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966A -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 Google Patents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966A
KR20130008966A KR1020110069698A KR20110069698A KR20130008966A KR 20130008966 A KR20130008966 A KR 20130008966A KR 1020110069698 A KR1020110069698 A KR 1020110069698A KR 20110069698 A KR20110069698 A KR 20110069698A KR 20130008966 A KR20130008966 A KR 20130008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et potato
molding
potato seedling
seedlings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794B1 (ko
Inventor
라병열
Original Assignee
라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병열 filed Critical 라병열
Priority to KR102011006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7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구마 묘순을 심기 위해서 두둑을 성형하면서, 그 두둑의 상단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하고, 이와 동시에 배토부의 내부에 고구마 묘순을 투입하면서 이송스크류로 복토하면서 두둑을 다짐해 주기 위한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두둑 성형슬라이더가 장착된 두둑성형기의 후방 뚜껑이나 하단에 장착하되, 두둑성형기가 두둑을 성형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따르는 후속 작업으로 성형가이더를 통해서 두둑의 상단부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하고, 고구마 묘순을 심고 다짐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구마 묘순을 수작업으로 배토부에 삽입할 경우에, 배토부(=고랑)의 끝단부분을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킨 배토흙을 통해서 자동으로 메워줌으로 묘순이 자연스럽게 머리를 들 수 있도록 하고, 다짐롤을 통해서 연속되는 다짐작업을 하여 고구마 묘순의 정확한 심기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the unit to implant stem of sweet potato}
본 발명은 고구마 묘순을 심기 위해서 두둑을 성형하면서, 그 두둑의 상단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하고, 이와 동시에 배토부의 내부에 고구마 묘순을 투입만하면 흙이 복토되면서 두둑을 다짐해 고구마 묘순이 심어지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두둑 성형슬라이더가 장착된 두둑성형기의 하단에 장착하되, 두둑성형기가 두둑을 성형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따르는 후속 작업으로 성형가이더를 통해서 두둑의 상단부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하고, 고구마 묘순을 심고 다짐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구마 묘순을 수작업으로 배토부에 삽입시켜 주면, 배토부(=고랑)의 끝단부분을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킨 배토흙을 통해서 자동으로 메워줌으로 묘순이 자연스럽게 머리를 들 수 있도록 하고, 다짐롤을 통해서 연속되는 다짐작업을 하여 고구마 묘순의 정확한 심기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구마 묘순을 심는 작업은 바닥면에 굴곡을 성형하는 두둑 성형기를 통해서, 두둑을 먼저 성형하고 두둑의 상단에 배토부를 성형한 후, 다음의 작업으로 고구마 묘순을 심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를 타파하고, 특허 등록제 10-761449호를 통해서 트랙터 설치용 종순심기장치를 제안했는데, 두둑을 성형하고, 다음의 작업으로 고랑을 형성하는 배토를 한 후 종순을 심고 다짐을 하는 모든 작업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안했다. 그럼 이 장치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도시된 도 1과 2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두둑이 형성되면 고랑성형배토기(10)가 고랑(G)을 형성하면서 전진되고, 디스크(50)의 종순거치부(51)에 종순(1)이 거치된 상태에서 디스크(50)가 고랑(G)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종순(1)을 심어준다. 즉, 최초 종순(1)을 디스크(50)의 집게(55), 걸이부(50b), 고리(60)에 파지 및 지지되도록 하여 디스크(50)의 상측 종순거치부(51)에 도면에서와 같이 종순(1)을 거치시킨상태에서 고랑성형배토기(10)에 의해 고랑(G)이 형성되면구동샤프트(72)가 구동되어 디스크(50)가 회전되면서 전진된다.
여기서, 종순(1)은 대부분 뻣뻣한 성질을 가지므로 고리(60)에 지지된 종순(1)의 상부측은 고리(60)를 벗어나서 위로 솟으려는 성질을 갖게된다. 디스크(50)가 회전되면 디스크(50)의 종순거치부(51)가 종순(1)을 거치한 상태로 디스크(50)의 진입부(52)가 도면에서와 같이 고랑(G)의 내측으로 진입된다. 이때, 우측브라켓(71)측에 구비된 집게보강판(65) 일측의 집게누름가이드(66)가 도면에서와 같이 디스크(50)에 구비된 집게(55)의 슬라이딩롤러(55b)를 누른상태로 디스크(50)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집게(55)가 종순(1)을 더욱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최초 종순(1)을 파지하지 않고 있던 디스크(50)의 하측 종순거치부(51')는 우측브라켓(71)의 와셔(69)에 고정된 집게열림판(63)측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집게(55)가 집게열림가이드(64)에 의해 열려진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상측을 향해 회전된다.
