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538A - 벨트식 클램프 - Google Patents

벨트식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538A
KR20130012538A KR1020120001102A KR20120001102A KR20130012538A KR 20130012538 A KR20130012538 A KR 20130012538A KR 1020120001102 A KR1020120001102 A KR 1020120001102A KR 20120001102 A KR20120001102 A KR 20120001102A KR 20130012538 A KR20130012538 A KR 20130012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band
hole
snap
tigh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852B1 (ko
Inventor
윤성환
Original Assignee
윤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환 filed Critical 윤성환
Publication of KR2013001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F16L33/085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with a scroll-type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12Hose-clips with a pivoted or swinging tightening or securing member, e.g. toggle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시 저지턱 및 최종 저지턱의 활용과 더불어 스냅돌기와 스냅홈의 스냅결합에 의해 밴드의 체결작업을 신속 견고하게 하여 조립불량을 방지하면서 작업성의 극대화를 실현할 수 있는 벨트식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식 클램프{BELT TYPE CLAMP}
본 발명은 벨트식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시 저지턱 및 최종 저지턱의 활용과 더불어 스냅돌기와 스냅홈의 스냅결합에 의해 밴드의 체결작업을 신속 견고하게 하여 조립불량을 방지하면서 작업성의 극대화를 실현할 수 있는 벨트식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나 호스 등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공장 등의 매연 가스 또는 먼지 등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이러한 덕트나 호스는 벨트식 클램프에 의하여 체결되어 그 길이가 연장되거나 다른 각도로 꺾여진 덕트 또는 호스 등에 연결되어 공기 통로의 변화를 모색하곤 한다.
제 1 선행특허(특허 제0658542호) "벨트식 클램프"의 다른 명칭으로 "벨트식 호스밴드"라고 제시된 특허 제0658542호(이하, 제 1 선행특허라 함)가 2006년 12월 19일자로 공고되어 있어, 이 제 1 선행특허를 인용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이때, 제 1 선행특허의 도면, 각 구성에 대한 명칭 및 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에 합치되는 명칭으로 편의상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제 1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호스밴드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호스밴드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0), 바디(20), 회동구(30) 및 조임볼트(40)로 이루어진다. 밴드(10)는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 재질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톱니홈(11)을 구비한다. 바디(20)는 밴드(10)의 일단을 받아들이면서 면 접촉되어 스폿 용접되는 베이스(21)의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밴드(10)의 타단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라인(23)을 각각 가짐과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경사장공(24)을 각각 지닌 측판(22)을 구비한다. 회동구(30)는 바디(20)의 측판(22) 사이의 상측에 씌워지는 회동판(31)의 일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1축공(32)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경사장공(傾斜長孔; 24)에 각각 끼워지는 회동축(33)을 구비하고, 회동판(31)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2축공(34)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경사라인(23)에 각각 걸쳐지는 걸림턱(35)을 구비하며, 다시 회동판(31)의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측판(22)을 각각 감싸는 스토퍼(36)를 구비한다. 조임볼트(40)는 제1축공(32) 및 제2축공(34)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되면서 밴드(10)의 톱니홈(11)에 치합되는 나사산(41)을 구비한다. 밴드(10), 바디(20), 회동구(30) 및 조임볼트(40)의 조립과정을 보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홈(11)을 구비한 밴드(10)의 일단을 바디(20)의 베이스(21) 속으로 밀어 넣어 서로 면 접촉되도록 하면서 스폿 용접하고, 회동구(30)의 제1축공(32) 및 제2축공(34)에 조임볼트(40)를 제자리 회전되도록 끼운 후, 회동구(30)의 회동축(33)이 바디(20) 즉, 측판(22)의 경사장공(24)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그 조립을 완료한다. 