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382B1 -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382B1
KR101087382B1 KR1020080130689A KR20080130689A KR101087382B1 KR 101087382 B1 KR101087382 B1 KR 101087382B1 KR 1020080130689 A KR1020080130689 A KR 1020080130689A KR 20080130689 A KR20080130689 A KR 20080130689A KR 101087382 B1 KR101087382 B1 KR 10108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ax
styling
composition
hair sty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839A (ko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구형서
한혜진
조시형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13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38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왁스 및 무기분체를 포함하여 세팅력 및 세팅유지력이 우수하면서도 재스타일링이 가능한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자연스런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하고 모발에의 발림성 및 사용시 끈적임이 개선되어 사용감이 우수하고 모발에 광택을 부여한다.
비수계 왁스, 헤어 스타일링, 무기분체

Description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Non-aqueous wax-type hair styl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왁스 및 무기분체를 포함하여 세팅력 및 세팅 유지력이 우수하면서도 모발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자연스런 스타일링 및 재스타일링이 가능한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모발에의 발림성 및 사용시 끈적임 등이 개선되어 사용감이 우수하며, 모발에 광택을 부여하는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에 광택을 주고 헝클어진 모발을 정리정돈 할 수 있으면서 스타일링 형태가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기능을 갖춘 모발 화장료 조성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모발의 정돈 및 스타일링을 용이하게 하는 헤어 스타일링제로서는 헤어폼, 헤어무스, 헤어스프레이와 같은 에어졸 정발제, 헤어크림, 헤어로션류, 포마드 같은 유성 정발제등이 있다.
상기 무스, 스프레이와 같은 에어졸 정발제는 모발 표면에 얇은 수지상 피막을 만들어 세팅력을 강하게 하는 것으로 세팅 지속력이 부족하고 모발의 유연성이 떨어져 자연스러운 스타일링이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성 정발제인 포마드는 기름기가 강하며, 특유의 광택이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헤어 스타일링 왁스는 모발에 적당한 윤기를 주고 자연스런 세팅력이 있으며, 흐트러진 모발을 정돈하여 주는 정발제이다.
상기 헤어 스타일링 왁스에 스타일링 효과를 높이고자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과량 사용하면 끈적거림이 매우 높고 재스타일링이 용이하지 않으며 광택이 적어 칙칙한 느낌을 주게 되므로 사용자가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바닥이나 모발 위에 도포가 쉽지 않아 모발에 균일하게 발려지지 않으므로 모발이 뭉쳐보이는 단점도 있다.
비수성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사용하면 모발 도포와 발림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유성 성분을 많이 함유할수록 모발의 광택도 향상된다. 그러나, 끈적임이나 모발 뭉침 개선효과는 불충분하며, 세팅력이 감소하고 산뜻함이 없이 머리카락이 지저분해지면서 기름져보이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세팅력이 우수하고 재스타일링이 가능하면서, 모발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자연스러운 스타일링이 가능한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발에의 발림성 및 끈적거림이 개선되고 모발 뭉침이 적어 사용감이 우수하고, 모발에 광택을 부여하는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왁스를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및 무기분체를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의 융점은 75 내지 105 ℃ 일 수 있다.
상기 무기분체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은 세팅력 및 세팅 유지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재스타일링이 가능하다. 또한, 모발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자연스런 스 타일링 가능하므로 자연스런 스타일링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된다.
모발에의 발림성, 끈적거림 및 모발의 뭉침현상이 개선되어 사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모발이 지저분해지고 기름져 보이는 현상을 개선하면서도 모발에 광택을 부여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는 에틸렌을 중합하고 얻어지는 저 융점의 왁스로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점증효과를 주어 제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세팅력, 세팅유지력 및 조성물의 모발에의 발림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모발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자연스런 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의 융점은 75 내지 105 ℃ 일 수 있다. 융점이 75 ℃ 미만인 경우 세팅력이 불충분하고, 105 ℃ 를 초과하면 제품 제형이 거칠고 퍼짐성이 좋지 않아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로 포함될 수 있다.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세팅력 및 세팅 유지력이 감소하며, 발림성이 좋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끈적거림이 심하고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되어 제품사용시 모발의 도포가 불량하고 스타일링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은 무기분체를 포함한다.
상기 무기분체는 우수한 제형 구현 능력이 있으며, 산뜻하고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부여하며 모발에 광택을 줄 뿐만 아니라 모발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자연스런 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무기분체로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분체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모발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자연스런 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사용감이 저하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발림성이 감소하고 점도가 상승되며 조성물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모발에 광택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일은 당업계에 공지된 성분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합성오일, 아프리코트 오일, 아보카도 오일, 바실오일, 너트오일, 올리브오일 및 