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930A -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930A
KR20130012930A KR20120081026A KR20120081026A KR20130012930A KR 20130012930 A KR20130012930 A KR 20130012930A KR 20120081026 A KR20120081026 A KR 20120081026A KR 20120081026 A KR20120081026 A KR 20120081026A KR 20130012930 A KR20130012930 A KR 20130012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hrottle
wall
housing
valv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6678B1 (ko
Inventor
에발트 틸레
Original Assignee
호르스트 틸레 마쉬넨바우-히드라울리쉐 게레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르스트 틸레 마쉬넨바우-히드라울리쉐 게레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르스트 틸레 마쉬넨바우-히드라울리쉐 게레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1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16K17/24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 F16K17/28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K17/30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16K3/2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with fluid passages in the valv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27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with an opening in the housing for insertion of a release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3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vibration pre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16K21/10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with hydraulic brake cylinder acting on the closur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44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making use of wire-gripping clips or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23Safety cut-off requiring reset
    • Y10T137/7726Responsive to change in rate of flow
    • Y10T137/7727Excessive flow cut-of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84Responsive to change in rate of fluid flow
    • Y10T137/7785Valve closes in response to excessive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84Responsive to change in rate of fluid flow
    • Y10T137/7792Movable deflector or cho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5With retarder or dashpo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69Biased op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10T137/7929Spring coaxial with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매체가 통과하며, 특히 파이프(52)용 입구 연결부(14)와, 특히 가요성 배관(54)용 출구 연결부(16)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있고,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유동 매체가 하우징(12)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동하고, 배관 파단 또는 누출의 경우에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를 차단하기 위해, 탄성 수단(22)의 작용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밸브 슬라이드(18)를 포함하고 있고, 스로틀 덕트(28) 및 이 스로틀 덕트(28)를 통하여 입구측과 출구측에서 하우징(12)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내부 공간(20)을 가지고 있는 스로틀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로틀 장치는 갑자기 발생하는 압력 변동으로 인해 밸브 슬라이드(18)에 의한 차단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관 파단 또는 긴 시간 동안 계속되는 압력 차이의 경우에, 밸브 슬라이드(18)에 의한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배관 시스템 내의 유동 매체, 특히 유압 오일용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2)은 유동 방향(F)으로 연속적인 리세스(30)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밸브 슬라이드(18)는 상기 리세스(30) 내에서 유동 방향(F)을 따라 변위 방향(V)으로 변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로틀 장치의 내부 공간(20)은 밸브 슬라이드(18)의 외측 벽과 하우징(12)의 내측 벽 사이의 구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입구측과 출구측에 있는 스로틀 덕트(28)는 밸브 슬라이드(18)의 외측 벽과 하우징(12)의 내측 벽 사이에 각각 존재하는 제1 틈새(28.1)와 제2 틈새(28.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내측 벽과 상기 밸브 슬라이드(18)의 외측 벽 사이에는 밀봉 수단이 없다.

Description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PIPE BREAK VALVE DEVICE}
본 발명은, 유동 매체가 통과하며, 특히 파이프용 입구 연결부와, 특히 가요성 배관용 출구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고,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유동 매체가 하우징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동하고, 배관 파단 또는 누출의 경우에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를 차단하기 위해, 탄성 수단의 작용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밸브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스로틀 덕트 및 이 스로틀 덕트를 통하여 입구측과 출구측에서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는 스로틀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로틀 장치는 갑자기 발생하는 압력 변동으로 인해 밸브 슬라이드에 의한 차단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관 파단의 경우에, 밸브 슬라이드에 의한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배관 시스템 내의 유동 매체, 특히 유압 오일용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한 가지 사용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유닛이 차축 밸런싱 실린더에서 파일럿 스위칭 밸브로서 작용하는 복수의 차축 배관을 가지고 있는 대형 트럭이다. 차축 밸런싱 실린더는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가요성 배관, 특히 고압 호스가 유동 매체, 예를 들면 유압 오일용 공급 배관으로서 실린더의 상류부에 삽입되어 있다. 스로틀 장치는, 예를 들면, 도로가 울퉁불퉁한 것으로 인한, 잠시 동안의 갑작스러운 압력 변화의 발생으로 인해 밸브가 폐쇄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로틀 장치는, 예를 들면, 호스 파열되었을 때 발생하는, 입구 연결부와 출구 연결부 사이에서의 지속적인 압력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파이프 파단 밸브가 밸브 슬라이드의 상응하는 가로지르는 이동의 결과로서 통로를 밀봉되게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5는 본 출원인의 공지된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60)을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60)는 도 5에서 밑면에 입구 연결부(64)를 보유하고 있고 최상부측에 출구 연결부(66)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62)을 가지고 있다. 상기 두 개의 연결부(64, 66)는 하우징(62)의 내측으로 연통되어 있고, 매체, 예를 들면 유압 오일의 유동 방향은 도 5에서 화살표 F로 표시되어 있다.
