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996A -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996A
KR20130011996A KR20120079764A KR20120079764A KR20130011996A KR 20130011996 A KR20130011996 A KR 20130011996A KR 20120079764 A KR20120079764 A KR 20120079764A KR 20120079764 A KR20120079764 A KR 20120079764A KR 20130011996 A KR20130011996 A KR 2013001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device
head unit
messa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7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연
맹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1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B60K35/80
    • B60K35/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B60K2360/5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 유닛 장치에 의한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은, 모바일 장치에 통지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단계와; 통지 대상이 되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SERVICE IN A VEHICLE,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HEAD UNIT DEVICE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통지(Notification)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에 콜(Call) 수신, 메시지(Message) 수신, 장치 상태(Device Status) 알람 등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일방향 또는 양방향 통지(Notification)를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있어 자동차는 단순히 운전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안에서 각종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힘입어, 차량 내에 모바일 장치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받거나 음악이나 비디오와 같은 미디어들을 즐길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포테인먼트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되는데, 이러한 정보는 통상적으로 음향 형태, 시각적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차량 내의 모바일 장치와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의 상호 작용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와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간의 상호 작용은 사용자의 특정 요구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콜 정보, 메시지 정보 또는 장치 상태 정보의 전달 등과 같이 통지가 필요한 서비스들을 위한 통지 메커니즘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헤드 유닛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에 있어서 차량 내 특성에 맞추어 콜 정보, 메시지 정보 또는 장치 상태 정보의 전달 등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 통지를 하기 위한 새로운 통지 메커니즘을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 유닛 장치에 의한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은, 모바일 장치에 통지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단계와; 통지 대상이 되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 의한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은, 헤드 유닛 장치로부터 통지 서비스의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통지 대상이 되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헤드 유닛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콜 수신, 콜 발신, 콜 상태의 변경, 메시지 수신, 메시지 상태의 변경 및 장치 상태 알람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 환경에서, 헤드 유닛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에 있어서 수신/발신 콜(Incoming/Outgoing Call), 새로운 메시지(New Message) 또는 특정 위험한 레벨의 장치 상태 알람(Device Status Alarm)의 전달 등과 같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통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통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수신 콜 정보 통지와 관련된 콜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액션 요청 및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발신 콜 통지와 관련된 콜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수신 메시지 통지와 관련된 메시지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CDB 아키텍처 기반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미디어 세션(Media session)이 예상치 않게 끊겼을 경우에 콜 상태가 변화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통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UPnP 텔레포니(Telephony)를 이용한 발신 콜 통지와 관련된 콜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에 미디어 스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통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은 차량 내 설치된 헤드 유닛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200)를 포함한다.
헤드 유닛 장치(100)는 제1 스피커(111), 제1 마이크(114) 및 제1 표시부(116)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제1 센서부(120), 제1 메모리(130), 제1 통신부(140), 제1 카메라(150) 및 제1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장치(200)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노트북, 랩탑, 태블릿(Tablet) PC,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2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는 제2 스피커(212), 제2 마이크(214) 및 제2 표시부(216)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10), 제2 센서부(220), 제2 메모리(230), 제2 통신부(240), 제2 카메라(250) 및 제2 제어부(260)를 포함한다.이하, 모바일 장치(200) 및 헤드 유닛 장치(100) 각각의 공통되는 기본 기능에 대해 먼저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이하,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210)라고 하면 헤드 유닛 장치(100)에서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가 되고, 모바일 장치(200)에서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10)가 된다. 즉, 이하의 설명은 모바일 장치(200)의 구성 소자들이 수행하는 기능들 또는 모바일 장치(200)의 구성 소자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보거나, 헤드 유닛 장치(100)의 구성 소자들이 수행하는 기능들 또는 헤드 유닛 장치(100)의 구성 소자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2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버튼, 진동 모터, 커넥터, 키패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210)의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제어부(160; 260)와의 정보 통신 및 표시부(116; 216) 상의 커서 움직임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스피커(112; 212)는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방송 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2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12; 212)는 장치(100; 2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12; 212)는 장치(100; 200)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114; 214)는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버튼은 장치(100; 200)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터는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장치(100; 200)는 통신부(140; 240)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에 진동 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진동 모터는 장치(100; 200)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는 표시부(116; 216)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표시부(116; 216)의 표면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는 장치(100; 200)와 외부 장치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장치(100; 200)의 메모리(130; 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는 장치(100; 2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는 장치(100; 2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 또는 표시부(116; 216)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를 포함한다.
표시부(116; 216)는 제어부(160; 26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16; 216)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6; 216)는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고, 그 표면에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이 접촉하면 키 접촉 인터럽트(interrupt)를 발생시키고,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라 입력 좌표 및 입력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어부(160; 260)로 출력한다.
표시부(116; 216)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또는 기능(예, 차량 내 통지 서비스,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동영상 촬영)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16; 216)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터치 정보(즉,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어부(160; 26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6; 216)는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표시부(116; 216)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표시부(116; 216)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 가능한 간격이 1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6; 216)는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120; 220)는 장치(100; 200)의 상태(위치, 방위, 움직임 등)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 220)는 사용자가 장치(100; 200)에 접근하는 정도 또는 그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또는 장치(100; 200)의 동작(예를 들어, 장치(100; 200)의 회전, 가속, 감속, 진동 등)을 검출하는 모션/방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션/방위 센서는 가속도 센서, 중력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gyro) 센서, 충격센서, GPS, 나침반 센서(compass sensor),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 220)는 장치(100; 200)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센서는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 2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 200)의 GPS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나침반 센서는 장치(100; 200)의 자세 또는 방위를 산출한다.
