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722A - 선형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선형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722A
KR20130015722A KR1020110077883A KR20110077883A KR20130015722A KR 20130015722 A KR20130015722 A KR 20130015722A KR 1020110077883 A KR1020110077883 A KR 1020110077883A KR 20110077883 A KR20110077883 A KR 20110077883A KR 20130015722 A KR20130015722 A KR 20130015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il
magnet
main magne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773B1 (ko
Inventor
윤안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773B1/ko
Priority to CN2012102266000A priority patent/CN102916556A/zh
Priority to US13/554,321 priority patent/US8860263B2/en
Publication of KR2013001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결합되는 브라켓과,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및 상기 코일과 대향되도록 위치된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외주면에 결합된 중량체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요크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진동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자기댐핑수단인 서브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상기 진동자부의 메인 마그네트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 마드네트와 대향면이 동일극이 되도록 고정자부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선형진동모터{Linear Motor}
본 발명은 선형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진동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등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및 모바일폰의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부각되는 추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부품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모터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을시키기 위해 나날이 그 성능 및 기술이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최근 몇년간 LCD화면이 큰 휴대폰의 출시가 급증하면서, 터치스크린방식이 채택됨에 따라 터치시진동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채택되어 그 수요가 증가되어 왔다.
한편,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진동에 있어서 특히 요구되는 성능은 첫째 착신시 진동발생에 비하여 사용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동작수명 시간이 증가되어야 하고, 둘째 화면을 터치하는 속도에 맞추어 진동의 응답속도도 빨라져야 사용자가 터치시 진동을 체감할 수 있다.
상기의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진동모터인 선형진동모터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연결될 진동자부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를 갖고 전자기력으로 가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력은 진동자부의 마그넷과 고정자부의 코일에 인가되는 일정 주파수를 갖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선형진동모터는 진동자부가 상하운동을 하면서 케이스 또는 브라켓과의 충돌에 의해 터치이음이 발생하고, 이를 막기위해 MF도포하여 링형상 의 띠를 만들거나, 댐핑재(러버,포론등)를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MF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과도한 충격시 주변으로 비산되어 제위치에서 이탈하여 댐핑기능이 약해져서 진동동작시 이음이 발생하고, 상기 러버,포론등의 댐핑제는 일정부피를 차지하므로 제한된 공간내에서 배치하기가 여려울 뿐만 아니라, 설계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자부와 진동자부에 마그네트를 장착하고, 상기 마그네트의 척력을 통해 자기댐핑수단을 구현함으로써, 고정자부와 진동자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차단되어, 금속성 고주파이음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진동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선형진동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결합되는 브라켓과,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및 상기 코일과 대향되도록 위치된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외주면에 결합된 중량체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요크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진동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자기댐핑수단인 서브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상기 진동자부의 메인 마그네트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 마드네트와 대향면이 동일극이 되도록 고정자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서브 마그네트와,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제2 서브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메인 마그네트, 브라켓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및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결합된 중량체와, 일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진동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상면에 결합되는 제1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메인 마그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자부 및 상기 진동자부는 자기댐핑수단인 서브 마그네트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동일극이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또는 탄성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제1 서브 마그네트와, 상기 제1 서브 마그네트와 대향되도록 상기 중량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제2 서브 마그네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메인 마그네트는 서로 대향되는 면이 동일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마그네트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플레이트 요크의 외주면에 도포되는 자성유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고정자부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과 상기 중량체 사이에 결합되고, 마그네트의 자속을 증가시키는 원통형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형 요크를 통해 코일 및 중량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량체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원통형 요크 및 상기 코일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코일은 상기 고정자부가 내재된 상태로 선형운동 가능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탄성을 갖는 FPC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메인 마그네트, 브라켓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및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결합된 