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737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737A
KR20130012737A KR1020110074077A KR20110074077A KR20130012737A KR 20130012737 A KR20130012737 A KR 20130012737A KR 1020110074077 A KR1020110074077 A KR 1020110074077A KR 20110074077 A KR20110074077 A KR 20110074077A KR 20130012737 A KR20130012737 A KR 2013001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rity bits
memory cell
error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석
이형동
권용기
양형균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4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737A/ko
Priority to US13/532,299 priority patent/US20130031439A1/en
Priority to TW101123919A priority patent/TW201306042A/zh
Priority to CN201210256703.1A priority patent/CN102903394A/zh
Publication of KR2013001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38Response verification devices
    • G11C29/42Response verification devices using error correcting codes [ECC] or parity che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 G06F11/104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using arrangements adapted for a specific 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fea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029/0411Online error cor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4Supports for storage elements, e.g. memory modules; Mounting or fixing of storage elements on such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CC 회로부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이 집적되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복수 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관통 라인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영역 및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과 상기 데이터 신호를 서로 다른 관통 라인에 전송하는 제어 로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SEMICONDUCT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CC 회로를 갖는 적층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반도체 시스템은 용량의 증가에 따라 신뢰성 및 수율 저하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반도체 시스템은 데이터에 에러 정정 코드(Error Correcting Code: 이하 'ECC'라 함) 회로를 부가하여 결함 메모리 셀의 에러를 복구하거나 경감시킴으로써 신뢰성 및 수율 저하의 문제점을 절감시키고 있다.
이러한 ECC 회로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패리티(parity)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가 출력될 때 에러를 정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와 같은 ECC 회로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11-00120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일반적인 반도체 시스템에서 메모리 컨트롤러에 포함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반도체 시스템의 메모리 컨트롤러는 ECC 회로의 동작 외에 외부로부터 입력된 커맨드 및 어드레스 신호 처리 및 데이터 신호 전송에도 관여를 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컨트롤러의 오버헤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반도체 시스템은 메모리 컨트롤러에서 처리하는 동작이 많기 때문에 메모리 컨트롤러에서 소요되는 전력이 다른 부분에 비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반도체 시스템은 메모리 컨트롤러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사이에 추가적인 프로토콜 협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ECC 회로부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어 로직 영역에 구비함으로써 메모리 컨트롤러의 오버헤드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력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로직 영역의 여유 부분에 ECC 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메모리 컨트롤러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사이에 프로토콜 협의를 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메모리 컨트롤러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이 집적되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복수 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관통 라인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영역 및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과 상기 데이터 신호를 서로 다른 관통 라인에 전송하는 제어 로직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로직 영역은 상기 메모리 셀 영역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의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ECC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은 외부에서 커맨드 신호, 어드레스 신호, 데이터 마스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가 라이트 또는 리드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라이트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라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여 라이트 데이터와 패리티 비트들을 서로 다른 관통 라인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 출력되는 리드 데이터의 에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리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ECC 회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라이트 동작 시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시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1000)은 메모리 컨트롤러(100)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100)는 외부, 즉 호스트(미도시)로부터 커맨드 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에 데이터가 라이트되거나 리드되도록 제어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0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데이터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셀 어레이가 집적된 메모리 셀 영역(210)과 메모리 셀 