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004A -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 Google Patents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004A
KR20130013004A KR1020110074376A KR20110074376A KR20130013004A KR 20130013004 A KR20130013004 A KR 20130013004A KR 1020110074376 A KR1020110074376 A KR 1020110074376A KR 20110074376 A KR20110074376 A KR 20110074376A KR 20130013004 A KR20130013004 A KR 20130013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ring
stopper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999B1 (ko
Inventor
김은령
Original Assignee
김은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령 filed Critical 김은령
Priority to KR102011007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9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79Details of connection of flexible sheet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체케이스(110)의 상하부에 상부커버(113)와 하부케이스(117)를 형성하고, 그 측부에 칸막이천(4)이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개구부(11)를 형성하며, 본체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칸막이천을 감을 수 있는 중공관(210)과,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축(200)으로 이루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에서 일정폭의 칸막이 천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칸막이 부재의 유연성은 물론 길이를 조절하고 싶을 경우에는 원하는 만큼의 칸막이 천을 인출 후 그대로 놓을 경우에는 그 상태로 회동이 정지되어 칸막이를 형성하므로, 사무실은 물론 야외에서도 필요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Structure of a partition}
본 발명은 회전식 칸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 칸막이 패널부재를 용이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는 회전 구조를 가지도록 발명된 것이다.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발명의 칸막이부재는 칸막이판(11')의 양 측에 각각 측면프레임이 장착되어 구성되며, 이 측면프레임은 칸막이판(11')의 하부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지면을 각각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상기 칸막이부재는 양 측의 측면프레임(12') 중 어느 하나가 하부에 칸막이판(11')을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직립다리부(12c)를 구비한 자립지지프레임(12a)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상기 제 1 프레임결합클립부재(20') 또는 제 2 프레임결합클립부재(50')로 결합하는 연결프레임(12b)으로 이루어진 자립칸막이보드(10a)와, 양 측의 측면프레임이 각각 상기 제 1 프레임결합클립부재(20') 또는 제 2 프레임결합클립부재(50')로 결합하는 연결프레임(12b)으로 이루어진 연결칸막이보드(1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자립지지프레임(12a)은 직립다리부(12c)의 하부에 바퀴(12d)를 장착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프레임(12b)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칸막이판(11')의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발명은 칸막이 부재의 유연성이 없어 부서지기도 하고, 흠집이 생기면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있고, 게다가 길이 조절이 되지 않아 사용상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칸막이 부재의 유연성은 물론 길이가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110)의 상하부에 상부커버(113)와 하부케이스(117)를 형성하고, 그 측부에 칸막이천(4)이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개구부(11)를 형성하며, 본체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칸막이천을 감을 수 있는 중공관(210)과,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축(200)으로 이루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이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하부케이스(117)에는 고정축(200)을 체결하고, 상기 고정축의 상부에는 스프링수용홈(220)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270)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축과 코일스프링을 수용하는 고정축수용부(261)가 형성된 정지해제누름판(26)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축으로부터 회동가능한 회전원판(250)을 수용할 수 있는 회전받침판(5)이 형성된 중공관(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원판(250)은 고정축과 판스프링(8)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공관(210)의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17)에 형성된 중공관받이(118)에 끼워져 있고, 그 상부에는 회전받침측부판(5a)가 형성된 회전받침판(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받침측부판(5a)에 끼워 고정되는 회전원판(250)이 고정축에 끼워지되, 상기 회전원판(250)은 회전원판 상부 및 하부케이스(252)(254)로 형성하고, 상기 회전원판 상부케이스(252)에는 정지해제누름판(26)의 걸림부(263)와 접촉되는 정지간(256)을 상단부 양측으로 형성하였으며, 회전원판 하부케이스(254)에는 판스프링(8)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판스프링수용부(25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받침측부판(5a)과 회전원판(250)의 결합은 균일하게 설치된 각각의 돌기(55)와 돌기(255)에 의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부케이스(117)에는 고정축(200)을 체결하고, 상기 고정축의 상부에는 판스프링(8)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보호판(7)을 