하우징(62)에는 연속적인 횡방향 보어(80)가 있고, 이 연속적인 횡방향 보어 내에 밸브 슬라이드(68)가 횡방향(Q)으로 변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밸브 슬라이드(68)의 왼쪽과 오른쪽의 각각에는, 스로틀 덕트(74)를 통하여 하우징의 유동 단면과 연통되어 있으며, 입구 연결부 구역과 출구 연결부 구역을 각각 가지고 있는 밀봉된 오일 스페이스(70.1, 70.2)가 있다. 스로틀 덕트의 제1 덕트 구역은 종국적으로 스로틀 효과를 일으키는 매우 작은 보어 단면을 가지고 있다. 오일 스페이스(70.1, 70.2)의 내측에는 각각 밸브 슬라이드(68)에 작용을 하며,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 수단(72.1, 72.2)이 있다.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양쪽 오일 스페이스(70.1, 70.2)가 유압 오일로 채워져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동 단면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탄성 수단(72.1, 72.2)의 강도는, 유동 매체가 하우징(62)을 통하여 유동할 때, 압력 차이가 발생하면, 밸브 슬라이드(68)가 개방 위치에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스로틀 덕트(74.1, 74.2) 및 오일 스페이스(70.1, 70.2)은 탄성 수단(72.1, 72.2)과 함께 스로틀 장치를 구성하고, 이 스로틀 장치는, 오일 스페이스(70.1, 70.2)의 충전 상태가 주어진 스로틀 작용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고, 그 결과 밸브 슬라이드(68)가 제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갑자기 잠시 동안 압력 피크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밸브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한 쪽에서 배관 파단이 발생하면, 다시 말해서 입구 구역과 출구 구역 사이의 압력 차이가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존재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오일이 스로틀 덕트(74.1)를 통하여 오른쪽 오일 스페이스(70.1)로 유동(화살표 F1)함과 동시에 오일이 스로틀 덕트(74.2)를 통하여 왼쪽 오일 스페이스(70.2)로부터 출구 구역으로 유동하고(화살표 F2), 이로 인해 결국 밸브 슬라이드(68)가 왼쪽으로 변위하게 되고, 밸브 슬라이드(68)는 설정된 변위 거리에 도달한 후에 유동을 차단한다. 최상부측에 연결된 배관이 파단되는 경우 밸브 슬라이드(68)는 왼쪽으로 변위 이동을 수행한다. 밑면에 연결된 배관이 파단되는 경우에는, 밸브 슬라이드(68)는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가로지르는 방향(Q)을 따라 오른쪽으로 변위 이동을 수행한다.
공지된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는 영구적으로 안정적인 기능을 보장한다. 비교적 복잡한 구조 체계이고, 다수의 구성요소와 복잡한 기하학적 형태는 고비용을 필요로 하므로, 경제적인 제작의 면에서는, 고비용이 발생하고 이것은 제품가격에 반영될 수 밖에 없다.
DE 10 2009 043 568 A1은 펌프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덕트를 유압 소비자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덕트에 대하여 차단하는 유압 안전 밸브를 기술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두 개의 동축으로 배열된 별개의 블로킹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각각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작용되고, 압력 차이와 유압 매체의 유동 속도의 오버슈팅(overshooting)의 결과로 개방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 각각의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덕트가 차단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블로킹 피스톤의 제동된 즉 시간 지연된 폐쇄를 위해 댐핑 장치(damping device)가 있다. 이 댐핑 장치는 스로틀 보어를 통하여 유체와 연통되어 있는 챔버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스로틀 챔버는 필수적으로 통기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응하는 통기용 덕트가 설치되어 있고, 이 통기용 덕트는 스크루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필요하면 개방될 수 있다. 상기의 선택된 설계형태로 인해, 밀봉 수단이 블로킹 피스톤의 내측 벽과 하우징의 내측 벽 사이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제공되어 있는 상기 밀봉 수단은, 오랜 시간 동안 작동되지 않으면, 시효열화 영향(ageing influence)으로 인해 작동을 못할 수 있고 필요할 때 더 이상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안전 밸브는 반드시 통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차량에서, 통기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안전 밸브를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환경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독일 실용신안 DE 20 2011 050 667 U1은 펌프에 연결될 수 있는 공급 배관 덕트를 유압 소비자에 연결될 수 있는 유출 배관 덕트에 대하여 차단하는 유압 파이프, 배관 또는 호스 파단 안전 차단 밸브에 관한 것이다. 공급 배관 덕트 및 유출 배관 덕트는 밸브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축방향의 보어로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는 차축 보어가 블로킹 피스톤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블로킹 피스톤은, 블로킹 피스톤이 0보다 큰 값으로 되는 유압 매체의 특정 한계 유동 속도까지 개방 위치에 유지되는 결과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작용된다. 이 경우에, 별개의 댐핑 챔버가 스로틀 덕트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영구적으로 안정적인 작용을 보장하기 위해서 통풍 덕트를 통하여 통기되어야 한다. 이러한 밸브의 구성은 비교적 복잡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더우기, 이 경우에도, 이동가능한 블로킹 피스톤의 외측 벽과 하우징의 내측 벽 사이에 밀봉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이러한 밀봉 수단은 상기한 문제점을 수반한다.
독일 공개공보 DE 2 352 826는, 소비자 연결부와 펌프와 복귀부로 이어지는 연결부 사이에서, 압축 스프링에 의해 개방상태로 유지된 블로킹 피스톤에 의해 제동된 방식으로 폐쇄되는 유압 파이프 파단 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복잡한 덕트 시스템을 통하여, 제동 스페이스(damping space)가 상기 연결부들 사이에서의 압력 강하의 축적과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대항하여 블로킹 피스톤을 변위시키는 작용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어의 유동 단면을 감소시키는 부재에 의해 블로킹 피스톤의 스페이스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동 작용이 조절될 수 있다. 이 밸브도 매우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경제적인 사용의 면에서, 제한된 정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513,545 B2호는 체크 밸브, 특히 가스 배관용으로 적합한 체크 밸브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체크 밸브에는 고정 나사가 사용되고 있고, 상기 고정 나사는 스프링의 스프링력과 이 스프링력으로 인한 스프링의 반동 특성을 설정하기 위해서 스프링에 작용한다. 이 밸브 장치는 어떠한 종류의 댐핑 특성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본 출원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사용, 예를 들면, 대형 트럭에는 적합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밸브 장치의 제기능을 계속 수행함과 동시에 허용가능한 압력 변동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 제3,995,656호는 조절 밸브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호스 파단에 대비하여 어떠한 안전장치도 제공하지 않는 고압 가스 배관용 밸브를 기술하고 있다. 더우기, 밸브는 댐핑 특성도 가지고 있지 않다.