고랑(G)내측으로 진입된 진입부(52)는 디스크(50)의 상측이 종순(1)을 거치한 상태로 계속 회전되면서 도면에서와 같이 고랑(G)내측의 하부까지 완전히 진입되고, 집게회동구멍(54)에 닫혀진 집게(55)는 우측브라켓(71)의 와셔(69)에 결합된 집게열림판(63) 일측 집게열림가이드(64)의 만곡된 단부로 집게(55)의 슬라이딩롤러(55b)가 타고 오르면서 도면에서와 같이 집게(55)의 일단이 집게열림가이드(64)에 걸려서 집게(55)가 열리게된다. 이때, 종순(1)을 파지하지 않은 디스크(50) 하측은 디스크(50)가 회전되면서 집게(55)가 열린상태로 고랑(G)의 외부상측에 위치되는바, 집게(55)가 열려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다른 하나의 종순(1)을 집게(55), 걸이부(50b), 고리(60)에 종순(1)을 파지 및 거치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디스크(50)의 종순거치부(51)(51')에 종순(1)을 거치시키며, 이와 같은 동작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순(1)을 파지한 상태에서 진입부(52)가 고랑(G)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될시 집게(55)가 열리면 집게(55)는 파지하였던 종순(1)의 끝단을 놓게되고 종순(1)의 끝단은 도면에서와 같이 고랑(G)내에 놓여지고, 집게(55)는 열린상태로 집게(55)의 일단이 집게열림가이드(64)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회전된다. 종순(1)이 고랑(G)내에 놓여진 후 디스크(50)는 계속 전진 및 회전되면서 진입부(52)가 고랑(G)의 외측으로 더 회전되고, 이때 디스크(50)의 걸이부(50b)에 지지된 종순(1)의 중간부위도 고랑(G)의 내측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디스크(50)가 조금더 회전되면 좌측브라켓(71')의 와셔(69')에 고정된 고리누름판(67)의 단부에 디스크(50)의 좌측면으로 돌출되어 열려진 고리(60)가 근접되며, 이때 고리(60)는 고리누름판(67)의 단부에 걸리면서 디스크(50)가 계속회전됨에 따라 고리(60)는 도면에서와 같이 고리누름판(67)의 고리누름부(68)에 의해 눌러진다.
고리(60)가 디스크(50)측으로 젖혀지도록 눌러지면 고리(60)에 지지된 종순(1)의 상부측은 고리(60)를 벗어나 상측으로 솟아오르게 되며, 이에 따라 종순(1)의 상부측은 도면에서와 같이 고랑(G)의 외부로 솟아진 상태가 되어 종순(1)심기가 완료된다. 한편, 최초 종순(1)이 거치되지 않은 디스크(50)의 하측은 디스크(50)의 상측이 종순(1)심기를 완료하는 동안 작업자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종순(1)이 종순거치부(51')에 거치되고, 디스크(50)가 계속 회전되면서 종순(1)심기 작동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50)에 종순(1)을 반복적으로 거치하고, 디스크(50)가 연속회전되면서 종순(1)심기 작동이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50)에 의해 종순(1)이 심어지면 이와 동시에 디스크(50) 전방의 복토판(20)(20')은 고랑(G) 주위에 흩어진 흙을 디스크(50)측으로 모아주면서 심어진 종순(1)위로 흙을 덮어준다. 그리고 종순(1)위로 덮어진 흙은 디스크(50) 후방의 다짐판(30)(30')에 의해 고르게 다져지고, 이때 일측의 다짐판(30)에 설치된 바이브레타(31)에 의해 더욱 고르게 다져질 수 있다. 다짐판(30)(30')에 의해 흙이 고르게 다져지면 다짐판(30)(30') 후방의 다짐롤러기(40)는 전진되면서 다짐롤러(41)가 다짐판(30)(30')에 의해 다져진 흙을 더욱 평탄하게 다져주며, 이에 따라 종순(1)이 단단히 흙으로 덮어져서 종순(1)심기 및 땅고르기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 트랙터 설치용 종순심기장치는, 종순(1)을 심는 작업이 반자동화되어 쇄토작업, 두둑성형, 종순심기, 복토작업 등을 동시에 실시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전술된 종래의 발명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먼저 두둑성형기를 이용하여 두둑을 성형해 놓은 다음, 고구마 묘순을 심기에 그 심는 과정에서 두둑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둘째, 두둑을 성형하고 난 후, 두둑의 상부에 고랑성형배토기를 통해서 고랑(= 배토부)을 배토하면 그 배토된 흙이 고랑으로 다시 무너져 내려와 디스크가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또한 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발생된다.
셋째, 종손거치부에 집게에 거치하는대 많은 시간이 걸리면서도 다짐판을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여 작동시켰기에 소음이 심하다.
넷째, 두둑 성형 후에 고구마 묘순을 심어주기에 시간이 이중으로 발생된다.
다섯째, 디스크와 집게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모터 또는 구동수단 등의 동력수단을 반드시 결합시켜야 하기에 기계를 생산하는데, 많은 비용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고구마 묘순을 심기 위한 작업에 발생되는 비용이 비대하다.