체결볼트(31)로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고정축(200)과 걸림돌기(6)의 통체 내곽 부분을 각각 연결 고정하며, 회전받침판(5)의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걸림돌기(6)와 끼움부(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60)에 끼워지는 정지간(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지간(9)은 중간에 통공(10)을 형성하여 고정지지판(2)의 상부에 설치된 정지돌기(11)에 끼워지며, 상기 정지돌기와 정지간의 내부 상단에 스프링(12)으로 탄설고정되어 회전받침판(5)을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주고 있고, 그 일측에는 괘지간(14)에 형성된 괘지턱(15)이 걸릴 수 있는 괘지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에서 일정폭의 칸막이 천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칸막이 부재의 유연성은 물론 길이를 조절하고 싶을 경우에는 원하는 만큼의 칸막이 천을 인출 후 그대로 놓을 경우에는 그 상태로 회동이 정지되어 칸막이를 형성하므로, 사무실은 물론 야외에서도 필요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칸막이 천을 감은 회동축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품 중간을 절개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칸막이 천을 감은 회동축이 정지된 상태를 나타낸 제품 중간을 절개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칸막이 천을 감거나 정지시키는 정지해제누름판과 회전원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칸막이 천을 감거나 정지시키는 정지해제누름판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본체 케이스를 부착고정하는 상태의 제1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본체 케이스를 부착고정하는 상태의 제2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칸막이 천을 감은 회동축이 정지된 상태를 나타낸 제품 중간을 절개한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회동정지기구의 정지간에 의한 해제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회동정지기구의 정지간에 의한 잠금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회동정지기구의 고정지지판과 정지간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회동정지기구의 회전받침판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듯이, 본체케이스(110)내에 본체케이스(110)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커버(113)를 형성하며, 그 하부에는 하부케이스(117)를 설치하고 흡착판(130)을 설치하였다.
이에 본체케이스(110)의 개구부(111)로부터 칸막이천(4)이 빠져 나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칸막이천(4)의 끝단에는 가이드봉(121)이 형성되어 칸막이천(4)을 빼내기 수월하게 되어있고, 가이드봉(121)의 양단에는 고리(122)가 형성되어, 본체케이스(110)의 측부 양단에 설치된 고리(112)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칸막이 구조는 중간을 이어주는 본체케이스(110)에는 좌우측으로 개구부(111)나 고리(112)가 형성되어 질 수 있으나, 양끝단에 세워지는 본체케이스(110)에는 개구부(111)만이 형성되거나, 본체케이스(110a)에는 고리(112)만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칸막이 구조는 세워지는 바닥의 상황에 따라 체결공(41)이 형성된 블록(40)을 형성하여 본체케이스(110)를 끼워 고정할 수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 흙이나 잔듸에는 본체케이스(110)의 끝단에 받침대(50)을 형성하여 볼트체결공(51)을 형성하여 볼트(52)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칸막이천(4)의 인출구조로서, 본체케이스(110)의 중간에 고정축(200)이 체결공(206)에 의하여 체결볼트(31)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외측에는 회전중공관(210)이 적당한 간격으로 중공내부관(210a)과 중공외부관(21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내부관(210a)의 내부에는 고정축(200)이 끼워져 있고, 그 하부에는 돌출부(119)를 형성하여, 하부케이스(117)에 형성된 중공관받이(118)에 끼워져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중공외부관(210b)은 칸막이천(4)을 감을 수 있도록 다소 굵은 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회전받침판(5)을 형성하여 그 외단으로 회전받침측부판(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받침측부판(5a)에는 회전원판(2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회전중앙판(251)을 중심으로 회전원판상부케이스(252)와 회전원판하부케이스(254)가 외곽으로 형성되어 있고, 우선 회전원판하부케이스(254)에는 수개의 균일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255)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받침측부판(5a)에 형성된 돌기(55)와 맞물려 상부에서 끼워져 회전은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동시에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원판(250)의 회전원판하부케이스(254)의 내부에는 판스프링(8)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판스프링(8)의 일측은 고정축(200)의 일단에 스프링체결부(201)에 고착되어 있고, 그 타단은 회전원판하부케이스(254)의 내측에서 스프링체결부(202)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어 일방향으로 탄성이 주워지게 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받침측부판(5a)에 끼워 고정되는 회전원판(250)이 고정축에 끼워지되, 상기 회전원판(250)은 회전원판 상부 및 하부케이스(252)(254)로 형성하고, 상기 회전원판 상부케이스(252)에는 정지해제누름판(26)의 걸림부(263)와 접촉되는 정지간(256)을 상단부 양측으로 형성하였으며, 회전원판 하부케이스(254)에는 판스프링(8)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판스프링수용부(258)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회전원판(250)의 회전중앙판(251)에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고정축(200)을 끼워질 수 있고, 판스프링(8)의 탄성을 받아 회동되게 되어 있다.