미국 특허 제5,507,466호는 정해진 유체량이 유동한 후에 자동적으로 밸브를 차단할 수 있는 밸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 밸브 슬라이드는 세로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연속적인 리세스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밸브에 의해, 부피의 계량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부피에 도달하자마자 소비자측 포트가 폐쇄되고, 상기밸브 슬라이드는 스프링력의 작용하에 있기 때문에 초기 위치로 복귀 이동한 다음, 필요한 만큼 정해진 부피량을 다시 한 번 제공하기 위해서 개방 상태로 된다. 밸브 슬라이드가 정상상태(stationary)에 있는 즉시, 예를 들면, 유출 덕트의 차단의 결과로, 밸브 슬라이드는 초기 위치로 복귀 이동한다. 이 경우에도, 영구적으로 안정적인 작용을 보장하기 위해서 밀봉 수단이 밸브 슬라이드의 외측 벽과 하우징의 내측 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비교적 많은 수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체크밸브 기능(nonreturn function)도 보장한다. 다시 말해서, 갑자기 고유동 속도가 발생하면, 밸브 슬라이드에 의해 폐쇄작용이 개시된다.
미국 특허 제2,699,799호는 밸브 슬라이드가 스프링력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하우징의 연속적인 리세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체크 밸브를 기술하고 있다. 이 밸브는 자동적으로 여러 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 낮은 압력하에서 유동을 보장하고 다른 방향으로 파이프 압력이 우세해지는 즉시 유동을 차단한다.
EP 1 672 259 A1은 밸브 슬라이드가 연속적인 리세스 내에서 세로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안전 밸브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밸브 슬라이드는 댐핑 챔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의 스프링력의 작용하에 있다. 상기 댐핑 챔버는 특정 전제 조건 하에서 밸브 슬라이드의 변위에 영향을 미친다. 밸브 슬라이드 자체는 특수한 밀봉 요소를 통하여 밸브의 하우징의 내측 벽에 대해 밀봉된다. 이 경우에도, 밀봉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안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에 관한 문제, 특히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지속되는 밸브 슬라이드의 비-작동에 관한 문제가 있고, 이것은 밀봉 수단의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특히, 작용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마찰값을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고, 그래서, 필요한 만큼의 전반적인 기능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상기한 종래 기술로부터, 본 발명이 기초로 삼고 있는 목적 또는 기술적인 문제점은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고,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적은 수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고 동시에 영구적으로 안정적인 작용을 보장하는 초기에 언급한 유형의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기초로 삼고 있는 목적은 극히 간소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제한된 조건의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무게를 가지고 있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설치후에는 접근성(accessibility)이 생략될 수 있도록 자동적인 통기가 보장되는 것이다. 더우기, 밸브 장치의 반응 특성에 있어서의 간단한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는 독립항인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주어진다. 유리한 개선사항 및 개발사항은 독립항인 청구항 1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용하는 종속항의 대상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는, 하우징이 유동 방향으로 연속인 리세스를 가지고 있고, 밸브 슬라이드가 유동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상기 리세스에 배치되어 있고, 스로틀 장치의 내부 공간은 밸브 슬라이드의 외측 벽과 하우징의 내측 벽 사이의 구역에 배치되어 있고, 입구측과 출구측에 있는 스로틀 덕트는 밸브 슬라이드의 외측 벽과 하우징의 내측 벽 사이에 각각 제공되어 있는 제1 틈새와 제2 틈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하우징의 내측 벽과 밸브 슬라이드의 외측 벽 사이에는 밀봉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사항은, 스로틀 덕트가 밸브 슬라이드 및/또는 하우징의 벽 상에/벽 내에 있는 틈새 또는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간소한 형태의 구성의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특히 유리한 개발사항은, 탄성 수단이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고,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밸브 슬라이드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수단이 성공적인 것으로 판명된 나선형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작면에서 특히 유리하고 적은 제작 비용을 들일 수 있게 하는 개선사항은, 밸브 슬라이드가 하우징 내측 벽을 떠받치는 상부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밸브 슬라이드의 외측 벽을 떠받치는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 유닛이 유동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우징의 내측 벽에 제공되고, 특히, 탄성 수단이 상기 플랜지와 상기 돌출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구적으로 안정적인 작용을 보장하기 위해서, 밸브 슬라이드가 단부 구역에 밸브 디스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밸브 디스크는, 배관이 파단되는 경우에, 하우징의 내측 벽에 있는 밸브 시트와 밀봉되게 접촉하게 되고, 밸브 슬라이드의 변위는 배관이 파단되는 경우에 존재하는 압력 차이로 인해서 스로틀 덕트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유체 매체가 탈출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경제적인 제작의 관점에 있어서, 바람직한 설계형태의 변형예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스로틀 틈새 및 하부 스로틀 틈새가 각각 상기 플랜지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단부 벽 및/또는 상기 돌출 유닛의 안쪽으로 향하는 단부 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관련하여, 한 가지 바람직한 개선사항에 있어서, 상부 스로틀 포인트 및/또는 하부 스로틀 포인트가 정해된 각도의 그리그 형태로 반경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기의 작동과 관련하여 스로틀 작용을 조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특히 유리한 개발사항에 따르면, 유동 방향을 대체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밸브 슬라이드의 벽에 스로틀 덕트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유동 저항이 낮게 유지되는 유동 단면을 이루기 위해서, 한 가지 유리한 개선사항은, 밸브 슬라이드가 유동 방향으로 개방된 블라인드 홀 보어를 가지고 있고, 이 개방된 블라인드 홀 보어는 블라인드 홀 보어의 단부 구역에 관통 보어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장에서 전체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를 간단하게 장착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이 외측에 다각형 둘레 형상, 특히 육각형 둘레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는, 댐핑 특성을 가진 기존의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와 비교하여, 대체로 구별되며, 특히 댐핑 특성을 가진 영구적으로 안정적인 작용이 매우 작은 수의 구성요소, 정확하게는, 부가적인 보어를 가지고 있는 밸브 디스크를 가진 밸브 슬라이드, 육각형 둘레 형성을 가진 하우징, 공칭 하중 작동(nominal load operation)에 있어서 밸브 슬라이드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 그리고 고정 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핵심적인 기술사상은, 기존의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에서와 같이 유동 방향을 가로질러서 변위하는 것이 아니라 유동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스로틀 장치용 오일 스페이스가 간단한 방식으로 밸브 슬라이드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매우 간소한 구성이 달성될 수 있도록 밸브 슬라이드를 구성하는 것이다. 