제 1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호스밴드의 체결과정을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d는 제 1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호스밴드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의 경사장공(24)에 회동구(30)의 회동축(33)을 끼운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구(30)를 조임볼트(40)와 함께 90°로 세워 회동판(31) 및 밴드(10)의 일단 사이의 틈새를 확보한 후 예를 들면 덕트(미 도시됨)의 외주연을 따라 밴드(10)의 타단을 원형으로 돌려 회동판(31) 및 밴드(10)의 일단 사이의 틈새 속으로 밀어 넣는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볼트(40)가 끼워진 회동구(30)를 더 회전시켜 즉, 회동축(33)을 중심으로 180°회전시켜 조임볼트(40)의 나사산(41)이 밴드(10)의 톱니홈(11)에 합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전동 드라이버; D)를 활용하여 조임볼트(40)를 제자리 회전시켜 나사산(41)이 톱니홈(11)에 치합하면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밴드(10)의 일단을 기준으로 그 타단을 끌어 당겨 덕트가 조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밴드(10)의 일단을 기준으로 밴드(10)의 타단이 끌려 당겨지는 과정에서 회동구(30)의 걸림턱(35)이 바디(20)의 경사라인(2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걸쳐져 바디(20)와 회동판(31)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조임볼트(40)의 나사산(41)이 밴드(10)의 톱니홈(11)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제 1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호스밴드의 체결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1 선행특허의 벨트식 호스밴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의 경사장공(24)에 회동구(30)의 회동축(33)을 끼운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구(30)를 조임볼트(40)와 함께 90°로 세워 회동판(31) 및 밴드(10)의 일단 사이의 틈새를 확보한 후 예를 들면 덕트(미 도시됨)의 외주연을 따라 밴드(10)의 타단을 원형으로 돌려 회동판(31) 및 밴드(10)의 일단 사이의 틈새 속으로 밀어 넣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볼트(40)가 끼워진 회동구(30)를 180°회전시켜 조임볼트(40)의 나사산(41)이 밴드(10)의 톱니홈(11)에 합치되도록 할 경우,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된 밴드(10) 자체의 탄성에 의해 펼쳐지는 힘이 발생하여 전동 드라이버(D)를 활용하여 조임볼트(40)를 회전시키려고 하더라도 나사산(41)이 톱니홈(11)에 합치되지 않고 들떠버리는 현상이 발생함과 동시에 걸림턱(35)이 경사라인(23)의 따라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경사라인(23)의 끝단에 걸쳐져 멈춰버려 조립작업을 매우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회동판(31)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서(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전동 드라이버(D)를 회전시켜야만 하여 조립불량은 물론이거니와 작업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한 작업성 및 조립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낳고 있는 것이다. 제 2 선행특허(특허 제0893038호) 제 2 선행특허는 본원 출원인이 2008.12.18. 출원하여 2009.04.15. 등록받은 특허 제0893038호(벨트식 클램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 2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2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0), 바디(20), 회동구(30) 및 조임볼트(40)로 이루어진다. 밴드(10)는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 재질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톱니홈(11)을 구비한다. 바디(20)는 밴드(10)의 일단을 받아들이면서 면 접촉되어 스폿 용접되는 베이스(21)의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밴드(10)의 타단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라인(23)을 각각 가짐과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경사장공(24)을 각각 지닌 측판(22)을 구비한다. 회동구(30)는 바디(20)의 측판(22) 사이의 상측에 씌워지는 회동판(31)의 일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1축공(32)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경사장공(24)에 각각 끼워지는 회동축(33)을 구비하고, 회동판(31)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2축공(34)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경사라인(23)에 각각 걸쳐지는 걸림턱(35)을 구비하며, 다시 회동판(31)의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측판(22)을 각각 감싸는 스토퍼(36)를 구비한다. 