통신부(140; 240)는 서버 또는 외부 장치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일 수 있으며, 제어부(160; 260), 메모리(130; 230), 카메라(150; 25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 통신선 또는 대기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160; 260)로 전달하거나 메모리(130; 230)에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140; 240)는 이동통신 모듈과, 무선랜(WLAN) 모듈(144; 244)과, 블루투스(Bluetooth: BT) 모듈(142; 242),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듈(146; 246) 등과 같은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 240)의 다른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종합 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모듈, 모뎀, 적외선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모듈은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과 같은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을 통해 장치(100; 2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은 전화번호 또는 네트워크 주소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외부 장치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등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랜 모듈(144; 244)은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되거나, 장치(100; 2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랜 모듈(144; 244)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하고, Wi-Fi, Wi-Fi 다이렉트(Direct) 등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 2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SB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50; 250)는 렌즈계, 이미지 센서, 플래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렌즈계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0; 26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카메라(150; 250)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렌즈계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렴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렌즈계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각 렌즈는 볼록 렌즈, 비구면 렌즈 등일 수 있다. 렌즈계는 그 중심을 지나는 광축(optical axis)에 대해 대칭성을 가지며, 광축은 이러한 중심 축으로 정의된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계를 통해 입사된 외부 광에 의해 형성된 광학적 이미지를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 검출한다. 이미지 센서는 M×N 행렬(matrix) 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pixel) 유닛을 구비하며, 화소 유닛은 포토다이오드 및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유닛은 입사된 광에 의해 생성된 전하를 축적하고, 축적된 전하에 의한 전압은 상기 입사된 광의 조도를 나타낸다.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신호는 화소 유닛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즉, 화소 값들)의 집합으로 구성되고, 이미지 신호는 하나의 프레임(즉, 정지 이미지)을 나타낸다. 또한, 프레임은 M×N 화소로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로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160; 26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센서를 구동한다. 구동부는 제어부(160; 26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전체 화소들 또는 전체 화소 중에서 관심 영역의 화소들만을 노출시키고, 화소들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제어부(160; 260)로 출력된다.
제어부(160; 260)는 카메라(150; 25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이미지를 프레임(frame) 단위로 처리하며, 표시부(116; 216)의 화면 특성(크기, 화질, 해상도 등)에 맞도록 변환된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한다.
메모리(130; 230)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내비게이션, 영상 통화,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차량 내 통지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예를 들어, 메시지, 설정 값들 등), 장치(100; 2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 230)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메모리(130; 230)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이러한 명령들을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card), 페이퍼 테이프(paper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60; 260)는 외부 장치의 요청,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자동 실행 설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장치의 요청,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자동 실행 설정에 따른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키패드, 표시부(116; 216) 등을 통한 입력 또는 카메라 기반의 입력을 포함한다.제어부(160; 260)는 정보 통신을 위한 버스(bus) 및 정보 처리를 위해 상기 버스와 연결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 260)는 또한 프로세서에 의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버스와 연결된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요구되는 임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0)는 프로세서에 의해 요구되는 정적 정보(static information)를 저장하기 위해 버스와 연결되는 롬(read only memory: RO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 260)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장치(100; 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모바일 장치(200) 및 헤드 유닛 장치(100)의 상호 동작에 대해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헤드 유닛 장치(100) 및 모바일 장치(200)는 TCP/IP에 따라 제1 및 제2 통신부(140, 240)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거나 서로 연결된다. 또한, 헤드 유닛 장치(100) 및 모바일 장치(2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차량 내 통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CDB(Common Data Bus) 프로토콜 등과 같은 서비스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이러한 CDB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 방식에 따르면, 헤드 유닛 장치(100) 및 모바일 장치(200)는 터미널 모드 클라이언트(terminal mode client)와 터미널 모드 서버(terminal mode server)에 각각 대응된다. 헤드 유닛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소스(data source)로서 기능하는 제1 CDB 소스 엔드포인트(CDB source endpoint, 174)와,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싱크(data sink)로서 기능하는 제1 CDB 싱크 엔드포인트(172)와, 차량 내 통지 서비스를 담당하는 제1 통지 모듈(176)을 포함하는 제1 CDB 엔드포인트(170)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소스로서 기능하는 제2 CDB 소스 엔드포인트(274)와,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싱크로서 기능하는 제2 CDB 싱크 엔드포인트(272)와, 차량 내 통지 서비스를 담당하는 제2 통지 모듈(276)을 포함하는 제2 CDB 엔드포인트(270)를 포함한다. 각 CDB 엔드포인트(170; 270)는 해당 제어부(160; 260) 내 기능 모듈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각 CDB 엔드포인트(170; 270)가 수행하는 기능은 해당 제어부(160; 260) 또는 해당 장치(100; 200)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TCP/IP 연결 기반의 CDB(Common Data Bus) 프로토콜은 하기 표 1과 같이 정의된다.
StartService : Request CDB source endpoint to start a specific service
StopService : Request CDB source endpoint to stop a specific service
ServicesSupported : Provide a list of supported data services
ServicesRequest : Requests the list of supported services
ServicePayload : Deliver the service specific payload
ServiceErrorResponse : Indicate an error within one service
BusError : Indicate an error within the Common Data Bus
Ping : Message to check the connection
ServiceOkResponse : Responds to a Ping, StartService and StopService message
현재의 CDB 프로토콜은 콜(Call) 정보, 메시지(Message) 정보 또는 장치 상태(Device Status) 정보 등의 전달과 같은 통지(Notification)가 필요한 서비스들을 위한 통지 메커니즘을 정의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헤드 유닛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200) 간에 차량 내 특성에 맞추어 콜 정보, 메시지 정보 또는 장치 상태 정보의 전달 등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 통지를 하기 위한 새로운 통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통지 서비스 싱크(Notification Service Sink)로서 기능하는 헤드 유닛 장치(100)와 통지 서비스 소스(Notification Service Source)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장치(200)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유닛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200)는 TCP/IP 및 CDB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상호 통신한다. 각 메시지의 생성은 해당 CDB 엔드포인트(170; 270)에 의해 수행되며, 각 메시지의 전송 및 수신은 해당 CDB 엔드포인트(170; 270)가 해당 통신부(140; 240)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S210 단계에서, 헤드 유닛 장치(100)는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메시지(register message)(또는, 가입을 요청하는 가입(subscribe)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등록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한다. 상기 등록 메시지는 헤드 유닛 장치(100)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통지의 타입을 모바일 장치(200)에 등록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미리 설정되거나 가능한 모든 타입의 통지 서비스의 이용 의사를 모바일 장치(200)에 등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등록의 해제를 요청하는 등록 해제(Unsubscribe 또는 Unregister) 메시지는 수신하기를 원하지 않는 통지의 타입(즉, 등록 해제하기를 원하는 통지의 타입)를 모바일 장치(200)에 알리기 위해 사용되거나, 통지 서비스의 해지 의사를 모바일 장치(200)에 등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기 표 2의 1행은 콜과 메시지 관련 통지를 수신할 것(즉, 콜과 메시지 관련 통지를 전송하여 줄 것을 모바일 장치(200)에 요청)을 나타내는 등록 메시지의 내용을 예시한다. 그리고, 하기 표 2의 2행은 콜과 메시지 관련 통지를 수신하지 않을 것(즉, 콜과 메시지 관련 통지를 전송하지 말 것을 모바일 장치(200)에 요청)을 나타내는 등록 해제 메시지의 내용을 예시한다.