중량체와, 일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진동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상면에 결합되는 제1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메인 마그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자부 및 상기 진동자부는 자기댐핑수단인 서브 마그네트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동일극이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탄성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댐핑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또는 탄성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제1 서브 마그네트와, 상기 제1 서브 마그네트와 대향되도록 상기 중량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제2 서브 마그네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메인 마그네트는 서로 대향되는 면이 동일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마그네트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고정자부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과,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과 상기 중량체 사이에 결합되고, 마그네트의 자속을 증가시키는 원통형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형 요크를 통해 코일 및 중량체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자부와 진동자부에 마그네트를 장착하고, 상기 마그네트의 척력을 통해 자기댐핑수단을 구현함으로써, 고정자부와 진동자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차단되어, 금속성 고주파이음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진동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선형진동모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형진동모터(100)는 고정자부와 진동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코일(111), 인쇄회로기판(112), 브라켓(113), 케이스(114) 및 서브 마그네트(115a,115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111)은 상기 브라켓(113)에 기립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1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12)은 상기 브라켓(113)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케이스(114)는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3)에 결합된다. 또한 서브 마그네트(115a,115b)는 자기댐핑수단으로서, 상기 진동자부의 메인 마그네트(121)에 대향되도록 상기 브라켓(113)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서브 마그네트(115a)와, 상기 케이스(114)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제2 서브 마그네트(115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브 마그네트(115a,115b)는 메인 마그네트와 대향되는 면이 동일면으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메인 마그네트와의 척력으로 자기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메인 마그네트(121)는 상기 케이스(114)에 대향되는 면이 N극, 브라켓에 대향되는 면이 S극으로 착자되어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마그네트(115a)는 상기 메인 마그네트(121)에 대향되는 면이 S극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마그네트(115b)는 메인 마그네트(121)에 대향되는 면이 N극이 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자부는 메인 마그네트(121), 요크(122), 중량체(123), 탄성부재(124) 및 플레이트 요크(12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마그네트(121)는 고정자부의 상기 코일(111)의 내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115a,115b)와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 마그네트(121)와 상기 서브 마그네트(115a,115b)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이 동일극이 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 요크(122)는 상기 메인 마그네트(12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중량체(122)는 상기 요크(423)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24)는 일단이 상기 고정자부의 케이스(114)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요크(12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플레이트 요크(125) 및 메인 마그네트(121)의 외주부에 도포되고, 상기 코일(111)에 인접하는 자성유체(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유체(126)는 진동자부가 고정자부의 코일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댐핑을 위해 도포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12)을 통해 외부전원이 코일(111)에 공급되면, 상기 코일(111)과 상기 메인 마그네트(121)의 전자기기력에 의해 상기 진동자부는 선형진동한다. 이때, 진동자부(420)의 변위가 커질 경우, 상기 메인 마그네트(121)와 상기 서브 마그네트(115a,115b)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자부와 고정자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차단됨에 따라, 이로 인한 금속성 고주파이음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진동력이 균일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진동모터(200)는 고정자부와 진동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자부는 메인 마그네트(211a, 211b), 케이스(212), 브라켓(213), 플레이트 요크(214), 자성유체(215) 및 제1 서브 마그네트(216a, 216b)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부는 코일(221), 중량체(222), 인쇄회로기판(223), 탄성부재(224), 원통형 요크(225) 및 제2 서브 마그네트(226a, 222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자부의 상기 케이스(212)는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13)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13)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23)이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메인 마그네트(211a, 211b)는 코인과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자부를 선형진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213)의 내측상면에 결합되는 제1 메인 마그네트(211a)와, 상기 제1 마그네트(211a)에 대향하고 상기 케이스(212)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메인 마그네트(21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111a)와 제2 메인 마그네트(111b)는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해 서로 대향되는 면이 동일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212)와 브라켓(213)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마그네트(211a, 211b)를 그의 중앙에 결합하기 위해 안착부(212a, 213a)가 각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212a)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3a)는 상기 안착부(212a)에 대향되는 상기 브라켓(213)의 