조임볼트(40)는 제1축공(32) 및 제2축공(34)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되면서 밴드(10)의 톱니홈(11)에 치합되는 나사산(41)을 구비한다. 이때, 제 2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는 스토퍼(36)의 내측에 각각 돌출된 스냅돌기(37)와, 측판(22)의 외측에 각각 함몰되어 스냅돌기(37)를 받아들이는 스냅홈(25)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20)의 베이스(21)에 면 접촉되는 밴드(10)는 절곡부(12)를 구비한다. 밴드(10), 바디(20), 회동구(30) 및 조임볼트(40)의 조립과정을 보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홈(11)을 구비한 밴드(10)의 일단을 바디(20)의 베이스(21) 속으로 밀어 넣어 절곡부(12)가 서로 접촉되도록 하면서 스폿 용접시키고, 회동구(30)의 제1축공(32) 및 제2축공(34)에 조임볼트(40)를 제자리 회전되도록 끼운 후, 회동구(30)의 회동축(33)이 바디(20) 즉, 측판(22)의 경사장공(24)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제 1 선행특허에서처럼 바디(20)의 베이스(21)에 밴드(10)가 수평상태로 스폿 용접될 경우 조임볼트(40)의 회전으로 밴드(10)를 끌어당기는 과정에서 베이스(21)와 밴드(10)가 서로 분리될 우려가 있지만, 밴드(10)에 절곡부(12)를 부여할 경우 절곡부(12)가 베이스(21)에 안착되면서 스폿 용접되어 조임볼트(40)로 밴드(10)를 끌어당기더라도 베이스(21)와 절곡부(12)가 서로 걸쳐져 분리되는 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제 2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체결과정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d는 제 2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의 경사장공(24)에 회동구(30)의 회동축(33)을 끼운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구(30)를 조임볼트(40)와 함께 90°로 세워 회동판(31) 및 밴드(10)의 일단 사이의 틈새를 확보한 후 예를 들면 덕트(미 도시됨)의 외주연을 따라 밴드(10)의 타단을 원형으로 돌려 회동판(31) 및 밴드(10)의 일단 사이의 틈새 속으로 밀어 넣는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볼트(40)가 끼워진 회동구(30)를 회전시켜 즉, 회동축(33)을 중심으로 180°회전시켜 조임볼트(40)의 나사산(41)이 밴드(10)의 톱니홈(11)에 합치되도록 하면서 스토퍼(36)의 스냅돌기(37)가 바디(20)의 스냅홈(25)에 찰카닥 맞물리도록 한다. 스토퍼(36)의 스냅돌기(37)가 바디(20) 즉, 측판(22)의 스냅홈(25)에 찰카닥 맞물림으로써 회동판(31)의 누름압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밴드(10) 자체의 탄성에 의해 펼쳐지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조임볼트(40)의 나사산(41)이 밴드(10)의 톱니홈(11)에 그대로 밀착되면서 치합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전동 드라이버; D)를 활용하여 조임볼트(40)를 제자리 회전시켜 나사산(41)이 톱니홈(11)에 합치되도록 함으로써 밴드(10)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을 끌어 당겨 덕트를 자연스럽게 조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밴드(10)의 일단을 기준으로 밴드(10)의 타단이 끌려 당겨지는 과정에서 회동구(30)의 걸림턱(35)이 바디(20)의 경사라인(2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걸쳐져 바디(20)와 회동판(31)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조임볼트(40)의 나사산(41)이 밴드(10)의 톱니홈(11)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조립을 신속 정확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임볼트(40)가 끼워진 회동구(30)를 180°회전시켜 조임볼트(40)의 나사산(41)이 밴드(10)의 톱니홈(11)에 합치되도록 하면서 스토퍼(36)의 스냅돌기(37)가 바디(20)의 스냅홈(25)에 찰카닥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회동판(31)의 누름압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밴드(10) 자체의 탄성에 의해 펼쳐지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조임볼트(40)의 나사산(41)이 밴드(10)의 톱니홈(11)에 그대로 치합될 수 있게 되어 전동 드라이버(D)로 조임볼트(40)를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자연스러운 동작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거니와, 나사산(41)이 톱니홈(11)에 합치되면서 밴드(10)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을 끌어 당겨 덕트를 자연스럽게 조일 수 있음과 동시에 회동구(30)의 걸림턱(35)이 바디(20)의 경사라인(23)의 끝단에 멈추지 않고 자연스럽게 경사라인(2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걸쳐져 