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001A -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001A
KR20130008001A KR1020120158216A KR20120158216A KR20130008001A KR 20130008001 A KR20130008001 A KR 20130008001A KR 1020120158216 A KR1020120158216 A KR 1020120158216A KR 20120158216 A KR20120158216 A KR 20120158216A KR 20130008001 A KR20130008001 A KR 20130008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oxymethylene
parts
weight
graphen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호
강경민
박은하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8001A/ko
Publication of KR2013000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8L59/04Copolyoxymethyl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5 ~ 40 중량부; 및 산화 그래핀 1 ~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기계적 물성, 도전성 및 차폐성을 동시에 나타냄으로써 자동차 연료기관의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Polyoxymethylene Resins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 특히 자동차 연료기관의 부품에 사용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oxymethylene)은 비교적 낮은 체적저항을 갖고, 내화학성, 내연료성, 치수안정성 등의 자동차 연료에 대한 내구성이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비해 비교적 뛰어나기 때문에 자동차 펌프 하우징 및 연료 접촉 부분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연구 부품 용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전자재료로서의 POM은 전기부품의 기판 이송용 롤러, 웨이퍼 이송용 부품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어 전자부품 산업의 소재기술이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점차 슈퍼 엔프라가 사용되는 부품에까지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부품 재료의 구동 온도는 통산 100°C 미만이고 가솔린 자동차 연료 시스템 구동 온도는 65°C 이다 이에 POM은 전자 및 자동차 연료 사용온도를 충족시키는 재료이다.
그러나 POM은 이와 같이 뛰어난 내 화학 특성과 낮은 수분 흡수율로 전자 부품 및 자동차 연료부품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만 최근 전자재료 고순도화 인한 화학적 처리의 연속화 및 최근 개발된 자동차의 연료 부품 내구성 향상으로 인해 화학적 기계적 물성이 종래에 요구 되는 기계적 물성에 비해 현저 하게 증가 된 것이다. 이에 POM으로 제조 되는 전자 및 자동차용 부품은 기계적 물성을 충족 시켜야 한다. 상기 증대된 기계적 물성은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POM수지의 기계적 물성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자동차 부품에 있어 전기, 전자부품이 점차 발전하고 그 용도가 다양해 짐에 따라 더 가혹한 조건에서 장시간 동안 영구적 차폐 능력 및 대전 방지능력, 유지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POM 수지는 전기 절연체이므로 도전성이 필요한 기판이송 라인과 자동차 연료 계통에 사용되기 위해서 도전성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탄소 섬유 등과 같은 도전성 첨가제를 이용하여 도전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실시되어 오고 있다. 특히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전도성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탄소 섬유는 분산을 도와주는 커플링제를 포함하고 있어, 상호간의 박리 문제 ? 표면 슬러깅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산화 그래핀의 경우 적은 ?량 대비 상기 도전성 첨가제보다 높은 도전성을 가지며 POM 수지의 본연의 특성을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POM 수지에 산화그래핀을 혼합하여 사출하여 도전성 및 차폐 POM 수지를 얻고자 하면 산화그래핀의 분산성의 문제로 POM 수지 내에 산화 그래핀이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원하는 성능을 얻을 수 없다.
수지에 전도성 첨가제를 적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2011-0078117호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내에 일정하게 분산되어 있는 그래핀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 그래핀으로 함유하는 대전 방지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1~10중량부 함유되고, 도전성 특성과 차폐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전성을 발현하기 위해 다량의 그래핀을 사용하므로 성형시 흐름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공개특허 2008-0121847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내에 탄소나노튜브를 일정하게 분산시켜 고무 수지와 혼합한 후 제조한 대전 방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탄소 나노 튜브 0.1~40 중량 % 첨가하여 도전성이 106 이하의 도전성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제안하였으나 전자파 차폐품의 수준의 도전성을 얻기 위해서는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증가되어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기존 POM 수지의 특성인 우수한 치수안정성 및 내화학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도전성과 차폐성을 동시에 확보 할 수 있는 POM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5 ~ 40 중량부; 및 산화 그래핀 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산화 그래핀은 그 단층면에 에폭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존재하고, 그 가장자리에는 카르복실기(carboxyls), 락톤기(lactones), 페놀기(phenols), 락톨기(lactols), 파이론기(pyrones) 및 키톤기(ketones)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ASTM D257에 의한 표면저항이 1 X102 Ω 이하이고, ASTM D638에 의한 인장강도가 650 kg/㎠ 이하이고, ASTM D256에 의한 충격강도가 ASTM D256 5.5 kg·㎝/㎝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POM 수지 고유의 물성이 우수한 치수안정성 및 내화학성을 나타내면서도, 도전성과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어, 자동차부품, 특히, 자동차 엔진부의 연료와 접촉되는 부품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5 ~ 40 중량부; 및 산화 그래핀 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수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란, 옥시메틸렌 단위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머이고, 포름알데히드 또는 트리옥산을 주원료로 하는 중합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이른바 폴리옥시메틸렌 호모폴리머일 수도 있고, 주로 옥시메틸렌 단위로 이루어지고, 주쇄중에 2~8 개의 인접하는 탄소원자를 가지는 옥시알킬렌 단위를 15 중량부 이하 함유하는, 이른바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일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구조단위를 함유하는 코폴리머, 즉 블록 코폴리머, 터폴리머(terpolymer) 및 가교 폴리머중 어느 것일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열안정성의 관점에서 폴리옥시메틸렌 코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프렌, 펜텐 등의 올레핀류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수득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불포화 카복시산 또는 그의 유도체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화합물을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이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구체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 폴리 1-부텐, 폴리 1-펜텐, 폴리메틸펜텐 등의 단독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비닐알콜에스테르 단독중합체, 비닐알콜 에스테르 단독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가수분해하여 수득되는 