<Subscribe>
<Type>Call, Message</Type>
</Subscribe>
<Unsubscribe>
<Type>Call, Message</Type>
</Unsubscribe>
S215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200)는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등록 요청에 응답하는 등록 응답(Subscribe Response)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 전송한다. 하기 표 3은 등록 응답 메시지의 내용을 예시한다. 등록 응답 메시지는 등록 요청의 판단 결과, 즉 등록 성공(즉, OK) 혹은 등록 실패(즉, 에러(Error))를 포함한다. 하기 표 3의 1행은 등록 성공을 내용으로 하는 등록 응답(Subscribe Response) 메시지를 예시하고, 하기 표 3의 2행은 등록 실패를 내용으로 하는 등록 응답(Subscribe Response) 메시지를 예시한다. 에러 코드(Error Code)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확장 정의될 수 있다.
<SubscribeResponse>
<Type>Call, Message</Type>
<Result>OK</Result>
</SubscribeResponse>
<SubscribeResponse>
<Type>Call, Message</Type>
<Result>Error</Result>
<ErrorCode>500</ErrorCode>
</SubscribeResponse>
S210 단계 이전에, 헤드 유닛 장치(100)는 CDB 프로토콜에 따라 통지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서비스 개시(StartService) 메시지, 즉 CDB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CDB 메시지인 서비스 개시 메시지를 통해 헤드 유닛 장치(100) 및 모바일 장치(200)에서 통지 서비스가 시작되면, 등록 과정, 즉 S210 및 S215 단계들이 생략되고, 통지의 타입을 한정하지 않고, 헤드 유닛 장치(100)가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모든 타입의 통지를 받을 수 있도록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등록 과정이 수행되고 난 후, 헤드 유닛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S220 단계에서 콜 정보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S225 단계에서 메시지 정보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는, S230 단계에서 헤드 유닛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00)로 설정 값(SetValues)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S235 단계에서 헤드 유닛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설정 값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S240 단계에서 헤드 유닛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장치 상태 알람(StatusAlarm) 통지 메시지 또는 장치 상태 정보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S250 단계에서 헤드 유닛 장치(100)는 등록 해제를 요청하는 등록 해제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하고, S255 단계에서 헤드 유닛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등록 해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통지의 타입(Notification Type)은 크게 4가지로 나뉠 수 있다. 즉, 통지의 타입은 수신 콜(Incoming Call) 정보 통지, 발신 콜(Outgoing Call) 정보 통지, 메시지 정보 통지 및 장치 상태 정보 통지로 분류될 수 있다.
콜 정보 통지는 2 가지의 콜 타입들에 따라서 수신 콜 정보 통지 및 발신 콜 정보 통지로 분류된다. 이러한 콜 정보 통지는 콜 상태(Call Status)에 대한 정보(즉, 콜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수신 콜 정보 통지와 관련된 콜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콜 정보 통지는, 피호출(또는 링잉(Ringing)), 연결(Connected), 연결 종료(Disconnected) 및 통화(Talking)와 같은 4 가지의 콜 상태를 포함한다.
도 3은 수신 콜에 있어서 피호출부터 연결 종료까지의 일련의 콜 상태 전환 과정을 도시한다.
S310 단계에서 수신 콜이 도착하면,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피호출(Ringing)을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피호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피호출 통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헤드 유닛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200)에게 3가지의 액션(Action) 명령어들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즉 선택된 액션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액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3가지의 액션(Action) 명령어들은 콜 무시(IgnoreCall), 콜 수락(AcceptCall) 및 콜 거부(RejectCall)이다.
먼저, S315 단계에서, 피호출 상태의 모바일 장치(2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제1 카메라(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콜 무시(IgnoreCall) 액션 요청 메시지(즉, IgnoreCall()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200)는 계속 피호출 상태를 유지하며, 헤드 유닛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200)는 각각 마치 전화가 끊긴 듯한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 준다. 예를 들어, 표시부(116; 216)에 표시되는 화면은 전화 화면이 아니라, 호출되기 전의 화면(예를 들어,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애플리케이션 화면이나, 홈 화면)으로 돌아가고, 모바일 장치(200)와 헤드 유닛 장치(100)는 각각 스피커를 통해 전화가 왔다는 호출음(즉, 벨소리)을 출력하지 않는다.
피호출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2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제1 카메라(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콜 수락(AcceptCall) 액션 요청 메시지(즉, AcceptCall()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모바일 장치(200)와 헤드 유닛 장치(100) 간의 음성 혹은/및 영상의 전달을 위한 미디어 세션(Media session)의 연결 상태에 따라 콜 상태가 변경(또는 전이)된다. 모바일 장치(200)와 헤드 유닛 장치(100) 간에 미디어 세션 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S320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피호출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연결을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200)와 헤드 유닛 장치(100) 간에 미디어 세션이 연결된 상태이면, S325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피호출 상태에서 연결 상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화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통화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S345 단계에서, 연결 상태의 모바일 장치(2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제1 카메라(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LaunchApplication) 액션 요청 메시지(즉, LaunchApplication()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연결 상태에서 통화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 및 헤드 유닛 장치(100)는 미디어 세션 연결을 위한 미디어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서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각각 실행하며, 미디어 세션을 통해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통화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결 상태에서는 음성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가 모바일 장치(200)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되고, 통화 상태에서는 음성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가 헤드 유닛 장치(100)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된다.