바디(20)와 회동판(31)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조임볼트(40)의 나사산(41)과 밴드(10)에 형성된 톱니홈(11)의 밀착 고정을 가능케 함으로써 상호간의 조립을 신속 정확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냅돌기(37)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스냅홈(25)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스냅돌기(37)가 반구형으로 형성될 경우 바디(20)를 향하여 회동판(31)을 가압할 때 스냅돌기(37)의 반구형 곡면이 스냅홈(25)을 따라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바디(20)로부터 회동판(31)을 이격시킬 때 스냅돌기(37)의 반구형 곡면이 스냅홈(2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며, 스냅홈(25)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회동축(33)이 경사장공(24)을 따라 상한점에서 하한점으로 밀려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냅돌기(37)가 타원형의 스냅홈(25)을 따라 유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제 2 선행특허는 드라이버(전동 드라이버; D)를 활용하여 조임볼트(40)를 조이기 시작할 때 밴드(10)의 타단이 끌려옴과 동시에 회동축(33)이 경사장공(24)을 따라 후진하여, 결국 바디(20)의 베이스(21)에 놓여진 밴드(10)의 타단과 조임볼트(40) 사이의 틈새가 지나치게 밀착되어 덕트의 직경을 고려해 밴드(10)를 더 조여야만 하는데도 불구하고 조임볼트(40)가 밴드(10)의 타단을 끌어오지 못하고 제자리 회전되는 불량, 즉 덕트의 조임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시 저지턱 및 최종 저지턱의 활용으로 밴드를 더욱 견고하고 신속하게 조일 수 있는 벨트식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냅돌기와 스냅홈의 스냅결합에 의해 밴드의 체결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벨트식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톱니홈이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단을 받아들이면서 면 접촉되어 스폿 용접되는 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밴드의 타단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라인을 각각 지님과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경사장공을 각각 가진 측판을 구비한 바디와; 상기 측판 사이의 상측에 씌워지는 회동판의 일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1축공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장공에 각각 끼워지는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판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2축공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라인에 각각 걸쳐지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판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상향 연장되어 상기 측판을 각각 감싸는 스토퍼를 구비한 회동구와; 상기 제1축공 및 제2축공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밴드의 톱니홈에 치합되는 나사산을 지닌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벨트식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측판의 상단을 감싸는 수평 스토퍼 및 상기 측판의 외측면을 감싸는 수직 스토퍼로 나뉘어지고,
상기 조임볼트를 조이기 시작할 때 상기 수직 스토퍼가 상기 경사장공을 향하여 밀려가지 않도록 상기 측판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수평 스토퍼의 진입을 임시적으로 저지하는 임시 저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볼트를 더 조여 마무리할 때 상기 수직 스토퍼가 상기 경사장공을 향하여 밀려감과 동시에 상기 수평 스토퍼가 상기 임시 저지턱을 순간적으로 넘어가면서 최종적으로 멈추도록 저지하는 최종 저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임볼트를 조이기 시작할 때 수직 스토퍼가 경사장공을 향하여 밀려가지 않도록 측판의 상단에 돌출되어 수평 스토퍼의 진입을 임시적으로 저지하는 임시 저지턱을 구비하고, 조임볼트를 더 조여 마무리할 때 수직 스토퍼가 경사장공을 향하여 밀려감과 동시에 수평 스토퍼가 임시 저지턱을 순간적으로 넘어가면서 최종적으로 멈추도록 저지하는 최종 저지턱을 구비하여 덕트의 조임을 더욱 긴밀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냅돌기와 스냅홈의 스냅결합에 의해 밴드의 체결작업을 신속하게 하여 조립불량을 방지하면서 작업성 및 조립성의 극대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임볼트가 끼워진 회동구를 회전시켜 조임볼트의 나사산이 밴드의 톱니홈에 합치되도록 하면서 스토퍼의 스냅돌기가 바디의 스냅홈에 찰카닥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회동판의 누름압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밴드 자체의 탄성에 의해 펼쳐지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조임볼트의 나사산이 밴드의 톱니홈에 그대로 치합될 수 있게 되어 