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412A -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및 발포 시일재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및 발포 시일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412A
KR20130014412A KR1020120082369A KR20120082369A KR20130014412A KR 20130014412 A KR20130014412 A KR 20130014412A KR 1020120082369 A KR1020120082369 A KR 1020120082369A KR 20120082369 A KR20120082369 A KR 20120082369A KR 20130014412 A KR20130014412 A KR 20130014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foam
polyolefin resin
resin composition
resin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미 진토쿠
이츠히로 하타나카
데츠로우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2Impregnation of a formed object with a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8Supercritical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9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2Inorganic compounds
    • C09K2200/0204Elements
    • C09K2200/0208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2Inorganic compounds
    • C09K2200/0239Oxides, hydroxides,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17Polyalk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0.2 내지 0.7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30cN 이상인 폴리올레핀(A), 및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1.5 내지 10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10cN 이상인 폴리올레핀(B)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B)이 상기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7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및 발포 시일재{RESIN COMPOSITION FOR POLYOLEFIN RESIN FOAM, POLYOLEFIN RESIN FOAM AND FOAMED SEALING MATERIAL}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상기 수지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발포 시일재에 관한 것이다.
발포체는 반송용 완충재, 단열재, 포장재 및 건재를 비롯하여 전자 기기의 시일재 또는 완충재로서 사용되어 왔다. 최근,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시일재 또는 완충재로서 사용되는 발포체의 면적은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발포체에는, 그의 면적이 작더라도 충분한 시일성 또는 완충성을 발휘할 것이 요구된다.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셀(기포)을 미세화하는 방법이 실시되어 왔다(특허문헌 1 내지 3).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또는 2에서는,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발포체가 형성되지만, 그의 발포 배율이 낮기 때문에 충분한 유연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완충성의 저하 또는 전자 기기의 화면 불균일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발포 구조가 독립 기포 구조이기 때문에, 충분한 유연성이 얻어지지 않을 수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낮은 토출 속도에서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미세 셀을 갖는 발포체가 형성된다. 그러나, 발포체 제조시의 토출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발포 배율이 낮아지거나 셀이 불균일해지거나 할 수 있다. 셀이 불균일해지면, 면적이 작은 발포체를 사용한 경우에 시일성 또는 완충성이 뒤떨어질 수 있다.
즉, 토출 속도를 빠르게 하여 발포체를 빠른 생산 속도로 제조하는 경우, 충분한 발포 배율 및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발포체로서, 면적이 작은 것을 사용한 경우에도 시일성 또는 완충성을 잃지 않는 발포체는 현재 얻어지고 있지 않다.
일본 특허공개 2002-47326호 공보 일본 특허 제448694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270228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충분한 발포 배율 및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발포 배율 및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용융 유량(MFR) 및 특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을 갖는 폴리올레핀(A), 및 특정한 용융 유량(MFR) 및 특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을 갖는 폴리올레핀(B)을 특정한 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토출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충분한 발포 배율 및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항목 (1) 내지 (11)에 관한 것이다.
(1)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0.2 내지 0.7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30cN 이상인 폴리올레핀(A), 및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1.5 내지 10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10cN 이상인 폴리올레핀(B)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B)이 상기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7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2)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및 연화제를 포함하며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3 내지 10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10cN 미만인 성분(C)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성분(C)이 상기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20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항목 (1)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3) 항목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4) 겉보기 밀도가 0.01 내지 0.15g/cm3인, 항목 (3)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5) 평균 셀 직경이 10 내지 200㎛인, 항목 (3) 또는 (4)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6)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에 압력 5MPa 이상의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킨 후,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된, 항목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7) 상기 불활성 가스가 이산화탄소인, 항목 (6)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8) 함침시의 상기 불활성 가스가 초임계 상태인, 항목 (6) 또는 (7)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9)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를 갖는, 항목 (3)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10) 항목 (3)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발포 시일재.
(11) 점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목 (10)에 기재된 발포 시일재.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을 갖기 때문에, 토출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충분한 발포 배율 및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제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제조할 때의 생산 속도 및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균일한 미세 셀을 갖기 때문에, 면적이 작은 발포체를 사용한 경우에도 우수한 시일성 또는 완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 절단면을 나타내는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 절단면을 나타내는 디지털 현미경 사진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0.2 내지 0.7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30cN 이상인 폴리올레핀(A), 및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1.5 내지 10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10cN 이상인 폴리올레핀(B)을 포함한다. 고무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연화제를 함유하며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3 내지 10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10cN 미만인 성분(C)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0.2 내지 0.7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30cN 이상인 폴리올레핀(A)"을 "폴리올레핀(A)"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1.5 내지 10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10cN 이상인 폴리올레핀(B)"을 "폴리올레핀(B)"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무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연화제를 함유하며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3 내지 10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10cN 미만인 성분(C)"을 "성분(C)"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을 "MFR(230℃)"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을 "용융 장력(190℃, 파단시)"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올레핀(A), 폴리올레핀(B), 성분(C) 및 그 밖의 첨가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A))
상기 폴리올레핀(A)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α-올레핀을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필수 성분으로 하여 형성된) 폴리머, 즉 1분자 중에 적어도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폴리머이다. 상기 폴리올레핀(A)은, 예컨대 α-올레핀으로 구성된 폴리머이거나, 또는 α-올레핀과 α-올레핀 이외의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A)은 단독중합체(호모폴리머)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코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A)이 공중합체인 경우, 이는 랜덤 코폴리머 또는 블록 코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A)은 1종의 중합체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를 조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A)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포 배율이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는 관점에서 직쇄상 폴리올레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탄소수 2 내지 8의 α-올레핀(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1, 펜텐-1, 헥센-1, 4-메틸-펜텐-1, 헵텐-1, 옥텐-1 등)이 바람직하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 이외의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 바이닐,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에스터, 바이닐 알코올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α-올레핀 이외의 모노머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A)으로서는,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 및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A)으로서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을 필수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머(프로필렌계 중합체), 즉 적어도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즉, 폴리올레핀(A)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올레핀(A)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체량(100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이다.
