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494A -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494A
KR20130011494A KR1020110072675A KR20110072675A KR20130011494A KR 20130011494 A KR20130011494 A KR 20130011494A KR 1020110072675 A KR1020110072675 A KR 1020110072675A KR 20110072675 A KR20110072675 A KR 20110072675A KR 20130011494 A KR20130011494 A KR 20130011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leaning composition
formula
multipurpose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김한영
박윤철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1007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1494A/ko
Publication of KR2013001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9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6Mixtures of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11D3/0015Softening compositions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31Carpet, upholstery, fur or leather clean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11D3/3907Organic compounds
    • C11D3/3917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11D3/3927Quar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Abstract

본 발명은 거실 및 실내 바닥, 가구, 가전제품, 창틀, 블라인드, 방문, 조명기구 등의 거실 및 실내의 각종 오염 및 유해 세균을 깨끗이 제거하는 안개형 스프레이 타입의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장균,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칸디다 알비칸스 등에 대한 항균력이 탁월하며, 주요 악취원인 암모니아계, 아민계, 황화수소 및 머캅탄계에 효과적이며, 저온 및 고온 보존시에 있어서 제형 안정성이 양호한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베타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Multipurpose Cleaning Composition Having the Effects of Antibiotic and Deodorization}
본 발명은 거실 및 실내 바닥, 가구, 가전제품, 창틀, 블라인드, 방문, 조명기구 등의 거실 및 실내의 각종 오염 및 유해 세균을 깨끗이 제거하는 안개형 스프레이 타입의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Pseudom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등에 대한 항균력이 탁월하며, 주요 악취원인 암모니아계, 아민계, 황화수소 및 머캅탄계에 효과적이며, 저온 및 고온 보존시에 있어서 제형 안정성이 양호한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베타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형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자극성 용제를 최소화하여, 피부 자극성이 적으면서도 세정력이 강화되고, 항균력 및 탈취력이 강화된, 거실 및 실내 공간에서의 사용을 위한 다목적용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목적용 세정제는 주방과 욕실에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의 세정제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관련 제조업체에서도 이러한 용도로 제품을 출시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세정력은 뛰어나지만, 인체에 매우 해로운 성분을 함유한 세정제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이로 인하여, 거실 및 실내 공간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거실 및 실내용 다목적 세정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주방과 욕실에 함께 사용하려면, 유성오염과 무기오염, 곰팡이 등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유독한 성분이 사용되어져 왔다. 구체적으로, 유성오염과 무기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각종 계면활성제와 용제의 사용이 많아지고, 곰팡이 제거를 위해서는 염소계 소독제인 락스(Rox)류를 사용해야 한다. 락스는 차아염소산(HClO)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항균 및 탈취효과를 발휘하므로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지만, 사용시 발생하는 염소가스의 독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에게 불쾌감과 인체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므로, 주방과 욕실을 포함하는 실내 공간에서는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종래의 다목적용 세정제는 주로 계면활성제, 용제, 세정보조제, 유효성분, 향, 물 등으로 조성된다. 이들 세정제 성분들 중 세척 성능과 기포성을 갖는 것은 주로 계면활성제이며, 특히 액체 세정제에서는 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실내 오염 중의 주요인인 피지오염과 세균의 번식에 의한 악취의 경우에는 충분한 제거 능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또한, 거실의 바닥이나, 가구 등의 생활 악취 등은 산성의 아세트알데하이드 혹은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 악취 등을 포함하는데, 종래의 다목적용 세정제로는 계면활성제로 인한 기포 등으로 인하여 적용이 어렵고, 탈취력 또한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종래에는 탈취 효과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첫째, 화학적 제거방법으로서, 중화, 부가, 중합,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항균 및 악취성분에 강한 반응성의 물질을 작용시켜 항균 및 악취 물질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항균 및 냄새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둘째, 