본 발명은 고구마 묘순을 심기 위해서 두둑을 성형하면서, 동시에 그 두둑의 상단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하고, 이와 동시에 배토부의 내부에 고구마 묘순을 투입하면서 두둑을 다짐해 심어지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두둑 성형슬라이더가 장착된 두둑성형기의 후방 또는 후방 뚜껑 하단에 장착하되, 두둑성형기가 두둑을 성형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따르는 후속 작업으로 성형가이더를 통해서 두둑의 상단부에 배토부(=고랑)를 성형하고, 고구마 묘순을 심고 다짐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구마 묘순을 수작업으로 배토부에 삽입할 경우에, 배토부(=고랑)의 끝단부분을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킨 배토흙을 통해서 자동으로 메워줌으로 묘순이 자연스럽게 머리를 들 수 있도록 하고, 다짐롤을 통해서 연속되는 다짐작업을 하여 고구마 묘순의 정확한 심기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는, 두둑성형기(10)의 일측에 체결하되, 전방은 배토를 위한 쐐기 형상의 배토성형부(21)와 후방은 배토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패널부(22)로 이루어진 성형가이더(20); 상기 성형가이더(20)의 3각 쐐기형 배토성형부(21)를 연결하여 형성하는 경첩(30);을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면의 형태가 "
Figure pat00001
"로 제작되고, 두둑성형기(10)의 일측에 체결되어 두둑(15)의 상부를 배토와 고구마 묘순 및 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따른, 성형가이더(20)의 외곽으로는, 성형가이더(20)와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가이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4각 프레임(40)을 체결하고 : 프레임(40)은, 두둑성형기(10)의 후방 또는 뚜껑 하단에 일체로 체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착탈형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 삼각의 쐐기형 배토성형부(21)의 경첩(30) 중 첫 단에 형성되는 경첩(31)은, 간격(32)이 형성된 성형가이더(20)의 상부로 체결될 지지판(51)에 형성된 체결공(52)에 힌지바(53)를 관통시켜 배토성형부(21)의 첫 단 경첩(31)부가 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따른, 성형가이더(20)의 간격(32)은, 쐐기형의 성형가이더(20)의 배토성형부(21)를 형성하는 좌우의 사면판(25)에서 돌출되는 수직판(61)과; 상기 수직판(61)에 형성되는 나사공(62)과; 상기 좌우의 나사공(62)에 끼워지되, 중심부에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63)를 갖춘 간격조절 볼트(64)로 이루어진 간격조절수단(60)이;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부(63)를 회전시킴으로 성형가이더(20)의 간격(32)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 프레임(40)의 후방으로는, 프레임(40)의 측면에서 하단으로 돌출되는 지지판(71)과; 상기 지지판(71)을 각각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이송스크류(72); 및 상기 이송스크류(72)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모터(73);를 결합시켜, 성형가이더(20)가 두둑(15)의 상단에 배토부(11)를 성형한 후 배토부(11)의 끝단부분(12)을 계속해서 매우며 전진할 수 있도록 하며 : 프레임(40)의 후면에는, 프레임(40)과 체결되는 지지판(74)과 그 지지판(74)의 하단으로 일체로 체결되어 배토부(11)에 끼워 놓은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를 사선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비스듬히 체결된 경사판(75)으로 이루어진 가압판(76);을 형성하여 배토부(11)를 성형하고, 묘순(1)이 심어진 배토부(11)을 매우며, 묘순(1)의 머리(2)를 누르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따른, 프레임(40)의 후면에는, 프레임(40)과 체결되는 지지판(74)과 그 지지판(74)의 하단으로 일체로 체결되어 배토부(11)에 끼워 놓은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를 사선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비스듬히 체결된 디스크(77)로 이루어진 가압판(78);을 형성하여 배토부(11)를 성형하고, 묘순(1)이 심어진 배토부(11)를 매우며, 묘순(1)의 머리(2)를 누르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 디스크(77)는, 고무로 형성되거나 브러쉬로 이루어져 묘순(1)과의 마찰시 회전하면서 묘순(1)의 머리(2)를 비스듬한 각도로 가압하며 : 프레임(40)의 후방으로는 별도의 후방프레임(81)을 체결하고, 그 후방프레임(81)의 측면에서 하단으로 돌출되는 지지패널(82)을 체결하며, 상기 좌우 양단의 지지패널(82)을 연결하는 다짐롤(83)을 체결한다.
본 발명에 따라, 두둑의 성형, 배토부(=고랑)의 성형, 고구마 묘순의 심기 및 심어진 고구마 묘순을 다짐해 주는 다짐작업이 모두 한 번의 두둑성형기를 가동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송스크류를 통해서 배토부(=고랑)의 끝단부분을 흙으로 채워 이 부분을 이용하여 고구마 묘순의 머리를 비스듬히 세워지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다짐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묘순의 줄기가 부러지거나 꺽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한 번의 가동을 통해서 동시 여러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작업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전체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발명의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두둑성형기와 성형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두둑성형기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두둑성형기를 통해 묘순이 심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성형가이더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통해서 형성된 두둑과 고랑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성형가이더가 작업을 하여 끝단부분을 메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두둑성형기에 체결될 수 있도록 실시된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3 내지 9를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두둑성형기(10)의 일측에 체결하되, 전방은 배토를 위한 쐐기 형상의 배토성형부(21)와 후방은 배토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패널부(22)로 이루어진 성형가이더(20)가 있고, 상기 성형가이더(20)의 3각 쐐기형 배토성형부(21)를 연결하여 형성하는 경첩(30),(31)이 있다. 따라서 상면의 형태가 "
Figure pat00002
"로 제작되고, 두둑성형기(10)의 일측에 체결되어 두둑(15)의 상부를 배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는 도시된 도 3에서처럼, 두둑성형기(10)의 일측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작용은 고구마 묘순(1)을 심을 수 있도록 하는 두둑의 상단 배토부(=고랑; 11)를 성형하고, 그 배토부(11)의 내측에 고구마 묘순(1)을 넣을 수 있도록 하는데, 특히 두둑성형기(10)가 두둑(15)을 성형하면서도 동시에 진행된다는 데 큰 뜻이 있다.