작은 수의 구성요소로 인해, 제작 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몇 가지 구성요소(예를 들면, 밸브 슬라이드, 하우징 및 밸브 디스크)에 대해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완전 자동 제작이 가능하다. 다른 구성요소(탄성 수단, 고정 링)는 연속 생산 구성요소이다. 적은 수의 구성요소를 장착하는 것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는 기존의 장치보다 현저하게 작은 무게를 가지고 있고 단지 간단한 나사결합에 의해서 사용 위치에 고정되거나 부착된다. 간소한 유형의 구조는 또한 공간적으로 매우 제한된 조건하에서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의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에서는, 트리거(trigger)가 작동된 경우에, 다시 말해서, 예를 들면, 배관이 파단된 경우에, 유압 오일이 댐핑 덕트를 통하여 오일 스페이스로 유입되고 다른 오일 스페이스를 통하여 다시 유출되어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에서는, 트리거가 작동된 경우에, 유압 오일이 단지 내부 공간으로부터 유출되어야 하므로, 오염의 위험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는, 특히 스로틀 덕트로서 틈새를 사용하는 것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밀봉 수단도 사용되지 않는 설계형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밀봉 수단의 시효열화(aging)의 문제는 완전히 회피된다. 영구적인 작용 능력이 보장된다.
스로틀 챔버가 두 개의 틈새를 통하여 유동 단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가 유동하는 것에 의해 스로틀 챔버의 자동적인 통기가 이루어지므로, 부가적인 통기 덕트는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실제 테스트에 의하면, 사용시에, 유체의 유동에 의한 자체-통기는 수 초후에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통상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통기 작업이 완전히 회피된다. 자동적인 통기의 다른 중요한 장점은, 통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밸브가 더 이상 설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서, 근본적으로 상이한 상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 몸체 설계 엔지니어는 이와 관련하여 보다 많은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혜택을 누린다.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전체적으로 매우 간소한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는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영구적으로 안정적인 작용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특히 유리한 개선사항은,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밑면에 배치된 제1 고정 유닛, 특히 밸브 슬라이드의 내측 벽의 단차부가 밸브 슬라이드의 블라인드 홀 보어의 내측 벽의 구역에 제공되어 있고, 유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최상부측에 배치된 이격된 제2 고정 유닛, 특히 제2 리세스가 밸브 슬라이드의 내측 벽에 제공되어 있고, 고정 링에 적합하며, 두 개의 고정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로틀 리세스를 가진 스로틀 디스크의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배치를 위해서, 상기 스로틀 디스크가 블라인드 홀 리세스의 단면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적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개선사항에 따르면, 스로틀 디스크가 밸브 슬라이드의 블라인드 홀 보어의 상부 개방 단부 구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스로틀 디스크의 사용은, 각각의 사용처에 최적으로 할당된 스로틀 리세스 직경을 가지는 스로틀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반응 특성을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해 준다. 궁극적으로 유체의 유동이 밸브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지금까지는, 설정(setting)이 스프링 위치를 통하여 수행되거나 스로틀 오리피스의 직경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행되었고, 이것은 매우 복잡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로틀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전체적인 유동 저항이 변경되고 그 결과 밸브 슬라이드의 반응 특성이 간단하게 각각의 사용처에 적합하게 된다. 제공되어 있는 스로틀 보어의 경우에 있어서 조정성과 관련하여 한 가지 단점은 스로틀 보어의 높은 공차 민감도(high tolerance sensitivity)이다. 반응 특성, 예를 들면, 스로틀 보어에서의 변화를 설정하는 것은, 예를 들면, 0.1 mm의 단차부의 구역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발생할 수 있는 가능한 오염 때문에, 공차 민감도가 크게 상승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해결방안으로, 비교적 저유동의 경우에 안정적인 트리거 작동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라 스로틀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은 저유동의 경우에 용이하게 밸브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이한 스로틀 리세스 직경을 가지는 스로틀 디스크를 단지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조정기능도 수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형 차량의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작은 실린더를 사용하므로 결과적으로 저 유동을 가진다. 따라서, 기존의 호스 파단 안전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반응 특성과 관련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밸브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도 실현가능한 해결방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장점은 청구항에 기재된 특징과 아래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알게 된다. 청구항에 기재된 특징들은 명백하게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닌 한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의 개량사항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서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고 설명된다.