한편, S330 단계에서, 피호출 상태의 모바일 장치(2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제1 카메라(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콜 거부(RejectCall) 액션 요청 메시지(즉, RejectCall()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피호출 상태에서 연결 종료(Disconnected)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연결 종료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피호출 상태에서 전화를 건 사용자(즉, 발신자)가 전화를 건 것을 취소하거나, 전화를 받는 사용자(즉, 수신자)가 모바일 장치(200)를 통해 전화를 받는 것을 거부해도 연결 종료 상태가 된다.
S335 단계 및 S340 단계에서, 연결 상태 혹은 통화 상태의 모바일 장치(2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제1 카메라(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통화 종료(StopCall) 액션 요청 메시지(즉, StopCall()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통화 상태에서 연결 종료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연결 종료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결 상태 혹은 통화 상태에서 전화를 건 사용자(즉, 발신자)가 전화를 끊거나, 전화를 받는 사용자(즉, 수신자)가 모바일 장치(100)를 통해 전화를 끊으면 연결 종료 상태가 된다.
전술한 피호출 통지 메시지, 연결 통지 메시지,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 및 통화 메시지는 콜 정보 메시지의 여러 타입들에 해당한다.
도 4는 액션 요청 및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410 단계에서, 헤드 유닛 장치(100)의 액션 요청 즉, 콜 수락(AcceptCall), 콜 거부(RejectCall), 콜 무시(IgnoreCall), 통화 종료(StopCall) 등의 요청은 액션 타입(action type)을 포함하는 액션 요청 메시지를 통해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모바일 장치(200)에게 전송된다. S420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200)는 액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액션 요청에 응답하는 액션 응답(Response Action)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 전송한다. 액션 응답 메시지는 액션 요청의 판단 결과, 즉 액션 성공(즉, OK) 혹은 액션 실패(즉, 에러(Error))를 포함한다. 액션 요청 메시지는 콜 정보 통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송될 수 있으며, S410 및 S420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S220 단계에 바로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발신 콜 통지와 관련된 콜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 콜 통지는, 호출(또는 콜링(Calling)), 연결(Connected), 연결 종료(Disconnected) 및 통화(Talking)와 같은 4 가지의 콜 상태를 포함한다.
도 5는 발신 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화를 외부로 걸 때부터 전화를 끊을 때까지의 일련의 콜 상태 전환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S5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걸면,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호출 상태로 변경되며,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호출(Calling)을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호출 상태에서 수신자가 전화를 받으면(즉, 모바일 장치(200)가 이동 통신망과 같은 광역 통신망을 통해 수신자의 모바일 장치가 콜을 수락하였다는 응답을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200)와 헤드 유닛 장치(100) 간의 음성 혹은/및 영상의 전달을 위한 미디어 세션(Media session)의 연결 상태에 따라 콜 상태가 변경된다. 모바일 장치(200)와 헤드 유닛 장치(100) 간에 미디어 세션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S520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호출 호출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연결을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200)와 헤드 유닛 장치(100) 간에 미디어 세션이 연결된 상태이면, S525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호출 상태에서 연결 상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화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통화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S545 단계에서, 연결 상태의 모바일 장치(2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제1 카메라(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LaunchApplication) 액션 요청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연결 상태에서 통화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 및 헤드 유닛 장치(100)는 미디어 세션 연결을 위한 미디어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서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각각 실행하며, 미디어 세션을 통해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통화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결 상태에서는 음성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가 모바일 장치(200)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되고, 통화 상태에서는 음성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가 헤드 유닛 장치(100)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된다.
한편, S530 단계에서, 호출 상태의 모바일 장치(2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제1 카메라(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콜 거부(RejectCall) 액션 요청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호출 상태에서 연결 종료(Disconnected)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연결 종료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호출 상태에서 전화를 받는 사용자(즉, 수신자)가 전화를 받는 것을 거부하거나, 전화를 건 사용자(발신자)가 모바일 장치(200)를 통해 전화를 건 것을 종료해도 연결 종료 상태가 된다.
S535 단계 및 S540 단계에서, 연결 상태 혹은 통화 상태의 모바일 장치(2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제1 카메라(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통화 종료(StopCall) 액션 요청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200)의 콜 상태는 통화 상태에서 연결 종료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연결 종료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결 상태 혹은 통화 상태에서 전화를 받는 사용자(즉, 수신자)가 전화를 끊거나, 전화를 건 사용자(즉, 발신자)가 모바일 장치(200)를 통해 전화를 끊어도 연결 종료 상태가 된다. 전술한 호출 통지 메시지, 연결 통지 메시지,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 및 통화 메시지는 콜 정보 메시지의 여러 타입들에 해당한다.
콜(Call) 이외에, SMS(Short Message Service), MMS(Short Message Service), 이메일(E-mail) 등과 같은 메시지에 관련된 통지를 통지 메시지를 통해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아래의 표 4는 메시지 정보 통지 메시지의 포맷을 예시한다.
<NewMessages>
<Message>
<Overview>
Preview of the Message (i.e., SMS from +390112288046: Hallo , how …)
</Overview>
</Message>
<!-- Any other new Message(if any) go here.-->
</ NewMessages >
선택적으로, <Message> 엘리먼트(또는 필드) 아래에 메시지 제목, 메시지 본문, 메시지 타입(예를 들어, SMS, MMS, E-Mail 등),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 의 정보를 기재하기 위한 엘리먼트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Overview> 엘리먼트 내에 기재되는 메시지 내용을,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제목, 본문, 타입, 전화 번호, 주소 등의 정보를 기재하기 위한 엘리먼트들에 구분하여 기재할 수도 있다.
메시지 정보 통지 메시지는 콜 정보 통지와는 다르게, 메시지가 올 때마다 즉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장치(200)가 새로운 메시지를 받은 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또 다른 새로운 메시지를 받지 않으면, 메시지 정보 통지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전송한다.
