붉나무가 각각 116.9, 113.3, 108.2 mg GAE/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외 넉줄고사리, 자금우, 큰까치수염, 마가목, 섬기린초도 각각 96.9, 95.0, 93.2, 92.5, 91.1 mg GAE/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세잎이질풀, 호장근, 바늘꽃, 참싸리, 노루오줌, 산박하는 각각 82.8, 80.8, 78.7, 76.1, 65.9, 57.0 mg GAE/g 이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노루발, 이삭여뀌(울릉), 왕호장근, 개감수, 괭이눈, 나도송이풀, 이삭여뀌(제주)는 약 30 mg GAE/g 정도의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총고형분 함량에 대한 총페놀 함량의 비율(% TP/TSS)은 짚신나물이 72.6%로 가장 높았고, 서어나무(47.3%), 물참나무(46.4%), 자금우(40.2%), 바늘꽃(40.1%)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 호장근(39.7%), 붉나무(39.1%), 세잎이질풀(37.6%), 왕호장근(36.8%), 큰까치수염(34.0%), 마가목(33.4%), 참싸리(32.9%), 노루오줌(31.2%), 이삭여뀌(제주, 30.5%)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자생식물 40종의 추출물 중 가용성 고형분 함량에 대한 총페놀 함량의 비율이 높은 16종을 선정하여 수용성과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을 측정한 결과는 표4와 같았다.
통합적 항산화 능력 (IAC)
식물 학명 수용성
(ascorbic acid, mmol/g
of soluble solid)
지용성
(trolox, mmol/g
of soluble solid)
Agrimonia pilosa 2.53±0.04 1.27±0.05
Ardisia japonica 1.24±0.07 0.76±0.01
Astilbe rubra 2.37±0.17 0.58±0.02
Carpinus laxiflora 3.34±0.14 8.51±0.03
Davallia mariesii 1.00±0.06 0.82±0.05
Dystaenia takesimana 0.81±0.00 0.53±0.01
Epilobium pyrricholophum 1.94±0.10 3.83±0.10
Geranium wilfordii 2.59±0.03 5.68±0.09
Lespedeza cyrtobotrya 0.97±0.03 0.35±0.01
Lysimachiaclethroides 1.27±0.07 0.89±0.06
Phtheirospermum japonicum 3.96±0.05 1.78±0.05
Quercus mongolica 3.63±0.19 3.85±0.12
Reynoutria japonica 2.87±0.13 1.05±0.02
Rhus javanica 3.63±0.14 1.24±0.01
Sedum takesimense 0.86±0.07 3.69±0.19
Sorbus commixta 5.81±0.34 6.57±0.31
수용성 항산화 능력은 마가목이 5.81 mmol 아스코르빅산 당량/g 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나도송이풀, 붉나무, 물참나무, 서어나무가 각각 3.96, 3.63, 3.63, 3.34 mmol 아스코르빅산 당량/g를 나타내었으며, 호장근, 세잎이질풀, 짚신나물, 노루오줌도 각각 2.87, 2.59, 2.53, 2.37 mmol 아스코르빅산 당량/g를 나타내었다.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서어나무가 8.51 mmol 트롤록스 당량/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마가목,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바늘꽃, 섬기린초가 각각 6.57, 5.68, 3.85, 3.83, 3.69 mmol 트롤록스 당량/g를 나타내었다.
마가목, 서어나무, 물참나무, 세잎이질풀는 수용성과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 모두 높았는데, 총페놀 함량도 각각 92.5, 113.3, 116.9, 82.8 mg GAE/로 높아 이들 식물 추출물인 경우 항산화 능력과 총페놀 함량 사이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내 자생식물 40종 추출물에 대하여 양식 넙치 질병 세균인 그람양성균 2종(S. parauberis, S. iniae)과 그람음성균 2종(E. tarda, V. ordalii)에 대한 항균활성을 paper disk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식물 40종 추출물 중 9종 즉, 짚신나물, 독활, 서어나무, 섬바디, 바늘꽃, 세잎이질풀, 나도송이풀, 물참나무, 섬기린초 만이 4종의 양식 넙치 질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표 5).
S. parauberis에 대한 항균활성은 나도송이풀과 섬바디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독활, 서어나무, 바늘꽃,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섬기린초는 비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짚신나물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 iniae에 대해서는 짚신나물과 섬바디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독활, 서어나무, 세잎이질풀, 나도송이풀, 물참나무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바늘꽃과 섬기린초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E. tarda에 대해서는 독활, 서어나무, 섬바디, 바늘꽃,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섬기린초가 비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짚신나물과 나도송이풀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V. ordalii에 대해서는 식물 9종 중 짚신나물 이외에 8종의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는데, 그 중 서어나무와 세잎이질풀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독활, 섬바디, 바늘꽃, 나도송이풀, 물참나무, 섬기린초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식물 학명 S. parauberis S. iniae E. tarda V. ordalii
Agrimonia pilosa - +++++ - -
Aralia cordata + + + +
Carpinus laxiflora + + + ++
Dystaenia takesimana ++ +++ + +
Epilobium pyrricholophum + - + +
Geranium wilfordii + + + ++
Phtheirospermum japonicum ++++ + - +
Quercus mongolica + + + +
Sedum takesimense + - + +
others - - - -
Clear zone size(paper disc diameter : 8 mm), 9 mm 이하 : "-", 9~14 mm : "+", 14~19 mm : "++", 19~24 mm : "+++", 24~29 mm : "++++", 29~34 mm: "+++++"
짚신나물, 나도송이풀, 섬바디는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았고, 서어나무와 세잎이질풀은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9종의 자생식물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그람양성균인 S. parauberis와 S. iniae에 대한 항균활성이 그람음성균인 E. tarda와 V. ordalii 보다 높았다.