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알게 될 여러 특징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 각각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압력 발생원과 소비자 사이에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 압력 발생원과 밸브 장치 사이의 파이프 그리고 밸브 장치와 소비자 사이의 호스의 사용예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유동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밸브 슬라이드와 오일 스페이스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개략적인 반쪽 종단면 및 반쪽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개략적인 단부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밸브 슬라이드 및 스로틀 덕트를 통하여 연결된 두 개의 오일 스페이스를 가진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스로틀 디스크가 밸브 슬라이드 내측의 유동 단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개략적인 반쪽 종단면도 및 반쪽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상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그리고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의 밸브 슬라이드에 배치되어 있는 스로틀 디스크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 사용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는 한 단부 구역에서 파이프(52)를 통하여 압축 공기 공급원(50)에 연결되어 있다. 반대쪽은 다른 단부 구역에서 소비자(56),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로 이어지는 가요성 호스(54)에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는, 배관 시스템 내에서 잠시동안 압력 피크값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가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배관 시스템의 차단이 되지 않도록 보장되어야 하지만, 호스(54)가 파단된 경우에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를 통과하는 유동 매체의 유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2 내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는 매우 간소하고 적은 수의 구성요소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4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는 육각형의 외측 둘레 형상을 가진 간소한 하우징(12)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는 구조적으로 이 간소한 하우징(12) 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의 하우징(12)은 연속적인 리세스(30)(도 2 참고)를 가지고 있고, 이 연속적인 리세스(30) 내에서 밸브 슬라이드(18)는 유동 방향 및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유동 방향은 도 2에서 화살표 F로 표시되어 있음) 세로로 변위가능하게(화살표 V 참고)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상부 단부 구역에는, 리세스(30)의 내측 벽이 압력 발생원(50)으로부터 뻗어 나온 파이프(52)를 연결하는데 적합한 입구 연결부(14)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구 연결부(14)가 암나사(internal thread)로 만들어져 있다. 반대쪽 단구 구역에는, 하우징(12)이 마찬가지로 암나사로 만들어져 있으며 가요성 호스(54)가 연결될 수 있는 출구 연결부(16)를 가지고 있다.
밸브 슬라이드(18)는 그 상부 구역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부 플랜지(32)를 가지고 있고 내부에는 위쪽으로 개방된 블라인드 홀 보어(34)를 가지고 있다. 밸브 디스크(24)가 블라인드 홀 보어(34) 아래의 하부 구역에 연결되어 있고, 둘레방향으로 방사상 그리드(grid) 형태로 제공되어 있는 유동 매체용 관통 오리피스(36)가 밸브 슬라이드(18)의 벽과 밸브 디스크(24) 사이에 명확하게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상태에서, 유동 매체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를 통하여 최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밸브 슬라이드(18)의 위치에 대하여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의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를 나타내고 있다.
플랜지(32)의 외측 단부 벽은 하우징(12)의 리세스(30)의 내측 벽을 떠받치고 있다. 플랜지(32) 아래에는 하우징(12)의 내측 벽에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 유닛(38)이 있고, 이 돌출 유닛은 밸브 슬라이드(18)의 외측 벽을 떠받치고 있다. 내부 공간(20), 특히 오일 스페이스는 플랜지(32)와 돌출 유닛(38)의 사이 그리고 밸브 슬라이드(18)의 외측 벽과 하우징(12)의 내측 벽 사이의 구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내부(12)와 연통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부 플랜지(32)의 단부면에 있는 상부 스로틀 덕트(28.1)와 돌출 유닛(38)의 외측 단부면에 있는 하부 스로틀 덕트(28.2)를 통하여 유동 매체와 연통되어 있다. 작동 상태에서, 이 내부 공간(20)은 유동 매체로 채워진다.
동시에, 내부 공간(20) 내에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돌출 유닛(38)의 최상부측과 플랜지(32)의 밑면에 지지되어 있는 탄성 수단(22)이 있다.
밸브 슬라이드(18)의 바로 위에는, 하우징(12)의 내측 벽에 고정 링(40)이 삽입되어 있고, 작동 상태에서 이 고정 링에 대해 탄성 수단(22)이 밸브 슬라이드(18)를 가압한다. 이 경우에 탄성 수단(22)의 스프링력은,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밸브 슬라이드가 도 2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 있도록 선택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 유닛의 아래에는, 하우징(12)의 내측 벽에 안쪽으로 향하는 밸브 시트(26)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수단(22)의 스프링력은, 기존의 유동 덕트 구조로 인해 작동 상태에서 압력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밸브 슬라이드(18)가 고정 링(40)에 대해 위쪽으로 가압되도록 선택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내부 공간(20)은 유동 매체로 채워져 있다. 그 때, 잠시 동안 증가된 체적 유량이 발생하면, 스로틀 덕트(28.1, 28.2)에 의해 댐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밸브 슬라이드(18)의 위치가 유동 방향(F)으로 유동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변하지 않으므로, 잠시 동안 체적 유량이 최고조에 달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 압력 차이로 인해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가 차단되지는 않는다.
호스(54)에서 누출 또는 호스 파단이 발생하면, 마찬가지로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에 증가된 압력 차이를 나타내지만, 이 압력 차이는 일정 시간 지속된다. 이러한 압력 차이로 인해서,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유동 매체가 하부 스로틀 덕트(28.2)를 통하여 내부 공간(20)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 슬라이드(18)가 탄성 수단(22)의 작용에 대항하여 V 방향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밸브 슬라이드(18)의 밸브 디스크(24)가 하우징(12)의 밸브 시트(26)를 누르는 즉시, 차단 위치에 도달하고 밸브 장치(10)를 통과하는 유동 매체의 유동이 차단된다.