상기 폴리올레핀(A)의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 용융 질량 유량)은 0.2 내지 0.7g/1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g/10분이다. MFR(230℃)을 0.2g/10분 이상으로 조정함으로써, 압출이 평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MFR(230℃)을 0.7g/10분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MFR(230℃)은 ISO 1133(JIS K7210)에 근거하여 온도 230℃ 및 하중 2.16kgf에서 측정된 MFR인 것으로 한다.
상기 폴리올레핀(A)의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은 30cN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30 내지 70cN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cN이다. 용융 장력(190℃, 파단시)을 70cN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발포 배율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발포시켜 형성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두껍게 할 수 있어 유연성이 더욱 향상된다. 용융 장력(190℃, 파단시)을 30cN 이상으로 조정함으로써, 기포 형성시에 가스(발포제) 빠짐이 억제되어 충분한 발포 배율이 얻어진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용융 장력(190℃, 파단시)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용융 장력(190℃, 파단시)의 측정 조건)
용융 장력(190℃, 파단시)은, 예컨대 측정 샘플을 온도 190℃로 설정한 캐필러리 레오미터에 충전하여, 일정한 압출 속도로 압출해서 샘플을 얻고, 이를 장력 검출 풀리를 통과시켜 롤에 권취하고, 샘플이 파단될 때까지 샘플의 인취 속도(권취 속도)를 서서히 올려가서, 파단시의 용융 장력(cN)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평가)의 "(1) 용융 장력(190℃, 파단시)"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A)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의 예로서는 "E110G"(주식회사프라임폴리머제), "EA9"(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EA9FT"(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E-185G"(주식회사프라임폴리머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B))
상기 폴리올레핀(B)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α-올레핀을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머, 즉 1분자 중에 적어도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폴리머이다. 상기 폴리올레핀(B)은, 예컨대 α-올레핀으로 구성된 폴리머이거나, 또는 α-올레핀과 α-올레핀 이외의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B)은 단독중합체(호모폴리머)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코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B)이 공중합체인 경우, 이는 랜덤 코폴리머 또는 블록 코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B)은 1종의 중합체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를 조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B)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포 형성 후에 셀 비대화 또는 셀 깨짐(셀의 기포 파괴)이 일어나기 어렵고, 따라서 균일한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가 얻어지기 때문에, 분기쇄상의(분기쇄를 갖는) 폴리올레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탄소수 2 내지 8의 α-올레핀(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1, 펜텐-1, 헥센-1, 4-메틸-펜텐-1, 헵텐-1, 옥텐-1 등)이 바람직하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 이외의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 바이닐,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에스터, 바이닐 알코올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α-올레핀 이외의 모노머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B)으로서는,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 및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B)으로서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을 필수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머(프로필렌계 중합체), 즉 적어도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즉, 폴리올레핀(B)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호모폴리머),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올레핀(B)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체량(100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이다.
상기 폴리올레핀(B)의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은 1.5 내지 10g/10분이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g/10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g/10분이다. MFR(230℃)을 1.5g/10분 이상으로 조정함으로써, 기포 구조 형성 후에 셀 직경의 격차가 생기기 어려워져, 균일한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MFR(230℃)을 10g/10분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압출시에 수지가 떨어져 내리는 일이 없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가공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올레핀(B)의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은 10cN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cN,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60cN이다. 용융 장력(190℃, 파단시)이 70cN 이하이면, 셀 직경의 격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융 장력(190℃, 파단시)이 10cN 이상이면, 수지 조성물이 신장성을 갖고, 분자끼리 얽혀 그의 점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기포 형성 후에 셀 비대화 또는 셀 깨짐(셀의 기포 파괴)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셀 직경의 격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B)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의 예로서는 "WB140HMS"(보레알리스사제), "WB135HMS"(보레알리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C))
상기 성분(C)은 고무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연화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조성물)이다. 상기 성분(C)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성분(C)의 예로서는,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연화제를 함유하는 혼합물, 고무 및 연화제를 함유하는 혼합물,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연화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C)으로서는, 예컨대 고무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연화제로 구성된 혼합물(조성물), 고무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연화제, 및 성분(C)에서의 첨가제(예컨대 카본 블랙)로 구성된 혼합물(조성물)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발포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주지의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천연 고무, 폴리아이소뷰틸렌, 아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뷰틸 고무, 나이트릴-뷰틸 고무 등의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들 수 있다. 상기 고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폴리뷰텐, 폴리아이소뷰틸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그들의 수소첨가 폴리머 등의 열가소성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아크릴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성분(C)에 사용되는 "고무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이다. 열가소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레핀 성분과 올레핀계 고무 성분이 마이크로 상 분리된 구조를 갖는 엘라스토머이며, 폴리올레핀(A) 및 폴리올레핀(B)과의 상용성이 양호하다. 열가소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P)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고무(EPDM)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한편, 상용성의 관점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성분/올레핀계 고무 성분의 질량비는 90/10 내지 1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20 내지 20/80이다.
