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689A - 섬유와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와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689A
KR20130007689A KR1020110062322A KR20110062322A KR20130007689A KR 20130007689 A KR20130007689 A KR 20130007689A KR 1020110062322 A KR1020110062322 A KR 1020110062322A KR 20110062322 A KR20110062322 A KR 20110062322A KR 20130007689 A KR20130007689 A KR 20130007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composition
hair
copolymer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0581B1 (ko
Inventor
정현정
백두현
신성연
최장원
김왕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6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5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발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발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팅제 또는 고융점의 유지 성분 이외에, 섬유와 상기 섬유를 정발제 조성물 내에 고르게 분산하도록 해주는 파우더 분산제를 함께 첨가하여 상기 세팅제와 유지 성분의 물성을 개선시켜줌으로써 헤어 스타일의 지속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정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와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Hair styling composition containing fiber and powder distributer}
본 발명은 정발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발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팅제 또는 고융점의 유지 성분 이외에, 섬유와 상기 섬유를 정발제 조성물 내에 고르게 분산하도록 해주는 파우더 분산제를 함께 첨가하여 상기 세팅제와 유지 성분의 물성을 개선시켜줌으로써 헤어 스타일의 지속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정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시적으로 모발의 스타일을 형성하고, 그 스타일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화장품이 정발제 조성물이며, 그 종류로는 헤어스프레이, 무스, 젤 또는 왁스 등이 있다. 이러한 정발제 조성물이 갖추어야 할 성질로는 원하는 머리모양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성이 좋아야 하고, 끈적거림이 없으면서 사용할 때에 편리하여야 하며, 쉽게 세정이 가능하면서 모발에 적절한 광택과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정발제 조성물이 모발을 고정, 세팅하는 방법으로는 상온에서 반고형 또는 점성이 있는 유지 성분을 이용한 타입,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타입 및 보습제를 이용한 타입 등이 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세팅제는 고분자 수지 타입으로 피롤리돈, 아크릴산 및 아크릴레이트 등의 고분자를 단독 사용 혹은 이의 공중합체 형태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고분자 수지는 초기 사용 시 용매가 증발한 후에 필름의 형성을 통해 모발에 부착하며 이 필름이 모발에 고정력을 형성하여 원하는 스타일을 만든다. 더불어 최근 그 사용량이 늘고 있는 헤어 왁스에서는 고융점의 유지 성분들이 모발 표면에 필름을 형성하여 고정력을 부여한다. 하지만, 이렇게 형성된 유지 필름은 고온, 고습 상태에서는 고유의 필름 특성을 잃어버리게 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모발에서의 고정력이 저하되는 단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출된 헤어 스타일의 지속성을 향상시킨 정발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세팅제 또는 고융점의 유지 성분에 섬유와 상기 섬유를 정발제 조성물 내에 고르게 분산하도록 하는 파우더 분산제를 함께 첨가함으로써 유지 성분에 의해 형성되는 유지 필름 및 세팅제에 의해 형성되는 고분자 필름의 물성이 개선되어 연출된 헤어 스타일의 지속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출된 헤어 스타일의 지속성을 향상시킨 정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섬유 및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발제 조성물은 섬유 및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함으로써 정발제 내에 포함되는 유지 성분이나 세팅제의 물성이 개선시켜 모발에 도포 후 스타일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효능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정발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팅제 또는 고융점의 유지 성분 이외에, 섬유와 상기 섬유를 정발제 조성물 내에 고르게 분산하도록 해주는 파우더 분산제를 함께 첨가함으로써 상기 세팅제와 유지 성분의 물성을 개선시켜줌으로써 헤어 스타일의 지속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정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발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섬유 0.01 내지 3 중량%, 파우더 분산제 0.1 내지 2중량%, 고융점의 유지 성분 0.1 내지 30 중량% 및/또는 세팅제 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용제로서 잔량의 에탄올 또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정발제"는 모발을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스타일로 마무리할 때에 사용되는 두발용 마무리 화장료를 의미하며, "헤어 스타일링제"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벽의 강도를 향상하기 위해 섬유 형태의 철근을 세우고 그 안을 자갈과 시멘트로 채우는 것과 옛날 초가집의 황토벽에서도 벽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 형태의 지푸라기와 황토를 같이 사용하는 것, 자동차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섬유 형태의 타이어코드를 넣는 것 등에서 착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고융점의 유지성분 또는 세팅제를 포함하는 정발제 조성물에 섬유성분을 도입한 결과, 유지 필름과 고분자 필름의 물성이 개선되어 연출된 스타일의 지속력이 향상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유지 필름과 고분자 필름의 물성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섬유는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길이 0.1~1 mm, 직경 0.5~5 d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0.1 mm, 직경 0.5 d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약해질 수 있으며, 길이 1 mm, 직경 5 d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표면 상태를 나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의 예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실크, 면 또는 양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유지 필름과 고분자 필름 사이에 고르게 분산되면서 필름의 물성, 즉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섬유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 중량%가 바람직하다. 