중합체,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비닐알콜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가수분해하여 수득되는 중합체],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복시산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복시산 및/또는 불포화 카복시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중 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금속염화시킨 공중합체], 공역 디엔과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와의 블록 공중합체 및 그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복시산 및/또는 불포화 카복시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복시산 및/또는 불포화 카복시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중 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금속염화시킨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또한, 여기서 말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탄소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적어도 1종 이상과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으로는,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1-에이코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9-메틸-1-데센, 11-메틸-1-도데센, 12-에틸-1-테트라데센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 중에서도 탄소수 3~12의 α-올레핀을 사용한 공중합체가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는 α-올레핀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3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5 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20 몰%이다.또한, 1,4-헥사디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2,5-노르보나디엔(Norborna-diene), 5-에틸리덴노르보넨, 5-에틸-2,5-노르보나디엔, 5-(1'-프로페닐)-2-노르보넨 등의 비공역 디엔의 적어도 1종이 공중합될 수도 있다.또한,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복시산 및/또는 불포화 카복시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불포화 카복시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중 어느 하나 혹은 그의 혼합물이고, 불포화 카복시산 에스테르로는 이들 불포화 카복시산의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부틸에스테르, 펜틸에스테르, 헥실에스테르, 헵틸에스테르, 옥틸에스테르, 노닐에스테르, 데실에스테르 등,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이들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도, 저, 중 및 고 순도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아크릴계 수지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또는 공중합체, 예를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스티렌계 수지로는, 폴리스티렌, 스티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 공중합체,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방향족 디카복시산 및/또는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 수평균 분자량 500 이하의 디올 및 수평균 분자량 500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을 축중합하여 수득되는 것으로,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수평균 분자량 500 이하의 디올로 이루어진 하드세그먼트와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수평균 분자량 500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로 이루어진 소프트세그먼트를 가진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방향족 디카복시산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이나 나프탈렌카복시산이 주로 사용되는데, 30 몰% 이하의 소량이면,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과 같은 다른 방향족 디카복시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도데칸이산, 다이머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복시산, 사이클로헥산디카복시산과 같은 지환족 디카복시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수평균 분자량 500 이하의 디올 성분으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2-부탄디올, 1,4-부탄디올, 1,4-부텐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메틸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디올은 단독으로도 혼합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디올 성분 중에서도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성, 결정성 측면에서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또,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수평균 분자량 500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 성분으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중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의 수평균분자량은 500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충격성 개선과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와의 상용성 측면에서는 수평균 분자량 500~20,000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공중합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단위, 즉 소프트 세그먼트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중의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의 개선효과가 작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사용할 수 없다.
3) 산화그래핀
본 발명에 있어서, 산화 그래핀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0 중량부일 수 있다. 산화 그래핀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전도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 초과이면 전도성은 우수하나 가공 공정에서의 흐름성이 저하되고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표면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그래핀이란 탄소원자들이 2차원 상에서 결합에 의한 벌집모양의 배열을 이루면서 원자 한 층의 두께를 가지는 물질로 구조적,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열전도도와 전도체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핀의 최외각 전자들 중에서 세 개는 강한 공유결합을 이루고 나머지 전자의 파동함수는 평면에 수직인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공유결합에 참여하는 전자들의 상태를 -오비탈이라고 하며, 평면에 수직한 전자의 상태를 -오비탈이라고 하는데, 그래핀에서 페르미준위 근처의 전자의 파동함수들은 -오비탈의 선형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 그래핀은 반응 압출기에서 그래핀을 열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불순물을 포함하는 그래핀의 조성물을 기상법으로 산화 처리 하여 정제함으로써 그래핀의 접촉 면적이 증가 되고 잔존 탄소 불순물을 제거 되는 산화 그래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 개질된 산화 그래핀은 열분해해석장치(TGA)에 의해 측정된 순도가 85~90%일 수 있으며, 산화 그래핀에 의해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의 도전성과 전자파 차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4)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열안정제, 이형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테트라키스 (메틸렌(3,5-디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 하이드로시나메이트))메탄일 수 있으며, 상기 이형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은 POM 수지에 도전성 물질로서 산화 그래핀을 첨가함으로써 전하의 분산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존 POM 수지 고유의 치수안정성 및 내화학성은 유지하면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도전성, 