작동의 방식은 다음과 같다. 두둑성형기(10)의 하단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두둑성형 슬라이더(B)가 장착된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장착되는데, 본 발명의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의 성형가이더(20)는 이 두둑성형 슬라이더(B)의 정 중심부분에서 약간 후방에 장착되게 된다. 도 4에 이러한 설치된 위치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데, 도 4의 (a)는 평면에서 두둑성형기(10)를 살펴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슬라이더(B)에 비하여 약간 후방에 치우쳐 성형가이더(20)는 장착되고, 슬라이더(B)에 비하여 약간 높은 위치에 그 끝단을 두고 있다. 결국 도시된 도 4의 (b)에서처럼, 두둑(15)은 깊게 파지고, 두둑(15)의 상단부에는 성형가이더(20)에 의해서 배토부(=고랑; 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랑(=배토부; 11)이 형성되는 상태를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형가이더(20)는 배토성형부(21)와 가이드패널부(22)로 이루어져 있다. 두둑(15)의 상단 지면을 긁으면서 지나가게 될 성형가이더(20)는 첫단이 배토성형부(21)의 형태가 도시된 것처럼 쐐기의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배토성형부(21)와 일체로 체결하되, 배토되는 흙이 고랑(=배토부; 11)의 내측으로 무너지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가이드패널부(22)이다. 결국 이들을 상면에서 살펴보면, 형태가 "
Figure pat00003
"이다. 뾰족한 배토성형부(21)는 두둑(15)의 상단면을 밀치면서 지나가고 그 하단으로 고랑(=배토부; 11)을 형성하는 것이다.
물론 그 이후에는 고구마 묘순(1)을 성형가이드(20)의 상부에서 머리(2)가 끝단부(12)로 향하게 고랑(11)의 내측에 집어넣고, 땅을 다지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모든 연속되는 작업들을 후술한다.
상기 성형가이더(20)는 두둑성형기(10)에 체결된다. 그런데 두둑성형기(10)의 후방 하단에 체결될 성형가이더(20)는 외곽부에 별도의 프레임(40)을 가지고 있다. 즉, 성형가이더(20)의 외곽으로는, 성형가이더(20)와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가이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4각 프레임(40)을 체결한다.
잦은 지면과의 마찰을 해야만 하는 성형가이더(20)는 외부로 4각의 프레임(40)을 갖추고 있어야 견고하게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은 특별한 형상이 아니고, 단순하게 4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완전 개방된 형태이다. 성형가이더(20)의 외곽부분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틀을 짜 놓은 형태이다. 이러한 프레임(40)은 전술된 내구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기도 하지만, 작업자가 고구마 묘순(1)을 고랑(=배토부; 11)의 내측에 심을 때,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작업이 보다 손쉽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본 발명의 프레임(40)은, 두둑성형기(10)의 하단에 일체로 체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착탈형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도시된 도 3의 도면에서는 착탈형으로 제작되어, 두둑성형기(10)의 하단에 장착된다. 이는 두둑성형기(10)를 제작하는 제작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따르면 두둑성형기(10) 뚜껑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두둑성형기(10)를 제작할 때, 하단의 두둑성형 슬라이더(B)의 약간 후방에 본 발명의 성형가이더(20)를 장착하되, 외곽부에 프레임(40)을 형성한 상태로 일체형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그럼 이미 설명된 본 발명의 성형가이더(20)의 보다 상세한 형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성형가이더(20)는 그 쐐기형 배토성형부(21)가 다수의 경첩(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삼각의 쐐기형 배토성형부(21)의 경첩(30) 중 첫 단에 형성되는 경첩(31)은, 간격(32)이 형성된 성형가이더(20)의 상부로 체결될 지지판(51)에 형성된 체결공(52)에 힌지바(53)를 관통시켜 배토성형부(21)의 첫 단 경첩(31)부가 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배토성형부(21)는 전술한 것처럼 지면을 쓸면서 지나가며 고랑(11)을 형성해야만 한다. 결국 그 끝단이 뾰족한 쐐기형이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8에서 처럼 끝단을 비스듬하게 맞대는 사면판(25)을 2개 형성하고, 그 마주하는 꼭지점 부분이 경첩(30)을 형성하여 서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면판(25)의 타단은 가이드패널부(22)가 연결되는데, 그 연결의 방식도 경첩(30)을 통해서 연결하여 어느 정도 유격과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하면, 작업환경에 따라 가이드패널부(22)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형성되는 고랑(=배토부; 11)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주의할 점은 상기 경첩(30)이 형성하는 3각의 꼭지점 부분 중 첫 단이 되는 경첩(31)부이다. 