심각한 누출 또는 호스 파단의 경우에, 밸브 슬라이드(18)는 얼마 동안 지연되어 반응하고 트리거가 작동하는 사건이 발생한 잠시 후에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를 차단하고, 잠시 동안 발생하는 체적 유량 피크값 또는 압력 차이는 차단을 촉발시키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은 상기한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의 특히 유리한 개발사항을 나타내고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가지며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의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과 핵심적인 차이는, 스로틀 디스크(46)가 밸브 슬라이드(18)의 블라인드 홀 보어(34)의 상부 개방 단부 구역에 배치되어 있고 연속적인 스로틀 리세스(48)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속적인 스로틀 리세스에 의해서 유동 단면이 밸브 슬라이드(18)의 내측 벽과 비교하여 축소되어 있다는 것이다.
스로틀 디스크(46)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최상부측에 제2 고정 링(44)이 있고, 이 제2 고정 링은 밸브 슬라이드(18)의 내측 벽의 그루브(49)에 장착되어 있다. 이 제2 고정 링(44)은, 예를 들면, 시거 링(Seeger ring)으로 될 수 있다. 밑면에는, 스로틀 디스크(46)이 밸브 슬라이드의 내측 벽에 일체로 형성된 단차부(42)에 장착되어 있다. 제2 고정 링(44)의 밑면과 단차부(42) 사이의 이격 거리는 스로틀 디스크(46)의 두께와 대체로 일치한다.
스로틀 디스크(46)는 간단하게 위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먼저, 단지 제2 고정 링(44)과 스로틀 디스크(46)가 제거된 다음, 새로운 스로틀 디스크(46)가 삽입되고 그 후에 제2 고정 링(44)이 다시 삽입되는 것으로 교환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요건에 대해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의 반응 특성을 맞추는 것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처에 따라, 상이한 직경의 스로틀 리세스(48)를 가지고 있는 스로틀 디스크(46)가 사용되는 것으로 실행된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복잡한 설정 작업, 정확하게는, 스프링 또는 스로틀 덕트의 변형의 설정이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상이한 직경의 스로틀 리세스(48)를 각각 가지고 있는 한 세트의 스로틀 디스크(46)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사용자 자신만으로도 설정 작업이 실행될 수 있을 정도로 설정 작업은 매우 간단하다. 부가적인 보다 핵심적인 장점은, 두 개의 틈새(28.1, 28.2)를 통하여 작동하는 동안 자동적인 자체-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일 스페이스(20)(스로틀 스페이스)를 통기시키기 위한 수단이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는 작은 무게의 매우 간소한 구성요소이고, 완전히 자동으로 제작될 수 있거나(예를 들면, 하우징(12), 밸브 슬라이드(18) 및 밸브 디스크(24)) 또는 연속 생산 구성요소(탄성 수단(22), 고정 링(40))로서 이용할 수 있는 매우 작은 수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고, 밀봉 수단의 사용은 완전히 생략될 수 있으므로, 매우 적은 제작 비용이 들 수 있고, 간단한 장착이 가능하며, 또한, 영구적으로 안정된 작용이 보장된다. 또한, 자동적인 통기가 보장되고, 이것은 차후의 접근성(accessibility)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가지 가능한 설치 상황의 면에서 중요한 장점이 된다. 각각의 경우에 맞추어진 스로틀 리세스(48)와 함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스로틀 디스크(46)의 매우 간단한 사용 가능성으로 인해, 매우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는 각각의 사용처에 대한 적용이 간단한 방법과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10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
12 하우징
14 파이프용 입구 연결부
16 호스용 출구 연결부
18 밸브 슬라이드
20 내부 공간(오일 스페이스)
22 탄성 수단
24 밸브 디스크
26 밸브 시트
28 스로틀 덕트
28.1, 28.2 틈새
30 하우징의 리세스
32 상부 플랜지
34 블라인드 홀 보어
36 관통 오리피스
38 돌출 유닛
40 고정 링
42 단차부
44 제2 고정 링
46 스로틀 디스크
48 스로틀 디스크의 스로틀 리세스
49 제2 리세스
F 유동 방향
V 변위 방향
50 압축 공기 공급원
52 파이프
54 호스, 가요성 배관
56 소비자
종래 기술:
60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
62 하우징
64 입구
66 출구
68 밸브 슬라이드
70.1, 70.2 오일 스페이스
72.1, 72.2 탄성 수단
74.1, 74.2 스로틀 덕트
80 가로지르는 보어
Q 가로지르는 방향
F1 유동 방향
F2 유동 방향

Claims (15)

  1. - 유동 매체가 통과하며, 특히 파이프(52)용 입구 연결부(14)와, 특히 가요성 배관(54)용 출구 연결부(16)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있고,
    -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유동 매체가 하우징(12)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동하고,
    - 배관 파단 또는 누출의 경우에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를 차단하기 위해, 탄성 수단(22)의 작용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밸브 슬라이드(18)를 포함하고 있고,
    - 스로틀 덕트(28) 및 이 스로틀 덕트(28)를 통하여 입구측과 출구측에서 하우징(12)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내부 공간(20)을 가지고 있는 스로틀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 상기 스로틀 장치는 갑자기 발생하는 압력 변동으로 인해 밸브 슬라이드(18)에 의한 차단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관 파단 또는 긴 시간 동안 계속되는 압력 차이의 경우에, 밸브 슬라이드(18)에 의한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 배관 시스템 내의 유동 매체, 특히 유압 오일용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에 있어서,
    - 상기 하우징(12)은 유동 방향(F)으로 연속적인 리세스(30)를 가지고 있고,
    - 상기 밸브 슬라이드(18)는 상기 리세스(30) 내에서 유동 방향(F)을 따라 변위 방향(V)으로 변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 상기 스로틀 장치의 내부 공간(20)은 밸브 슬라이드(18)의 외측 벽과 하우징(12)의 내측 벽 사이의 구역에 배치되어 있고,
