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979A -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979A
KR20130008979A KR1020110069717A KR20110069717A KR20130008979A KR 20130008979 A KR20130008979 A KR 20130008979A KR 1020110069717 A KR1020110069717 A KR 1020110069717A KR 20110069717 A KR20110069717 A KR 20110069717A KR 20130008979 A KR20130008979 A KR 20130008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정
손대림
정준용
이은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9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8979A/ko
Publication of KR2013000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Guidance using head up displays or projectors, e.g. virtual vehicles or arrows projected on the windscreen or on the road itsel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08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speech input, e.g. using 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된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화면을 통해 차량 상태를 관리하고, 운전 중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제공 받으며, 운행 후 차량 운행에 따른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관리에 도움이 된다. 또한, 차량 운행 중 해당되는 경로에 대한 안전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면의 유리창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표시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또한,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저장하고,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제공하여 운전자가 검색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가입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벤트를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System for providing car information through Head-up Display, method thereof, terminal thereof and service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된 정보를 표시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최근에 전자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자동차의 성능향상을 위해 많은 부분에서 전자장치가 자동차를 제어한다. 특히, 엔진의 성능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의 센서가 사용되어 최적의 엔진 효율을 발생시키며, 차량의 신뢰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의 발달은 실제적인 엔진구동뿐 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장치나 운전의 편의를 위한 갖가지 부가장치, 주행장치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계기판 및 각종 정보를 차량의 전면 유리에 표시하는 HUD(Head-up Display)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 전기자동차의 대기화면 플랫폼에서 자동차 전면 유리를 디스플레이로 활용하고, 차량 진단용 단말기를 통한 제어와 연계하여 주행 상황에 맞는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은 특정 차량의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는 차량관리장치와,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고, 주행 여부에 따라 차량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상태정보,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HUD 장치를 제어하여 표시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HUD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특정 차량의 차량관리장치, HUD 장치 및 서비스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차량관리장치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장치로부터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는 주행확인모듈과, 주행 여부에 따라 HUD 장치를 통해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및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HUD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에 있어서, 차량관리장치 및 HUD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 전, 주행 중, 정차 또는 운행 종료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구분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전기 충전량, 주행 가능 거리, 차량의 이상유무, 실내 온도, 엔진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차량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뉴스, 개인일정, 날씨 정보 및 주행 경로에 대한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차량의 주행에 연관된 속도, 전기 충전량, 주행가능거리 또는 경로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차량상태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고, 나머지 차량상태정보의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주행 경로에 연관된 안전사고정보를 수신하고, 안전사고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전송하여 검색을 요청하고,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검색 결과를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될 때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서비스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메신저, 이메일,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될 때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면, 차량 운행에 대한 주행거리, 평균속도, 전기 충전에 따른 주행가능거리, 전기 충전량, 차량의 이상유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 정보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주행 여부에 따라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수신된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주행 여부에 따라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화면을 통해 차량 상태를 관리하고, 운전 중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제공 받으며, 운행 후 차량 운행에 따른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관리에 도움이 된다.
또한, 차량 운행 중 해당되는 경로에 대한 안전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면의 유리창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표시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또한,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저장하고,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제공하여 운전자가 검색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이메일, 메신저, 메시지(SMS, MMS)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회신, 답글 또는 공지사항에 대한 이벤트를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차량 운행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이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단말기(10), 차량관리장치(20), HUD 장치(30), 서비스장치(40), 교통정보제공장치(50), 인터넷장치(60) 및 통신망(7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차량 주행 전에는 차량관리장치(20)의 차량 진단 및 제어를 통해 잔여 전기량 또는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가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개인 일정, 뉴스, 날씨 등에 대한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차량이 출발하면, 단말기(10)는 자동적으로 주행에 불필요한 서비스를 비활성화하고, 주행에 필요한 서비스만을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제공하여 운전자의 가시거리를 확보한다. 이후, 단말기(10)는 정차 시에 설정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메일, 메신저, 메시지 등의 어플케이션에 연관된 이벤트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제공된다. 이에 대한 각 장치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통신망(70)은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4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기(10)는 통신망(70)에 접속하여, 통신망(70)을 통해 서비스장치(4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는 통신망(70)에 접속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모뎀(cable modem), 이더넷(Ethernet) 등의 고정 접속(Fixed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이동 접속(Mobile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차량관리장치(20) 및 HUD 장치(3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40)와 통신망(70)을 통해 연결된다.