도 6은 수신 메시지 통지와 관련된 메시지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610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200)에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하면, S620 단계에서 초기(Init)) 상태(또는 착신(Arrived) 상태)에서 대기(Waiting) 상태로 변경된다. 상기 대기(Waiting) 상태로 변경된 즉시, 모바일 장치(200)는 미리 정해진 특정 시간을 카운팅한다. S630 단계에서, 상기 정해진 시간이 지나가기 전에(즉, 만료되기 전에), 또 다른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하면, 모바일 장치(200)는 그대로 대기 상태를 지속하며, 다시 처음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을 카운팅한다. S650 단계에서, 대기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모두 카운팅되면(즉, 만료되면), 모바일 장치(200)의 메시지 상태는 대기 상태에서 전송(Send) 상태로 변경되면서, 모바일 장치(200)는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메시지정보 통지 메시지를 통해, 상기 초기 상태에서 대기 상태 사이에 수신한 새로운 메시지들을 표 4의 포맷으로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대기 상태에서 새로운 메시지들이 모바일 장치(200)에 계속 도착하면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만료되지 않아서, 메시지 정보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는 무한 루프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그래서, 모바일 장치(200)는 초기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최대 설정 시간(Maximum setting time) 값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 상기 값은 대기상태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한 경우에도 다시 재시작하지 않고 계속 카운팅을 한다.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할 때마다 재시작하여 카운팅되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최대 설정 시간 값이 만료되면, 모바일 장치(200)는 자동으로 전송 상태로 변경되면서 그 동안 수신한 새로운 메시지들을 통지 메시지를 통해 전달한다. 위와 같이, 통지 메시지가 전송되면, 모바일 장치(200)는 전송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변경된다. 상기 메시지 관련 상태 다이어그램은 모바일 장치(200) 내부적으로 관리하며,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상태 정보를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전달하지는 않는다.
또 다른 통지 메시지 타입으로 장치 상태 또는 장치 상태 알람(Device Status Alarm) 타입이 존재한다. 상기 타입의 통지 메시지는 다른 통지 메시지 타입과는 다르게 설정 값(SetValue) 액션 메시지를 통해서만 활성화될 수 있다. 아래 표 5는 설정 값 액션 메시지 포함되는 파라미터 값이다.
<Parameters>
<Parameter>
<ParameterPath>
/Phone/Settings/Battery/LowBatteryAlarmLevel
</ParameterPath>
<Value>
30
</Value>
</Parameter>
<!-- Any other parameters(if any) go here.-->
</Parameters>
상기 파라미터는 일례로 배터리 위험 알림에 관한 설정 정보를 나타낸다. 장치 상태 알람을 위한 장치 데이터 모델(Device Data Model)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 데이터 모델에 대한 경로(Path)로 <ParameterPath> 엘리먼트 내에 "/Phone/Settings/Battery/LowBatteryAlarmLevel"이 삽입되며,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값, 즉 <value> 안에 30의 임계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배터리 레벨이 30% 이하로 떨어지면, 모바일 장치(200)에서 헤드 유닛 장치(100)로 통지 메시지를 전달한다. 전달되는 장치 상태 정보 통지 메시지는 아래 표 6으로 표현될 수 있다.
<Status>
<ParameterPath>
/Phone/Settings/Battery/LowBatteryAlarmLevel
</ParameterPath>
<Value>
30
</Value>
</Status>
이러한 통지 메시지는, 사전에 설정 값 액션 메시지에 설정된 파라미터 경로가 "/Phone/Settings/Battery/LowBatteryAlarmLevel"이며, 상기 값이 30%에 도달했음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모바일 장치(200)의 시그널 세기 정보 등이 통지될 수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1 또는 제2 통지 모듈(176, 276)은 각각 통지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표 7, 등록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표 8, 등록 해제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표 9에서 정의하는 통지 프로토콜(Notification Protocol)을 통해서 상대 장치의 통지 모듈에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bytes Type Value Description
2 U16 0xB107 Message-type
2 U16 4+M Payload length
2 U16 Related Service ID
2 U16 Notification Type ID
M Array of U8 Payload for the Notification
# bytes Type Value Description
2 U16 0xB108 Message-type
2 U16 2 Payload length
2 U16 Related Service ID
2 U16 Notification Type ID
# bytes Type Value Description
2 U16 0xB109 Message-type
2 U16 2 Payload length
2 U16 Related Service ID
2 U16 Notification Type ID
상기 통지 메시지는 사전에 표 8과 같은 포맷의 등록 메시지를 통해 가입을 한 장치에게만 전송된다.
연관 서비스 ID(Related Service Id)는 제공되는 서비스와 연관된 통지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값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의 상태 제공 서비스가 존재하고, 상기 서비스는 특정 서비스 ID 값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특정 상태일 때, 통지를 전송하고자 하면, 상기 통지 메시지의 연관 서비스 ID 값으로 상기 모바일 장치(200)의 상태 제공 서비스 ID를 기재할 수 있다. 상기 연관 서비스 ID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메시지에서 선택적(Optional)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 포맷들에서 상기 연관 서비스 ID는, 만약 관련된 서비스가 현재 존재하지 않고, 관련된 서비스 없이 특정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면, 연관 서비스 ID 값으로 0을 기재한다. 통지 타입 ID(Notification Type ID)는 어떠한 종류의 통지인지를 알려주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통지 타입 ID는 아래 표 10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Notification Type ID Notification Type Description
0 Call Call related notifications (ex. Incoming call notification)
1 Message ...
2 Device Status
3 ...
표 9와 같은 포맷의 등록 해제 메시지가 전송되면, 더 이상 통지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다.
그리고, 아래 표 11과 같은 포맷의 CDB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서비스 종료(StopService) 메시지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서비스 종료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ID(Service Id)는 연관 서비스 ID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설정되고, 등록을 한 통지도 역시 등록 해제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종료가 된다.
# bytes Type Value Description
2 U16 0xB104 Message-type
2 U16 2 Payload length
2 U16 Service Id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CDB 아키텍처 기반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S710 단계에서 제1 CDB 엔드포인트(170)가 등록 메시지를 제2 CDB 엔드포인트(270)로 전송하면, S720 단계에서 제2 CDB 엔드포인트(270)는 등록된 타입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통지 메시지를 제1 엔드포인트(170)로 전송한다. S730 단계에서 제1 CDB 엔드포인트(170)가 등록 해제 메시지를 제2 CDB 엔드포인트(270)로 전송하면, 통지 메시지의 전송이 중단된다.