더구나, 회전원판(250)의 상부에는 회전원판상부케이스(2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정지간(256)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지간(256)은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정지해제누름판(260)에 의하여 회전중앙판(250)을 정지시키거나 회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정지해제누름판(260)의 중앙하부에는 고정축수용홈(261)이 형성되어 고정축(200)의 상단은 물론 고정축(200)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220)에 끼워진 코일스프링(270)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축(200)의 상단은 스프링수용홈(220)을 형성함은 물론 고정축절개텐션부(20)를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정지해제누름판(260)에 형성된 고정축수용홈(261)에 끼워지게 되면 양측으로 확장되어 잘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고, 그 회동은 동시에 이루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정지해제누름판(260)의 양측에는 걸림부(2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263)의 일측으로는 정지간(256)에 걸려지는 정지부(263a)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정지간(256)과 부딪치더라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날카롭게 슬립부(263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지해제누름판(260)이 코일스프링(270)의 탄성에 의하여 상부로 밀려져 있을 경우에는 고정축(200)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어 있으므로 회동이 불가능하고, 회전원판(250)도 마찬가지로 정지해제누름판(260)의 정지간(263a)의 두꺼운 수직면에 회전원판(250)의 정지간(256)이 부딪쳐 회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 판스프링(8)의 탄력방향은 시계방향으로 탄력을 받아 있으면서 정지한 상태로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면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지해제누름판(260)을 누르게 되면, 회전원판(250)이 자유롭게 되어 판스프링(8)의 탄력을 받게되어 회전원판(250)은 시계방향으로 탄성을 받아 빠져 나와 있었던 칸막이천(4)을 감게 되어 있다.
즉, 칸막이천(4)이 본체케이스(110)의 내부로 들어와 보관 상태로 된다.
이 때, 길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정지해제누름판(260)을 놓게 되면 코일스프링(270)의 탄력에 의하여 도면3 상태로 정지해제누름판(260)이 올라오게 되어 있고, 이어서 회전원판(250)과 정지해제누름판(260)은 결합 고정상태가 되어 원하는 길이만큼 정지하게 되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천(4)을 더 빼고 싶을 경우에는 그대로 가이드봉(121)을 잡아 당기게 되면 정지해제누름판(260)에 형성된 날카롭게 슬립부(263b)에 의하여 회전원판(250)의 정지간(256)을 저항없이 통과하게 되어 칸막이천(4)을 수월하게 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지해제누름판(260)에 형성된 날카롭게 슬립부(263b)와 접촉되는 회전원판(250)의 정지간(256)의 타측부(수직면이 형성된 직각의 반대 방향의 면부)에 슬립부(263b)가 저항없이 통과될 수 있도록 여기에도 날카롭게 접촉면적을 적게 할 수도 있고, 상기 누름판(260)은 통공(113a)이 형성된 커버(113)에 의하여 본체케이스(110)에 나사 결합되어진다.
다음은 실시예2를 설명한다.
실시예2의 기술적 내용은 실시에1의 내용과 기본적 발명 사상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즉, 실시예2는 첨부된 도면9에서 보듯이, 본체케이스(110)내에 본체케이스(110)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커버(113)를 형성하며, 그 하부에는 하부케이스(117)를 설치하고 실시예1의 흡착판(13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본체케이스(110)의 개구부(111)로부터 칸막이천(4)이 빠져 나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칸막이천(4)의 끝단에는 가이드봉(121)이 형성되어 칸막이천(4)을 빼내기 수월하게 되어있고, 가이드봉(121)의 양단에는 고리(122)가 형성되어, 본체케이스(110)의 측부 양단에 설치된 고리(112)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칸막이 구조는 중간을 이어주는 본체케이스(110)에는 좌우측으로 개구부(111)나 고리(112)가 형성되어 질 수 있으나, 양끝단에 세워지는 본체케이스(110)에는 개구부(111)만이 형성되거나, 본체케이스(110a)에는 고리(112)만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실시예2의 칸막이천(4)의 인출구조로서, 본체케이스(110)의 중간에 고정축(200)이 체결공(206)에 의하여 체결볼트(31)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판스프링(8)을 보호하기 위하여 스프링보호판(7)을 체결볼트(3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판스프링수용부(7a)에 끼워 고정되는 상기 판스프링(8)은 고정축(200)과는 스프링체결부(20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중공관(210)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6) 부분과는 스프링체결부(202)와 결합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탄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200)의 외측에는 회전중공관(210)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17)에 형성된 중공관받이(118)에 끼워져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중공관(210)은 칸막이천(4)을 감을 수 있도록 다소 굵은 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회전받침판(5)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는 회동정지기구(300)를 형성하였다.