물리 화학적 제거방법으로서, 활성탄이나 실리카, 사이클로 덱스트린 등의 흡착 및 포집능이 강한 화합물로서 항균 및 악취성분을 표면에 흡착 또는 포집시키거나, 고비점의 용제,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흡수, 유동 파라핀, 고급 알코올,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항균 및 냄새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셋째, 생물 화학적 제거방법으로서 양성 계면활성제, 살균제 등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세균에 의한 악취 성분의 발생을 차단하거나, 소화 효소, 세균, 효모등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이 유기산을 분해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넷째, 감각적 항균 및 탈취방법으로서 주로 암모니아, 아민, 산,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페놀, 인돌, 방향족, 폴리아로마틱 등의 염기성 화합물 또는 휘산성 화합물과 티올, 머캅탄, 설파이드와 같은 황화 화합물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항균 및 탈취 기술은 성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제거가 아니라, 주로 향을 이용하여 악취 등이 발현되는 것을 막는 마스킹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는데, 이 방법은 향이 휘발되면 악취성분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최근에는 항균 및 탈취를 근원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항균 및 탈취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환상 다당류인 싸이클로 덱스트린과 금속미네랄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마스킹 향을 첨가하여 의류 및 섬유표면에 분무하여 탈취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는데, 이것은 향으로 마스킹하는 동안 금속이온이 악취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 시키고 수분이 건조되는 동안 싸이클로 텍스트린이 분해되어 항균 및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섬유에 대한 손상이 거의 없고, 실내의 생활 악취와 담배 냄새 등의 휘산성 취기 물질에 대해서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으나, 피지 오염이나, 생활 악취 등의 산성 혹은 염기성 악취와 거실 내의 수분으로 인한 세균 번식에 의한 부패취에는 거의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코즈로 구성된 싸이클로 덱스트린은 항균제와 방부제를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미생물이 발생하여 번식될 수 있고 장기간 남아 있을 경우에도 곰팡이가 쉽게 증식하게 되어 냄새가 나거나 변색시키게 되는 원인이 됨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베타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을 발명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에 새로운 성분을 적절한 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일반적인 다목적용 세정제들에서와 같은 충분한 세정력을 지님은 물론, 종래의 다목적용 세정제들이 갖지 못하던 강력한 살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함유된 계면활성제와 용제 성분 물질은 적절한 농도 범위에서 사용될 때, 사용자의 피부 또는 인체에 거의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추가로 배합된 항균제와 탈취제의 영향으로 우수한 세정, 항균 및 소취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대장균,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칸디다 알비칸스 등 항균력이 탁월하며, 주요 악취원인 암모니아계, 아민계, 황화수소 및 머캅탄계에 소취력이 우수하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은 아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화합물, 및 아래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베타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화학식 2
여기서,
R1, R2 및 R3은 C6 ~ C18의 알킬기이고;
R4 및 R5는 H 또는 CH3이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의 조성은, a) 아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화합물 0.001 내지 3 중량%; b) 아래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베타인계 화합물 0.001 내지 1 중량%; c) 계면활성제 0.1 내지 15 중량%; d) 용제 0.1 내지 1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3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여기서,
R1, R2 및 R3은 C6 ~ C18의 알킬기이고;
R4 및 R5는 H 또는 CH3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코팅제 및 향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중 상술한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함량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이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각종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장기 보관시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중 상술한 베타인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5 중량%이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탈취력이 떨어지며, 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탈취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예들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중 상술한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이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세정력이 떨어지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용제의 예들에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3-메틸-3-메톡시 부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중 상술한 용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이다. 