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721A - 선형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선형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721A
KR20130015721A KR1020110077882A KR20110077882A KR20130015721A KR 20130015721 A KR20130015721 A KR 20130015721A KR 1020110077882 A KR1020110077882 A KR 1020110077882A KR 20110077882 A KR20110077882 A KR 20110077882A KR 20130015721 A KR20130015721 A KR 20130015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ay
vibrator
spring
case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744B1 (ko
Inventor
홍정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7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744B1/ko
Priority to CN201110449788.0A priority patent/CN102916555B/zh
Priority to US13/565,351 priority patent/US9059625B2/en
Publication of KR2013001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형진동장치는 플레이트와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어세이 및 요크와 스프링을 포함하는 진동자어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자어세이의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어세이의 스프링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형진동장치{Linear vibration device}
본 발명은 선형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형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 게임기, 휴대정보 단말기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 타인에게 외부 음향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진동 발생장치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발생장치는 제작 공법상 간이자동화 및 소인화를 구현하기 위해 설계단계에서부터 LCA(Low cost Automation)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제작공법상 핵심 공정 중에 하나인 케이스(또는 브라켓)과 스프링 용접공정이 LCA 설계에 가장 큰 걸림돌이며 이 부분이 해결될 경우 진동발생장치의 소인화 구현이 완성될 수 있다. 소인화 구현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진동장치는 스프링부재, 중량체, 브라켓 등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 어세이에서 스프링 어세이를 케이스의 안쪽 방향으로 용접한 후 진동자, 코일 원자재를 본딩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원자재를 어세이에 직접 조립하여 무빙어세이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간이 자동화 및 소인화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의 자동화 및 소인화를 이룰 수 있는 선형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장치는 플레이트와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어세이 및 요크와 스프링을 포함하는 진동자어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자어세이의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어세이의 스프링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돌기와 상기 스프링의 홈은 결합된 후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끼워맞춰진 후 상기 스프링을 회전하여 용접할 위치가 상기 돌기 중앙부에 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스프링이 조립된 후 상기 홈을 통하여 상기 스프링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측부에서 용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은 레이저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선형진동장치는 고정자어세이와 진동자어세이가 조립된 형상의 바깥면에서 나타낸 것으로, 고정자어세이와 진동자어세이가 조립된 후 홈을 통하여 진동자어세이의 위치를 확인하여 고정자어세이의 바깥쪽에서 진동자어세이와 용접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진동자어세이의 위치를 확인하며 바깥쪽으로부터 용접을 실시하므로 고정자어세이와 진동자어세이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자동화 및 소인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건비 절약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장치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장치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1은 선형진동장치(100)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선형진동장치(100)는 브라켓(111), 제1 댐핑포른(112), 제1 마그넷(113), 플레이트(121), 제2 마그넷(122), 제2 댐핑포른(123), 케이스(124), 요크(131), 스프링(132), FPC(133), 진동자(134), 코일(135)로 이루어진다.
브라켓(111)은 선형진동장치(100)를 외부로부터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철계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댐핑포른(112)은 브라켓(111)의 상부내부면에 부착되어 진동부가 진동시 브라켓(111)과 마찰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마그넷(113)은 브라켓(111)의 상부내부면에 부착되어 자기력을 발생한다.
플레이트(121)는 제1 마그넷(113)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제1 마그넷(113)과 플레이트(121)의 사이에는 자성유체가 도포되어 있다.
제2 마그넷(122)은 플레이트(121)의 하부에 장착되어 자기력을 발생한다.
제2 댐핑포른(123)은 케이스(124)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타부품과 케이스(124)가 마찰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스(124)는 선형진동장치(100)를 전체적으로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부에 구비된 브라켓(111)과 연결되어 선형진동장치(1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한다.
플레이트(121), 제2 마그넷(122), 제2 댐핑포른(123), 케이스(124)는 하나의 어세이를 이루며, 이것을 고정자어세이(120)라고 칭한다. 고정자어세이(120)는 전체적으로 조립되어 또다른 어세이와 조립된다.
요크(131)는 진동부인 진동자(134)와 코일(135)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부재의 진동을 지지한다.
스프링(132)은 요크(131)와 코일(135)을 지지하며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판스프링이다. 스프링(132)의 하부말단은 케이스(124)의 하부모서리에 고정된다.