    - 상기 입구측과 출구측에 있는 스로틀 덕트(28)는 밸브 슬라이드(18)의 외측 벽과 하우징(12)의 내측 벽 사이에 각각 존재하는 제1 틈새(28.1)와 제2 틈새(28.2)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 상기 하우징(12)의 내측 벽과 상기 밸브 슬라이드(18)의 외측 벽 사이에는 밀봉 수단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 스로틀 덕트(28.1, 28.2)가 밸브 슬라이드(18) 및/또는 하우징(12)의 벽 상에/벽 내에 있는 틈새 또는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3.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탄성 수단은 내부 공간(20)에 배치되어 있으며,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밸브 슬라이드(18)를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 상기 탄성 수단(22)이 나선형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 상기 밸브 슬라이드(18)는 하우징 내측 벽을 떠받치는 상부 플랜지(32)를 가지고 있고, 밸브 슬라이드(18)의 외측 벽을 떠받치는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 유닛(38)이 유동 방향(F)으로 이격되어 하우징(12)의 내측 벽에 존재하고, 특히, 탄성 수단(22)이 상기 플랜지(32)와 상기 돌출 유닛(38)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 상기 밸브 슬라이드(18)는 단부 구역에, 배관 파단의 경우에, 하우징(12)의 내측 벽에 있는 밸브 시트와 밀봉되게 접촉하는 밸브 디스크(24)를 가지고 있고, 밸브 슬라이드(18)의 변위는, 배관 파단의 경우에 발생하는 압력 차이로 인해 스로틀 덕트(28.1, 28.2)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 밖으로 유체 매체가 탈출하는 것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상부 및 하부 스로틀 틈새(28.1, 28.2)는 각각 상기 플랜지(32)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단부 벽 및/또는 돌출 유닛(38)의 안쪽으로 향하는 단부 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8. 제7항에 있어서,
    - 상부 및/또는 하부 스로틀 틈새(28.1, 28.2)는 정해된 각도의 그리드 형태로 반경방향으로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 상기 밸브 슬라이드(18)는 유동 방향(F)으로 개방되어 있는 블라인드 홀 보어(34)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 특히, 유동 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스로틀 덕트가 밸브 슬라이드(18)의 벽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 상기 밸브 슬라이드(18)의 위치는,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탄성 수단(22)과 함께, 하우징(12)의 내측 벽의 상부측에 배치된, 특히 DIN(독일공업규격) 472에 따른 고정 링(40)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 상기 하우징(12)은 외측에 다각형 둘레 형상, 특히 육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 유동 방향(F)에서 보았을 때, 밑면에 배치된 제1 고정 유닛, 특히 밸브 슬라이드(18)의 내측 벽의 단차부(42)가 밸브 슬라이드(18)의 블라인드 홀 보어(34)의 내측 벽의 구역에 제공되어 있고, 유동 방향(F)에서 보았을 때, 최상부측에 배치된 이격된 제2 고정 유닛, 특히 제2 리세스(49)가 밸브 슬라이드(18)의 내측 벽에 제공되어 있고, 고정 링(44)에 적합하며, 두 개의 고정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로틀 리세스(48)를 가진 스로틀 디스크(46)의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배치를 위해서, 상기 스로틀 디스크가 블라인드 홀 리세스(34)의 단면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 스로틀 리세스(48)를 가진 스로틀 디스크(46)가 상기 밸브 슬라이드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 상기 스로틀 디스크(46)가, 유동 방향(F)에서 보았을 때, 밸브 슬라이드(18)의 블라인드 홀 보어(34)의 상부 개방 단부 구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10).
KR1020120081026A 2011-07-26 2012-07-25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 KR101416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08430A DE102011108430A1 (de) 2011-07-26 2011-07-26 Rohrbruchventileinrichtung
DE102011108430.8 2011-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930A true KR20130012930A (ko) 2013-02-05
KR101416678B1 KR101416678B1 (ko) 2014-07-28

Family

ID=4549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026A KR101416678B1 (ko) 2011-07-26 2012-07-25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34600B2 (ko)
EP (1) EP2551568B1 (ko)
KR (1) KR101416678B1 (ko)
CN (1) CN102900876B (ko)
DE (2) DE102011108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8430A1 (de) 2011-07-26 2012-02-09 Horst Thiele Maschinenbau-Hydraulische Geräte GmbH Rohrbruchventileinrichtung
RS20120305A1 (en) * 2012-07-23 2013-06-28 Tecoop-Eng D.O.O. Panäśevo FIRE HYDRANT
DE102012018731A1 (de) * 2012-09-21 2014-03-27 Ross Europa Gmbh Sicherheitsabsperrvorricht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5333189B (zh) * 2015-11-24 2018-05-04 江苏爵格工业设备有限公司 抗冲击波阀
US11118698B2 (en) * 2018-07-23 2021-09-14 Pratt & Whiiney Canada Corp. Damping mechanism for valves
JP7167900B2 (ja) * 2019-11-07 2022-11-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8719A (en) * 1937-05-13 1938-11-29 Charles Bryan Wright Blow-out preventer
US2245271A (en) * 1938-07-01 1941-06-10 Howard A Guill Safety cutoff valve