상기 연화제로서는, 고무 제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화제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화제를 함유시킴으로써 가공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화제의 구체예로서는, 프로세스 오일, 윤활유, 파라핀 오일, 유동 파라핀 오일, 석유 아스팔트, 바셀린 등의 석유계 오일 물질; 콜 타르, 콜 타르 피치 등의 콜 타르류; 피마자유, 아마인유, 유채씨유, 대두유, 야자유 등의 지방유; 톨유, 밀랍, 카나우바 왁스, 라놀린 등의 왁스류; 석유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고분자 물질; 다이옥틸 프탈레이트, 다이옥틸 아디페이트, 다이옥틸 세바케이트 등의 에스터 화합물; 미세결정질 왁스, 서브(팩티스), 액상 폴리뷰타다이엔, 변성 액상 폴리뷰타다이엔, 액상 싸이오콜, 액상 폴리아이소프렌, 액상 폴리뷰텐, 액상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파라핀계, 나프텐계 및 방향족계의 광물유, 액상 폴리아이소프렌, 액상 폴리뷰텐 및 액상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액상 폴리아이소프렌, 액상 폴리뷰텐 및 액상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화제의 함유 비율은 성분(C) 중의 폴리올레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5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연화제의 함유 비율이 200질량부를 초과하면, 고무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의 혼련시에 분산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성분(C)에서의 첨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노화 방지제, 내후제, 자외선 흡수제, 분산제, 가소제, 카본 블랙, 대전 방지제, 계면 활성제, 장력 개질제 및 유동성 개질제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성분(C)에서의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분(C)에서의 첨가제의 함유 비율은 성분(C) 중의 폴리올레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질량부이다. 첨가제의 함유 비율이 0.01질량부 이상인 것에 의해 각 첨가제로서 효과적이게 될 수 있다.
상기 성분(C)의 MFR(23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3 내지 10g/10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g/10분이다. MFR(230℃)을 3g/10분 이상 10g/10분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향상된다.
용융 장력(190℃, 파단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0cN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cN이다. 용융 장력(190℃, 파단시)을 10cN 미만으로 조정함으로써, 압출을 평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성분(C)의 JIS A 경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30 내지 9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이다. JIS A 경도를 30° 이상으로 조정함으로써, 발포 배율이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JIS A 경도를 90°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유연한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JIS A 경도는 ISO 7619(JIS K6253)에 근거하여 측정된 경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올레핀(A)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포 배율이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5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올레핀(B)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75중량부이다. 즉,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한 폴리올레핀(B)의 함유량은 15 내지 75중량부이다.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한 폴리올레핀(B)의 함유량은 20 내지 7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중량부이다. 폴리올레핀(B)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이상이면, 셀 비대화가 일어나기 어렵고, 따라서 균일한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가 얻어진다. 또한, 폴리올레핀(B)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75중량부 이하이면, 기포 형성시에 가스 빠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균일한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성분(C)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80중량부이다. 성분(C)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이상이면,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및 고무 탄성이 향상된다. 또한, 성분(C)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200중량부 이하이면, 발포 배율이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의 성분(C)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5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첨가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발포 성형에 통상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기포 핵제(후술하는 입자 등), 결정 핵제, 가소제, 활제, 착색제(안료, 염료, 카본 등),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충전제, 보강제, 대전 방지제, 계면 활성제, 장력 개질제, 수축 방지제, 유동성 개질제, 클레이, 가황제, 표면 처리제 및 난연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함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기포 핵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상기 기포 핵제로서는, 예컨대 입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입자로서는, 예컨대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산화아연, 산화타이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마이카, 클레이(몬모릴로나이트 등), 유리 섬유 및 카본 튜브를 들 수 있다. 한편, 입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경(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평균 입자경 0.1 내지 20㎛의 입자가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0.1㎛ 미만이면, 입자가 발포 핵제로서 기능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평균 입자경이 20㎛를 초과하면, 발포 성형시에 가스 빠짐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기포 핵제는 수지 조성물의 발포 성형시 기포 핵제(발포 핵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기포 핵제가 함유되어 있으면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포 핵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상기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80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0중량부이다. 기포 핵제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상이면, 기포 핵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포 핵제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500중량부 이하이면, 수지 조성물의 점도 상승 및 발포 성형시의 가스 빠짐이 일어나기 어렵고, 충분한 발포 배율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난연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상기 난연제는 분말상이거나, 또는 분말상 이외의 형태일 수 있다. 분말상의 난연제로서는, 무기 난연제가 바람직하다. 무기 난연제로서는, 예컨대 브롬계 난연제, 염소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안티몬계 난연제, 비할로젠/비안티몬계 무기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브롬계 난연제 및 염소계 난연제는 연소시에 인체에 대해 유해하고 기기류에 대해 부식성을 갖는 가스 성분을 발생시키며, 인계 난연제 및 안티몬계 난연제는 유해성 및 폭발성의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무기 난연제로서는, 비할로젠/비안티몬계 무기 난연제가 바람직하다. 비할로젠/비안티몬계 무기 난연제로서는, 예컨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화 금속 화합물(산화마그네슘/산화니켈 수화물, 산화마그네슘/산화아연 수화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수화 금속 산화물은 표면 처리될 수도 있다. 난연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난연성을 갖고 발포 배율이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기포 핵제로서의 기능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 핵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난연제로서는,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상기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0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5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중량부이다. 난연제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상이면, 수지 조성물이 불타기 쉬운 성질을 갖는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발포 성형 후의 발포체가 난연성이 되어, 전기 또는 전자 기기 용도 등의 난연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난연제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450중량부 이하이면, 발포 성형시의 발포체 발포 배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활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상기 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의 예로서 유동 파라핀,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활제; 스테아르산, 베헨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계 활제; 스테아르산 뷰틸,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경화 피마자유,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등의 에스터계 활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상기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부이다. 