이 첫 단 경첩(31)부는 지면에 침투하여 지면과의 마찰을 형성하며 고랑(=배토부; 11)을 직접적으로 형성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둑성형부(10)의 하단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리저리 흔들리지 말아야 하고, 견고하게 자신의 위치를 지켜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경첩(30)들 중 첫 단의 경첩(31)은 정 중심부에서 고정된 위치를 확보한다. 그 방법은 도시된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성형가이더(10)의 상단 중 첫 단 부분 상면으로 지지판(51)을 체결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성형가이더(20)의 외곽부를 둘러쌓는 프레임(4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51)의 중심부분에는 도시된 것처럼 체결공(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공(52)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바(53)를 끼우고 그 힌지바(53)가 하단의 첫 단 경첩부위의 힌지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면, 상기 첫 단 경첩(31)은 지지판(51)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가이더(20)의 중심부분을 견고히 잡고 있는 것이기에 고랑(=배토부; 11)을 형성할 때에도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고 지나가면서 배토부(=고랑; 1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고구마 묘순(1)을 심을 때, 작업환경에 따라서 두둑(15)의 상단에 형성되는 배토부(=고랑; 11)의 폭이 달라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께폭의 조정은 본 발명의 성형가이더(20)가 간단한 기술적인 구성의 추가로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성형가이더(20)의 간격(32)은, 쐐기형의 성형가이더(20)의 배토성형부(21)를 형성하는 좌우의 사면판(25)에서 돌출되는 수직판(61)이 있고, 상기 수직판(61)에 형성되는 나사공(62)이 있으며, 상기 좌우의 나사공(62)에 끼워지되, 중심부에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63)를 갖춘 간격조절 볼트(64)로 이루어진 간격조절수단(60)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63)를 회전시킴으로 성형가이더(20)의 간격(32)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성형가이더(20)의 첫 단인 쐐기형 배토성형부(21)는 경첩(30)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경첩(30)의 연결판인 사면판(25)을 연동하는 작동으로 그 간격을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러한 상기 간격조절수단(60)은 도 6에서처럼 배토성형부(21)의 내측에 있는 간격조절 볼트(64)를 통해서 작동한다. 도시된 것처럼 쐐기형 배토성형부(21)는 그 사면판(25)의 내부에 가이드패널부(22)와는 평행하게 수직판(61)을 사면판(25)에 체결한다. 이때 사면판(25)과 수직판(61)의 연결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경첩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양단의 수직판(61)에는 나사공(62)이 형성되어 그 나사공(62)에 간격조절볼트(64)가 나사 결합된 상태이다. 결국 본 발명의 간격조절볼트(64)의 손잡이부(63)를 회전시킴으로 상기 수직판(61)을 연동시켜 성형가이더(2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고구마 묘순(1) 심기장치는 두둑(15)을 형성하면서, 배토부(11)도 성형하고, 배토된 고랑(=배토부; 11)에 작업자가 고구마 묘순(1)을 넣기 쉽도록 배토부(11)의 끝단 부분을 흙으로 채우며, 고구마 묘순(1)이 심어지면 배토부(11)를 매우는 다짐롤(83)을 통해서 완벽하게 다짐작업을 단 한 번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주요하다.
이중 고구마 묘순(1)을 넣기 쉽도록 하는 이송스크류부분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다. 이러한 작업과정을 본 발명의 출원인이 넣은 이유는 종래의 배토기와 묘순 심기장치를 사용하면서 발생된 문제점 때문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고구마 묘순을 배토부에 작업자가 직접 넣거나 기계를 이용하여 심는 과정을 거쳤었다. 이들은 모두 문제점이 나타난다. 즉, 배토부가 성형되고 그 배토부에 고구마 묘순을 넣게 되면 고구마 묘순이 전체적으로 배토부(=고랑)의 내부에 들어간다. 결국 배토부에 묘순을 심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별도로 고구마 묘순의 머리만 외부로 빼내고, 배토부에 흙을 메우는 작업과 다짐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고구마 묘순은 그 줄기부분은 지면에 박힌 상태로 심어지고 머리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태양광을 맞아야만 살 수 있는 식물이기에 그러하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은 모두 길게 고랑(=배토부)를 성형하고, 그 내부에 고구마 묘순을 집어넣기에 묘순이 배토부의 내부로 완벽하게 매립되기에 머리를 끄집어내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이송스크류를 통해서 근원적으로 해결했다.