전동 드라이버로 조임볼트를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자연스러운 동작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거니와, 나사산이 톱니홈에 합치되면서 밴드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을 끌어 당겨 덕트를 자연스럽게 조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회동구의 걸림턱이 바디의 경사라인의 끝단에 걸쳐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경사라인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걸쳐져 바디와 회동판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조임볼트의 나사산과 밴드의 톱니홈이 더욱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상호간의 조립을 신속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냅돌기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바디를 향하여 회동판을 가압할 때 스냅돌기의 반구형 곡면이 스냅홈을 따라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바디로부터 회동판을 이격시킬 때 스냅돌기의 반구형 곡면이 스냅홈을 따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냅홈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회동축이 경사장공을 따라 밀려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냅돌기가 타원형의 스냅홈을 따라 유격상태를 보장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절곡부가 베이스에 안착되면서 스폿 용접됨으로써 조임볼트로 밴드를 끌어당기더라도 베이스와 절곡부의 스폿 용접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호간의 분리되는 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제 1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호스밴드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제 1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호스밴드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제 1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호스밴드의 체결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제 2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제 2 선행특허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면 중 미 넘버링된 부호 및 명칭은 제 2 선행특허의 부호 및 명칭과 동일한 것으로 하면서, 조립과정 및 체결과정 등의 중복된 부분은 제 2 선행특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는 도 6a 내지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홈(11)이 형성된 밴드(10)와; 밴드(10)의 일단을 받아들이면서 면 접촉되어 스폿 용접되는 베이스(21)의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밴드(10)의 타단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라인(23)을 각각 지님과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경사장공(24)을 각각 가진 측판(22)을 구비한 바디(20)와; 측판(22) 사이의 상측에 씌워지는 회동판(31)의 일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1축공(32)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경사장공(24)에 각각 끼워지는 회동축(33)을 구비하고, 회동판(31)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2축공(34)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경사라인(23)에 각각 걸쳐지는 걸림턱(35)을 구비하며, 회동판(31)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상향 연장되어 상기 측판(22)을 각각 감싸는 스토퍼(36)를 구비한 회동구(30)와; 제1축공(32) 및 제2축공(34)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되면서 밴드(10)의 톱니홈(11)에 치합되는 나사산(41)을 지닌 조임볼트(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토퍼(36)는 측판(22)의 상단을 감싸는 수평 스토퍼(36a) 및 측판(22)의 외측면을 감싸는 수직 스토퍼(36b)로 나뉘어지고, 조임볼트(40)를 조이기 시작할 때 수직 스토퍼(36b)가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밀려가지 않도록 측판(22)의 상단에 돌출되어 수평 스토퍼(36a)의 진입을 임시적으로 저지하는 임시 저지턱(22a)을 구비하고, 조임볼트(40)를 더 조여 마무리할 때 수직 스토퍼(36b)가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밀려감과 동시에 수평 스토퍼(36a)가 임시 저지턱(22a)을 순간적으로 넘어가면서 최종적으로 멈추도록 저지하는 최종 저지턱(22b)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는 조임볼트(40)를 조이기 시작할 때 수직 스토퍼(36b)가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밀려가지 않도록 측판(22)의 상단에 돌출되어 