섬유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약해질 수 있으며,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표면 상태를 나쁘게 하고 제품 사용 시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섬유를 고르게 분산하도록 해주는 파우더 분산제로는 폴리옥시에칠렌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파우더 분산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섬유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발제의 세팅력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융점의 유지성분으로는 카나우바왁스, 칸데릴라왁스, 비즈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 재팬왁스, 오조케라이트, 베리왁스, 쉘락왁스 또는 썬플라워왁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융점의 유지성분들은 사용감 및 스타일 연출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적인 세팅력 및 지속력이 발현되지 않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발에 발림성이 떨어져 덩어리로 뭉칠 수 있으며 많은 유분기로 불쾌한 사용감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세팅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아마이드/비닐이미다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쿼터늄,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t-부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및 옥틸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과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헤어 스타일링 제품에서 강한 세팅력을 부여하는 대표적인 비이온성 폴리머들이며,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아마이드/비닐이미다졸 공중합체는 비닐피롤리돈과 비닐이미다졸의 강직한 구조로 인하여 높은 세팅력과 지속력을 발현하고, 중간에 메타크릴아마이드의 유연한 구조로 인하여 부드러운 도포성을 발현한다. 폴리비닐알코올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수용성 고분자이며,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헤어 스타일링 제품에서 우수한 세팅력과 지속력을 부여하는 양성이온성 폴리머이고,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t-부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및 옥틸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는 모발에 강한 세팅력을 주며 빠르게 건조되는 특성을 가지는 대표적인 음이온성의 세팅제이다. 이러한 세팅제들은 사용감 및 스타일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적인 세팅력 및 지속력이 발현되지 않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발에 두껍게 도포되어 모발 뭉침현상 및 플레이킹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발제 조성물은 용제로서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 증점제,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보습제, 향, 방부제 및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성분들은 통상의 헤어 스타일링제에 포함되는 물질들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정발제 조성물은 헤어 왁스와 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비교예 1~2 및 실시예 1~5]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혼합하여 비교예 1~2 및 실시예 1~5의 헤어왁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카나우바왁스 5 5 5 5 5 5 5 5 5
비즈왁스 3 3 3 3 3 3 3 3 3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3 3 3 3 3 3 3 3 3
폴리에틸렌 2 2 2 2 2 2 2 2 2
폴리비닐피롤리돈 - 2 2 2 - - 2 - 2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 2 2 2 - - 2 - 2
나일론 6 - - 0.5 - 0.1 0.5 0.5 - -
실크 - - - - - - - 0.5 0.5
세틸알코올 2 2 2 2 2 2 2 2 2
폴리옥시에칠렌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 - - 0.2 0.2 0.2 0.2 0.2 0.2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1.5 1.5 1.5 1.5 1.5
미네랄오일 5 5 5 5 5 5 5 5 5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3 3 3 3 3 3 3 3 3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5
카보머 0.5 0.5 0.5 0.5 0.5 0.5 0.5 0.5 0.5
트리에탄올아민 0.48 0.48 0.48 0.48 0.48 0.48 0.48 0.48 0.48
0.5 0.5 0.5 0.5 0.5 0.5 0.5 0.5 0.5
에탄올 3 3 3 3 3 3 3 3 3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비교예 3 및 실시예6~8]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을 혼합하여 비교예 3 및 실시예 6~8의 헤어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폴리비닐피롤리돈 3 3 3 3 3 3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3 3 3 3 3 3
나일론 6 - 0.5 - 0.1 0.5 -
실크 - - - - - 0.5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 1 1 1 1 1
글리세린 5 5 5 5 5 5
폴리옥시에칠렌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 - 0.2 0.2 0.2 0.2
카보머 0.5 0.5 0.5 0.5 0.5 0.5
트리에탄올아민 0.48 0.48 0.48 0.48 0.48 0.48
0.5 0.5 0.5 0.5 0.5 0.5
에탄올 10 10 10 10 10 1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1] 헤어스타일 지속력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8 및 비교예 1~7의 정발제 조성물이 헤어스타일 지속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컬 리텐션(curl retention)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7의 정발제 조성물 0.5 g을 인모발 트레스(Tress)(길이: 15 cm) 2 g에 고르게 각각 도포한 후 나사선(spiral)에 감아 건조하였다. 건조된 컬 상태의 모발 트레스를 나사선에서 풀어 길이를 측정한 후, 항온 항습기(25℃, 80% 상대습도)에 넣고 2시간, 4시간 및 6시간 이후 길이를 다시 측정하였다. 5회씩 측정하여 평균으로 측정된 길이로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컬 리텐션(Curl retention)(%)을 산출하여 지속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Lo: 모발 트레스(hair tress) 원길이
Lt: t시간 이후의 모발 트레스(hair tress) 길이
Ls: 컬(Curl) 형성직후의 최초의 모발 트레스(hair tress) 길이
경과
시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2시간 72% 75% 74% 73% 75% 82% 84% 81% 85%
4시간 58% 50% 60% 59% 64% 69% 67% 69% 66%