활제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상이면, 유동성이 향상되고, 수지 조성물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활제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이하이면,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평활한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예컨대 폴리올레핀(A), 폴리올레핀(B), 임의로 가해지는 성분(C), 및 임의로 가해지는 그 밖의 첨가제를, 일축(단축) 혼련 압출기나 이축 혼련 압출기 등의 공지된 용융 혼련 압출기를 통해 혼련하고 압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형상의 예로서는, 스트랜드상, 시트상, 평판상, 및 수냉 또는 공냉된 스트랜드를 적당한 길이로 재단하여 형성된 펠릿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의 관점에서, 수지 조성물을 혼련하여 펠릿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A)과 폴리올레핀(B)을,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B) 15 내지 7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A)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중량%(바람직하게는 12 내지 50중량%), 폴리올레핀(B)을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75중량부(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성분(C)을 혼합하여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일 수도 있다. 성분(C)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2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8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제조할 때의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발포(발포 성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본 발명의 발포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겉보기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성 또는 압축성의 관점에서 0.01 내지 0.15g/cm3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4g/cm3이다. 한편, 상기 겉보기 밀도는 후술하는 (평가)의 "(3) 겉보기 밀도"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평균 셀 직경(평균 기포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0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80㎛이다. 발포체의 평균 셀 직경이 10㎛ 이상이면, 충격 흡수성(쿠션성)이 향상된다. 발포체의 평균 셀 직경이 200㎛ 이하이면, 미세 셀을 갖는 발포체가 얻어진다. 또한, 박층 가공이 가능해지며, 이 때문에 발포체를 미소한 틈새(clearance)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방진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평균 셀 직경은 후술하는 (평가)의 "(5) 평균 셀 직경"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기포 구조(셀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독립 기포 구조 또는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독립 기포 구조와 연속 기포 구조가 혼재되어 있고, 그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이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독립 기포 구조부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발포체의 전체 체적(100%)에 대하여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기포 구조는, 발포 성형시에 수지 조성물에 함침시키는 발포제의 양 또는 압력에 의해 발포체 발포 배율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0.1 내지 5mm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mm이다. 두께가 0.1mm 미만이면, 방진성 또는 쿠션성의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두께가 5mm를 초과하면, 박형, 소형 또는 세폭 형상을 갖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에 발포체를 적용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상기 두께는 제조 후의 본 발명의 발포체를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가공함으로써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상대 밀도(발포 후의 밀도/미발포 상태에서의 밀도(예컨대 수지 조성물의 밀도 또는 미발포 성형물의 밀도))는, 상기 발포제로서 가스를 사용하는 물리적 발포 방법에서 두꺼운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0.02 내지 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내지 0.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대 밀도가 0.30을 초과하면, 발포가 불충분해져 발포체의 유연성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대 밀도가 0.02 미만이면, 발포체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어 불리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수지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물리적 발포 방법(저비점 액체(발포제)를 수지 조성물에 함침(분산)시키고, 다음으로 발포제를 휘발시킴으로써 셀(기포)을 형성시키는 방법) 및 화학적 발포 방법(수지 조성물에 첨가한 화합물의 열 분해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켜 셀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발포제로서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는 물리적 발포 방법이 바람직하고, 특히 수지 조성물에 고압의 가스(예컨대 불활성 가스 등)를 함침시킨 후, 발포시켜 셀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물리적 발포 방법에서 사용되는 상기 발포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스가 바람직하고, 특히 본 발명의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 불활성인 가스(불활성 가스)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본 발명의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 불활성이고 또한 그것에 함침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의 예로서 이산화탄소, 질소 가스, 공기, 헬륨 및 아르곤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불활성 가스로서는, 수지 조성물에 다량으로 빠른 속도로 함침된다는 점에서 이산화탄소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의 혼합량(함유량 또는 함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100중량%)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수지 조성물에의 함침 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관점에서, 함침시에 초임계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침시에 초임계 상태이면, 수지 조성물에서 불활성 가스의 용해도가 증대하여 고농도의 함침(혼입)이 가능하다. 또한, 고농도의 함침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스 함침 후에 압력을 급격히 강하시켰을 때에는 다수의 기포 핵이 발생하고, 그 기포 핵으부터 성장되는 기포의 밀도가, 기공률이 동일한 경우에도 커진다. 그 때문에, 미세 기포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의 임계 온도는 31℃이고 임계 압력은 7.4MPa이다.
발포제로서 가스를 사용하는 물리적 발포 방법은, 수지 조성물에 고압의 가스(예컨대 불활성 가스 등)를 함침시킨 후, 감압(예컨대 대기압까지) 공정(압력 해방 공정)을 통해 발포시킴으로써 발포체를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미발포 성형물에 고압의 가스를 함침시킨 후, 감압(예컨대 대기압까지) 공정을 통해 발포시킴으로써 발포체를 형성하는 방법, 및 용융된 수지 조성물에 가스(예컨대 불활성 가스 등)를 가압 상태 하에서 함침시킨 후, 감압(예컨대 대기압까지)하여 발포시키고 성형함으로써 발포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가스를 함침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발포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미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시트상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미발포 수지 성형체(미발포 성형물)를 형성한 후, 이 미발포 수지 성형체에 고압의 가스를 함침시키고, 압력을 해방함으로써 발포시키는 배치 방식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가압 조건 하에 고압의 가스와 함께 혼련하고, 성형함과 동시에 압력을 해방하여 성형과 발포를 동시에 행하는 연속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치 방식에 있어서, 미발포 수지 성형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의 예로서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나 이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방법, 수지 조성물을, 롤러형, 캠형, 니더형, 밴버리형 믹서 등의 날개를 갖춘 혼련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한 후, 열판 프레스를 사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프레스하는 방법,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발포 수지 성형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의 예로서 시트상, 롤상, 판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배치 방식에서는, 원하는 형상 및 두께의 미발포 수지 성형체가 얻어지는 적당한 방법에 의해 수지 조성물이 성형된다.