영역(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로직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로직 영역(220)은 ECC 회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로직 영역(220)은 ECC 회로부(230)를 이용하여 메모리 셀 영역(210)으로부터 리드한 데이터가 에러가 있을 경우 에러를 정정하여 정정된 데이터를 메모리 컨트롤러(100)에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메모리 셀 영역(210)은 복수 개의 메모리 셀이 집적된 복수 개의 셀 어레이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고용량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수 개의 셀 어레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셀 어레이를 일부 또는 모두를 관통하는 관통 라인(대체적으로 TSV(Through Silicon Via) 기술이라고 함)이 복수 개 형성되어 메모리 컨트롤러(100)로부터 데이터 신호, 데이터 마스크 신호, 커맨드 신호, 어드레스 신호, 스트로브(strobe) 신호 등을 각각의 해당 관통 라인을 통해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1000)에서 ECC 회로부(230)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CA1…CAn)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영역(210)으로 메모리 컨트롤러(100)로부터 데이터 신호(DQ), 어드레스 신호(ADD), 커맨드 신호(CMD), 데이터 마스크 신호(DM) 및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QS)가 입력된다. 여기서, 도 2에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메모리 셀 영역(210)이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가 적층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메모리 셀이 집적된 하나의 셀 어레이에도 본 발명의 기술은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에 데이터 라이트(write) 신호가 입력되면 라이트 데이터 신호는 제어 로직 영역(220)의 여유 공간에 마련된 ECC 회로부(230)에 입력되고, ECC 회로부(230)는 라이트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로 이루어진 해밍 코드(Hamming Code)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해밍 코드는 라이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관통 라인(DQL)과 데이터 마스크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마스크 관통 라인(DML)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메모리 컨트롤러(100)와의 프로토콜 협의가 아닌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내에서 메모리 셀 영역(210)과 제어 로직 영역(220) 사이의 프로토콜 협의(에러가 발생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마스크 관통 라인으로 전송)만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에 데이터 리드(read) 신호가 입력되면 복수 개의 셀 어레이가 집적된 메모리 셀 영역(210)에서 데이터가 리드되고, 리드된 데이터(RD)는 상기 라이트 시 생성된 패리티 비트로 구성된 해밍 코드와 리드된 데이터(RD)의 비트를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검출한 후 에러가 검출되면 상기 리드 데이터(RD)의 에러를 정정하여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에서 ECC 회로부(230)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 도 3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ECC 회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ECC 회로부(230)는 패리티 생성부(231), 에러 검출부(232) 및 에러 정정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리티 생성부(231)는 데이터 라이트 시 메모리 컨트롤러(100)에서 입력되는 라이트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라이트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parity bit)들로 이루어진 해밍 코드(Hamming Code)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해밍 코드는 복수 개의 셀 어레이가 적층된 메모리 셀 영역(210)에서 어느 하나의 패리티 저장부(212)에 전송된다. 이때, 패리티 저장부(212)의 위치가 메모리 셀 영역(210)이라고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ECC 회로부(230)에 패리티 저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리티 생성부(231)는 해밍 코드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의 에러를 검출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방식으로도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패리티 생성부(231)에서 라이트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를 계산하는 시간은 입력되는 라이트 데이터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구비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에러 검출부(232)는 데이터 리드(read) 시 상기 메모리 셀 영역(210)에서 리드된 데이터 신호(RD) 비트와 상기 패리티 저장부(212)에 저장된 패리티 비트들을 입력받아 상기 리드 데이터 신호와 상기 패리티 비트들을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한 후 에러가 검출되면 에러 정정부(233)로 전달하고,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데이터 관통 라인(DQL)으로 출력한다.
에러 정정부(233)는 데이터 리드(read) 시 상기 에러 검출부(232)에서 리드 데이터(RD)의 에러가 검출되면 에러 정정 코드를 생성하여 생성된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 데이터 신호의 에러를 정정한다. 이렇게 정정된 데이터 신호(Dout)는 데이터 관통 라인(DQL)으로 전달하여 메모리 컨트롤러(100)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ECC 회로부(230)는 데이터 라이트 시와 데이터 리드 시의 동작이 조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라이트 동작의 제어방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라이트 동작 시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메모리 컨트롤러(100)로부터 라이트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면(S410) 입력된 라이트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한다(S420). 그 생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입력된 라이트 데이터 신호의 비트 수가 4개라고 가정하면 상기 라이트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패리티 비트의 수는 3개가 될 수 있다. 다음 표 1은 라이트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해밍 코드를 나타내는 것이다.
라이트 데이터 비트 수 7 6 5 4 3 2 1
해밍 코드 WD7 WD6 WD5 P4 WD3 P2 P1
여기서, 라이트 데이터 신호가 십진수 9라면 십진수 9는 이진수로 1001의 값을 가지므로 다음 표 2와 같이 배치된다.
라이트 데이터 비트 수 7 6 5 4 3 2 1
해밍 코드 1 0 0 P4 1 P2 P1
여기서 상기 라이트 데이터의 비트 값 1001을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를 계산하게 된다. 패리티 비트의 계산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을 패리티 저장부(212)에 저장하고(S430), 라이트 데이터는 데이터 관통 라인(DQL)을 통해 전송되며(S440),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의 전송은 데이터 마스크 관통 라인(DML)을 통해 이루어진다(S450).