단말기(10)는 차량관리장치(20)와 통신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고, 주행 여부에 따라 차량상태정보를 HUD 장치(30)를 통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40)와 통신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인터넷정보 및 안전사고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HUD 장치(30)를 통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차량관리장치(20)는 단말기(10)와 통신하여 차량에 대한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차량관리장치(20)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는 전기 충전량, 주행 가능 거리, 차량의 이상유무, 실내 온도 및 주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로 제공하며,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면, 차량 운행에 대한 주행거리, 평균속도, 전기 충전에 따른 주행가능거리, 전기 충전량, 차량의 이상유무에 해당하는 정보를 단말기(10)로 제공한다.
HUD 장치(30)는 단말기(10)와 통신하고, 단말기(10)의 제어에 따라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해당 차량의 전면 유리에 표시한다.
서비스장치(40)는 통신망(70)을 통해 교통정보제공장치(50) 및 인터넷장치(6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즉, 서비스장치(40)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장치(60)로 특정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여 해당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서비스장치(40)는 실시간으로 교통정보제공장치(50)로부터 안전사고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40)는 인터넷장치(60)로부터 검색된 결과와 교통정보제공장치(5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교통정보제공장치(50)는 차량의 운행 경로에 따른 안전사고정보를 수집하여 통신망(70)을 통해 서비스장치(40)로 제공한다.
인터넷장치(60)는 서비스장치(4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넷장치(60)는 기 설정된 운전자의 정보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메일 메신저, 메시지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답글, 회신 또는 공지사항에 대한 이벤트를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화면을 통해 차량 상태를 관리하고, 운전 중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제공 받으며, 운행 후 차량 운행에 따른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관리에 도움이 된다. 또한, 차량 운행 중 해당되는 경로에 대한 안전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면의 유리창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표시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또한,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저장하고,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제공하여 운전자가 검색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메일, 메신저, 메시지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회신, 답글 또는 공지사항에 대한 이벤트를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통신부(16)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11)는 주행확인모듈(11a) 및 HUD 제어모듈(11b)을 포함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는 단말기(10)를 동작하기 위한 모든 신호를 입력한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표시부(13)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는 차량 정보 제공을 위한 전반적인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 및 인터넷정보를 검색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안전사고정보를 저장한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실행에 따른 모든 효과음, 설정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통신부(16)는 서비스장치(40)와 통신망(7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6)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모듈 및 무선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망 통신 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4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통신 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1)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랜 통신 모듈은 무선 랜(WLAN),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맥스(WiMAX)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랜 통신 모듈은 제어부(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통신 모듈은 접속 포인트를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서비스장치(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1)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팬 통신 모듈은 무선 팬(WPAN)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망 통신 모듈 및 무선랜 통신 모듈에 비해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팬 통신 모듈은 단말기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즉, 무선팬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단말기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팬 통신 모듈은 통신망(70)에 게이트웨이(Gateway)에 직접 또는 멀티 홉(multi-hop)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서비스장치(4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70)에 접속하며, 통신망(70)을 통해 서비스장치(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6)는 차량관리장치(20)와 접속하여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장치(40)와 접속하여 인터넷정보 및 안전사고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부(16)는 HUD 장치(3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및 안전사고정보를 전송한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기 위한 부팅(booting)을 수행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고, 주행 여부에 따라 차량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상태정보 및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에 대한 정보를 HUD 장치(30)를 제어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1)는 차량 주행 전, 주행 중, 정차 또는 운행 종료에 따른 상태를 구분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전기 충전량, 주행 가능 거리, 차량의 이상유무, 실내 온도, 엔진 온도에 대한 차량상태정보를 차량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하고, 뉴스 정보, 개인일정, 날씨 정보에 대한 인터넷정보 및 주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1)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주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차량상태정보와 주행 상황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만을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고, 나머지 차량상태정보의 표시를 종료한다.
제어부(11)는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서비스장치(40)로부터 기 설정된 주행 경로에 연관된 안전사고정보를 수신하고, 안전사고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추출된 정보를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하여 검색을 요청하고,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검색 결과를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될 때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1)는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서비스장치(40)로부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메일 메신저, 메시지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답글, 회신 또는 공지사항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될 때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1)는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면, 차량 운행에 대한 주행거리, 평균속도, 전기 충전에 따른 주행가능거리, 전기 충전량, 차량의 이상유무에 해당하는 차량상태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단말기(10)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1)는 주행확인모듈(11a)와 HUD 제어모듈(11b)을 구비한다. 특히, 주행확인모듈(11a)은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HUD 제어모듈(11b)은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및 안전사고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HUD 장치(3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40)는 제어부(41), 저장부(42) 및 통신부(43)로 구성된다. 이때, 저장부(42)는 안전사고정보 DB(42a) 및 인터넷정보 DB(42b)를 포함한다.