상기 배치 방식에서는, 미발포 수지 성형체를 내압 용기 중에 넣고, 거기에 고압의 가스를 주입(도입 또는 혼입)하여 미발포 수지 성형체 중에 충분히 가스를 함침시키는 가스 함침 공정, 및 충분히 가스를 함침시킨 시점에서 압력을 해방하여(통상 대기압까지) 수지 조성물 중에 기포 핵을 발생시키는 감압 공정을 통해 기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속 방식에서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예컨대 단축 압출기나 이축 압출기 등) 또는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혼련하면서 고압의 가스를 주입(도입 또는 혼입)하여, 충분히 고압의 가스를 수지 조성물에 함침시키는 혼련 함침 공정, 및 압출기의 선단에 배치된 다이 등을 통해 수지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압력을 해방하여(통상 대기압까지) 성형과 발포를 동시에 행하는 성형 감압 공정에 의해 수지 조성물이 발포 성형된다.
상기 배치 방식 및 연속 방식에서는, 필요에 따라, 가열에 의해 기포 핵을 성장시키는 가열 공정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가열 공정을 마련하지 않고서 실온에서 기포 핵을 성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기포를 성장시킨 후, 필요에 따라 냉수 등에 의해 급격히 냉각하여 형상을 고정화시킬 수도 있다. 고압의 가스 도입은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기포 핵을 성장시킬 때 이용되는 가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의 예로서 물 욕, 오일 욕, 열 롤, 열풍 오븐, 원적외선, 근적외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주지 내지 관용의 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배치 방식의 가스 함침 공정 또는 상기 연속 방식의 혼련 함침 공정에서, 가스를 함침시킬 때의 압력은 가스의 종류, 조작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그 압력은 5MPa 이상(예컨대 5 내지 100MPa)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MPa 이상(예컨대 7 내지 100MPa)이다. 즉,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압력 5MPa 이상(예컨대 압력 5 내지 100MPa)의 가스를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력 7MPa 이상(예컨대 압력 7 내지 100MPa)의 가스를 함침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스의 압력이 5MPa보다 낮은 경우에는, 기포 성장이 현저하고 셀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 방진 효과의 저하와 같은 불리한 점이 생기기 쉬워져 불리하다. 이는, 압력이 낮으면, 가스의 함침량이 고압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따라서 기포 핵 형성 속도가 저하되어 형성되는 기포 핵의 수가 적어져서, 1기포당 가스량이 반대로 증가하여 기포 직경이 극단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5MPa보다 낮은 압력 영역에서는, 함침 압력을 조금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셀 직경 및 기포 밀도가 크게 변하기 때문에, 셀 직경 및 기포 밀도의 제어가 곤란해지기 쉽다.
또한, 상기 배치 방식에서의 가스 함침 공정 또는 상기 연속 방식에서의 혼련 함침 공정에서 가스 함침시의 온도(함침 온도)는, 사용하는 가스 또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넓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조작성 등을 고려한 경우, 그 온도는 10 내지 350℃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치 방식에서의 함침 온도는 1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40℃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30℃이다. 또한, 연속 방식에서는, 함침 온도는 60 내지 3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20℃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이다. 한편, 고압의 가스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경우, 그의 초임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스 함침시의 온도(함침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2℃ 이상(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또한, 가스 함침 후, 발포 성형 전에, 가스를 함침시킨 수지 조성물을 발포 성형에 적합한 온도(예컨대 150 내지 190℃)까지 냉각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치 방식 또는 상기 연속 방식에 있어서, 감압 공정(압력 해방 공정)에서의 감압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그 감압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MPa/초이다.
기포 핵을 성장시키기 위해 가열 공정을 마련하는 경우, 가열 온도는 예컨대 4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50℃이다.
상기 연속 방식에 있어서 압출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발포체를 형성하는 경우, 토출 속도는 예컨대 50 내지 530kg/cm2·h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kg/cm2·h이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토출 속도가 50 내지 530kg/cm2·h이면,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토출 속도가 300kg/cm2·h보다 커서 생산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충분한 발포 배율 및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토출 속도는 후술하는 (평가)의 "(2) 토출 속도"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포체의 기포 구조, 밀도 및 상대 밀도는, 본 발명의 발포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수지 조성물을 발포 성형할 때의 발포 방법 또는 발포 조건(예컨대, 발포제의 종류 또는 양, 발포시의 온도, 압력, 시간 등)을 선택함으로써 제어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MFR(230℃)이 낮고 용융 장력(190℃, 파단시)이 높은 폴리올레핀(A)을 함유하기 때문에, 높은 발포 배율로 발포 성형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고, 또한 유연성(변형 회복성 등)이 향상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MFR(230℃)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용융 장력(190℃, 파단시)이 비교적 높은 폴리올레핀(B)을 함유하기 때문에, 분자끼리의 얽힘이 증가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B)을 함유함으로 인해, 폴리올레핀(A)을 함유함으로 인한 상기 특성에 더하여, 분자끼리 얽힘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향상된다. 이 때문에, 발포 성형 후의 셀 균열 또는 그에 수반되는 셀 융합(셀 비대화)이 억제되어,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A) 및 폴리올레핀(B)을 함유하기 때문에, 높은 발포 배율로 발포 성형이 가능하고, 발포 성형 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유연성을 갖고,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다. 또한, 토출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생산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 성분(C)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 자체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고무 탄성이 부여된다. 이 때문에, 발포 성형 후의 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유연성(변형 회복성 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발포체는 각종 부재 또는 부품을 소정의 부위에 설치(장착)할 때에 사용되는 방진재, 시일재(발포 시일재), 충격 흡수재, 방음재 및 완충재와 같은 용도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발포 시일재]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는 본 발명의 발포체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는 본 발명의 발포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발포체와 본 발명의 발포체 이외의 층(이하, "다른 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서로 적층된 구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시트상(필름상) 또는 테이프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체는 그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가공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층으로서는, 예컨대 점착제층, 중간층(예컨대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하도층) 및 기재층(예컨대 필름층, 부직포층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층은 단층이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적층체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층(들)은 본 발명의 발포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는, 본 발명의 발포체에 다른 층이 적층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본 발명의 발포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가 시트상 또는 테이프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 그의 편면측 또는 양면측에 점착제층(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가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면, 피착체에의 고정 또는 가고정에 유리하며, 조립성의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체 상에 점착제층을 통해 지지 보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예컨대 천연 고무계 점착제 또는 합성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아마이드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바이닐 알킬 에터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에멀젼계 점착제, 용제계 점착제, 핫 멜트형 점착제, 올리고머계 점착제 및 고체계 점착제의 임의 형태의 점착제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점착제로서는, 피착체에 대한 오염 방지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는 본 발명의 발포체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적층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 점착제층은 박층일수록 그의 단부(edge)에 대한 오염 및 분진의 부착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얇은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착제층은 단층 또는 적층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발포체 및 점착제층 이외의 층(하층)을 개재하고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층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 중간층, 하도층, 기재층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발포체의 파단 강도 향상의 점에서, 기재층이 바람직하고, 특히 플라스틱 필름층 등의 필름층, 또는 부직포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종 부재 또는 부품을 소정의 부위에 설치(장착)하는 용도에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에서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소정의 부위에 설치(장착)할 때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의 발포 시일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를 사용하여 설치(장착) 가능한 각종 부재 또는 부품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류에서의 각종 부재 또는 부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의 부재 또는 부품으로서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전기발광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장착되는 화상 표시 부재(표시부)(특히, 소형의 화상 표시 부재), 및 이른바 "휴대 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이동체 통신 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나 렌즈(특히, 소형의 카메라나 렌즈) 등의 광학 부재 또는 광학 부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시일재의 바람직한 구체적 사용 태양으로서는, 예컨대 방진, 차광, 완충 등을 목적으로 하여, LCD(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 주위에 사용하는 것, 및 LCD(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와 케이스(창부) 사이에 끼워 넣어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수지 조성물에서의 각 성분의 함유량(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5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0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WB140HMS", 보레알리스사제, MFR(230℃): 2.0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18cN) 6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伸展油))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6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35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35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3.5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의 총 중량(중량%)에 대한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5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0cN)의 함유량은 25중량%이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의 총 중량(중량%)에 대한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의 함유량은 41중량%이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을 니폰제강소(JSW)사제의 이축 압출기로 온도 200℃에서 혼련한 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후 펠릿상으로 성형하였다. 