이렇게 데이터 관통 라인(DQL)을 통해 전송된 라이트 데이터는 메모리 셀 영역에 입력된다(S460).
한편, 메모리 컨트롤러(100)로부터 리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리드 동작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리드 시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메모리 셀 영역(210)으로부터 리드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면(S510), 출력된 리드 데이터 신호의 비트와 패리티 저장부(210)에 저장된 패리티 비트들을 비교하여 리드 데이터 신호에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520).
판단 결과,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리드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관통 라인(DQL)을 통해 메모리 컨트롤러(100)로 출력되도록 한다(S550).
한편, 에러가 검출되면 에러 정정 코드를 생성한다(S530). 이러한 에러 정정 코드 생성 방법은 당업자라면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리드 데이터 신호의 에러를 정정한 후(S540), 정정된 리드 데이터 신호가 메모리 컨트롤러(100)로 출력되도록 한다(S55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1000)은 라이트 데이터 신호 또는 리드 데이터 신호의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ECC 회로부(230)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시킴으로써 메모리 컨트롤러(100)의 오버 헤드 현상과 메모리 컨트롤러(100)에서 소요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1000)은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영역(210)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에서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가 적층된 메모리 셀 영역(210)을 제어하는 제어 로직 영역(220)의 여유 부분에 ECC 회로부(230)를 구비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1000)은 메모리 컨트롤러(100)에서 데이터 관통 라인(DQL)을 통해 데이터 신호(DQ)만 받아서 내부적으로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기 때문에 메모리 컨트롤러(100)와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 사이의 프로토콜 협의가 필요치 않아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반도체 시스템 100: 메모리 컨트롤러
200: 반도체 메모리 장치 210: 메모리 셀 영역
220: 제어 로직 영역 230: ECC 회로부
231: 패리티 생성부 232: 에러 검출부
233: 에러 정정부

Claims (6)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이 집적되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복수 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관통 라인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영역; 및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과 상기 데이터 신호를 서로 다른 관통 라인에 전송하는 제어 로직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로직 영역은,
    상기 메모리 셀 영역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의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ECC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CC 회로부는,
    상기 메모리 셀 영역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관통 라인으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은 데이터 마스크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마스크 관통 라인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CC 회로부는
    상기 메모리 셀 영역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는 패리티 생성부;
    상기 패리티 생성부에서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과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 및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서 데이터 출력 시, 상기 에러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의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외부에서 커맨드 신호, 어드레스 신호, 데이터 마스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가 라이트 또는 리드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라이트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라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여 라이트 데이터와 패리티 비트들을 서로 다른 관통 라인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 출력되는 리드 데이터의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리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에서 입력되는 라이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이 집적되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복수 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관통 라인이 형성되는 메모리 셀 영역;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에서 입력되는 라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라이트 데이터와 상기 패리티 비트들을 서로 다른 관통 라인으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서 출력되는 리드 데이터의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리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 로직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 영역은,
    상기 라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리드 데이터의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ECC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ECC 회로부는 상기 라이트 데이터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관통 라인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고, 생성된 패리티 비트들은 데이터 마스크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마스크 관통 라인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시스템.