수평 스토퍼(36a)의 진입을 임시적으로 저지하는 임시 저지턱(22a)을 구비하고, 조임볼트(40)의 더 조여 마무리할 때 수직 스토퍼(36b)가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밀려감과 동시에 수평 스토퍼(36a)가 임시 저지턱(22a)을 순간적으로 넘어가면서 최종적으로 멈추도록 저지하는 최종 저지턱(22b)을 구비하여 덕트의 조임을 더욱 긴밀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조임볼트(40)를 조이기 시작할 때 수직 스토퍼(36b)가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밀려가지 않도록 측판(22)의 상단에 돌출되어 수평 스토퍼(36a)의 진입을 임시적으로 저지하는 임시 저지턱(22a)에 의해 바디(20)의 베이스(21)에 놓여진 밴드(10)의 타단과 조임볼트(40) 사이의 틈새가 여유있게 확보되어 덕트나 기타 조이고자 하는 물체의 직경에 맞추어 밴드(10)를 더욱 수월하고 견고하게 조일 수 있게 되고, 조임볼트(40)를 더 조여 마무리하고자 할 때 수직 스토퍼(36b)가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밀려감과 동시에 수평 스토퍼(36a)가 임시 저지턱(22a)을 순간적으로 넘어가면서 최종 저지턱(22b) 이르러 멈춤으로써 드라이버(D) 등을 활용하여 조임볼트(40)를 최종적으로 더욱 강하게 조여 밴드(10)의 조임상태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벨트식 클램프는 수직 스토퍼(36b)의 내측에 각각 돌출된 스냅돌기(37)와, 측판(22)의 외측에 각각 함몰되어 스냅돌기(37)를 받아들이는 스냅홈(25)을 포함할 수 있고, 스냅돌기(37) 및 스냅홈(25)의 착탈 결합에 의해 임시 저지턱(22a)과의 유기적인 동작을 이루어, 즉 스냅돌기(37) 및 스냅홈(25)의 결합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초기 드라이버(D)의 구동으로 수평 스토퍼(36a)가 임시 저지턱(22a)에 머무른 후 밴드(10)의 최종 조립시 수평 스토퍼(36a)가 최종 지지턱(22b)에 지지되면서 밴드(10)의 조임을 더욱 편리하고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사장공(24)은 밴드(10)의 타단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져 드라이버(D)의 회전에 따라, 밴드(10)의 타단이 끌어당겨지면 당겨질수록 회동축(33)이 경사장공(24)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디(20)의 베이스(21)에 놓여진 밴드(10)의 타단과 조임볼트(40) 사이의 틈새가 더욱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밴드(10)의 견고한 조립을 보장케 한다.
바람직하게, 스냅돌기(37)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스냅홈(25)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더욱 부드럽게 착탈 가능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스냅홈(25)은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낮아지는 낮은 홈(25a)을 더 포함하여 밴드(10)의 타단이 끌어당겨지면 당겨질수록 회동축(33)이 경사장공(24)을 따라 이동되면서 낮아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냅돌기(25) 역시 바디(20)의 베이스(21)에 놓여진 밴드(10)의 타단과 조임볼트(40)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할 수 있도록 낮은 홈(25a)을 따라 낮제 안착되어 밴드(10)의 조임상태를 더욱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덕트 또는 호스 등에 사용되는 벨트식 클램프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10 : 밴드 11 : 톱니홈
12 : 절곡부 20 : 바디
21 : 베이스 22 : 측판
22a : 임시 저지턱 22b : 최종 저지턱
23 : 경사라인 24 : 경사장공
25 : 스냅홈 25a : 낮은 홈
30 : 회동구 31 : 회동판
32 : 제1축공 33 : 회동축
34 : 제2축공 35 : 걸림턱
36 : 스토퍼 36a : 수평 스토퍼
36b : 수직 스토퍼 37 : 스냅돌기
40 : 조임볼트 41 : 나사산
D : 드라이버

Claims (5)

  1. 톱니홈(11)이 형성된 밴드(10)와; 상기 밴드(10)의 일단을 받아들이면서 면 접촉되어 스폿 용접되는 베이스(21)의 양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밴드(10)의 타단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라인(23)을 각각 지님과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경사장공(24)을 각각 가진 측판(22)을 구비한 바디(20)와; 상기 측판(22) 사이의 상측에 씌워지는 회동판(31)의 일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1축공(32)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장공(24)에 각각 끼워지는 회동축(33)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판(31)의 타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제2축공(34)을 지님과 동시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라인(23)에 각각 걸쳐지는 걸림턱(35)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판(31)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상향 연장되어 상기 측판(22)을 각각 감싸는 스토퍼(36)를 구비한 회동구(30)와; 상기 제1축공(32) 및 제2축공(34)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밴드(10)의 톱니홈(11)에 치합되는 나사산(41)을 지닌 조임볼트(40)를 포함하는 벨트식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6)는 상기 측판(22)의 상단을 감싸는 수평 스토퍼(36a) 및 상기 측판(22)의 외측면을 감싸는 수직 스토퍼(36b)로 나뉘어지고,