이 펠릿을 니폰제강소(JSW)사제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온도 220℃의 분위기 하에서 압력 13MPa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였다(함침시켰다). 이산화탄소 가스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의 혼합물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5.6중량부의 비율로 주입하였다. 함침시의 이산화탄소 가스는 초임계 상태였다. 주입 후의 그 압력은 12MPa이었다. 이산화탄소 가스를 충분히 포화시킨 후, 수지 조성물을 180℃까지 냉각하고 나서 480kg/cm2·h의 토출 속도로 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실시예 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110G", 주식회사프라임폴리머제, MFR(230℃): 0.3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57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WB140HMS", 보레알리스사제, MFR(230℃): 2.0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18cN) 6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6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35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35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3.5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I)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I)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실시예 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FT",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4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7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WB140HMS", 보레알리스사제, MFR(230℃): 2.0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18cN) 6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6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35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35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3.5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II)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II)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실시예 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FT",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4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7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WB135HMS", 보레알리스사제, MFR(230℃): 2.4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14cN) 6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6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35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35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3.5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V)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V)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실시예 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5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0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WB140HMS", 보레알리스사제, MFR(230℃): 2.0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18cN) 25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25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8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28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2.8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V)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V)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실시예 6)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5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0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WB135HMS", 보레알리스사제, MFR(230℃): 2.4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14cN) 6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7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15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2.3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XI)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XI)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5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0cN) 10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0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2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22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2.2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VI)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VI)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참고예)
토출 속도를 290kg/cm2·h로 변경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비교예 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5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0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FY6",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2.4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9cN) 6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6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35중량부, 카본 블랙 (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35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3.5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VII)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VII)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비교예 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FT",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4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7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PF380A", 주식회사썬아로마제, MFR(230℃): 1.2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13cN) 6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6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35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35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3.5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VIII)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VIII)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비교예 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5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0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WB140HMS", 보레알리스사제, MFR(230℃): 2.0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18cN) 1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1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24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24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2.4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X)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IX)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비교예 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상품명: "EA9", 니폰폴리프로필렌주식회사제, MFR(230℃): 0.5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40cN) 100중량부, 폴리프로필렌(상품명: "WB140HMS", 보레알리스사제, MFR(230℃): 2.0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18cN) 80중량부, 성분(C)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파라핀계 신전유)의 혼합물(MFR(230℃): 6g/10분, 용융 장력(190℃, 파단시): 8.6cN, JIS A 경도: 79°, 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의 양으로 배합) 18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40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 #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40중량부 및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4.0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X)을 조제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X)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의 원료로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의 혼합물, 및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에 대해 하기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1) 용융 장력(190℃, 파단시)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의 원료로서 사용한 각각의 폴리올레핀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의 혼합물을, 트윈-캐필러리 레오미터 "RH7-2형"(로잔드프리시젼사제)을 사용하여 가열 온도 190℃ 및 오리피스 직경 1mm의 조건에서 압출 속도 8.8mm/분으로 용융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스트랜드를 인취 속도 0.5m/분으로 인취하였다. 인취 속도를 0.1m/분씩 올려가고, 스트랜드상의 폴리올레핀 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 연화제의 혼합물이 파단되었을 때의 용융 장력을 "용융 장력(190℃, 파단시)"으로 하였다.