상기 이벤트는 전술한 콜 수신, 콜 발신, 콜 상태의 변경, 메시지 수신, 메시지 상태의 변경 및 장치 상태 알람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미디어 세션(Media session)이 예상치 않게 끊겼을 경우에 콜 상태가 변화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화 도중,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100)와 모바일 장치(200) 간에 이미 연결된 미디어 세션이 예상치 못한 이유로 끊기면, 현재 전화는 상대 모바일 장치와 모바일 장치(200) 간에 연결되어 있지만, 미디어 세션이 끊겼기 때문에 헤드 유닛 장치(100)를 통한 통화가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
예기치 않게 상기 미디어 세션이 끊기게 되면, 모바일 장치(200)는 먼저 미디어 세션 없이 긴급하게 통화를 할 수 있는 자체적인 방안이 있는지를 조사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가 자동으로 스피커 모드로 변환될 수 있으면, 미디어 세션 없이 운전 중인 사용자가 상대방 사용자와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임시방편적인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헤드 유닛 장치(100)를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미디어 세션을 다시 연결하도록 시도하여야 한다. 이러한 미디어 세션의 연결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위와 같이 모바일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운전자가 통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자체적인 방안(ex. 스피커 모드)으로 모바일 장치(200)가 동작한 후, S810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는 자신의 콜 상태를 통화(Talking)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변경한다. 이후, 모바일 장치(200)는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연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100)는 미디어 세션을 다시 연결한다. 만약, 기존에 RTP(Real-time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한 미디어 세션이 예상치 않게 끊겼고, 재 연결이 불가능할 경우, 다른 방식 또는 프로토콜(ex. BT HFP(BT Handsfree Profile))을 이용하여 미디어 세션을 연결하도록 한다. 미디어 세션이 연결되면, S820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200)는 콜 상태를 연결 상태에서 통화 상태로 변경한다. 이후, 통화 상태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통지 메시지를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전송한다.
전술한 모바일 장치(2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체적인 방안 또는 프로토콜이 모바일 장치(200)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연결 종료 상태로 변경되거나, 미디어 세션을 재 연결하기 위해 연결 상태로 전이될 수 있다. S830 단계에서 연결 종료 상태로 변경되면, 모바일 장치(200)에서 상대방과의 통화가 끊어지며, 연결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를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100)에게 전송한다. 이 때, 상대방과 재통화를 하기 위한 특정 파라미터를 상기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에 삽입하고,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100)가 사용자에게 현재 전화가 끊긴 상태임을 통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과 재 통화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통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은 차량 내 설치된 헤드 유닛 장치(900)와 모바일 장치(1000)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카 커넥티비티 컨소시엄(Car Connectivity Consortium: CCC) 표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아키텍처를 갖는다.
헤드 유닛 장치(900)는 제1 스피커(912), 제1 마이크(914) 및 제1 표시부(916)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910), 제1 센서부(920), 제1 메모리(930), 제1 통신부(940), 제1 카메라(950) 및 제1 제어부(960)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1000)는 제2 스피커(1012), 제2 마이크(1014) 및 제2 표시부(1016)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 제2 센서부(1020), 제2 메모리(1030), 제2 통신부(1040), 제2 카메라(1050) 및 제2 제어부(1060)를 포함한다.
헤드 유닛 장치(900) 및 모바일 장치(1000)는 TCP/IP에 따라 제1 및 제2 통신부(940, 1040)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거나 서로 연결된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0) 및 헤드 유닛 장치(9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차량 내 통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 등과 같은 서비스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이러한 UPnP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 방식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1000) 및 헤드 유닛 장치(900)는 터미널 모드 서버(terminal mode server)와 터미널 모드 클라이언트(terminal mode client)에 각각 대응된다.
상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도 1의 제1 및 제2 제어부(160, 260)는 CDB 아키텍쳐를 갖는 반면에, 도 9의 제1 및 제2 제어부(960, 1060)는 UPnP 아키텍쳐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910, 1010), 제1 및 제2 센서부(920, 1020), 제1 및 제2 메모리(930, 1030), 제1 및 제2 통신부(940, 1040), 제1 및 제2 카메라(950, 1050)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관련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바일 장치(1000)의 제2 제어부(1060)는 UPnP 통신을 위한 터미널 모드 서버 장치(Terminal Mode Server Device) 모듈(1070)을 가지며, 상기 터미널 모드 서버 장치 모듈(1070)은 TM 콜 관리 서비스(TM Call Management Service) 모듈(1072)과, TM 애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TM Application Server Service) 모듈(1074)을 포함한다. TM 콜 관리 서비스 모듈(1072)은 콜 관리(Call Management)와 콜 관련 통지를 담당한다. TM 애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모듈(1074)은 모바일 장치(1000) 내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또는 종료시키거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가져오는 등의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수행한다. 제2 제어부(1060)은 RTP 기반의 미디어 세션 연결을 위한 제2 RTP 서버/클라이언트 모듈(1080)과,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프로토콜 기반의 미디어 세션 연결을 위한 VNC 서버 모듈(1090)을 포함한다.
