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795B1 -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795B1
KR102115795B1 KR1020180049266A KR20180049266A KR102115795B1 KR 102115795 B1 KR102115795 B1 KR 102115795B1 KR 1020180049266 A KR1020180049266 A KR 1020180049266A KR 20180049266 A KR20180049266 A KR 20180049266A KR 102115795 B1 KR102115795 B1 KR 102115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furrow
support
golf course
w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853A (ko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김영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9009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9/00Digging machines with centrifugal wheels, drums or spinners
    • A01D19/02Digging machines with centrifugal wheels, drums or spinners with working tools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arranged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4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after being lif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의 영업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잔디의 초종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은, 재배지에서 재배된 난지형 잔디(10)를 굴취하는 굴취단계와, 굴취된 잔디(10)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골프장에서 잔디(10)의 초종 교체를 할 장소에 고랑(2)을 형성하는 고랑형성단계와,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잔디(10)를 식재하는 식재단계와, 상기 잔디(10)가 식재된 고랑(2)에 비료를 투입하는 시비단계와,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파내진 배사토를 정리하는 정리단계로 구성되어, 골프장의 필드(1)에 식재된 한지용 잔디를 걷어내지 않고, 난지형 잔디(10)를 심어서 순차적으로 잔디(10)가 한지형에서 난지형으로 교체되도록 함으로, 골프장의 영업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한지용 잔디를 걷어냄에 따라 폐기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디(10)의 초종을 교체할 때를 새롭게 배토사를 깔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THE METHOD OF CHANGING LAWN GLASS SPECIES}
본 발명은 기존의 골프장에 조성되어 있는 잔디를 다른 종류의 잔디 초종으로 교체할 시에, 골프장의 영업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기존의 잔디 초종을 새 잔디 초종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장의 필드는 일정한 두께로 배토사를 깔고, 상기 배토사에 잔디를 식재하여 조성된다.
이때, 골프장에 식재되는 잔디는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로 나뉘어진다.
전술한 한지형 잔디는 일반적으로 양잔디로 불리는 것으로, 추운 날씨에 강하고 겨울에도 초록색을 유지하는 특징으로 인해 국내의 골프장에서 주로 선호하고 있다.
한지형 잔디는 뿌리가 얕고 촘촘하며 잎이 짧기 때문에, 공과 클럽 헤드 사이에 잔디가 기지 않아, 스윙시 골프공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스핀량의 전달이 좋아 정확한 스윙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짧은 잎 덕분에 공이 지면과 거의 닿게 되어 골프공을 정확히 임팩트를 하지 않을 경우, 정확한 스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전술한 난지형 잔디는 날씨가 추워지면 노란색으로 변색되는 반면, 한지형 잔디에 비해 높은 기온에서 잘 자라며, 잎이 뻣뻣하여 골프공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떠 있도록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윙시 정확한 임팩트를 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의 비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기온의 온난화가 발생됨에 따라, 한지형 잔디를 난지형 잔디로 교체하고자 하는 골프장이 늘어가고 있다.