(2) 토출 속도
다이로부터 압출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36초간 채취하고, 그의 중량을 계량하여 토출량(kg)으로 하였다. 토출 속도를, 토출량(kg), 토출 시간(h(시간)) 및 다이 크기(다이 개구 면적)(cm2)로부터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토출 속도(kg/cm2·h) = 토출량(kg)/(다이 크기(cm2)×토출 시간(h))
(3) 겉보기 밀도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폭 40mm × 길이 40mm의 펀칭 블레이드에 의해 펀칭하여 측정용 샘플(a)을 형성하였다. 측정용 샘플(a)의 폭 및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 단자의 직경 20mm인 1/100 다이얼 게이지에 의해 측정용 샘플(a)의 두께(mm)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치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체적을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측정용 샘플(a)의 중량을 최소 눈금 0.01g 이상의 윗접시 저울로 측정하였다. 상기 체적 및 중량의 측정치로부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겉보기 밀도(g/cm3)를 산출하였다.
(4) 유연성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폭 100mm × 길이 100mm의 크기로 펀칭하여 측정용 샘플(b)을 형성하였다. 측정용 샘플(b)이 압축 전의 그 두께의 50%가 되도록 압축되었을 때, 압축 하중(N/cm2)을 측정하였다. 압축 하중이 3N/cm2 이하인 경우를 "유연성 양호(A)"로 평가하고, 압축 하중이 3N/cm2보다 높은 경우를 "유연성 불량(B)"으로 평가하였다.
(5) 평균 셀 직경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고, 디지털 현미경(상품명: "VH-8000", 주식회사키엔스제)에 의해 배율 100배로 확대한 절단면(두께 방향 절단면)의 화상을 스캐닝하였다.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상품명: "Win ROOF", 미타니상사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화상 해석함으로써, 절단면에서 관찰되는 전체 셀의 셀 직경을 측정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평균 셀 직경(㎛)을 구하였다.
한편, 도 1은 상기 방법에 의해 스캐닝된 실시예 1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 절단면의 확대 화상을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방법에 의해 스캐닝된 비교예 1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 절단면의 확대 화상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 있어서, 평균 셀 직경은 도 1의 화상에서 관찰되는 전체 셀의 셀 직경을 측정하여 구하였다.
(6) 셀 균일성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고, 디지털 현미경(상품명: "VH-8000", 주식회사키엔스제)에 의해 배율 100배로 확대한 절단면(두께 방향 절단면)의 확대 화상을 스캐닝하였다.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상품명: "Win ROOF", 미타니상사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화상 해석함으로써, 절단면에서 관찰되는 전체 셀의 셀 직경을 측정하여 "두께 방향 절단면에서의 평균 셀 직경(㎛)"을 구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 절단면에서, 두께 방향 절단면에서의 평균 셀 직경의 3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셀이 관찰되지 않은 경우, 셀 균일성이 "균일(A)"하다고 판정하였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 방향 절단면에서, 두께 방향 절단면에서의 평균 셀 직경의 3배 이상의 직경을 갖는 셀이 관찰된 경우, 셀 균일성이 "불균일(B)"하다고 판정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평가 결과(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미세 셀을 갖고 있었다(실시예 1 내지 6).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에서는, 두께 방향 절단면 전체에서 균일한 미세 셀이 얻어졌다.
반면, 폴리올레핀(B)을 함유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에서는, 균일한 셀이 얻어지지 않았다(비교예 1 내지 3).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두께 방향 절단면의 표면부에는 미세 셀을 갖지만 그의 중앙부에는 비교적 큰 셀을 가졌고, 표면부와 중앙부 간에 셀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았다. 또한, MFR(230℃)이 높고 용융 장력(190℃, 파단시)이 낮은 폴리올레핀(FY60)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셀이 불균일한 데다가 평균 셀 직경이 컸다(비교예 2).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때의 토출 속도를 내림으로써, 폴리올레핀(B)을 함유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로부터도 유연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미세 셀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었다(참고예). 그러나, 토출 속도를 올리면 셀이 불균일해졌다(비교예 1).
또한, 폴리올레핀(B)의 함유량이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미만이거나 75중량부보다 많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에서도 셀이 불균일하였다(비교예 4 및 5).
본 발명을 그의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을 행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은 2011년 7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167427호 및 2012년 4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103118호에 기초하며, 이들 출원의 내용은 여기에 참고로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그의 내용 전체가 여기에 참고로 원용된다.

Claims (11)

  1.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0.2 내지 0.7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30cN 이상인 폴리올레핀(A), 및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1.5 내지 10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10cN 이상인 폴리올레핀(B)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B)이 상기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75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고무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및 연화제를 포함하며 온도 230℃에서의 용융 유량(MFR)이 3 내지 10g/10분이고 온도 190℃에서 측정한 파단시의 용융 장력이 10cN 미만인 성분(C)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성분(C)이 상기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20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4. 제 3 항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가 0.01 내지 0.15g/cm3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5. 제 3 항에 있어서,
    평균 셀 직경이 10 내지 200㎛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에 압력 5MPa 이상의 불활성 가스를 함침시킨 후,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가 이산화탄소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8. 제 6 항에 있어서,
    함침시의 상기 불활성 가스가 초임계 상태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9. 제 3 항에 있어서,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10. 제 3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발포 시일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포 시일재.