헤드 유닛 장치(900)의 제1 제어부(960)는 UPnP 통신을 위한 터미널 모드 컨트롤 포인트(Terminal Mode Control Point, 970)을 가지며, 터미널 모드 컨트롤 포인트(970)는 콜을 위한 미디어 연결과 VNC 연결을 관리한다. 제1 제어부(960)은 RTP 기반의 미디어 세션 연결을 위한 제1 RTP 서버/클라이언트 모듈(1080)과,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프로토콜 기반의 미디어 세션 연결을 위한 VNC 클라이언트 모듈(990)을 포함한다. 터미널 모드 컨트롤 포인트(970)는 TM 애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모듈(1074)에게 명령어를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장치(1000)와 헤드 유닛 장치(900) 간의 전화 통화를 위한 미디어 스트리밍 연결, 즉 RTP 연결을 위해 모바일 장치(1000) 내의 제2 RTP 서버/클라이언트 모듈(1080)과 헤드 유닛 장치(900) 내의 제1 RTP 서버/클라이언트 모듈(980)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RTP 연결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콜 상태(Call Status) 변경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모드 컨트롤 포인트(970)는 VNC 연결을 위해 모바일 장치(1000) 내의 VNC 서버 모듈(1090)과 헤드 유닛 장치(900) 내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990)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대한 설명은 본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서도 적용되며, 이하 발신 콜 통지와 관련된 콜 상태의 변화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UPnP 텔레포니(Telephony)를 이용한 발신 콜 통지와 관련된 콜 상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 콜 통지는, 호출(또는 콜링(Calling)), 연결(Connected), 연결 종료(Disconnected) 및 통화(Talking)와 같은 4 가지의 콜 상태를 포함한다. 도 10은 발신 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화를 외부로 걸 때부터 전화를 끊을 때까지의 일련의 콜 상태 전환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S10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걸거나 헤드 유닛 장치(900)가 콜 개시(StartCall 또는 InitiateCall) 액션 요청 메시지(즉, StartCall() 또는 InitiateCall()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1000)로 전송하면, 모바일 장치(1000)의 콜 상태는 호출 상태로 변경되며, 모바일 장치(1000)는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호출(Calling)을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호출 상태에서 수신자가 전화를 받으면(즉, 모바일 장치(1000)가 이동 통신망과 같은 광역 통신망을 통해 수신자의 모바일 장치가 콜을 수락하였다는 응답을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1000)와 헤드 유닛 장치(900) 간의 음성 혹은/및 영상의 전달을 위한 미디어 세션(Media session)의 연결 상태에 따라 콜 상태가 변경된다. 모바일 장치(1000)와 헤드 유닛 장치(900) 간에 미디어 세션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면, S1020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1000)의 콜 상태는 호출 상태에서 연결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1000)는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연결을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1000)와 헤드 유닛 장치(900) 간에 미디어 세션이 연결된 상태이면, S1025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1000)의 콜 상태는 호출 상태에서 연결 상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화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1000)는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통화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S1045 단계에서 연결 상태의 모바일 장치(10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910) 또는 제1 카메라(9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LaunchApplication) 액션 요청 메시지(즉, LaunchApplication()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9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1000)의 콜 상태는 연결 상태에서 통화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1000) 및 헤드 유닛 장치(900)는 미디어 세션 연결을 위한 미디어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서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각각 실행하며, 미디어 세션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0)는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통화를 나타내는 콜 상태를 포함하는 통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결 상태에서는 음성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가 모바일 장치(1000)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되고, 통화 상태에서는 음성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가 헤드 유닛 장치(900)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된다.
한편, S1030 단계에서 호출 상태의 모바일 장치(10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 또는 제1 카메라(10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통화 종료(StopCall) 액션 요청 메시지(즉, StopCall()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9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1000)의 콜 상태는 호출 상태에서 연결 종료(Disconnected)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1000)는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연결 종료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호출 상태에서 전화를 받는 사용자(즉, 수신자)가 전화를 받는 것을 거부하거나, 전화를 건 사용자(발신자)가 모바일 장치(1000)를 통해 전화를 건 것을 종료해도 연결 종료 상태가 된다.
S1035 단계 및 S1040 단계에서, 연결 상태 혹은 통화 상태의 모바일 장치(10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 또는 제1 카메라(10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통화 종료(StopCall) 액션 요청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900)로부터 수신하면, 모바일 장치(1000)의 콜 상태는 통화 상태에서 연결 종료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1000)는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연결 종료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결 상태 혹은 통화 상태에서 전화를 받는 사용자(즉, 수신자)가 전화를 끊거나, 전화를 건 사용자(즉, 발신자)가 모바일 장치(1000)를 통해 전화를 끊어도 연결 종료 상태가 된다.
전술한 명령어들은 콜 관리(Call Management)를 위한 UPnP 액션 명령어들에 해당한들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에 미디어 스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1110 단계에서 WAN(1100)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0)로 수신 콜이 도착하면, S1115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1000)는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피호출을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CallInfo)를 포함하는 콜 정보 통지 메시지(또는, 콜 정보 통지 이벤트)를 전송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헤드 유닛 장치(900)는 사용자에게 통지 GUI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상기 통지 GUI를 보고서, 전화를 받겠다는 수락(Accept) 버튼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수락 버튼을 사용하면, S1120 단계에서, UPnP에서 정의한 콜 수락 액션 명령어(AcceptCall())를 포함하는 콜 수락 액션 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1000)에게 전송한다. S1125 단계에서, 상기 액션 명령어를 수신한 모바일 장치(1000)는 WAN(1100)으로 전화를 받겠다는 신호를 전송한다. 모바일 장치(1000)와 상대방 간의 전화가 실제적으로 연결되면, S1130 단계에서 전화가 연결되었다는 통지(즉, 연결을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통지 메시지)가 모바일 장치(1000)로부터 헤드 유닛 장치(900)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헤드 유닛 장치(900)는 RTP 연결을 수행한다. 전화 연결을 위해서는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900) 내에 있는 제1 RTP 서버/클라이언트(980)를 구동시켜야 한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0) 내에 있는 제2 RTP 서버/클라이언트(1080)를 구동시키기 위해, S1135 단계에서 헤드 유닛 장치(9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LaunchApplication) 액션 요청 메시지(즉, LaunchApplication()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1000)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RTP 서버/클라이언트 모듈(980, 1090)은 사전에 연결될 수도 있다. RTP 연결이 성공되면, S1140 단계 및 S1145 단계에서 WAN(1100) 및 모바일 장치(1000) 간의 미디어 스트리밍 연결과 모바일 장치(1000)와 헤드 유닛 장치(900) 간의 전화 통화를 위한 미디어 스트리밍 연결(즉, 미디어 세션 연결)이 완료된다. S1150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1000)의 콜 상태는 연결 상태에서 통화 상태로 변경되고, 모바일 장치(1000)는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통화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900)를 통해 사용자 목소리는 모바일 장치(1000)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 장치(1000)로부터 차량용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상대방 목소리가 전달될 수 있다.
S1155 단계에서, 통화 상태의 모바일 장치(1000)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910) 또는 제1 카메라(95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자동 설정에 따른 통화 종료(StopCall) 액션 요청 메시지(즉, StopCall()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헤드 유닛 장치(900)로부터 수신하면, S1160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1000)는 WAN(1100)과의 콜을 종료하고, 모바일 장치(1000)의 콜 상태는 통화 상태에서 연결 종료 상태로 변경되고, S1165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1000)는 헤드 유닛 장치(900)에게 연결 종료를 나타내는 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종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S1170 단계에서, 헤드 유닛 장치(900)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액션 명령어(TerminateApplication())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액션 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1000)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장치(1000)에 존재하는 제2 RTP 서버/클라이언트 모듈(1080)을 종료할 수 있다.