통신부(43)는 단말기(10), 교통정보제공장치(50) 및 인터넷장치(60)와 통신한다. 여기서, 통신부(43)는 교통정보제공장치(50)로부터 안전사고정보를 수신하고, 인터넷정보에 대한 검색결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메일 또는 메신저, 메시지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장치(60)로부터 수신한다.
저장부(42)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서비스장치(4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42)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저장부(42)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른 인터넷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인터넷정보 DB(42b)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2)는 교통정보제공장치(50)로부터 수신되는 안전사고정보를 안전사고정보 DB(42a)에 저장한다.
제어부(41)는 서비스장치(40)의 운영 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41)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장치(60)로 특정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된 결과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41)는 교통정보제공장치(50)로부터 수신되는 안전사고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장치(4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안전사고정보 및 인터넷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량 주행 중 요청되는 정보에 대한 검색결과 및 안전사고에 대한 모든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단말기(10)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될 수 있다.
도 4와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방법 중 차량 주행 전 각 장치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특정 차량의 차량관리장치(20)는 S11 단계에서 차량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한다. 여기서, 차량상태정보는 차량의 전기 충전량, 전기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 차량의 이상 유무, 실내 온도, 엔진 온도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중에, 차량관리장치(20)는 S13 단계에서 운전자의 탑승을 감지한다. 이때, 차량관리장치(20)는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거나,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감지하여 운전자 탑승을 여부를 확인한다.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차량관리장치(20)는 S15 단계에서 차량상태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17 단계에서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를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장치(40)는 S19 단계에서 인터넷장치(50)로 인터넷정보를 요청하고, S25 단계에서 교통정보제공장치(60)로 경로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인터넷정보는 실시간 뉴스 정보, 날씨 정보, 개인일정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고, 경로정보는 차량 주행을 위한 도로정보, 사고정보, 교통상황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인터넷장치(50)는 S21 단계에서 인터넷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나서, 인터넷장치(50)는 S23 단계에서 수집된 인터넷정보를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한다. 또한, 교통정보제공장치(60)는 S27 단계에서 경로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나서, 교통정보제공장치(60)는 S29 단계에서 수집된 인터넷정보를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한다.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장치(40)는 S31 단계에서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40)로부터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33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단말기(10)는 차량의 단말기 위치정보 변화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차량의 이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 전인 경우, 단말기(10)는 S35 단계에서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HUD 장치(30)에 요청한다. 이후, HUD 장치(60)는 S37 단계에서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및 경로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방법 중 차량 주행 중 또는 정차 중 각 장치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단말기(10)는 S41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차량 주행이 시작되는 경우, 단말기(10)는 S43 단계에서 주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HUD 장치(30)에 요청한다.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HUD 장치(30)는 S45 단계에서 주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차량 주행 중 단말기(10)는 S47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인터넷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감지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음성을 통해 인터넷 정보 검색을 요청하거나, 입력부(12)를 통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10)는 S49 단계에서 인터넷 정보 검색을 서비스장치(40)에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40)는 S51 단계에서 해당되는 정보에 대한 검색을 인터넷장치(50)로 요청한다.
인터넷장치(50)는 S53 단계에서 인터넷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인터넷장치(50)는 포털 사이트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메일, 메신저, 메시지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이벤트에 대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인터넷장치(50)는 S55 단계에서 검색 결과를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40)는 S57 단계에서 인터넷장치(50)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기(10)는 S59 단계에서 차량이 주행 중이기 때문에 수신된 검색 결과를 임시로 저장한다.