카멜리아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모발에 광택을 주고 유연성을 주어 자연스러운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감소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모발이 지저분해지며 기름져보이고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은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외에 또 다른 왁스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조성물의 제형을 구현하며 세팅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왁스는 당업계에 공지된 성분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카나우바 왁스, 밀납 왁스, 합성왁스, 폴리데센 왁스, 자스민 왁스, 나무딸기 왁스, 비즈왁스, 파라핀 왁스, 세레신 왁스 및 칸델릴라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 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즈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3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세팅력이 감소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조성물의 끈적거림이 증가하고 모발에의 퍼짐성이 좋지 않을 뿐더러 제형이 너무 단단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성분외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통상적으로 헤어 스타일링 왁스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이 제형상의 특징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더 첨가될 수 있다. 예를들어,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는 성분, 페트롤라툼과 같은 보습제, 점증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모발 보호제, 색소 및 향료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 과 같은 조성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비수계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폴리에틸렌 왁스 3 8 3 8 8 8 - -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15 15 25 25 - - - 15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 - - - 15 - 15 -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5 25 25 25 25 25 25 25
카나우바 왁스 10 10 10 10 10 10 10 10
피이지-60 하이드로지네이티트
캐스터 오일
7 7 7 7 7 7 7 7
미네랄 오일 잔여량 잔여랑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랑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 2 2 2 2 2 2 2
페트롤라툼 16 16 16 16 16 16 16 16
색소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4 0.4 0.4 0.4 0.4 0.4 0.4 0.4
<실험예 1> 모발 세팅력 및 세팅 유지력
폭 2.0 cm, 길이 20 cm의 트레스에 실시예 1 내지 3,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2.0 g 씩 골고루 도포하고 25 ℃, 상대습도 60 % 로 유지된 항온 항습기 내에 2 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각 트레스를 물성 측정 시험기인 레오메터 CR 500DX(Rheo-meter CR 500DX, 제조업체:SUN Scientific)를 이용하여 경도(Hardness)를 3 회 측정하고 이 값을 평균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경도는 각 트레스의 양 끝을 고정하고 트레스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로 측정하였다. 세팅력 및 세팅 유지력은 트레스의 변형을 가져오는 힘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한다.
평가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경도(g) 250 271 260 235 210 160 195
상기 표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레스를 변형시키는 데 드는 힘의 크기는 대체로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커 세팅력 및 세팅 유지력이 실시예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무기분체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 은 실시예에 비하여 세팅 유지력이 크게 감소하지 않아 무기분체는 세팅 유지력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인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폴리에틸렌 왁스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2 및 3 은 세팅력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유연도 측정
유연도는 각 트레스의 한 쪽 과 중간부분을 고정시킨 뒤 고정된 트레스 부분에 변형을 주고 가해진 힘의 크기에 대해 변형된 길이를 3 회 측정하여 이를 평균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 과 같다.
평가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유연도(mm/g) 145 170 147 130 120 107 110
상기 표 3 에 의하면, 실시예의 경우 유연도값이 비교예보다 큼을 알 수 있다. 유연도가 좋으므로 자연스런 스타일링을 연출할 수 있다.
<실험예 3>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수계 헤어 스타일링 왁스를 대상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 평가방법: 평소 왁스 제형의 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하는 25-35세의 남성 10명을 선정하여, 모발 세정 후 모발을 건조하고 상기 제품을 사용하게 하였다. 하기 표 4 의 평가 항목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5 4 3 2 1
모발에의 발림성 매우 잘 발림 잘 발림 보통 안 발림 매우 안 발림
세팅력 매우 좋음 좋은 보통 약함 매우 약함
재스타일링성 매우 잘됨 용이함 보통 어려움 매우 어려움
사용의 용이성 매우 용이함 용이함 보통 불편함 매우 불편함
전반적인 만족도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평가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모발에의 발림성 3.6 3.5 3.3 3.1 3.3 3.1 3.1
세팅력 3.6 3.3 3.6 3.4 3.7 2.6 3.2
재스타일링성 3.8 3.6 3.1 3.1 3.3 3.0 3.1
사용의 용이성 3.8 3.3 3.3 3.1 2.7 3.0 3.1
전반적인 만족도 3.8 3.5 3.5 3.2 2.7 2.9 3.1
상기 표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왁스의 경우 모발에의 발림성이 우수하고 재스타일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팅력도 우수하여 전반적인 만족도가 비교예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3 의 경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5 보다 세팅력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은 세팅력 및 세팅유지력이 우수하며 재스타일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발에 유연성을 주어 자연스러운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모발에의 발림성 및 끈적거림이 개선되어 사용감이 우수하고 모발에 광택을 부여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도 좋았다.