상기 회동정지기구(300)의 구성요소로서는 우선 본체케이스(110)의 측단부에는 고정지지판(2)이 형성되어 본체케이스(110)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지지판(2)은 회전받침판(5)과 분리되어 있고, 정지간(9)에 의하여 양자의 구성이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우선, 회전받침판(5)에 형성된 걸림돌기(6)의 각각 사이에는 끼움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60)에는 정지간(9)이 눌러져 끼워질 경우에는 회전받침판(5)이 고정되며, 빠져 있을 경우에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회전중공관(210)에 감겨져 있는 칸막이천(4)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지간(9)은 그 하단부에 회전받침판(5)를 고정할 수 있도록 끼움부(60)에 맞도록 형상이 설계되어 있고, 정지간(9)의 통공(10)으로 관통되는 고정지지판(2)의 상부에 형성된 정지돌기(11)와 정지간(9)의 내부 상단에 스프링(12)으로 탄설고정되어 회전받침판(5)을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주고 있다.
또한, 상기 정지간(9)의 일측 상면에는 괘지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괘지홈(13)에는 괘지턱(15)이 걸리도록 되어 있고, 고정지지간(2)에는 괘지간(14)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삽착홈(14a)을 형성하여, 여기서 괘지간(14)의 괘지턱(15)이 괘지홈(13)에 걸리므로서,상기 정지간(9)은 아래로 내려와 회전받침판(5)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괘지간(14)은 중간에 작은 홈부(부호 미도시)를 형성하여 그 부분에서 약간의 탄성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부는 삽착홈(14a)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고정지지판(2)에는 삽착홈(14a)을 형성하는 틀이 회전받침판(5)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괘지턱(15)이 형성되어 괘지홈(13)에 항시 탄성을 받는 방향으로 눌러져 있으므로, 정지간(9)을 누르면 자동적으로 괘지홈(13)에 걸려 정지간(9)이 회전받침판(5)의 걸림돌기(6) 사이의 끼움부(60)에 삽입되어 회동이 정지하게 된다.
이를 해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괘지턱(15)을 손으로 뒤로 당기게 되면, 괘지턱(15)이 괘지홈(13)을 벗어나 괘지간(9)이 뒤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빠지게 되어 회전중공관(210)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탄력을 주고 있는 판스프링(8)의 힘에 따라, 사용자가 가이드봉(121)을 잡고 당기게 될 경우에는 정지간(9)에 걸려있는 괘지턱(15)을 해제시키면 회전중공관(210)의 회동이 자유로워져 칸막이천(4)을 수월하게 빼낼 수 있으며, 이를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정지간(9)을 누르게 되면, 괘지홈(13)에 괘지턱(15)이 걸리면서 정지간(9)의 하단이 걸림돌기(6) 사이의 끼움부(60)에 끼워지게되어 회전중공관(210)의 회동이 정지하게 되어 원하는 만큼의 칸막이천(4)의 길이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를 감고자 할 경우에는 괘지턱(15)을 괘지홈(13)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판스프링(8)의 힘에 의하여 칸막이천이 감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괘지턱(15)을 괘지홈(13)으로부터 해지시키는 방법은 괘지턱(15)에 손잡이(15a)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해제수단을 형성하여도 좋을 것이다.