교통정보제공장치(60)는 S61 단계에서 안전사고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한다. 즉, 교통정보제공장치(60)는 정체, 사고, 집회 및 공사 등에 대한 도로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교통정보제공장치(60)는 S63 단계에서 수집된 안전사고정보를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장치(40)는 S65 단계에서 안전사고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안전사고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67 단계에서 안전사고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HUD 장치(60)로 전송한다. 이후, HUD 장치(30)는 S69 단계에서 안전사고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이를 통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화면을 통해 차량 상태를 관리하고, 운전 중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제공 받으며, 운행 후 차량 운행에 따른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관리에 도움이 된다. 또한, 차량 운행 중 해당되는 경로에 대한 안전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면의 유리창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표시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또한,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저장하고,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제공하여 운전자가 검색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가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메일, 메신저, 메시지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회신, 답글 또는 공지사항에 대한 이벤트를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S81 단계에서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단말기(10)는 S83 단계에서 차량관리장치(20)로부터 차량상태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즉, 단말기(10)는 차량관리장치(2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차량상태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10)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여기서, 단말기(10)와 차량관리장치(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관리장치(20)는 운전자의 차량 탑승 여부에 따라 단말기(10)로 차량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차량상태정보는 차량의 전기 충전량, 전기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 차량의 이상 유무, 실내 온도, 엔진 온도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상태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85 단계에서 서비스장치(40)로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를 요청한다. 즉, 단말기(10)는 운전자의 차량 탑승 여부에 따라 실시간 뉴스 정보, 날씨 정보, 개인일정 등에 대한 인터넷정보와 차량 주행을 위한 도로정보, 사고정보, 교통상황정보 등에 대한 경로정보를 서비스장치(40)로 요청한다. 한편, 차량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10)는 대기모드를 유지한다.
단말기(10)는 S87 단계에서 서비스장치(40)로부터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89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한다. 즉, 단말기(10)는 차량 주행 여부에 따라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HUD 장치(30)를 제어한다. 한편, 인터넷정보와 경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10)는 해당되는 정보의 수신을 대 요청한다.
차량이 주행 전인 경우, 단말기(10)는 S91 단계에서 차량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된 차량상태정보,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차량 주행 전에 차량의 전기 충전량, 전기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 차량의 이상 유무, 실내 온도, 엔진 온도 등과 같은 차량상태정보, 실시간 뉴스 정보, 날씨 정보, 개인일정 등에 대한 인터넷정보 및 차량 주행을 위한 도로정보, 사고정보, 교통상황정보 등에 대한 경로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단말기(10)는 S93 단계에서 주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즉, 단말기(10)는 주행 중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운전에 필요한 전기 충전량, 현재속도,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 등과 같은 차량상태정보만을 제공한다.
차량 주행 중, 단말기(10)는 S95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인터넷 정보 검색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입력되는 인터넷정보 검색 요청 또는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인터넷정보 검색 요청을 감지한다. 인터넷정보 검색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기(10)는 S97 단계에서 서비스장치(40)로 해당되는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10)는 S99 단계에서 차량 주행 여부에 따라 검색결과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즉,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40)로부터 검색 결과가 수신된 시기에 차량이 계속 주행 중인 경우, 해당되는 검색 결과를 즉시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지 않고, 차량이 정차하거나 주차하는 시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포털 사이트의 검색 기능을 통해 획득되는 검색 결과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신저, 이메일, 메시지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이벤트에 대한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단말기(10)는 S101 단계에서 서비스장치(40)로부터 안전사고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서비스장치(40)는 교통정보제공장치(50)로부터 주행 경로에 연관된 차량 정체, 사고, 집회 및 공사 등에 대한 도로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10)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안전사고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103 단계에서 안전사고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도,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된 안전사고정보를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40)는 S111 단계에서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장치(60)로 인터넷정보를 요청하고, 교통정보제공장치(50)로 경로 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서비스장치(40)는 S113 단계에서 인터넷장치(60)와 교통정보제공장치(50)로부터 해당되는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40)는 S115 단계에서 인터넷정보와 경로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40)는 S117 단계에서 차량 주행 중 교통정보제공장치(50)로부터 안전사고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안전사고정보는 주행 경로에 연관된 차량 정체, 사고, 집회 및 공사 등에 대한 도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안전사고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장치(40)는 S119 단계에서 안전사고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한편, 안전사고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비스장치(40)는 안전사고정보의 수신을 대기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경우, 단말기(10)는 차량관리장치(20), 서비스장치(60)와 통신하여 다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HUD 장치(30)를 제어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차량 주행 전에 차량의 전기 충전량(801), 주행가능거리(802), 차량의 이상유무(803), 실내온도(804), 엔진온도(805), 오늘의 날씨(806), 오늘의 일정(807), 이동 경로정보(808) 및 오늘의 뉴스(809) 등에 대한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 단말기(10)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차량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차량의 전기 충전량(810), 현재속도(811) 및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812) 등에 대한 정보를 HUD 장치(30)를 제어하여 표시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이 주행을 하는 중에 단말기(10)는 안전사고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즉, 단말기(10)는 차량 주행 중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주행 경로에 연관된 차량 정체, 사고, 집회 및 공사 등에 대한 도로정보를 HUD 장치(30)를 제어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차량 주행 중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도로 공사에 대한 정보(825)를 제공한다.