상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요크(214)는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211a)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마그네트(211b)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는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211a)의 상부에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진동자부의 코일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댐핑을 위한 자성유체(215)가 코일에 대향되는 상기 플레이트 요크(214)의 외주면에 도포된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마그네트(216a, 216b)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진동자부인 중량체(222)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서브 마그네트(216a)는 중량체에 대향되는 상기 브라켓(213)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서브 마그네트(216b)는 중량체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212)의 내측면 또는 탄성부재(224)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진동자부인 상기 코일(221)은 상기 메인 마그네트(211a, 211b)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중량체(222)는 상기 코일(221)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23)의 일단은 상기 코일(22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213)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24)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21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22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2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13)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223a)과, 상기 결합판(223a)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223b)와, 상기 탄성부(223b)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223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23)의 결합판(223a)에는 브라켓(213)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223d)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13)에는 상기 고정홈(223d)에 대응되는 고정돌기(21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촉부(223c)는 접촉대상인 코일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도록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223)은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211a)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외측을 둘러싸면서 나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코일(221)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진동자부를 하부에서 탄성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221)에 전류를 인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223)은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스프링 형상 또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요크(225)는 상기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발생된 전자력의 외부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코일(221)과 상기 중량체(222) 사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요크(226)는 상기 중량체(222)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량체의 중공부(222a)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24)는 상기 원통형 요크(225)를 통해 상기 코일(221) 및 상기 중량체(22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222)는 중공부(222a)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222a)에 원통형 요크(225) 및 코일(221)이 수용되고, 상기 중공부(222a)에 의해 상기 메인 마그네트(211a, 211b) 및 플레이트 요크(214)가 내재된 상태로 선형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24), 원통형 요크(225) 및 상기 코일(221)은 상기 메인 마그네트(211a, 211b), 플레이트 요크(214) 및 자성유체(215)가 내재된 상태로 선형운동 가능하도록 각각 중공부(224a, 225a, 22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마그네트(226a, 226b)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자부의 제1 서브 마그네트(216a,216b)와 각각 대향되도록 상기 중량체(222)의 상면 및 하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마그네트(216a,216b)와 상기 제2 서브 마그네트(226a, 226b)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면이 동일극으로 착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쇄회로기판(223)은 탄성을 갖는 FP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20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23)을 통해 외부전원이 코일(221)에 공급되면, 상기 코일(221)과 상기 메인 마그네트(211a, 211b)의 전자기기력에 의해 상기 진동자부는 선형진동한다. 이때, 진동자부의 변위가 커질 경우, 자기댐핑수단인 제1 서브 마그네트(216a,216b)와 상기 제2 서브 마그네트(226a, 226b)의 척력에 의해 상기 중량체(222)와 상기 탄성부재(224) 또는 상기 중량체(222)와 상기 브라켓(213)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차단됨에 따라, 인한 금속성 고주파이음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진동력이 균일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진동모터(300)는 도 3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200)와 동일한 기술구성으로, 댐핑부재(31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형진동모터(300)는 고정자부와 진동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자부는 메인 마그네트(311a, 311b), 케이스(312), 브라켓(313), 플레이트 요크(314), 자성유체(315) 및 제1 서브 마그네트(316a, 316b)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부는 코일(321), 중량체(322), 인쇄회로기판(323), 탄성부재(324), 원통형 요크(325) 및 제2 서브 마그네트(326a, 32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탄성부재(324)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312)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댐핑부재(3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기댐핑수단인 제1 서브 마그네트(316a,316b)와 상기 제2 서브 마그네트(326a, 326b)에 더하여, 상기 댐핑부재(317)에 의해 상기 케이스(312)와 탄성부재(324)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차단됨에 따라, 인한 금속성 고주파이음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도을 통한 설계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선형진동모터 111a, 111b : 마그네트
111 : 코일 112 : 인쇄회로기판
113 : 브라켓 114 : 케이스
115a, 115b : 서브 마그네트 121 : 메인 마그네트 122 : 요크 123 : 중량체
124 : 탄성부재 125 : 플레이트 요크
125: 탄성부재 126 : 자성유체
200 : 선형진동모터 211a, 211b : 메인 마그네트
212 : 케이스 213 : 브라켓
214 : 플레이트 요크 215 : 자성유체 216a, 216b : 제1 서브 마그네트 221 : 코일
222 : 중량체 223 : 인쇄회로기판
224: 탄성부재 225 : 원통형 요크