활성 성분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세정력이 떨어지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은, 거실 및 실내 바닥, 가구, 가전제품, 창틀, 블라인드, 방문, 조명기구 등의 거실 및 실내의 각종 찌든 때 제거에 우수한 세정 성능을 발휘하며, 대장균,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칸디다 알비칸스 등에 대한 항균력이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은 주요 악취원인 암모니아계, 아민계, 황화수소 및 머캅탄계에 효과적이며, 저온 및 고온 보존시에 있어서 제형 안정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은 생분해성이 높고, 피부 자극성이 적으며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5의 제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5
아래의 성분을 가진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세척력, 피부자극, 항균력, 탈취력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배합 성분>
표 3 중의 각 성분으로는,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a-1; 직쇄알킬 벤젠술폰산나트륨(LAS-Na,C12 ~14)
a-2; 소듐라우레트설페이트(C12 ~14)
a-3; 소듐알파올레핀설포네이트(C12 ~14)
a-4; 알킬에톡실레이트(C12 ~14)
b;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C8 ~ C10)
c;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C12 ~14)
d-1;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d-2;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d-3; 3-메틸-3-메톡시 부탄올
d-4; 에탄올
e-1;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e-2; 디헥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f; 글라이신 베타인
g; 이온 교환수
(1) 세척력 평가
시험방법(1)
거실 및 실내의 주 오염원인 유성오염과 무기오염의 혼합 인공 오염에 대한 세정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ASTM D-5343-97을 사용하여 만든 다목적용 인공오염을 80℃에서 녹인 후, 거실 바닥 장판 시편(5㎝×20㎝)과 창틀의 소재인 알루미늄 시편(5㎝×10㎝)에 고르게 도포(1.5g)한 후, 도포한 시편을 50℃에서 24시간 열풍 건조한 후, 건조 전후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평가를 하였다. 인공오염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 인공 오염 조성 (유성오염 + 무기오염)
1)유성오염(Synthetic Sebum soil):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코코넛 오일, 파라핀 왁스, 올리브 오일, 스쿠알렌, 콜레스테롤, 올레산, 소듐 스테아레이트
2)무기오염 :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아이론 스테아레이트
상기 내용을 5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세척율(%)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2)
거실 및 실내의 주 오염원인 크레파스, 볼펜, 유성매직, 형광펜, 수성사인펜, 립스틱, 연필, 케찹, 겨자 등 총 9종의 생활 오염에 대한 세정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험방법(1)과 마찬가지로 거실 바닥 장판 시편(5㎝×20㎝)과 창틀의 소재인 알루미늄 시편(5㎝×10㎝)에 고르게 도포(0.5g)한 후, 도포한 시편을 50℃에서 24시간 열풍 건조한 후, 다목적용 세정제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건조 전후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평가를 하였다. 인공오염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세정력 시험
1) 거실 및 실내 타일 시편 평가
- 세정액 150g이 담긴 용기에 제조된 오염 시편을 10분간 침적
- 보텍스 믹서에서 1000rpm으로 2분간 바이브레이션
- 오염 시편을 꺼내어 흐르는 물에 30초간 세척
-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1분간 건조
- 25℃에서 3시간 자연 건조한 후 표면 관찰
2) 금속 시편 평가
- 세정액 150g이 담긴 용기에 제조된 오염 시편을 10분간 침적
- 보텍스 믹서에서 1000rpm으로 2분간 바이브레이션
- 오염 시편을 꺼내어 흐르는 물에 30초간 세척
-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1분간 건조
- 25℃에서 3시간 자연 건조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오염 제거율 측정
- 5회 반복하여 평균
판정기준(다목적용 세정제)
◎ : 세척율 90% 이상
○ : 세척율 70% 이상 90% 미만
△ : 세척율 50% 이상 70% 미만
× : 세척율 50% 미만
(2) 피부자극 평가
시험방법
임의의 성인 남녀 30명을 피시험자로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1% 세제 용액의 첩포 시료를 피시험자의 상박에 붙인 다음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하기 표 1의 홍반 및 부종 판정 기준에 따라 1차 자극도 판정, 첩포 제거 24시간 후 2차 자극도를 판정하여 피부 평균 반응도 산출 공식에 의거하여 결과를 판정하고 하기 표 2의 기준에 따라 이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표시단계 증상(홍반 및 부종) 점수
반응없음 홍반이 전혀 없음 0
± 의양성 희미한 홍반 0.5
경미한 양성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부종 및 구진 1
++ 약한 양성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수포 2
+++ 강한 양성 대수포 3
평균 피부 반응도 판정 기준
0.0~0.9 무자극
1.0~2.9 경자극
3.0~4.9 중자극
5.0 이상 강자극
(3) 항균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5에서 얻어진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항균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주거환경에서 생성될 수 있는 대표적인 균들을 이용하여 초기 균수를 106 cfu/㎖ 로 희석 조정한 액을 세정제에 접종하고 35℃에 24시간 배양 뒤, 생균수를 관측하여 평가하였다.