도 8d를 참조하면, 차량이 주행을 하다 정차하거나 주차를 하는 경우,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인터넷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운행 중 요청한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835) 및 기 가입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회신(834)에 대한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구분된 정보를 표시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화면을 통해 차량 상태를 관리하고, 운전 중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제공 받으며, 운행 후 차량 운행에 따른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관리에 도움이 된다. 또한, 차량 운행 중 해당되는 경로에 대한 안전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면의 유리창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표시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또한,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저장하고,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제공하여 운전자가 검색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가입한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이벤트를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된 경우에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기 20: 차량관리장치 30: HUD 장치
40: 서비스장치 50: 교통정보제공장치 60: 인터넷장치
70: 통신망 11, 41: 제어부 11a: 주행확인모듈
11b: HUD 제어모듈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42: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43: 통신부
42a: 안전사고정보 DB 42b: 인터넷정보 DB
100: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13)

  1. 특정 차량의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는 차량관리장치;
    상기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상태정보,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HUD 장치를 제어하여 표시하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상기 HUD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2. 특정 차량의 차량관리장치, HUD 장치 및 서비스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관리장치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는 주행확인모듈과, 상기 주행 여부에 따라 상기HUD 장치를 통해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및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HUD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관리장치 및 HUD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전, 주행 중, 정차 또는 운행 종료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구분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전기 충전량, 주행 가능 거리, 차량의 이상유무, 실내 온도, 엔진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상기 차량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뉴스, 개인일정, 날씨 정보 및 주행 경로에 대한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차량의 주행에 연관된 속도, 전기 충전량, 주행가능거리 또는 경로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차량상태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고, 나머지 차량상태정보의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주행 경로에 연관된 안전사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안전사고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문자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전송하여 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검색 결과를 상기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될 때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메신저, 이메일,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하거나 운행이 종료될 때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면, 상기 차량 운행에 대한 주행거리, 평균속도, 전기 충전에 따른 주행가능거리, 전기 충전량, 차량의 이상유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주행 여부에 따라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 정보 제공 방법.
  13. 차량의 주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행 여부에 따라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 인터넷정보 또는 안전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69717A 2011-07-14 2011-07-14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20130008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717A KR20130008979A (ko) 2011-07-14 2011-07-14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717A KR20130008979A (ko) 2011-07-14 2011-07-14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979A true KR20130008979A (ko) 2013-01-23

Family

ID=4783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717A KR20130008979A (ko) 2011-07-14 2011-07-14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89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223B1 (ko) * 2013-12-06 2014-06-30 김태식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문자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82230A1 (en) * 2015-05-13 2016-11-17 Lg Electronics In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07488B2 (en) 2014-03-04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Wearable vehicle information indicator and method of indicating vehicle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20190017383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에이디테크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용 통합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223B1 (ko) * 2013-12-06 2014-06-30 김태식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문자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07488B2 (en) 2014-03-04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Wearable vehicle information indicator and method of indicating vehicle information using the same
WO2016182230A1 (en) * 2015-05-13 2016-11-17 Lg Electronics In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01034B2 (en) 2015-05-13 2017-10-24 Lg Electronics In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17383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에이디테크 정보제공을 위한 차량용 통합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4853B2 (ja) デバイス間ハンドオフ
AU2018210784B2 (en) Autonomous vehicle notification system
CN104412264B (zh) 预先缓存与旅行目的地相关的数据
US90734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telematics service
KR20200067798A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8157721A1 (zh) 信息获取方法、提供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US104736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vement detection based on air pressure data
CN107133697A (zh) 预估司机接单意愿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366438B2 (en) Product notification and recommendation technology utilizing detected activity
KR20130008979A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EP3112805A1 (en) Navigation method, smart terminal device and wearable device
CN105526944B (zh) 信息提示方法及装置
CN114222252B (zh) 一种消息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7301834B2 (ja) 目的地に応じたモデルに基づく到着予測
US105551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able geofences working in conjunction with vehicles
KR20130011351A (ko) 스마트 정보를 이용한 차량 운행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서비스장치 및 방법
CN105608095B (zh) 多媒体播放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30047901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30141243A (ko)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 위치기반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101928294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예약 관리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020593A (ko)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US11363434B1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CN107347109B (zh) 信息交互系统、方法和装置
CN114298772A (zh) 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80111217A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