그런데, 한지형 잔디를 난지형 잔디로 교체하는 초종 교체작업을 할 때는, 골프장 전체에 조성된 한지형 잔디를 걷어낸 후, 별도의 장소에 식재된 잔디를 평떼 형태(넓은 매트리스 형태)로 굴취(파내기)하고, 굴취된 평떼 형태의 잔디를 골프장으로 이식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초종 교체작업을 할 때는, 초종을 교체하는 동안 뿐 아니라, 새롭게 식재된 잔디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 골프장의 영업을 할 수 없게 됨으로, 장시간의 영업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골프장 전체에 조성된 한지형 잔디를 걷어낼 경우, 배토사가 잔디와 함께 제거됨으로,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될 뿐 아니라, 새로운 잔디를 이식할 때, 새롭게 배토사를 깔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2803호 (2003.04.2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골프장의 영업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게 잔디의 초종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시공시 발생되는 폐기물 및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프장에 조성된 한지형 잔디를 난지형 잔디로 초종 교체하는 방법으로써, 재배지에서 재배된 난지형 잔디(10)를 굴취하는 굴취단계와, 굴취된 잔디(10)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골프장에서 잔디(10)의 초종 교체를 할 장소에 고랑(2)을 형성하는 고랑형성단계와,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잔디(10)를 식재하는 식재단계와, 상기 잔디(10)가 식재된 고랑(2)에 비료를 투입하는 시비단계와,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파내진 배사토를 정리하는 정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리단계가 완료된 골프장에 한지형 잔디에 작용하는 제초제를 뿌리는 제초제살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굴취단계는 난지형 잔디(10)의 뿌리(12)부분을 잘라내어, 부리부분을 제외한 줄기(11)부분과 잎(13)부분만을 굴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랑(2)은 복수개가 폭 10mm 깊이 100mm 내외로 구성되고, 상기 고랑형성단계는 고랑형성장치(B)를 이용하여 한번에 복수개의 고랑(2)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하며, 상기 고랑형성장치(B)는 트랙터(3)의 후방에 연결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트랙터(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3)과, 둘레면에 날이 형성된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3)의 중간부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골프장 필드(1)의 배토사를 파고 들어가 골프장에 상기 고랑(2)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랑형성날(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정리단계는 정리장치(C)를 이용하여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고랑(2)의 양측으로 밀려나온 배토사를 고랑(2)의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다지는 단계로써, 상기 정리장치(C)는 트랙터(3)의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31)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2)와,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 지지대(33)와, 상기 제1 지지대(33)에 연결되어 제1 지지대(33)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4)과, 상기 제1 지지대(33)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대(35)와, 상기 제2 지지대(35)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35)가 탄성적으로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36)와, 상기 고랑형성장치(B)에 의해 형성된 고랑(2)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랑(2)을 형성할 때 외측으로 밀려나온 배토사를 고랑(2)의 내부로 밀어 넣은 복수개의 복토유닛(37)과, 상기 복토유닛(37)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랑(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복토유닛(37)이 상기 고랑(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지지대(35)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삽입부재(38)와, 제2 지지대(3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구비되며 상기 고랑(2)에 복토된 배토사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39)와,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기 삽입부재(38)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랑(2)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40)과, 상기 위치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3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재(38)가 고랑(2)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33)의 측방위치를 조절하는 제어수단(41)을 포함하며, 상기 복토유닛(37)은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호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37a,37b)과, 둘레면에 다수개의 솔부재가 구비된 원통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37a,37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37e)에 의해 하측둘레부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 브러시부재(37c,37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러시부재(37c,37d)는 전단부는 간격이 넓고 후단부는 간격이 좁은 V형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은, 재배지에서 재배된 난지형 잔디(10)를 굴취하는 굴취단계와, 굴취된 잔디(10)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골프장에서 잔디(10)의 초종 교체를 할 장소에 고랑(2)을 형성하는 고랑형성단계와,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잔디(10)를 식재하는 식재단계와, 상기 잔디(10)가 식재된 고랑(2)에 비료를 투입하는 시비단계와,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파내진 배사토를 정리하는 정리단계로 구성되어, 골프장의 필드(1)에 식재된 한지용 잔디를 걷어내지 않고, 난지형 잔디(10)를 심어서 순차적으로 잔디(10)가 한지형에서 난지형으로 교체되도록 함으로, 골프장의 영업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한지용 잔디를 걷어냄에 따라 폐기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디(10)의 초종을 교체할 때를 새롭게 배토사를 깔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잔디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의 굴취단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의 작업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의 고랑형성단계에 사용되는 고랑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D-D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의 고랑형성단계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의 식재단계의 작업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의 정리단계에 사용되는 정리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9는 도 8의 E-E선 단면을 도시한 후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의 정리단계에 사용되는 정리장치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의 정리단계에 사용되는 정리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의 정리단계의 작업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골프장에 조성된 한지형 잔디를 난지형 잔디로 초종 교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은 재배지에서 재배된 난지형 잔디(10)를 굴취하는 굴취단계와, 굴취된 잔디(10)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골프장에서 잔디(10)의 초종 교체를 할 장소에 고랑(2)을 형성하는 고랑형성단계와,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잔디(10)를 식재하는 식재단계와, 상기 잔디(10)가 식재된 고랑(2)에 비료를 투입하는 시비단계와,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파내진 배사토를 정리하는 정리단계와, 정리단계가 완료된 골프장에 한지용 잔디에 작용하는 제초제를 뿌리는 제초제살포단계로 구성된다.