    상기 조임볼트(40)를 조이기 시작할 때 상기 수직 스토퍼(36b)가 상기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밀려가지 않도록 상기 측판(22)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수평 스토퍼(36a)의 진입을 임시적으로 저지하는 임시 저지턱(22a)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볼트(40)를 더 조여 마무리할 때 상기 수직 스토퍼(36b)가 상기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밀려감과 동시에 상기 수평 스토퍼(36a)가 상기 임시 저지턱(22a)을 순간적으로 넘어가면서 최종적으로 멈추도록 저지하는 최종 저지턱(2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토퍼(36b)의 내측에 각각 돌출된 스냅돌기(37)와,
    상기 측판(22)의 외측에 각각 함몰되어 상기 스냅돌기(37)를 받아들이는 스냅홈(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장공(24)은 상기 밴드(10)의 타단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돌기(37)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냅홈(25)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클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홈(25)은 상기 경사장공(24)을 향하여 낮아지는 낮은 홈(25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클램프.
KR1020120001102A 2011-07-25 2012-01-04 벨트식 클램프 KR101334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3769 2011-07-25
KR1020110073769 2011-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538A true KR20130012538A (ko) 2013-02-04
KR101334852B1 KR101334852B1 (ko) 2013-12-02

Family

ID=4789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102A KR101334852B1 (ko) 2011-07-25 2012-01-04 벨트식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3132A (zh) * 2018-01-16 2018-05-15 天津中钢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轧钢带卷紧固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495Y1 (ko) * 2021-08-04 2022-06-07 김천 밴드 클램프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0007A1 (de) 1981-07-30 1983-02-17 Kurt 7238 Oberndorf Allert Schlauchschelle
US5063642A (en) 1990-04-19 1991-11-12 Andras Toth Quick release band clamp
CA2096557C (en) * 1992-05-22 1999-12-14 Richard Chene Hose clamp incorporating tightening screw
KR100893038B1 (ko) * 2008-12-18 2009-04-15 윤성환 벨트식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3132A (zh) * 2018-01-16 2018-05-15 天津中钢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轧钢带卷紧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852B1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038B1 (ko) 벨트식 클램프
US20100058563A1 (en) Clamp Securement
US11384866B2 (en) Pipe clamp
KR101334852B1 (ko) 벨트식 클램프
JP2011047463A (ja) 取着体装置及び取着体
KR20170003058A (ko) 결합이 용이한 가구조립용 체결구
JP2006336676A (ja) ボルトに結合されたナットが離脱しないようにしたクランプ
JP6313737B2 (ja) ブレース連結金具
KR101170405B1 (ko) 벨트타입 클램프
JP5452159B2 (ja) 配線ボックス
JP2005090681A (ja) クリップ
KR20140001924U (ko) 플랜지용 퀵 클램프
KR101506531B1 (ko) 밸브 핸들 고정용 클램프
KR200475714Y1 (ko) 가구용 체결 장치
JP2004052938A (ja) 流水部材の固定装置
KR200467897Y1 (ko) 밴드 클램프
JP2009044890A (ja) 電線設備具
JP2010077693A (ja) 折板屋根用取付具
GB2526672A (en) Screw clamp retainer
US20060137312A1 (en) Positioning device for the dust-collecting bag of a dust-collecting machine
JP2009103158A (ja) 緩み止めマウンティングボ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固定具
KR101078103B1 (ko) 파이프 고정장치
JP3928121B2 (ja) 水栓部品の取付台座
JP2008023623A (ja) スパナ
JP3198271U (ja) 樋保持具用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