시험균 및 평가결과
구분 내 용
시험균


박테리아 이스트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ATCC 17759) 칸디다 알비칸스(ATCC 11006)
대장균(ATCC 8739)
포도상구균(ATCC 25923)
평가결과 매우우수(◎) 우수(○) 보통(△) 불량(×)
미생물의 양 103 104 105 106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1 2 3 4 5
다목
적세정제












*
배합성분
a-1 2 - 2 - 2 2 - - 1 - 1 1 2
a-2 2 - - 2 - - 2 - 1 1 - 1 1
a-3 - 2 2 - 2 - 2 2 - 1 1 2 1
a-4 - 2 - 2 - 2 - 2 - - - - -
b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c 1.5 1.5 1.5 1.5 - 1.5 1.5 1.5 1.5 1.5 1.5 1.5 1.5
d-1 2 2 2 2 - 2 2 2 1 1 1 2 2
d-2 1 1 1 1 - 1 1 1 - - - 1 1
d-3 0.5 0.5 0.5 0.5 0.5 0.5 0.5 0.5 - - - 0.5 0.5
d-4 1 1 1 1 1 1 1 1 1 1 1 1 1
e-1 1 1 1 1 1 1 - - 1 1 1 - -
e-2 - - - - - - 1 1 - - - - 1
f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
g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척율
(%)
90 91 89 90 84 92 90 91 66 73 80 93 93
피부자극
항균력 X
* 단위 중량 %
상기 표 5에서 볼 수 있듯이,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적어도 1종이 포함된 실시예 1 ~ 8은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하여 우수한 세척율을 보이며, 용제가 적어도 1종이 포함된 실시예 1 ~ 8은 비교예 1 ~ 3에 비하여 우수한 세척율을 보인다. 실시예 2 내지 4, 5는 비교예 4 ~ 5에 비하여 피부 저자극을 보이며, 이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특이점으로 실시예 7 ~ 8과 비교예 4 ~ 5의 경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같으나, 항균제의 종류에 따라 피부 자극성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계면활성제와 용제의 적정 함량으로 피부 자극 수준을 알 수 있다. 또한, 항균제가 적어도 1종이 포함된 실시예 1 내지 8은 비교예 4에 비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4) 탈취력 평가
일반적으로 주거공간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메틸머캅탄, 황화수소의 4대 악취 일정농도에 대해 실시예 7 내지 8 및 비교예 5 조성물에 대한 탈취력을 24시간 후에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악취원 표준농도는 암모니아 120ppm, 트리메틸아민 60ppm, 메틸메르캅단 20ppm, 황화수소 79ppm이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초기농도(ppm) ━ 측정농도(ppm)
탈취율(%) = ------------------------------------- X 100
초기농도(ppm)
시료 탈취율(%)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실시예7 90 83 70 55
실시예8 95 88 65 45
비교예5 44 30 12 8
상기 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베타인계 화합물을 포함한 실시예 7 내지 8은 비교예 5에 비하여 우수한 탈취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항균력 및 탈취력을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로서, 아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베타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Figure pat00006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 2
    여기서,
    R1, R2 및 R3은 C6 ~ C18의 알킬기이고;
    R4 및 R5는 H 또는 CH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a)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화합물 0.001 내지 3 중량%;
    b)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인계 화합물 0.001 내지 1 중량%;
    c) 계면활성제 0.1 내지 15 중량%;
    d) 용제 0.1 내지 15 중량%;
    e)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Figure pat00008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여기서,
    R1, R2 및 R3은 C6 ~ C18의 알킬기이고;
    R4 및 R5는 H 또는 CH3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코팅제 및 향료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KR1020110072675A 2011-07-21 2011-07-21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KR20130011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75A KR20130011494A (ko) 2011-07-21 2011-07-21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75A KR20130011494A (ko) 2011-07-21 2011-07-21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94A true KR20130011494A (ko) 2013-01-30

Family

ID=4784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675A KR20130011494A (ko) 2011-07-21 2011-07-21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14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91242A1 (en) * 2016-05-13 2019-06-20 Amogreentech Co., Ltd.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91242A1 (en) * 2016-05-13 2019-06-20 Amogreentech Co., Ltd.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061B1 (ko)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CN105219543A (zh) 一种天然抑菌清洁剂及制备方法
KR20080089893A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탈취제 조성물
CN102018981A (zh) 含有桧木醇的喷雾消毒除臭剂
JP6141063B2 (ja) 脱臭剤、脱臭装置及び脱臭方法
KR20130011494A (ko)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KR20130011496A (ko)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주방용 세정제 조성물
KR20130011495A (ko)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욕실용 세정제 조성물
KR20080087499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구비한 섬유 유연제 조성물
JP5769570B2 (ja) バイオフィルム除去剤、バイオフィルム除去用組成物、および、バイオフィルムの除去方法
JP2022140453A (ja) 望ましくない分子除去用の組成物
KR101803976B1 (ko) 나노에멀젼 형태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KR20080089891A (ko) 다목적 세정제
TWI551679B (zh) 用於清洗鞋內空間的清洗劑
KR100486092B1 (ko) 항균 및 탈취 효능을 갖는 세정제
KR100789621B1 (ko) 스팀청소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1234060B1 (ko)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JP7346247B2 (ja) トイレの汚れ防止組成物
JP7264735B2 (ja) 硬質表面用処理剤組成物
KR101820123B1 (ko)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차단 소재용 세정제
JP2000070349A (ja) 防臭・消臭組成物
KR20070005099A (ko) 항균, 소취 및 방향 효과를 주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CN117821176A (zh) 一种厨房湿巾复配液及其制备方法
KR20230007420A (ko) 소취제 용액
KR20230006298A (ko) 청소후처리용 세정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