한편, 잔디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땅속에서 측방향으로 뻗어나간 줄기(11)에 다수개의 뿌리(12)가 발생되고, 잎(13)은 상기 줄기(11)의 둘레부에서 필드(1)의 상부로 자라나게 된다.
상기 굴취단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지형 잔디(10)를 재배하는 재배지에서 재배된 난지형 잔디(10)를, 전용 굴취장비(A)를 이용하여, 뿌리(12)부분을 잘라내어, 부리부분을 제외한 줄기(11)부분과 잎(13)부분만을 굴취하는 단계이다.
즉, 난지형 잔디(10)는 배토사가 아닌 일반적인 흙에서 잘 자람으로, 넓은 밭에서 난지형 잔디(10)를 재배하게 된다.
이때, 난지형 잔디(10)는 땅속에서 측방향으로 뻗어나간 줄기(11)에서 다수개의 뿌리(12)가 하측으로 자라나게 되며, 잎(13)은 상기 줄기(11)의 둘레부에서 지면의 상부로 자라나게 됨으로, 전용 굴취장비(A)를 이용하여 땅을 일정한 깊이로 파내어 잘라냄으로써, 난지형 잔디(10)의 줄기(11)부분과 잎(13)부분을 굴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굴취된 난지형 잔디(10)는, 상기 줄기(11)부분이 적절한 길이로 잘려짐과 동시에, 잘려진 줄기(11)부분에는 잘려진 뿌리(12)부분이 일부분 남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난지형 잔디(10)를 굴취할 때 사용되는 굴취장비(A)는 종래에 골프장에 조성된 잔디(10)를 제거할 때 사용되는 장비와 동일한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전술한 굴취단계에서 굴취된 난지형 잔디(10)의 줄기(11)와 잎(13)부분에 묻은 흙을 털어낸 후, 액상의 발근처리제에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담근 후 꺼내어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전처리단계를 거친 난지형 잔디(10)는 줄기(11)부분에 남은 뿌리(12)가 빠르게 자라남과 동시에, 줄기(11)부분에서 새로운 뿌리(12)가 빠르게 돋아나게 된다.
상기 고랑형성단계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랑형성장치(B)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고랑(2)을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한꺼번에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고랑(2)은 복수개가 폭 10mm 깊이 100mm 내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랑형성장치(B)는 트랙터(3)의 후방에 연결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구비되어 하우징(21)이 골프장 필드(1)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휠(22)과, 상기 하우징(21)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트랙터(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3)과, 둘레면에 날이 형성된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3)의 중간부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골프장 필드(1)의 배토사를 파고 들어가 골프장에 상기 고랑(2)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랑형성날(2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1)은 상기 트랙터(3)의 후방에 구비된 지지브라켓(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21)에는 유압실린더(21a)가 연결되어, 하우징(21)을 상하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3)은 상기 트랙터(3)의 PTO에 연결되어, 트랙터(3)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랑형성날(24)은 지름 400mm, 그리고 두게 10mm인 원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12개가 상기 회전축(23)에 상호 측방향으로 100mm 내외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휠(22)이 골프장 필드(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측 둘레부가 상기 골프장의 필드(1)에 100mm 깊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휠(22)이 골프장 필드(1)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21)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트랙터(3)를 운전하면, 상기 회전축(23)과 함께 고랑형성날(24)이 회전되면서 골프장 필드(1)의 상면의 배사토를 파내어 양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줄의 고랑(2)을 상호 평행하게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식재단계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단계를 거친 난지형 잔디(10)의 줄기(11)를 작업자가 상기 고랑(2)의 내부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작업자는 적절한 길이로 잘려진 잔디(10)의 줄기(11)가 일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고랑(2)의 내부에 투입한다.