226 : 제2 서브 마그네트
300 : 선형진동모터 311a, 311b : 메인 마그네트
312 : 케이스 313 : 브라켓
314 : 플레이트 요크 315 : 자성유체 316a, 316b : 제1 서브 마그네트 321 : 코일
322 : 중량체 323 : 인쇄회로기판
324: 탄성부재 325 : 원통형 요크
326 : 제2 서브 마그네트

Claims (18)

  1. 코일과, 상기 코일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고정결합되는 브라켓과,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및
    상기 코일과 대향되도록 위치된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외주면에 결합된 중량체와,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요크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진동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자기댐핑수단인 서브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상기 진동자부의 메인 마그네트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 마드네트와 대향면이 동일극이 되도록 고정자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서브 마그네트; 및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제2 서브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3. 메인 마그네트, 브라켓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및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결합된 중량체와, 일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진동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상면에 결합되는 제1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메인 마그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자부 및 상기 진동자부는 자기댐핑수단인 서브 마그네트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동일극이 대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또는 탄성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제1 서브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서브 마그네트와 대향되도록 상기 중량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제2 서브 마그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메인 마그네트는 서로 대향되는 면이 동일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마그네트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플레이트 요크의 외주면에 도포되는 자성유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고정자부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과 상기 중량체 사이에 결합되고, 마그네트의 자속을 증가시키는 원통형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형 요크를 통해 코일 및 중량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원통형 요크 및 상기 코일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코일은
    상기 고정자부가 내재된 상태로 선형운동 가능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탄성을 갖는 FP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3. 메인 마그네트, 브라켓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및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결합된 중량체와, 일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진동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상면에 결합되는 제1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에 대향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메인 마그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자부 및 상기 진동자부는 자기댐핑수단인 서브 마그네트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동일극이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탄성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댐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또는 탄성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제1 서브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서브 마그네트와 대향되도록 상기 중량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제2 서브 마그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메인 마그네트는 서로 대향되는 면이 동일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제1 메인 마그네트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메인 마그네트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고정자부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과 상기 중량체 사이에 결합되고, 마그네트의 자속을 증가시키는 원통형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형 요크를 통해 코일 및 중량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KR1020110077883A 2011-08-04 2011-08-04 선형진동모터 KR101354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83A KR101354773B1 (ko) 2011-08-04 2011-08-04 선형진동모터
CN2012102266000A CN102916556A (zh) 2011-08-04 2012-06-29 线性振动电机
US13/554,321 US8860263B2 (en) 2011-08-04 2012-07-20 Linear vibration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83A KR101354773B1 (ko) 2011-08-04 2011-08-04 선형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22A true KR20130015722A (ko) 2013-02-14
KR101354773B1 KR101354773B1 (ko) 2014-01-23

Family

ID=4761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883A KR101354773B1 (ko) 2011-08-04 2011-08-04 선형진동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60263B2 (ko)
KR (1) KR101354773B1 (ko)
CN (1) CN1029165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00B1 (ko) * 2015-01-23 2016-07-13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200046320A (ko) * 2018-10-24 2020-05-07 주식회사 엠플러스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1381B2 (ja) * 2010-12-17 2014-04-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EP3121946A4 (en) * 2014-03-17 2017-08-23 Nidec Sankyo Corporation Linear actuator
EP3198618B1 (en) 2014-09-24 2021-05-19 Tactio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amped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planar motion for audio-frequency vibrations
US10573139B2 (en) 2015-09-16 2020-02-25 Taction Technology, Inc. Tactile transducer with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improved fidelity
CN105356712B (zh) * 2015-11-25 2019-01-11 歌尔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
CN105281528B (zh) * 2015-11-25 2018-07-27 歌尔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马达