Claims (3)

  1. 폴리에틸렌 왁스를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및 무기분체를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무기분체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의 융점이 75 내지 10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3. 삭제
KR1020080130689A 2008-12-19 2008-12-19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KR10108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689A KR101087382B1 (ko) 2008-12-19 2008-12-19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689A KR101087382B1 (ko) 2008-12-19 2008-12-19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839A KR20100071839A (ko) 2010-06-29
KR101087382B1 true KR101087382B1 (ko) 2011-11-25

Family

ID=4236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689A KR101087382B1 (ko) 2008-12-19 2008-12-19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7172A1 (en) * 2018-07-16 2020-01-22 Kao Germany GmbH Hair treatment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7973A1 (en) 2000-12-22 2004-03-25 Lars Wittkowski Cosmetic preparations and use thereof, containing polyethylene waxes with improved organoleptic properties
KR20060130656A (ko) 2004-03-19 2006-12-19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속눈썹용 화장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7973A1 (en) 2000-12-22 2004-03-25 Lars Wittkowski Cosmetic preparations and use thereof, containing polyethylene waxes with improved organoleptic properties
KR20060130656A (ko) 2004-03-19 2006-12-19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속눈썹용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839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376B1 (ko) 미스트타입의 헤어세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1719500B1 (de) Polymerkombination für kosmetische Zubereitungen
MX2008004170A (es) Composicion cosmetica de larga duracion, metodo para uso y proceso para elaboracion.
JP2003342130A (ja) 毛髪化粧料
EP1878423A2 (de) Haarstylingzubereitungen mit besonderen Proteinhydrolysaten
KR100673768B1 (ko)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3365A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4146023A (zh) 一种持妆眼影笔
KR20060131027A (ko) 실리콘중수유화형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KR101087382B1 (ko) 비수계 왁스형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JPS61500912A (ja) 整髪剤ないし毛髪保護剤
JP6814959B2 (ja) 毛髪用一時着色料組成物
PL183519B1 (pl) Kompozycja kosmetyczna nie myjąca
KR20090114746A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JP2005239557A (ja) 毛髪化粧料
KR101219645B1 (ko) 비수계 왁스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314965B1 (ko) 파우더 타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EP3060309B1 (en) Rinse-off volumizing hair compositions containing styling polymers and polycationic polymers
KR20120089870A (ko) 신규 왁스폴리머를 함유하는 스타일링제 조성물
CN110678165B (zh) 用于皮肤或嘴唇护理或化妆的油包水乳剂
KR101965065B1 (ko) 투명성 고형왁스 조성물
KR102363134B1 (ko) 실리콘중수(w/s) 유화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3433922B2 (ja) 整髪用化粧料
KR100834681B1 (ko) 헤어 그리즈 왁스 조성물
KR102109137B1 (ko) 모발 볼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