상기 정리단계는 도 8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리장치(C)를 이용하여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고랑(2)의 양측으로 밀려나온 배토사를 고랑(2)의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다지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정리장치(C)는 트랙터(3)의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31)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2)와,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 지지대(33)와, 상기 제1 지지대(33)에 연결되어 제1 지지대(33)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4)과, 상기 제1 지지대(33)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대(35)와, 상기 제2 지지대(35)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35)가 탄성적으로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36)와, 상기 고랑형성장치(B)에 의해 형성된 고랑(2)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랑(2)을 형성할 때 외측으로 밀려나온 배토사를 고랑(2)의 내부로 밀어 넣은 복수개의 복토유닛(37)과, 상기 복토유닛(37)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랑(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복토유닛(37)이 상기 고랑(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지지대(35)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삽입부재(38)와, 제2 지지대(3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구비되며 상기 고랑(2)에 복토된 배토사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39)와,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기 삽입부재(38)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랑(2)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40)과, 상기 위치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3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재(38)가 고랑(2)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33)의 측방위치를 조절하는 제어수단(41)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1)은 전면에 구비된 회동아암(31b)이 상기 트랙터(3)의 후방에 구비된 지지브라켓(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레일(31a)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실린더(32)는 상기 트랙터(3)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승강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트랙터(3)에 구비된 승강조작스위치(32a)를 조작하여 승강실린더(32)를 신축시킴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로울러(39)와 복토유닛(37)이 골프장에 필드(1)에 밀착되거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장의 필드(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대(33)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1)의 제1 가이드레일(31a)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대(33)의 하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레일(33a)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34)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31)과 제1 지지대(33)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대(33)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21a)를 이용한다.
상기 제2 지지대(35)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레일(33a)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36)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제1 지지대(33)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부(33b)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지지대(35)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대(35)가 상기 제1 지지대(33)의 하측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지지대(35)에 측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 지지대(35)가 탄성적으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복토유닛(37)은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호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37a,37b)과, 둘레면에 다수개의 솔부재가 구비된 원통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37a,37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37e)에 의해 하측둘레부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 브러시부재(37c,37d)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브러시부재(37c,37d)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부는 간격이 넓고 후단부는 간격이 좁은 V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삽입부재(38)는 전후방향으로 측방향 폭이 10mm인 사각 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복토유닛(37)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삽입부재(38)가 상기 복토유닛(37)의 제1 및 제2 브러시부재(37c,37d)의 전방 중앙부에 1개씩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38)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지지프레임(31)이 하강되어 상기 가압로울러(39)가 골프장 필드(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고랑(2)의 내부로 50mm 정도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로울러(39)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40)은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면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골프장 필드(1)에 형성된 고랑(2)의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면에 구비된 삽입부재(38)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삽입부재(38)의 전방, 본 실시예의 경우, 가장 우측에 위치된 삽입부재(38)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감지수단(40)이 상기 필드(1)에 형성된 고랑(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33)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면 상기 삽입부재(38)와 복토유닛(37)이 상기 고랑(2)의 상측에 정확히 위치된다.