도시된 도 3에서처럼, 본 발명은 프레임(40)의 후방으로는, 프레임(40)의 측면에서 하단으로 돌출되는 지지판(71)이 있고, 상기 지지판(71)을 각각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이송스크류(72)이 있으며, 상기 이송스크류(72)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모터(73)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성형가이더(20)가 두둑(15)의 상단에 배토부(11)를 성형한 후 배토부(11)의 끝단부분(12)을 계속해서 매우며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40)의 측면 중 후방부분에서 하단으로 돌출되는 이송스크류(72)를 좌우 양단에 형성하고, 그 이송스크류(7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모터(73)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5의 a에서처럼 배토부(11)가 성형되면 본 발명의 이송스크류(72)가 상기 성형가이더(20)를 따라 가면서 회전을 한다. 성형가이더(20)의 외곽을 감싸는 프레임(40)의 후방부분에 이송스크류(72)가 체결된 상태이기에, 배토부(11)가 성형되면서 이송스크류(72)는 배토부(11)가 성형된 외부의 흙을 밀어서 배토부(11)의 내측으로 밀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도시된 도 8의 사시도에서 나타나는데, 상기 이송스크류(72)가 회전하면서 주변의 흙을 다시 밀어주게 되면, 상기 배토부(11)의 끝단부분(12)은 막히어 두둑(15)의 상단부분까지 매워지게 된다. 바로 이때 상기 고구마 묘순(1)을 작업자가 떨어트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고랑(=배토부; 11)의 끝단부분(12)의 매워진 곳에 고구마 묘순(1)은 그 머리(2)를 베고 눕게 된다. 고구마 묘순(1)은 배토부(11)의 내부로 완전하게 매립되는 것이 아니고 머리(2)부를 외부로 빼고 도시된 도 5의 (a)와 같은 형태로 놓여져 심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전술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활용될 수 없었다. 일일이 작업자가 고구마 묘순(1)의 머리를 잡아 세워야만 하는 작업이 줄어버린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발명을 활용하다가, 발견한 또 다른 문제점을 이 이송스크류(72)를 통해서 해결할 수 없었다. 즉, 고구마 묘순(1)을 심고 나서는 반드시 그 흙을 다지는 다짐의 작업이 필요한데, 이 다짐의 작업에서 고구마 묘순(1)의 줄기(3)부분이 부러지는 것이다. 고구마 묘순(1)을 머리만 세운 상태에서 다짐롤(83)로 가압을 하게 되면, 다짐롤(83)에 의해서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부분이 꺽이면서 줄기(3)가 끊어지거나 꺾어져서 생존이 어렵게 된다. 이는 다짐롤(83)이 지나가면서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부분을 수직으로 꺽어 가압하기에 묘순(1)의 줄기(3)가 상처를 입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해결하였다.
즉, 이 문제점은 도 3과 9에서 도시된 가압판을 통해서 해결한 것이다.
프레임(40)의 후면에는, 프레임(40)과 체결되는 지지판(74)과 그 지지판(74)의 하단으로 일체로 체결되어 배토부(11)에 끼워 놓은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를 사선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비스듬히 체결된 경사판(75)으로 이루어진 가압판(76);을 형성하여 배토부(11)를 성형하고, 묘순(1)이 심어진 배토부(11)을 매우며, 묘순(1)의 머리(2)를 누르거나 돠,우측으로 젖히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40)의 후면에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비스듬하게 스쳐 지나가는 가압판(76)을 체결한 것이다. 배토부(11)의 끝단부분(12)에 흙이 채워지고, 고구마 묘순(1)을 심고 나서는 프레임(40)의 후면판에 체결된 가압판(76)이 상기 고구마 묘순(1)을 지그시 밀면서 지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판(76)은 비스듬한 사판의 각도로 전진하는 경사판(75)이 고정된 상태이다. 이는 도 5의 (b)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부분을 가압하되, 수직으로 그 줄기(3)가 꺽이지 않도록 비스듬한 경사를 가진 경사판(75)이 가압하면서 밀기에 도 5의 (c)에서처럼 고랑(11)에서 비스듬히 기운 상태로 밀어준다.
도 5의 (c)는 고랑(=배토부; 11)을 평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가압판(76)의 경사판(75)이 묘순(1)의 머리(2)를 비스듬한 각도로 밀치면서 지나가기에 이 묘순(1)은 비스듬한 각도로 젖혀지면서 다음의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이 후의 작업은 다짐의 작업인데, 이 작업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가압판(75)은 도시된 도 3과 5에서처럼, 프레임(40)의 후면에 지지판(74)으로 체결되어 그 끝단부분에 비스듬한 각도의 경사판(75)을 체결한 실시예도 있지만, 도시된 도 9와 같은 실시예도 존재한다.