KR1020120082369A 2011-07-29 2012-07-27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및 발포 시일재 KR20130014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7427 2011-07-29
JP2011167427 2011-07-29
JPJP-P-2012-103118 2012-04-27
JP2012103118A JP5914141B2 (ja) 2011-07-29 2012-04-27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用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発泡体製造方法、及び発泡シール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412A true KR20130014412A (ko) 2013-02-07

Family

ID=4757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369A KR20130014412A (ko) 2011-07-29 2012-07-27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및 발포 시일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46774B2 (ko)
JP (1) JP5914141B2 (ko)
KR (1) KR20130014412A (ko)
CN (1) CN102898725B (ko)
TW (1) TW2013138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267A1 (ko) * 2016-09-19 2018-03-22 롯데케미칼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5141B2 (ja) * 2011-07-29 2016-12-27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用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発泡体製造方法、及び発泡シール材
CN104254562B (zh) * 2012-04-27 2017-11-17 井上股份有限公司 制造树脂发泡材料的方法及树脂发泡材料
EP3096165B1 (en) * 2014-01-17 2021-12-2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Optical fiber cable and sensor
KR20160132939A (ko) 2014-03-11 2016-11-21 프린트팩 일리노이 인코퍼레이티드 블로우 몰딩된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9505906B1 (en) * 2014-05-02 2016-11-29 Fina Technology, Inc. Polymer foams
CN104140589B (zh) * 2014-06-19 2018-11-09 湖北工业大学 一种聚丙烯发泡粒子及其制备方法
KR101627308B1 (ko) * 2014-07-07 2016-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CN104085152A (zh) * 2014-07-25 2014-10-08 常熟璟杰进出口有限公司 一种覆铝无纺布
CA2971811C (en) 2014-12-21 2023-03-07 Palziv Ein Hanaziv Agricultural Cooperative Society Ltd. Polymer foam sheet and barrier layer composite
EP3357963A1 (en) 2017-02-06 2018-08-08 Armacell Enterprise GmbH & Co. KG Crosslinked thermoplastic elastomeric insulation
CN107186091B (zh) * 2017-06-05 2018-08-14 柳州市御朗机械制造有限公司 金属板材的冲压方法
CN110128741B (zh) * 2018-02-09 2022-02-18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聚烯烃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US11124637B2 (en) * 2018-03-06 2021-09-21 Braskem America, Inc. Compositions for polyolefin foams
JP2020033519A (ja) * 2018-08-31 2020-03-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性発泡体
DE102018010001A1 (de) * 2018-12-27 2020-07-02 FRÖTEK Vermögensverwaltung GmbH Verschlussstopfen einer Batterie
WO2020208946A1 (ja) * 2019-04-10 2020-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難燃発泡体および発泡部材
WO2021106913A1 (ja) * 2019-11-25 2021-06-03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発泡体
EP4306579A1 (en) * 2021-03-10 2024-01-17 Kaneka Corporatio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extrusion blowing, extrusion-blown particles, and molded foa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3528A (en) * 1980-08-07 1982-04-06 Valcour Imprinted Pap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large size, low density, elongated thermoplastic cellular bodies
FR2802938B1 (fr) * 1999-12-22 2006-05-19 Plasto Sa Feuille de mousse adhesive enroulable sans protecteur
JP3885225B2 (ja) 2000-05-23 2007-02-21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建築断熱材用硬質ウレタンスプレーフォームの製造法
JP4036601B2 (ja) 2000-06-05 2008-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2211352A1 (en) * 2000-10-23 2002-05-0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pylene polymer foams
JP3986394B2 (ja) * 2002-08-28 2007-10-0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導電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4250529A (ja) 2003-02-19 2004-09-09 Nitto Denko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用組成物とその発泡体、および発泡体の製造方法
US7235609B2 (en) * 2004-01-14 2007-06-26 Amitkumar Dharia Thermoplastic 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KR20070083746A (ko) * 2004-10-22 2007-08-2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큰 기포 크기의 본질적으로 연속기포형인 폴리프로필렌발포체
JP4259600B2 (ja) * 2005-12-05 2009-04-30 Jsr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121243B2 (ja) 2006-03-30 2013-01-16 Jsr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JP4486941B2 (ja) 2006-05-01 2010-06-23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連続気泡型軟質ポリウレタンスラブ発泡体の製造方法
JP5153110B2 (ja) * 2006-10-02 2013-02-27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JP5032195B2 (ja) * 2007-05-01 2012-09-2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0228A (ja) * 2009-05-21 2010-12-02 Sekisui Plastics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267A1 (ko) * 2016-09-19 2018-03-22 롯데케미칼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US10882976B2 (en) 2016-09-19 2021-01-05 Lotte Chemical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for preparing polyolefin based flame retardant foamed articles and flame retardant foamed articles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6774B2 (en) 2014-09-30
TW201313809A (zh) 2013-04-01
CN102898725B (zh) 2015-08-05
JP2013049830A (ja) 2013-03-14
JP5914141B2 (ja) 2016-05-11
CN102898725A (zh) 2013-01-30
US20130079430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4412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및 발포 시일재
KR102121184B1 (ko) 수지 발포체 시트 및 수지 발포 복합체
KR102218808B1 (ko) 수지 발포 복합체
KR102209173B1 (ko) 수지 발포체 및 발포 시일재
KR102097950B1 (ko) 수지 발포체 시트 및 수지 발포 복합체
TWI598275B (zh) 樹脂發泡體及發泡密封材
CN102341443B (zh) 具有导电性的树脂发泡体
JP5594938B2 (ja) 微細セル構造を有する発泡防水材
WO2008041617A1 (fr) Mousse de résine polyoléfinique et son procédé de production
WO2013183662A1 (ja) 樹脂発泡体及び発泡材
KR20140018222A (ko)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JP5117757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を含む光反射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31835B2 (ja) 電気又は電子機器用の発泡積層体
JP6055141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用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発泡体製造方法、及び発泡シール材
JP2014005450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及び発泡シール材
KR20120103576A (ko) 2차원 통신용 저유전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통신용 시트 구조체
JP6039505B2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シー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