상기 제어수단(41)은 상기 위치감지수단(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프로그램이 답재된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31)이 필드(1)에서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트랙터(3)의 운전자가 운전석에 구비된 제어스위치(41a)를 조작하면, 상기 위치감지수단(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위치조절수단(3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위치감지수단(40)이 상기 고랑(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33)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삽입부재(38)와 복토유닛(37)이 필드(1)에 형성된 고랑(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트랙터(3)를 운전하여 상기 정리장치(C)가 난지형 잔디(10)가 투입된 고랑(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스위치(41a)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41)이 상기 위치조절수단(34)을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재(38)와 복토유닛(37)이 필드(1)에 형성된 고랑(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감지수단(40)이 고랑(2)의 상측에 위치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위치조절수단(34)을 신축시켜, 상기 제1 지지대(33)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위치감지수단(40)이 고랑(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38)와 복토유닛(37)이 필드(1)에 형성된 고랑(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승강조작스위치(32a)를 조작하여 지지프레임(31)을 하강시키면,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로울러(39)가 필드(1)의 상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부재(38)는 상기 고랑(2)에 삽입되고, 상기 복토유닛(37)의 제1 및 제2 브러시가 상기 고랑(2)의 양측 상면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31)이 하강되면 상기 제어수단(41)은 상기 위치조절수단(34)의 작동을 정지하여, 제1 지지대(33)의 측방향 위치가 더 이상 조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트랙터(3)를 운전하여 정리장치(C)가 고랑(2)을 따라 전진되도록 하면, 상기 복토유닛(37)의 제1 및 제2 브러시가 고랑(2) 양쪽으로 밀려난 배토사를 고랑(2)쪽으로 밀어내어 복토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38)가 상기 고랑(2)에 삽입되어 고랑(2)을 따라 전진하게 됨으로, 트랙터(3)가 상기 고랑(2)을 따라 정확히 전진되지 못하더라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대(35)가 측방향으로 적절히 유동되면서, 상기 삽입부재(38)가 상기 고랑(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복토유닛(37)의 제1 및 제2 브러시가 정확히 고랑(2)의 양측 상면에 밀착되어 고랑(2)의 양측으로 밀려난 배토사를 고랑(2)쪽으로 밀어내어 복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랙터(3)에 의해 정리장치(C)가 더욱 전진되면, 상기 가압로울러(39)가 상기 고랑(2)에 복토된 배토사를 하측으로 눌러, 배토사가 더욱 단단하게 다져지도록 한다.
상기 제초제살포단계는 이미 골프장의 필드(1)에 식재된 한지용 잔디는 약하게 하면서, 상기 고랑(2)의 내부에 식재된 난지형 잔디(1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종류의 제초제를 물과 혼합하여 주기적으로 골프장의 필두에 살포함으로써, 한지용 잔디의 세력은 약하게 하고, 고랑(2)에 식재된 난지형 잔디(10)의 세력은 강하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난지형 잔디(10)의 세력이 필드(1) 전체로 퍼져 나가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고랑(2)에 식재된 난지형 잔디(10)가 필드(1) 전체를 덮도록 자랄 때까지는 1년에서 2년 정도로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은, 재배지에서 재배된 난지형 잔디(10)를 굴취하는 굴취단계와, 굴취된 잔디(10)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골프장에서 잔디(10)의 초종 교체를 할 장소에 고랑(2)을 형성하는 고랑형성단계와,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잔디(10)를 식재하는 식재단계와, 상기 잔디(10)가 식재된 고랑(2)에 비료를 투입하는 시비단계와,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파내진 배사토를 정리하는 정리단계로 구성되어, 골프장의 필드(1)에 식재된 한지용 잔디를 걷어내지 않고, 난지형 잔디(10)를 심어서 순차적으로 잔디(10)가 한지형에서 난지형으로 교체되도록 함으로, 골프장의 영업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한지용 잔디를 걷어냄에 따라 폐기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잔디(10)의 초종을 교체할 때를 새롭게 배토사를 깔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정리단계가 완료된 골프장에 한지용 잔디에 작용하는 제초제를 뿌리는 제초제살포단계가 더 구비되어, 고랑(2)에 식재된 난지형 잔디(10)가 더욱 효과적으로 자라서 세력을 확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굴취단계에서는 난지형 잔디(10)의 뿌리(12)부분을 잘라내어, 부리부분을 제외한 줄기(11)부분과 잎(13)부분만을 굴취함으로, 재배지에서 재배된 난지형 잔디(10)를 손쉽게 굴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랑(2)은 복수개가 폭 10mm 깊이 100mm 내외로 구성되고, 상기 고랑형성단계는 고랑형성장치(B)를 이용하여 한번에 복수개의 고랑(2)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하며, 상기 고랑형성장치(B)는 트랙터(3)의 후방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트랙터(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3)과, 둘레면에 날이 형성된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3)의 중간부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골프장 필드(1)의 배토사를 파고 들어가 골프장에 상기 고랑(2)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랑형성날(24)로 구성됨으로, 여러 