차폐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의 특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연료라인 및 정전기 방지 부품 및 차량의 전자파 차폐품 경량화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코오롱플라스틱社, KOCETAL K900),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코오롱플라스틱社, KOPEL KP3340HR) 및 산화 그래핀 (CVD 및 Chemical Exfoliation방식으로 제작된 Graphite oxide)을 22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및 혼련하여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을 칩(chip) 상태로 형상화한 후, 100℃에서 4시간 동안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용융 혼련때와 동일한 온도인 220℃로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편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표면저항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1) 인장강도: ASTM D638에 의거하여 3.2mm 두께의 덤벨형 시험편을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2) 충격강도: ASTM D256에 의거하여 3.2mm 두께의 막대 시험편을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아이조드 노치(Izod Notche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3) 표면저항: ASTM D257에 의거하여 100mm X 100mm X 3mm 사각시편을
Quadtech 1865 Megohmmeter/IR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단위:중량부)
구분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산화 그래핀
실시예1 100 10 2
실시예2 100 30 5
실시예3 100 35 7
비교예1 100 45 5
비교예2 100 2 5
비교예3 100 30 12
비교예4 100 30 0
비교예5 100 0 10
구분 인장강도(kg/㎠) 충격강도(kg·㎝/㎝) 표면저항
(Ω)
실시예1 650 5.5 102
실시예2 701 5.9 102
실시예3 690 6.1 102
비교예1 560 7.1 106
비교예2 433 3 103
비교예3 455 1.3 102
비교예4 540 7.5 1010
비교예5 463 1 10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옥시메틸렌 수지조성물은 우수한 기계적 강성을 발현함에 따라 영구적 도전성 차폐성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확인 하였다.
따라서 POM수지,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반응 압출기를 이용 열처리를 통한 산화그래핀의 결정화를 높이는 여부에 따라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이 큼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OM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강성, 기계적 특성, 굴곡탄성률 우수하고 특히 전기적 특성이 우수해 자동차 부품, 특히 엔진부 연료계 부품용 및 전자파 차폐 수지로 유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상기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5 ~ 40 중량부; 및
    산화 그래핀 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그래핀은 그 단층면에 에폭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존재하고, 그 가장자리에는 카르복실기(carboxyls), 락톤기(lactones), 페놀기(phenols), 락톨기(lactols), 파이론기(pyrones) 및 키톤기(ketones)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존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ASTM D257에 의한 표면저항이 1 X 102 Ω 이하이고,
    ASTM D638에 의한 인장강도가 650 kg/㎠ 이하이고,
    ASTM D256에 의한 충격강도가 ASTM D256 5.5 kg·㎝/㎝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KR1020120158216A 2012-12-31 2012-12-31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KR20130008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216A KR20130008001A (ko) 2012-12-31 2012-12-31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216A KR20130008001A (ko) 2012-12-31 2012-12-31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001A true KR20130008001A (ko) 2013-01-21

Family

ID=4783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216A KR20130008001A (ko) 2012-12-31 2012-12-31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80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4849A (zh) * 2014-01-28 2014-05-21 盐城纳新天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改性高导热、高强度聚甲醛母粒及其制备方法
CN111349305A (zh) * 2020-02-03 2020-06-30 兖矿集团有限公司 一种聚甲醛/石墨烯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754985A (zh) * 2021-09-02 2021-12-07 兖矿鲁南化工有限公司 一种低甲醛释放量聚甲醛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4849A (zh) * 2014-01-28 2014-05-21 盐城纳新天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改性高导热、高强度聚甲醛母粒及其制备方法
CN111349305A (zh) * 2020-02-03 2020-06-30 兖矿集团有限公司 一种聚甲醛/石墨烯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754985A (zh) * 2021-09-02 2021-12-07 兖矿鲁南化工有限公司 一种低甲醛释放量聚甲醛及其制备方法
CN113754985B (zh) * 2021-09-02 2024-04-30 兖矿鲁南化工有限公司 一种低甲醛释放量聚甲醛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5413A1 (zh) 一种聚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08075776A1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20130078777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JP2006104363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US20060142422A1 (en) Hydrolysis resistant polyester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EP3689957A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resin object
JP6264956B2 (ja) インサート成形用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TWI726894B (zh) 提高比較追蹤指數的方法以及環氧化合物及乙烯丙烯酸乙酯共聚物的用途
KR20130008001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KR101124989B1 (ko)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KR2020003625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503051B2 (ja)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Cheng et al. Effect on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Random Copolymer Polypropylene/Microcrystalline Cellulose Composites Using T‐ZnOw as an Additive
JP3355742B2 (ja) 強化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7484099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金属樹脂複合体
KR10217383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9480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8222865A (ja) バイオマス樹脂組成物
JP7455652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15023468B (zh) 汽车外饰部件用聚酯树脂组合物及将其成形而成的成形体
JP7243159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22137334A (ja) シリコーン接着用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ならびに複合成形品
JP6464887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サート成形品
WO2023038094A1 (ja) 高電圧絶縁用成形品、高電圧絶縁用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高電圧絶縁用成形品による耐トラッキング性向上方法
WO2023238790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