FPC(133)는 진동자(134)의 상부에 구비되며 전기회로 및 소자가 장착되어 전기신호를 인가한다.
진동자(134)는 선형진동장치(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요크(131)와 코일(135)에 연결되어 상하로 진동한다.
코일(135)은 요크(131)에 부착되며 제1,2 마그넷(113, 122)과 마주보며 형성되어 발생되는 자기력으로 진동부는 진동한다.
요크(131), 스프링(132), FPC(133), 진동자(134), 코일(135)은 하나의 어세이를 이루어, 이것을 진동자어세이(130)라고 칭한다. 진동자어세이(130)는 고정자어세이(120)와 조립된다.
고정자어세이(120)와 진동자어세이(130)는 조립공정의 간이자동화 및 소인화를 위해 형성된 것으로, 고정자어세이(120)의 케이스(124)와 진동자어세이(130)의 스프링(132)이 간단히 조립 및 결합됨으로써 전체 선형진동장치(100)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처럼 고정자어세이(120)와 진동자어세이(130)를 바로 조립하는 방식은 어세이에 원자재를 얹히는 공정이 없이 간이 자동화에 한단계 접근할 수 있다.
도 2는 고정자어세이(120)와 진동자어세이(130)가 조립되는 것을 간단히 형상화한 것으로, 두개의 어세이가 조립될 때 고정자어세이(120)의 돌기(125)에 진동자어세이(130)의 홈(136)이 조립된다.
도 3은 고정자어세이(120)와 진동자어세이(130)가 조립된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고정자어세이(120)와 진동자어세이(130)가 조립되어 돌기(125)와 홈(136)이 끼워맞춰진 후 스프링을 회전하여 용접할 위치가 돌기 중앙부에 오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용접은 레이저용접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고정자어세이(120)와 진동자어세이(130)가 조립된 형상의 바깥면에서 나타낸 것으로, 고정자어세이(120)와 진동자어세이(130)가 조립된 후 홈(136)을 통하여 진동자어세이(130)의 위치를 확인하여 고정자어세이(120)의 외측부에서 진동자어세이(130)와 용접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진동자어세이(130)의 위치를 확인하며 외측부으로부터 용접을 실시하므로 고정자어세이(120)와 진동자어세이(130)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자동화 및 소인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건비 절약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선형진동장치 111: 브라켓
112: 제1 댐핑포른 113: 제1 마그넷
121: 플레이트 122: 제2 마그넷
123: 제2 댐핑포른 124: 케이스
131: 요크 132: 스프링
133: FPC 134: 진동자
135: 코일

Claims (6)

  1. 플레이트와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어세이; 및
    요크와 스프링을 포함하는 진동자어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자어세이의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어세이의 스프링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돌기와 상기 스프링의 홈은 결합된 후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끼워맞춰진 후 상기 스프링을 회전하여 용접할 위치가 상기 돌기 중앙부에 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스프링이 조립된 후 상기 홈을 통하여 상기 스프링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측부에서 용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레이저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장치.