줄의 고랑(2)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정리단계에서는 정리장치(C)를 이용하여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고랑(2)의 양측으로 밀려나온 배토사를 고랑(2)의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다짐으로, 고랑(2)의 내부에 식재된 난지형 잔디(10)가 원활히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정리장치(C)는 트랙터(3)의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31)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2)와,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제1 지지대(33)와, 상기 제1 지지대(33)에 연결되어 제1 지지대(33)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4)과, 상기 제1 지지대(33)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대(35)와, 상기 제2 지지대(35)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35)가 탄성적으로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36)와, 상기 고랑형성장치(B)에 의해 형성된 고랑(2)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랑(2)을 형성할 때 외측으로 밀려나온 배토사를 고랑(2)의 내부로 밀어 넣은 복수개의 복토유닛(37)과, 상기 복토유닛(37)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랑(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복토유닛(37)이 상기 고랑(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지지대(35)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삽입부재(38)와, 제2 지지대(3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랑(2)에 복토된 배토사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39)와,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기 삽입부재(38)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랑(2)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40)과, 상기 위치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3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재(38)가 고랑(2)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33)의 측방위치를 조절하는 제어수단(41)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토유닛(37)은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호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37a,37b)과, 둘레면에 다수개의 솔부재가 구비된 원통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37a,37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37e)에 의해 하측둘레부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 브러시부재(37c,37d)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러시부재(37c,37d)는 전단부는 간격이 넓고 후단부는 간격이 좁은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복토유닛(37)의 제1 및 제2 브러시가 정확히 고랑(2)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러시가 고랑(2)의 양측으로 밀려난 배토사를 효과적으로 고랑(2)의 내부로 밀어 넣어 복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삽입부재(38)가 고랑(2)에 삽입되어 트랙터(3)의 전진시 상기 정리장치(C)가 고랑(2)을 따라 정확히 전진되지 못하더라도, 상기 자동으로 상기 제1 및 제2 브러시가 고랑(2)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위치조절됨으로, 배토사를 더욱 효과적으로 복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3. 트랙터 A, 굴취장비
B. 고랑형성장치 C. 정리장치

Claims (5)

  1. 골프장에 조성된 한지용 잔디를 난지형 잔디(10)로 초종 교체하는 방법으로써, 재배지에서 재배된 난지형 잔디(10)를 굴취하는 굴취단계와, 상기 굴취된 잔디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상기 굴취된 잔디가 초종 교체될 장소에 고랑(2)을 형성하는 고랑형성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잔디를 상기 고랑(2)에 식재하는 식재단계와, 상기 고랑(2)에 비료를 투입하는 시비단계와,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파내진 배사토를 정리하는 정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랑(2)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복수개의 고랑은 고랑형성장치(B)를 이용하여 동시에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하며, 상기 고랑형성장치(B)는 트랙터(3)의 후방에 연결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트랙터(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3)과, 둘레면에 날이 형성된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3)의 중간부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골프장의 배토사를 파고 들어가 골프장에 상기 고랑(2)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고랑형성날(24)을 포함하며,