즉, 프레임(40)의 후면에는, 프레임(40)과 체결되는 지지판(74)과 그 지지판(74)의 하단으로 일체로 체결되어 배토부(11)에 끼워 놓은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를 사선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비스듬히 체결된 디스크(77)로 이루어진 가압판(78)을 형성하여 배토부(11)를 성형하고, 묘순(1)이 심어진 배토부(11)를 매우며, 묘순(1)의 머리(2)를 누르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 실시예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 그 기능과 목적이 동일하다. 단지 경사판(75) 대신 비스듬한 각도로 체결되는 디스크(77)를 장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디스크(77)가 장착된 실시예는 고구마 묘순(1)이 비스듬하게 장착된 디스크(77)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밀어주게 되면 상기 디스크(77)는 회전하게 되면서, 이 회전력에 의해서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부분을 더 큰 각도로 밀어주어 더욱 안전하게 다짐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크(77)는, 고무로 형성되거나 브러쉬로 이루어져 묘순(1)과의 마찰시 회전하면서 묘순(1)의 머리(2)를 비스듬한 각도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77)의 경우 고구마 묘순(1)과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그 회전력이 살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크(77)를 브러쉬나 고무의 형태로 제작한다. 고무의 경우 고구마 묘순(1)과의 마찰을 일으키며 미끄러지지 않기에 디스크(77)의 회전력을 향상시키고, 브러쉬의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미 전술된 다짐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도시된 도 3에서처럼, 프레임(40)의 후방으로는 별도의 후방프레임(81)을 체결하고, 그 후방프레임(81)의 측면에서 하단으로 돌출되는 지지패널(82)을 체결하며, 상기 좌우 양단의 지지패널(82)을 연결하는 다짐롤(83)을 체결한다. 프레임(40)의 길이방향을 연장시키는 별도의 후방프레임(81)을 장착하는 것이다. 이 후방프레임(81)의 하단으로는 도시된 것처럼 지지패널(82)을 통해서 연결된 다짐롤(83)이 형성되는데, 이 다짐롤(83)이 회전하면서,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를 가압하면서 배토부(=고랑; 11)를 매워주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짐롤은 다짐작업의 전술된 가압판(76, 78)의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이미 상기 다짐롤(83)이 지나가기 바로 전에 가압판(83)에 의해서 상기 고구마 묘순(1)은 그 머리(2)가 비스듬한 각도로 젖혀진 상태이기에 다짐롤(83)이 이 고구마 묘순(1)을 지나면서 가압할 때에도 비스듬한 각도로 기울여진 상태로 가압이 된다. 이 결과로 고구마 묘순(1)은 그 줄기(3)가 꺽이거나 부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다짐작업을 완성한 상태에서 지면에서 곧게 설 수 있게 된다.
그럼 본 발명의 큰 작동의 설명을 다시 한 번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두둑성형기(20)에 장착되어, 두둑(15)을 성형하면서, 배토부(11)를 성형하고, 배토부(11)의 끝단부분(12)을 매운 후 고구마 묘순(1)을 넣어 그 머리(2) 부분이 곧게 설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 또한 그 머리(2)부분을 비스듬한 각도로 가압하여 고구마 묘순(1)의 머리(2)가 꺾여도 부러지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다짐 작업을 한다. 바로 이러한 모든 작업을 두둑을 성형하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두둑성형부(10)의 두둑성형 슬라이더(B)가 지면을 지나면서 두둑(15)을 성형한다. 그리고 이때 후방에서 따라가던 성형가이더(20)가 두둑(15)의 상단부분에 배토부(11)를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성형가이더(20)의 끝단부분(12)에는 도시된 이송스크류(72)가 장착되어 있기에 이 이송스크류(72)가 회전하면서 배토부(11) 주변의 흙을 배토부(11)로 밀어 주어서 그 끝단부분(12)이 매워질 수 있도록 한다. 바로 이때 기체 위의 작업자는 의자(A)에 앉아서 고구마 묘순(1)을 잡고 성형가이더(20)의 내측으로 묘순(1)을 떨어트리게 되면, 상기 고구마 묘순(1)은 그 머리(2)가 끝단부분(12)에 의해 머리(2)가 곧게 선 상태로 배토부(11)에 떨어진다.
이후 프레임(40)의 후방에서 전진하던 가압판(76, 78)이 상기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를 비스듬한 각도로 밀어 좌,우로 젖혀진 상태에서 다짐롤(83)이 전진하여 고구마 묘순(1)을 지면으로 가압하면서 배토부(11)를 매워 다짐해 준다. 바로 이러한 작업에 의해서 본 발명의 묘순 심기장치는 두둑(15)을 성형하면서 고구마 묘순(1)을 심고 다짐하는 모든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10; 두둑성형기 20; 성형가이더
21; 배토성형부 22; 가이드패널부
25; 사면판 30,31; 경첩
32; 간격 40; 프레임
51; 지지판 52; 체결공
53; 힌지바 60; 간격조절수단
61; 수직판 62; 나사공
63; 손잡이부 64; 볼트
71; 지지판 72; 이송스크류
73; 회전모터

Claims (10)

  1. 두둑성형기(10)의 일측에 체결하되, 전방은 배토를 위한 쐐기 형상의 배토성형부(21)와 후방은 배토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패널부(22)로 이루어진 성형가이더(20);
    상기 성형가이더(20)의 3각 쐐기형 배토성형부(21)를 연결하여 형성하되 상면의 형태가 "
    Figure pat00004
    "로 제작되고, 두둑성형기(10)의 일측에 체결되어 두둑(15)의 상부를 배토하면서 묘순과 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성형가이더(20)의 외곽으로는, 성형가이더(20)와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가이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4각 프레임(40)을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40)은, 두둑성형기(10)의 하단에 일체로 체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착탈형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삼각의 쐐기형 배토성형부(21)의 경첩(30) 중 첫 단에 형성되는 경첩(31)은,