KR1020110074077A 2011-07-26 2011-07-26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KR20130012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77A KR20130012737A (ko) 2011-07-26 2011-07-26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13/532,299 US20130031439A1 (en) 2011-07-26 2012-06-25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semiconductor system having the same
TW101123919A TW201306042A (zh) 2011-07-26 2012-07-03 半導體記憶體裝置及具有半導體記憶體裝置的半導體系統
CN201210256703.1A CN102903394A (zh) 2011-07-26 2012-07-24 半导体存储装置和具有半导体存储装置的半导体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77A KR20130012737A (ko) 2011-07-26 2011-07-26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37A true KR20130012737A (ko) 2013-02-05

Family

ID=4757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77A KR20130012737A (ko) 2011-07-26 2011-07-26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031439A1 (ko)
KR (1) KR20130012737A (ko)
CN (1) CN102903394A (ko)
TW (1) TW2013060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517B1 (ko) 2013-02-26 2020-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러 정정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방법
US20150046764A1 (en) * 2013-08-06 2015-02-12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20150043044A (ko) * 2013-10-14 2015-04-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9263157B2 (en) 2013-12-23 2016-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defective connections in stacked memory devices
CN105023616A (zh) * 2014-04-30 2015-11-04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汉明码存取数据的方法及集成随机存取存储器
KR102290020B1 (ko) 2015-06-05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택드 칩 구조에서 소프트 데이터 페일 분석 및 구제 기능을 제공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426757B1 (ko) * 2016-04-25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US10042702B2 (en) * 2016-11-07 2018-08-07 SK Hynix Inc. Memory device transferring data between master and slave device an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same
KR20180061870A (ko) * 2016-11-30 2018-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662417B1 (ko) * 2017-01-11 2024-04-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KR102629405B1 (ko) * 2018-11-0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메모리 시스템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CN112289366B (zh) * 2019-07-25 2024-03-26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存储器存储装置及数据存取方法
CN116959540B (zh) * 2023-08-16 2024-03-01 沐曦集成电路(上海)有限公司 具有写掩码的数据校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8331A1 (en) * 2007-01-05 2008-07-10 Thomas Vogelsang Memory including error correction code circuit
US8429492B2 (en) * 2007-11-30 2013-04-23 Marvell World Trade Ltd. Error correcting code predication system and method
US9152496B2 (en) * 2007-12-21 2015-10-0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flash channel interface
KR101526497B1 (ko) * 2008-11-27 201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온 칩 및 이에 대한 정보 처리 방법
KR101062755B1 (ko) * 2009-07-29 2011-09-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Ecc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041005A1 (en) * 2009-08-11 2011-02-17 Selinger Robert D Controller and Method for Providing Read Status and Spare Block Management Information in a Flash Memory System
CN102483710A (zh) * 2009-08-25 2012-05-3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纠错
US9158616B2 (en) * 2009-12-09 2015-10-1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rror management in a memory device
US8437183B2 (en) * 2009-12-16 2013-05-07 Sandisk Il Ltd. Auxiliary parity bits for data written in multi-level cells
US8533564B2 (en) * 2009-12-23 2013-09-10 Sandisk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error correction of control data at a memory device
US8438344B2 (en) * 2010-03-12 2013-05-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overhead and timing improved architecture for performing error checking and correction for memories and buses in system-on-chips, and other circuits, systems and processes
TW201201008A (en) * 2010-03-22 2012-01-01 Mosaid Technologies Inc Composit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error correction
US9268632B2 (en) * 2010-09-24 2016-02-23 Rambus Inc. Memory device with ECC history table
US8341498B2 (en) * 2010-10-01 2012-12-25 Sandisk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data encoding
KR20120063329A (ko) * 2010-12-07 201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러 체크 및 정정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8484542B2 (en) * 2011-02-08 2013-07-09 Sandisk Technologies Inc. Data recovery using additional error correction coding data
US9337872B2 (en) * 2011-04-30 2016-05-10 Rambus Inc. Configurable, error-tolerant memory control
KR101824068B1 (ko) * 2011-07-28 2018-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컨트롤러 구동방법, 및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메모리 카드 및 휴대용 전자장치
US8959417B2 (en) * 2011-11-23 2015-02-17 Marvell World Trade Ltd. Providing low-latency error correcting code capability for memory
KR20130086887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버퍼,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및 이의 데이터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03394A (zh) 2013-01-30
TW201306042A (zh) 2013-02-01
US20130031439A1 (en)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273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11740967B2 (en) Memory device, memor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734106B2 (en) Memory repair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error code tracking
US11646094B2 (en) Memory system with error detection
US11070232B2 (en) Multi channel memory with flexible code-length ECC
US20200050562A1 (en) Interface for memory readout from a memory component in the event of fault
US1176273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US20240095134A1 (en) Memory module with dedicated repair devices
US10481973B2 (en) Memory module with dedicated repair devices
US11188417B2 (en) Memory system, memory module, and operation method of memory system
US1006245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94781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80123207A (ko)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20190163569A1 (en) Memor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memory
US119280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ress fault detection
US20240022263A1 (en) Memory, memory module, memor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memo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