4 : 칸막이천
5 : 회전받침하부판
8 : 판스프링
110 : 본체케이스
113 : 커버
200 : 고정축
210 : 중공관
250 : 회전원판
260 : 정지해제누름판
270 : 코일스프링

Claims (6)

  1. 본체케이스(110)의 상하부에 상부커버(113)와 하부케이스(117)를 형성하고, 그 측부에 칸막이천(4)이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개구부(11)를 형성하며, 본체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칸막이천을 감을 수 있는 중공관(210)과,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축(200)으로 이루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7)에는 고정축(200)을 체결하고, 상기 고정축의 상부에는 스프링수용홈(220)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270)을 수용하며, 상기 고정축과 코일스프링을 수용하는 고정축수용부(261)가 형성된 정지해제누름판(26)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축으로부터 회동가능한 회전원판(250)을 수용할 수 있는 회전받침판(5)이 형성된 중공관(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원판(250)은 고정축과 판스프링(8)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210)의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17)에 형성된 중공관받이(118)에 끼워져 있고, 그 상부에는 회전받침측부판(5a)가 형성된 회전받침판(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받침측부판(5a)에 끼워 고정되는 회전원판(250)이 고정축에 끼워지되, 상기 회전원판(250)은 회전원판 상부 및 하부케이스(252)(254)로 형성하고, 상기 회전원판 상부케이스(252)에는 정지해제누름판(26)의 걸림부(263)와 접촉되는 정지간(256)을 상단부 양측으로 형성하였으며, 회전원판 하부케이스(254)에는 판스프링(8)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판스프링수용부(25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받침측부판(5a)과 회전원판(250)의 결합은 균일하게 설치된 각각의 돌기(55)와 돌기(255)에 의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7)에는 고정축(200)을 체결하고, 상기 고정축의 상부에는 판스프링(8)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보호판(7)을 체결볼트(31)로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고정축(200)과 걸림돌기(6)의 통체 내곽 부분을 각각 연결 고정하며, 회전받침판(5)의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걸림돌기(6)와 끼움부(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60)에 끼워지는 정지간(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간(9)은 중간에 통공(10)을 형성하여 고정지지판(2)의 상부에 설치된 정지돌기(11)에 끼워지며, 상기 정지돌기와 정지간의 내부 상단에 스프링(12)으로 탄설고정되어 회전받침판(5)을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주고 있고, 그 일측에는 괘지간(14)에 형성된 괘지턱(15)이 걸릴 수 있는 괘지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KR1020110074376A 2011-07-27 2011-07-27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KR101287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376A KR101287999B1 (ko) 2011-07-27 2011-07-27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376A KR101287999B1 (ko) 2011-07-27 2011-07-27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004A true KR20130013004A (ko) 2013-02-06
KR101287999B1 KR101287999B1 (ko) 2013-07-19

Family

ID=4789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376A KR101287999B1 (ko) 2011-07-27 2011-07-27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757A (ko) * 2016-01-21 2017-07-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방음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CN113089889A (zh) * 2021-03-31 2021-07-09 江苏大橡木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实验室的可移动多功能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80A (ko) * 2000-09-25 2001-01-05 이상철 차광 및 방충전용 창호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757A (ko) * 2016-01-21 2017-07-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방음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CN113089889A (zh) * 2021-03-31 2021-07-09 江苏大橡木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实验室的可移动多功能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999B1 (ko) 201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151B1 (ko) 끈 조임장치
JP5682923B2 (ja) 物干しロープ収納体
US10053022B2 (en) Bicycle-carrying device for motor-vehicles
KR101287999B1 (ko) 간격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구조
US10000360B2 (en) Resizable cord holder for storing and unwinding cord bundles
KR20200112923A (ko) 로프밴드 조절 장치 및 어셈블리
KR20110024058A (ko) 케이블 릴
US10997956B2 (en) Strap length adjusting apparatus
KR101901494B1 (ko) 줄감기용 장치
KR20180007168A (ko) 줄감기용 장치
CN208460375U (zh) 一种高稳定性苗鼓鼓架结构
JP2010011994A (ja) 物干し器具
JP6694315B2 (ja) シート設置装置
JP2016102028A (ja) テープカッター
JP2012162949A (ja) 索体繰り出し装置及び索体繰り出し装置付き作業台
KR20150114705A (ko) 낚시 받침대
US11325807B2 (en) Line handling device for letting out, winding up, and locking a line
KR200469712Y1 (ko) 드라이기 거치용 어셈블리
KR100974668B1 (ko)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는 길이 가변형 2와이어 자물쇠
TW201520436A (zh) 用來將可拆離的自行車構件固定至自行車上的裝置及其用途
JP6216661B2 (ja) 膜天井固定ユニット
KR20180102535A (ko) 줄감기용 장치
KR20170109518A (ko) 끈 조임장치
JP2004043137A (ja) 巻取装置
KR102021222B1 (ko) 낚시용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