KR1020110077882A 2011-08-04 2011-08-04 선형진동장치 KR10135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82A KR101354744B1 (ko) 2011-08-04 2011-08-04 선형진동장치
CN201110449788.0A CN102916555B (zh) 2011-08-04 2011-12-29 线性振动器
US13/565,351 US9059625B2 (en) 2011-08-04 2012-08-02 Linear vibration device having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882A KR101354744B1 (ko) 2011-08-04 2011-08-04 선형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21A true KR20130015721A (ko) 2013-02-14
KR101354744B1 KR101354744B1 (ko) 2014-01-23

Family

ID=4761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882A KR101354744B1 (ko) 2011-08-04 2011-08-04 선형진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59625B2 (ko)
KR (1) KR101354744B1 (ko)
CN (1) CN10291655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197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1593A (ko) 2014-02-03 2015-08-1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액추에이터
KR20190022038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엠플러스 코일의 단선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KR20190022040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5421A (zh) * 2014-03-06 2014-05-28 三星高新电机(天津)有限公司 泡棉定位磁铁方式的线性振动电机
CN106899122B (zh) * 2017-03-02 2019-08-20 歌尔股份有限公司 用于线性振动马达的壳体以及线性振动马达
GB2572349B (en) * 2018-03-27 2021-08-11 Perpetuum Ltd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GB2572350B (en) * 2018-03-27 2023-01-25 Hitachi Rail Ltd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JP7063691B2 (ja) * 2018-04-06 2022-05-09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US10748389B2 (en) * 2018-06-15 2020-08-18 Immersion Corporation Damping for a haptic actuator
US11848586B2 (en) * 2018-08-28 2023-12-19 Minebea Mitsumi Inc. Vibration actuator with plate springs sandwiched between a coil holding part and cases
KR20220002881A (ko) 2019-04-11 2022-01-07 콘티넨탈 엔지니어링 서비시스 게엠베하 자동차에서의 고성능 저음 재생을 위한 강성 구조물용 진동 작동기
US20210013786A1 (en) * 2019-07-08 2021-01-14 West Virginia University High frequency resonant linear machines
US20210067023A1 (en) * 2019-08-30 2021-03-04 Apple Inc. Haptic actuator including shaft coupled field member and related methods
CN113572333B (zh) * 2020-04-28 2024-03-29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致动器
JP7410791B2 (ja) * 2020-04-28 2024-01-10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2022049071A (ja) * 2020-09-16 2022-03-29 株式会社東芝 振動発電機
DE102020213768A1 (de) * 2020-11-02 2022-05-05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Aktuator zur Anregung von Schwingungen umfassend einen Antrieb mit verbesserter Dämpfung
CN112564541B (zh) * 2020-12-09 2021-09-28 上海大学 一种用于低频运动的电磁摩擦电混合式能量收集器
CN217388499U (zh) * 2021-05-06 2022-09-0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2437A1 (de) * 2000-01-21 2001-08-16 Bosch Gmbh Robert Piezoaktor
JP4630957B2 (ja) * 2000-06-16 2011-02-09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携帯用通信機器
KR100549880B1 (ko) * 2003-07-05 2006-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장치 구조
US7538463B2 (en) * 2006-01-10 2009-05-26 Citizen Electronics Co., Ltd. Vibrator
GB2438255B (en) * 2006-02-23 2009-10-21 Citizen Electronics Vibrator
KR20090003331U (ko) * 2007-10-05 2009-04-09 홍종선 다중 인서트 용기용 사출금형
CN201134741Y (zh) * 2007-12-24 2008-10-15 杜纪高 高频振动器
KR20100021987A (ko) * 2008-08-18 2010-02-26 이인호 수직 선형 진동기
KR20100112827A (ko) * 2009-04-10 2010-10-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선형 진동기
KR20100117896A (ko) * 2009-04-27 2010-11-04 김종대 리니어 진동모터 구조 및 그 조립방법
CN101902115B (zh) * 2009-05-25 2013-02-13 三星电机株式会社 线性振动器
KR101025109B1 (ko) * 2009-11-26 2011-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 모터
KR101046044B1 (ko) * 2010-10-04 2011-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197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1593A (ko) 2014-02-03 2015-08-1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액추에이터
KR20190022038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엠플러스 코일의 단선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KR20190022040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US10693359B2 (en) 2017-08-25 2020-06-23 Mplu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or including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c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59625B2 (en) 2015-06-16
KR101354744B1 (ko) 2014-01-23
CN102916555A (zh) 2013-02-06
US20130033129A1 (en) 2013-02-07
CN102916555B (zh)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744B1 (ko) 선형진동장치
US8872394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JP6010080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JP5930388B2 (ja) 振動発生装置
KR20180014261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00111368A (ko) 진동 장치
WO2018058808A1 (zh) 线性振动马达以及电子设备
US8742634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079409B1 (ko) 수평 진동자
KR20130115114A (ko) 바이브레이터
KR101146371B1 (ko) 진동 모터
KR20180010288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JPWO2016114383A1 (ja) リニア振動モータ
JP2017085849A (ja) 振動モータ
CN109640232A (zh) 扬声器
CN209017299U (zh) 扬声器
KR101130064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078597B1 (ko) 수평 진동형 리니어 모터
CN209017297U (zh) 扬声器
JP6333186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20130031528A (ko) 선형 진동모터
KR20170035464A (ko) 선형 진동자
KR20160102658A (ko) 선형 진동모터
KR101196632B1 (ko) 진동 모터
KR20150042897A (ko) 선형 진동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