    상기 정리단계는 정리장치(C)를 이용하여 상기 고랑형성단계에서 고랑(2)의 양측으로 밀려나온 배토사를 고랑(2)의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다지는 단계로써, 상기 정리장치(C)는 트랙터(3)의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31)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2)와,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지지대(33)와, 상기 제1 지지대(33)에 연결되어 제1 지지대(33)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4)과, 상기 제1 지지대(33)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대(35)와, 상기 제2 지지대(35)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35)가 탄성적으로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36)와, 상기 고랑형성장치(B)에 의해 형성된 고랑(2)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랑(2)을 형성할 때 외측으로 밀려나온 배토사를 고랑(2)의 내부로 밀어 넣은 복수개의 복토유닛(37)과, 상기 복토유닛(37)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랑(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복토유닛(37)이 상기 고랑(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지지대(35)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삽입부재(38)와, 제2 지지대(3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1)에 구비되며 상기 고랑(2)에 복토된 배토사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39)와,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기 삽입부재(38)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랑(2)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40)과, 상기 위치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3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재(38)가 고랑(2)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33)의 측방위치를 조절하는 제어수단(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골프장의 필드(1)에 식재된 한지용 잔디의 세력은 약하게 하고, 고랑(2)에 식재된 난지형 잔디(10)의 세력이 강해지도록, 정리단계가 완료된 골프장에 한지용 잔디에 작용하는 제초제를 뿌리는 제초제살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취단계는 난지형 잔디(10)를 전용 굴취장비(A)를 이용하여 뿌리(12)부분을 잘라내어, 뿌리리부분을 제외한 줄기(11)부분과 잎(13)부분만을 굴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유닛(37)은
    상기 제2 지지대(35)의 하측에 상호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37a,37b)과,
    둘레면에 다수개의 솔부재가 구비된 원통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브라켓(37a,37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37e)에 의해 하측둘레부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 브러시부재(37c,37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러시부재(37c,37d)는 전단부는 간격이 넓고 후단부는 간격이 좁은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1)은 전면에 구비된 회동아암(31b)이 트랙터(3)의 후방에 구비된 지지브라켓(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레일(31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KR1020180049266A 2018-02-07 2018-04-27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KR102115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15160 2018-02-07
KR1020180015160 2018-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53A KR20190095853A (ko) 2019-08-16
KR102115795B1 true KR102115795B1 (ko) 2020-05-27

Family

ID=6780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266A KR102115795B1 (ko) 2018-02-07 2018-04-27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687B1 (ko) * 2023-02-13 2023-08-14 이희 골프장, 운동장, 공원, 체육시설의 잔디교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472B1 (ko) 2000-07-11 2002-12-18 곽양진 천연잔디를 생육, 교체, 이식하는 천연잔디 이식기
JP2003088204A (ja) * 2001-09-17 2003-03-25 Puriide Yutani Kk 芝生剥ぎ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7707B2 (ja) * 1991-10-31 1999-04-26 山陽芝生株式会社 栄養繁殖型芝類の移植方法
KR100253940B1 (ko) * 1997-11-20 2000-04-15 고성준 잔디이식기
KR200312803Y1 (ko) 2003-02-12 2003-05-13 전민경 칼날이 교체가능한 잔디 채취기 커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472B1 (ko) 2000-07-11 2002-12-18 곽양진 천연잔디를 생육, 교체, 이식하는 천연잔디 이식기
JP2003088204A (ja) * 2001-09-17 2003-03-25 Puriide Yutani Kk 芝生剥ぎ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53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21505B (zh) 马铃薯全工序集成播种机及其播种方法
CN105027775B (zh) 一种全自动铺膜覆土移栽机
CN208191274U (zh) 硒砂瓜移栽机
JP6364111B1 (ja) ビニール一貫播種機
JP2014103909A (ja) 作業機
KR20110101950A (ko) 로터리용 배토기
KR101313669B1 (ko) 고구마 종순 심기장치
KR102115795B1 (ko) 골프장 잔디 초종 교체방법
CN104855024A (zh) 一种多功能自动移栽机
CN207075188U (zh) 一种开沟、覆土、铺管、盖膜一体机
CN204669864U (zh) 一种多功能自动移栽机
CN109068584B (zh) 甘蔗移植机
KR20100086542A (ko) 트랙터 부착형 휴립 복토 정지기
CN105557157B (zh) 一种水稻旱栽机及工作方法
CN205189027U (zh) 一种用于地埋式滴灌管埋设的开沟布管装置
CN204697492U (zh) 一种多功能草坪播种装置
KR101283576B1 (ko) 파종기
KR101023293B1 (ko) 트랙터 부착형 복토기
CN106717362A (zh) 一种大蒜定向定位连续种植机
KR20130008966A (ko)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KR101091845B1 (ko) 고구마순 삽식기
KR20100086113A (ko) 트랙터 부착형 복토 정지기
JP3124431U (ja) 土中ネット敷設装置
CN204762107U (zh) 葡萄施肥机
CN102823368A (zh) 配套使用农机设备可提高效率及效果的苗床定位播种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