    간격(32)이 형성된 성형가이더(20)의 상부로 체결될 지지판(51)에 형성된 체결공(52)에 힌지바(53)를 관통시켜 배토성형부(21)의 첫 단 경첩(31)부가 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성형가이더(20)의 간격(32)은,
    쐐기형의 성형가이더(20)의 배토성형부(21)를 형성하는 좌우의 사면판(25)에서 돌출되는 수직판(61)과;
    상기 수직판(61)에 형성되는 나사공(62)과;
    상기 좌우의 나사공(62)에 끼워지되, 중심부에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63)를 갖춘 간격조절 볼트(64)로 이루어진 간격조절수단(60)이;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부(63)를 회전시킴으로 성형가이더(20)의 간격(32)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40)의 후방으로는,
    프레임(40)의 측면에서 하단으로 돌출되는 지지판(71)과;
    상기 지지판(71)을 각각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이송스크류(72); 및
    상기 이송스크류(72)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모터(73);를 결합시켜, 성형가이더(20)가 두둑(15)의 상단에 배토부(11)를 성형한 후 배토부(11)의 끝단부분(12)을 계속해서 매우며 전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40)의 후면에는,
    프레임(40)과 체결되는 지지판(74)과 그 지지판(74)의 하단으로 일체로 체결되어 배토부(11)에 끼워 놓은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를 사선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비스듬히 체결된 경사판(75)으로 이루어진 가압판(76);을 형성하여 배토부(11)를 성형하고, 묘순(1)이 심어진 배토부(11)을 매우며, 묘순(1)의 머리(2)를 좌,우측으로 젖혀주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40)의 후면에는,
    프레임(40)과 체결되는 지지판(74)과 그 지지판(74)의 하단으로 일체로 체결되어 배토부(11)에 끼워 놓은 고구마 묘순(1)의 머리(2)를 사선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비스듬히 체결된 디스크(77)로 이루어진 가압판(78);을 형성하여 묘순(1)이 심어진 배토부(11)를 매우며, 묘순(1)의 머리(2)를 좌,우측으로 젖혀주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디스크(77)는, 고무로 형성되거나 브러쉬로 이루어져 묘순(1)과의 마찰시 회전하면서 묘순(1)의 머리(2)를 비스듬한 각도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40)의 후방으로는 별도의 후방프레임(81)을 체결하고, 그 후방프레임(81)의 측면에서 하단으로 돌출되는 지지패널(82)을 체결하며, 상기 좌우 양단의 지지패널(82)을 연결하는 다짐롤(83)을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KR1020110069698A 2011-07-14 2011-07-14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KR101267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98A KR101267794B1 (ko) 2011-07-14 2011-07-14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98A KR101267794B1 (ko) 2011-07-14 2011-07-14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966A true KR20130008966A (ko) 2013-01-23
KR101267794B1 KR101267794B1 (ko) 2013-05-31

Family

ID=4783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698A KR101267794B1 (ko) 2011-07-14 2011-07-14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7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61A (ko) * 2018-04-11 2019-10-21 정길동 고구마용 이랑 성형기
KR20190121505A (ko) * 2018-04-18 2019-10-28 라병열 고구마 정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006B1 (ko) 2014-11-07 2017-01-31 김재동 고구마 정식기
KR102327780B1 (ko) 2019-05-20 2021-11-17 김재동 두둑성형장치가 구비된 고구마 정식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2919B2 (ja) 2000-02-08 2009-08-12 俊郎 下村 移植機及びそれを備えた移植作業車
KR100991512B1 (ko) 2010-03-19 2010-11-04 권도헌 농기계용 삽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61A (ko) * 2018-04-11 2019-10-21 정길동 고구마용 이랑 성형기
KR20190121505A (ko) * 2018-04-18 2019-10-28 라병열 고구마 정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794B1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794B1 (ko)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CN203226014U (zh) 播种机
CN107278390B (zh) 一种耕地平整装置
CN110558072A (zh) 一种用于刺槐硬枝的扦插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926183A (zh) 一种蔬菜种植用松土施肥装置
CN108055956B (zh) 自动切膜压膜起膜结构及振动结构施肥播种机
CN114766104B (zh) 一种土地治理用具有石子自动剔除功能的整平装置
KR101272871B1 (ko)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공급장치
DK2944176T3 (en) Forest sowing machine for sowing hardwood species with heavy fruits
KR100813442B1 (ko) 묘삼 이식기
CN204697492U (zh) 一种多功能草坪播种装置
KR101674054B1 (ko) 로타리 배토기
CN102119598B (zh) 一种水稻育秧、起秧机
CN205761576U (zh) 枣园残枝粉碎装置
KR101091845B1 (ko) 고구마순 삽식기
CN107836172A (zh) 马铃薯种行覆土种植机
CN207897372U (zh) 马铃薯种行覆土种植机
CN110024532B (zh) 一种可调节行距的玉米播种施肥机
CN108293380B (zh) 一种钵苗移栽装置
KR102115795B1 (ko)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CN201938056U (zh) 一种水稻育秧、起秧机
CN111418289A (zh) 一种名贵中药材种植及采摘装置
CN205961735U (zh) 一种具有压实功能的播种机
CN215935537U (zh) 一种辣椒育苗种植机
KR101865815B1 (ko) 고구마순 삽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