본 예는 RTP 연결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본 예의 설명은 VNC 연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모듈이라는 용어는 장치로 대체 표현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 또는 헤드 유닛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 또는 헤드 유닛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상기 모바일 장치 또는 헤드 유닛 장치이 기설정된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모바일 장치 또는 헤드 유닛 장치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장치 또는 헤드 유닛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모바일 장치 또는 헤드 유닛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헤드 유닛 장치, 200: 모바일 장치, 110,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 120, 220: 센서부, 130, 230: 메모리, 140, 240: 통신부, 150, 250: 카메라, 160, 260: 제어부

Claims (15)

  1. 헤드 유닛 장치에 의한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에 통지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단계와;
    통지 대상이 되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콜 수신, 콜 발신, 콜 상태의 변경, 메시지 수신, 메시지 상태의 변경 및 장치 상태 알람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 상기 통지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표시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액션을 상기 모바일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은 콜 무시, 콜 수락 및 콜 거부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 미디어 세션 연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상태 알람을 위한 임계 값을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0. 제9항의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 장치.
  11. 모바일 장치에 의한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헤드 유닛 장치로부터 통지 서비스의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통지 대상이 되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헤드 유닛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콜 수신, 콜 발신, 콜 상태의 변경, 메시지 수신, 메시지 상태의 변경 및 장치 상태 알람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콜 상태는 피호출 상태, 호출 상태, 연결 상태, 연결 종료 상태 및 통화 상태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액션의 요청을 상기 헤드 유닛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액션을 수행하고, 상기 액션의 수행 결과를 상기 헤드 유닛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5. 제14항의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KR20120079764A 2011-07-21 2012-07-23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 KR20130011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94 2011-07-21
KR20110072694 2011-07-21
KR1020110094326 2011-09-19
KR20110094326 2011-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996A true KR20130011996A (ko) 2013-01-30

Family

ID=4755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79764A KR20130011996A (ko) 2011-07-21 2012-07-23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155110A1 (ko)
EP (1) EP2736216A4 (ko)
KR (1) KR20130011996A (ko)
WO (1) WO20130123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8723B1 (en) * 2013-12-10 2014-05-27 Google Inc. Predictive forwarding of notification data
US20150193598A1 (en) * 2014-01-06 2015-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er notification handling
US9479907B2 (en) * 2014-02-06 2016-10-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Method for off-loading driver wireless activities to passengers via the vehicle wireless interface
US9924011B2 (en) * 2014-08-29 2018-03-20 Hyundai Motor Company Manual bluetooth hands free transfer mode
US9412379B2 (en) * 2014-09-16 2016-08-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initi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ing voice recognition
KR101673305B1 (ko) * 2014-12-11 2016-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기종간 멀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헤드 유닛 및 그의 스트리밍 제어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716969B2 (en) * 2015-07-01 2017-07-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48643B2 (en) * 2016-01-05 2018-04-17 Xevo Inc. Connection management of smart devices with automobile head unit
US10097548B2 (en) 2016-01-05 2018-10-09 Xevo Inc. Automobile network to communicate with multiple smart devices
DE102016103627A1 (de) 2016-03-01 2017-09-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innern eines Fahrzeuginsassen an ein mobiles Endgerät
KR20180090586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081B2 (ja) * 2003-09-30 2006-04-12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同システム、同システムの移動局および端末装置
KR100631052B1 (ko) * 2004-08-14 2006-10-02 백정호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격 시동 및 헤드 유닛 제어가가능한 에이브이 헤드유닛 시스템
JP4466578B2 (ja) * 2006-02-02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車載装置及び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
JP4508169B2 (ja) * 2006-08-09 2010-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80018508A (ko) * 2006-08-24 2008-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난차량 위치추적의 정보안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417099B1 (ko) * 2008-08-19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인증 사제품 사용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4687778B2 (ja) * 2008-12-04 2011-05-25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ンズフリー機能付き車載装置
US8762045B2 (en) * 2009-07-27 2014-06-24 Htc Corporation Method for adjusting navigation frame, navig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O2011043072A1 (ja) * 2009-10-09 2011-04-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載装置
US8224300B2 (en) * 2009-12-11 2012-07-17 Alpin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navigation user experience for a smart phone device
US9841293B2 (en) * 2010-01-26 2017-12-12 Calrion Co., Ltd. In-vehicle display system for navigation and additional functions
JP5429016B2 (ja) * 2010-04-14 2014-02-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2300A2 (ko) 2013-01-24
EP2736216A4 (en) 2015-03-04
EP2736216A2 (en) 2014-05-28
WO2013012300A3 (ko) 2013-04-11
US20140155110A1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1996A (ko)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
KR102032717B1 (ko) 차량 내 통지 서비스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헤드 유닛 장치 및 모바일 장치
US10305946B2 (en)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providing group call service using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KR100701519B1 (ko) 이동 속도에 따른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선택적 음성출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2015523830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情報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070291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receiving text message during video call in mobile terminal
US98265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mobile terminal
KR102211535B1 (ko) 메신저 서버에서의 전송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4350740A (zh) 利用无线外围视频会议装置进行视频会议
WO2017166034A1 (zh) 来电处理方法、用户设备以及存储介质
EP30865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JP2012205294A (ja)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WO2019227318A1 (zh) 物理下行控制信道监测配置、监测方法及装置和基站
CN106878655B (zh) 视频通话方法和装置
US1196832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of call implementation
KR102294387B1 (ko) 메신저 서버에서의 전송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96251B1 (ko) 휴대 단말기의 상태 알림 방법
EP3276930B1 (en) Prompting method and apparatus
EP30865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of smart device
JP5255412B2 (ja) 電話システムおよび電話制御方法
KR10222835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WO2023225869A1 (zh) 蓝牙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944086B (zh) 一种通话保持方法及电子设备
WO2021027715A1 (zh) 多媒体多播广播业务的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WO2024020808A1 (zh) 非激活态组播业务接收、配置指示信息发送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