CN105720776B (zh) * 2016-03-28 2019-04-12 歌尔股份有限公司 振动马达以及便携式设备
KR101855335B1 (ko) * 2016-07-01 2018-05-08 주식회사 예일전자 차체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
KR20190034667A (ko) * 2016-09-13 2019-04-02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가동자, 진동 액추에이터, 및 전자 기기
US10512937B2 (en) * 2016-09-14 2019-12-24 Nidec Seimitsu Corporation Vibration motor
CN207251900U (zh) * 2017-04-14 2018-04-1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振动器件和电子设备
GB2572349B (en) * 2018-03-27 2021-08-11 Perpetuum Ltd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GB2572350B (en) * 2018-03-27 2023-01-25 Hitachi Rail Ltd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JP7063691B2 (ja) * 2018-04-06 2022-05-09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US11848586B2 (en) * 2018-08-28 2023-12-19 Minebea Mitsumi Inc. Vibration actuator with plate springs sandwiched between a coil holding part and cases
WO2020184439A1 (ja) * 2019-03-14 2020-09-17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
TWI682620B (zh) * 2019-03-29 2020-01-11 台睿精工股份有限公司 線性振動馬達
KR20220002881A (ko) 2019-04-11 2022-01-07 콘티넨탈 엔지니어링 서비시스 게엠베하 자동차에서의 고성능 저음 재생을 위한 강성 구조물용 진동 작동기
US20210013786A1 (en) * 2019-07-08 2021-01-14 West Virginia University High frequency resonant linear machines
CN110429786A (zh) * 2019-08-28 2019-11-08 领先科技(东台)有限公司 一种线圈内嵌套铁芯的线性马达
US20210067023A1 (en) * 2019-08-30 2021-03-04 Apple Inc. Haptic actuator including shaft coupled field member and related methods
WO2021106741A1 (ja) * 2019-11-29 2021-06-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リニア振動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2144888B1 (ko) * 2020-03-24 2020-08-28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리니어 진동모터
CN113572333B (zh) * 2020-04-28 2024-03-29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致动器
JP7410791B2 (ja) * 2020-04-28 2024-01-10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2022049071A (ja) * 2020-09-16 2022-03-29 株式会社東芝 振動発電機
DE102020213768A1 (de) * 2020-11-02 2022-05-05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Aktuator zur Anregung von Schwingungen umfassend einen Antrieb mit verbesserter Dämpfung
CN112564541B (zh) * 2020-12-09 2021-09-28 上海大学 一种用于低频运动的电磁摩擦电混合式能量收集器
CN217388499U (zh) * 2021-05-06 2022-09-0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113872409B (zh) * 2021-10-18 2023-03-14 浙江省东阳市东磁诚基电子有限公司 一种弹片非焊接式振动电机及其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8633B2 (en) * 2004-02-23 2008-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resonance frequency
KR100735299B1 (ko) * 2004-06-23 2007-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GB2438255B (en) * 2006-02-23 2009-10-21 Citizen Electronics Vibrator
KR100904743B1 (ko) * 2007-06-07 2009-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0941292B1 (ko) * 2007-11-12 2010-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 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1368A (ko) * 2009-04-07 2010-10-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 장치
KR20100112827A (ko) * 2009-04-10 2010-10-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선형 진동기
KR101009112B1 (ko) * 2009-05-04 2011-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100934584B1 (ko) * 2009-06-16 2009-12-31 유성정밀 주식회사 리니어 진동모터
KR100923867B1 (ko) * 2009-07-21 2009-10-28 김태진 리니어 진동 모터
KR101084860B1 (ko) * 2009-07-22 2011-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1077446B1 (ko) * 2009-09-11 2011-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0984046B1 (ko) * 2010-01-05 2010-09-28 나영목 리니어 타입 진동모터
KR101055508B1 (ko) * 2010-12-31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00B1 (ko) * 2015-01-23 2016-07-13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200046320A (ko) * 2018-10-24 2020-05-07 주식회사 엠플러스 사운드 진동 액츄에이터
US11489427B2 (en) 2018-10-24 2022-11-01 Mplus Co., Ltd. Sound vibration actuator with three vibration assemblies and different frequenc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33128A1 (en) 2013-02-07
KR101354773B1 (ko) 2014-01-23
US8860263B2 (en) 2014-10-14
CN102916556A (zh)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773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055562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354867B1 (ko) 리니어진동장치
KR102173570B1 (ko) 선형진동모터
US8288899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US8941273B2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US9219401B2 (en)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88055B1 (ko) 진동발생장치
US8013480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8937411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8803373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20110004246A (ko) 선형 진동자
KR20110048104A (ko) 선형 진동자
KR101278418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506556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184545B1 (ko) 선형 진동모터
KR20130015864A (ko) 리니어진동장치
KR101461274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857611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858969B1 (ko) 자기 브레이크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진동발생장치
KR20150080673A (ko) 선형 진동 모터
KR101022899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20130031528A (ko) 선형 진동모터
KR20170035464A (ko) 선형 진동자
KR20130038328A (ko) 선형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