6시간 44% 42% 46% 45% 53% 55% 58% 54% 59%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헤어왁스 조성물에서 나일론 6 또는 실크 섬유의 유무와 함량에 따른 컬 지속력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종류에 상관없이 섬유 성분이 들어감으로써 컬의 지속력이 증진됨을 알 수 있었고,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컬의 지속력이 더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헤어왁스 조성물에서 고융점 유지성분에 더해 세팅제를 추가할 경우 초기 지속력은 다소 증진되나 시간이 지날 수록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기에 섬유성분 및 파우더 분산제가 들어가면 마찬가지로 지속력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과시간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2시간 75% 74% 73% 82% 82% 83%
4시간 58% 59% 58% 67% 65% 68%
6시간 34% 47% 44% 52% 55% 54%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헤어젤 조성물에서 나일론 6 또는 실크섬유의 유무와 함량에 따른 컬 지속력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헤어왁스와 마찬가지로 종류에 상관없이 섬유성분 및 파우더 분산제가 들어감으로써 컬의 지속력이 증진됨을 알 수 있었고, 그러나 헤어왁스와는 다르게 섬유성분의 함량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관능평가
실시예 1~8 및 비교예 1~7의 각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대한 사용 후 세팅력, 지속력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전문가 패널 20명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1, 3, 5, 7 및 9점 척도로 평가한 후 이를 평균으로 집계하여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세팅력 5.6 6.2 6.0 5.8 6.3 6.5 6.8 6.5 6.7
지속력 4.9 4.8 4.9 4.8 5.9 6.2 5.8 6.3 6.1
만족도 5.2 5.3 5.4 5.3 6.3 6.5 6.3 6.3 6.2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헤어왁스 조성물에서 나일론 6 또는 실크 섬유의 유무와 함량에 따른 세팅력, 지속력 및 만족도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종류에 상관없이 섬유 성분이 들어감으로써 전반적인 초기 세팅력과 지속력, 더불어 만족도가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항목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세팅력 6.5 6.4 6.3 7.2 7.3 7.1
지속력 5.4 5.4 5.3 6.3 6.2 6.2
만족도 4.5 5.2 5.1 6.3 5.8 5.9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헤어젤 조성물에서 나일론 6 또는 실크섬유의 유무와 함량에 따른 세팅력, 지속력 및 만족도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종류에 상관없이 섬유 성분이 들어감으로써 전반적인 초기 세팅력과 지속력, 더불어 만족도가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섬유성분이 많을수록 젤 조성물에는 사용감이 거칠어져 만족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섬유 및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실크, 면 및 양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파우더 분산제는 폴리옥시에칠렌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나우바왁스, 칸데릴라왁스, 비즈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 재팬왁스, 오조케라이트, 베리왁스, 쉘락왁스 및 썬플라워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융점 유지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아마이드/비닐이미다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쿼터늄,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t-부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및 옥틸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세팅제를 더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제로서 물 또는 에탄올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제 조성물.
KR1020110062322A 2011-06-27 2011-06-27 섬유와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KR10179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322A KR101790581B1 (ko) 2011-06-27 2011-06-27 섬유와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322A KR101790581B1 (ko) 2011-06-27 2011-06-27 섬유와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689A true KR20130007689A (ko) 2013-01-21
KR101790581B1 KR101790581B1 (ko) 2017-10-27

Family

ID=4783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322A KR101790581B1 (ko) 2011-06-27 2011-06-27 섬유와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5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581B1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60812A (ja) 新規共重合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H04359912A (ja) 新規共重合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1129410B1 (ko) 실리콘중수유화형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US978862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KR101659844B1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E102018127182A1 (de) Zweikomponentensystem zur künstlichen Haarfärbung
EP3209384A1 (de) Verwendung einer kombination von polyurethane-2/polymethyl methacrylate und polyvinylpyrrolidon
KR20110134918A (ko) 정발용 화장료
WO2010116950A1 (ja) 毛髪化粧料
KR20120089870A (ko) 신규 왁스폴리머를 함유하는 스타일링제 조성물
KR101494272B1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JP4136962B2 (ja) 毛髪化粧料
EP3060309B1 (en) Rinse-off volumizing hair compositions containing styling polymers and polycationic polymers
KR20070095789A (ko) 미소구체를 함유하는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KR20130007689A (ko) 섬유와 파우더 분산제를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KR102363134B1 (ko) 실리콘중수(w/s) 유화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8095A (ko) 지속력이 향상된 정발제 조성물
KR20140121154A (ko) 구형 파우더를 함유하는 지속성과 발림성이 개선된 정발제 조성물
JPH04359914A (ja) 新規共重合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4136965B2 (ja) 毛髪化粧料
JP7393948B2 (ja) スキンケアもしくはリップケア又はメーキャップのための油中水型エマルション
DE102018218654A1 (de) Kosmetisches Mittel zur Behandlung eines keratinischen Materials mit filmbildendem und/oder festigendem Inhaltsstoff
KR102564635B1 (ko) 일시염모제 조성물
KR100834681B1 (ko) 헤어 그리즈 왁스 조성물
KR101087382B1 (ko)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