US2601654A (en) * 1949-04-01 1952-06-24 Charles B Wright Automatic choke control
US2699799A (en) 1949-10-04 1955-01-18 Wager Robert Hudson Scavenging-air valve for soot blowers
US2729235A (en) * 1952-05-14 1956-01-03 Anco Inc Gage dampening valve
US2833117A (en) * 1954-07-29 1958-05-06 Frederick J Wilcocks Brake safety shut-off valve
US2967543A (en) * 1955-06-01 1961-01-10 W A Kates Company Flow regulating valve
US3196902A (en) * 1962-09-27 1965-07-27 Multiplex Company Flow control device
US3995656A (en) 1972-02-15 1976-12-07 Lif-O-Gen, Inc. High pressure gas regulator
CH544901A (de) 1972-11-09 1973-11-30 Beringer Hydraulik Gmbh Gedämpft schliessendes hydraulisches Rohrbruchventil
JP3170647B2 (ja) * 1991-06-10 2001-05-28 有光工業株式会社 弁装置
KR970001833Y1 (ko) * 1993-12-14 1997-03-17 현대중장비산업 주식회사 토건중장비용 카운터 발란스 밸브
JP3119989B2 (ja) * 1994-03-08 2000-12-25 株式会社ケーブイケー 止水機能付流路切換水栓
US5507466A (en) 1994-08-19 1996-04-16 Predator Systems Inc. Volumetric hydraulic fuse valve
DE29502829U1 (de) * 1995-02-21 1996-06-20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AR028418A1 (es) 2000-05-16 2003-05-07 Pipelife Austria Gmbh & Co Kg Dispositivo de cierre de seguridad para tuberias de gas
US6513545B2 (en) 2001-01-16 2003-02-04 Evan M. Rhone Safety valve with adjustable maximum flow shut off mechanism
US7744071B2 (en) * 2001-06-19 2010-06-29 Mercer Valve Company, Inc. Safety relief valve having a low blow-down value and spring therefore
KR100492625B1 (ko) * 2002-10-31 2005-06-03 손열삼 체크 밸브
US7213611B2 (en) 2004-12-15 2007-05-08 Eaton Corporation Valve assembly
CN1824983A (zh) * 2005-02-22 2006-08-30 株式会社鹭宫制作所 节流装置和流量控制阀以及装有它们的空气调节装置
ATE410627T1 (de) * 2006-03-20 2008-10-15 Interforge Klee Gmbh Sicherheitsventil zum automatischen absperren von gasleitungen
US7591282B1 (en) * 2006-09-26 2009-09-22 Kermit L. Achterman & Associates, Inc. Damped, self-cleaning flow shutoff valve and associated methods
KR100865265B1 (ko) * 2006-12-29 2008-10-24 한국가스안전공사 초저온용기의 스프링식 안전밸브
KR20100038458A (ko) * 2007-11-29 2010-04-14 쿄세라 코포레이션 슬라이딩 부재, 메커니컬 시일 링, 메커니컬 시일 및 포셋 밸브
DE102009043568A1 (de) 2009-09-30 2011-04-07 Neumeister Hydraulik Gmbh Sicherheitsventil
DE202011050667U1 (de) 2011-07-08 2011-09-09 Neumeister Hydraulik Gmbh Sicherheitssperrventil
DE102011108430A1 (de) 2011-07-26 2012-02-09 Horst Thiele Maschinenbau-Hydraulische Geräte GmbH Rohrbruchventil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4600B2 (en) 2016-01-12
US20130025712A1 (en) 2013-01-31
DE102011108430A1 (de) 2012-02-09
EP2551568A1 (de) 2013-01-30
KR101416678B1 (ko) 2014-07-28
CN102900876B (zh) 2014-08-06
EP2551568B1 (de) 2013-09-11
DE202011109211U1 (de) 2012-01-27
CN102900876A (zh)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2930A (ko) 파이프 파단 밸브 장치
US20140007964A1 (en) Proportional pressure-regulating valve
KR101662586B1 (ko) 비례 압력 제어 밸브
CN101541571B (zh) 具有无级半主动阀的减振器
US6354319B1 (en) Low differential, pilot operated fluid pressure regulation apparatus and method
EP3147594B1 (en) Valve for a refrigeration system
RU2500956C2 (ru) Клапан с функцией δр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и функцией ограничения потока
KR101096870B1 (ko) 댐퍼 기능을 가지는 체크밸브가 내장된 제어밸브
RU2714052C1 (ru)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тсечным клапаном и клапаном защиты колеса от перегрева
CN103807474A (zh) 压力存储容器的阀组件
CN111828723A (zh) 比例液压阀
GB2428276A (en) Pilot controlled check valve
US20090211771A1 (en) Regulated Valve Assembly for Fire Extinguishing Systems
JP2016508587A (ja) オーバーフロー弁
FI101741B (fi) Yksiviputyyppinen, vivun sulkeutumisliikkeen aiheuttaman paineiskun es tolaitteella varustettu sekoitusventtiili
AU2015281295A1 (en) High Integrity Pressure Protecting System (HIPPS) for a fluid line
US10927862B2 (en) Double-acting overflow valve of a working cylinder and master cylinder
JP6151779B2 (ja) バルブ、特にパイロット式比例方向切換シートバルブ
US7201184B2 (en) Pressure protection valve
CN109952458B (zh) 用于车辆、尤其是商用车的螺旋式压缩机的最小压力阀
US11203330B2 (en) Hydraulic unit
JP2015523524A (ja) バルブ、特にパイロット式比例方向切換シートバルブ
US20030173168A1 (en) Hydraulic dashpot
GB2482414A (en) Aircraft shock absorber with double seal arrangement
US20130200281A1 (en) Flow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