특히 물참나무, 세잎이질풀, 서어나무는 총페놀 함량이 각각 116.9, 82.8, 113.3 mg GAE/로 높았으며, 수용성과 지용성 통합적 항산화 능력도 모두 높았는데, 이들 식물 추출물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이들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이 항산화활성은 물론 항균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들 추출물은 건강한 넙치의 생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양식 넙치 질병 세균에 대하여 비교적 항균활성이 우수한 7종의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았던 짚신나물, 나도송이풀, 섬바디, 독활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았던 서어나무,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추출물은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한 결과는 표 6과 같았다.
최소 저해 농도
식물 학명 S. parauberis S. iniae E. tarda V. ordalii
Agrimonia pilosa >5,000 1,000 --- ---
Aralia cordata 4,000 3,000 --- ---
Carpinus laxiflora --- --- 5,000 <1,000
Dystaenia takesimana >5,000 3,000 --- ---
Geranium wilfordii --- --- >5,000 <1,000
Phtheirospermum japonicum 4,000 4,000 --- ---
Quercus mongolica --- --- 4,000 <1,000
--- : 미측정
최소저해농도는 그람양성균인 S. parauberis인 경우에는 독활과 나도송이풀이 4,000 ppm, 짚신나물과 섬바디는 >5,000 ppm을 나타내었으며, S. iniae인 경우에는 짚신나물이 1,000 ppm으로 가장 낮았고, 독활과 섬바디는 3,000 ppm, 나도송이풀은 4,000 ppm을 나타내었다. 그람음성균인 E. tarda에 대해서는 물참나무, 서어나무, 세잎이질풀가 각각 4,000, 5,000, >5,000 ppm을 나타내었으며, V. ordalii에 대해서는 물참나무, 서어나무, 세잎이질풀 모두 1,000 ppm 이하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실험결과 짚신나물은 S. iniae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독활, 섬바디, 나도송이풀은 S. parauberis과 S. iniae 모두에 대하여, 서어나무, 세잎이질풀, 물참나무는 V. ordalii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이들 추출물은 양식넙치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천연항균제로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인 Vibrio ordalii와 Edwardsiella tarda에 대하여, 서어나무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식 넙치를 포함하는 어류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 식물로부터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고압 용매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KR1020120156839A 2012-12-28 2012-12-28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KR101317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839A KR101317477B1 (ko) 2012-12-28 2012-12-28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839A KR101317477B1 (ko) 2012-12-28 2012-12-28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267A Division KR101298184B1 (ko) 2010-08-19 2010-08-19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176A KR20130016176A (ko) 2013-02-14
KR101317477B1 true KR101317477B1 (ko) 2013-10-10

Family

ID=4789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839A KR101317477B1 (ko) 2012-12-28 2012-12-28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3184A (zh) * 2014-04-22 2014-07-23 湖州天健兽药有限公司 一种治疗鱼类白头白嘴病的中药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920B1 (ko) * 2019-07-17 2021-03-10 (주)인벤티지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36B1 (ko) 2001-10-24 2005-03-2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KR20090029873A (ko) * 2007-09-19 2009-03-24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36B1 (ko) 2001-10-24 2005-03-2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KR20090029873A (ko) * 2007-09-19 2009-03-24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3184A (zh) * 2014-04-22 2014-07-23 湖州天健兽药有限公司 一种治疗鱼类白头白嘴病的中药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176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rak et al.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cv.) peel.
KR101298184B1 (ko)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Pirbalouti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Iranian medicinal plants against Streptococcus iniae isolated from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JP2018520985A (ja) 抗菌漢方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CN104738033A (zh) 一种植物来源的防腐剂组方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Masoko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the antifungal activity of Sclerocarya birrea extracts against pathogenic yeasts
CN104666171A (zh) 抗菌洗手液及其制备方法
Susanah et al.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corus calamus L. rhizome ethanol extract
Harlina et al. Potential study of kopasanda (Chromolaena odorata L.) leaves as antibacterial against Vibrio harveyi, disease causative agent of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Fabricius) post larvae.
CN107691480A (zh) 一种用于防治轮纹病的厚朴酚增效杀菌剂
Nadimi et al. The effect of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s of Teucrium polium on Candida albicans and two species of Malassezia
Ugbabe et al. Preliminary phytochemical, antimicrobial and acute toxicity studies of the stem, bark and the leaves of a cultivated Syzygium cumini Linn.(Family: Myrtaceae) in Nigeria
KR101317477B1 (ko)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서어나무의 항균 조성물
KR100782500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수생곰팡이 억제제
Radwan et al. Seasonal Variation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henolic Content, Antimicrobial Activity and Some Bioactive Components of Ficus carica L. in Palestine
Almulaiky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enzyme content, phenolic conte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mmiphora gileadensis grown in Saudi Arabia
Fereidouni et al. Antibacterial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Lactococcus garvieae, the etiological agent of rainbow trout lactococcosis
KR20130016174A (ko)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Pandey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Calendula officinalis against MDR pathogens
KR20130004557A (ko)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20130016175A (ko)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20130016177A (ko) 어류의 세균성 병원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Saidbeg et al.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of aerial parts and bulbs of Allium schugnanic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