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056U - 중량물 운송용 지그 - Google Patents

중량물 운송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056U
KR20130007056U KR2020120004569U KR20120004569U KR20130007056U KR 20130007056 U KR20130007056 U KR 20130007056U KR 2020120004569 U KR2020120004569 U KR 2020120004569U KR 20120004569 U KR20120004569 U KR 20120004569U KR 20130007056 U KR20130007056 U KR 201300070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rane
jig
support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욱
황인영
허정
정석환
이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056U/ko
Publication of KR20130007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으로 갈고리가 형성된 크레인 후크가 착탈되는 크레인 결합부와, 상기 크레인 결합부의 하부에 링크 결합된 링크 암과, 상기 링크 암에 연결되며 중량물을 지지하는 메인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크레인 결합부는 상부면 양측단에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 상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 핀과, 일단은 상기 링크 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후크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크레인 후크에 후크지지체가 착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량물 운송용 지그{Jig for Heavy Transport}
본 고안은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 후크에 착탈되는 후크지지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중량물 운송용 지그를 이용한 작업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거운 중량의 물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크레인 후크(5')에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지그(Jig) 또는 텅(Tong)이 사용된다.
여기서, 크레인 후크(5')의 양측에는 갈고리(7')가 돌출 형성된다(도 3의 부호 '7'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서는 크레인 결합부(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후크지지체(30')가 회동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후크지지체(30')는 갈고리(7')가 끼워질 수 있도록 링(ring)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크레인 후크(5')를 내려 일측의 갈고리(7')를 두 개의 후크지지체(30') 중 어느 하나에 끼워 넣은 후, 크레인 후크(5')를 수평 이동하여 타측의 갈고리(7')가 다른 후크지지체(30')에 끼워지도록 하여 크레인에 중량물 운송용 지그를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크레인 후크(5')를 후크지지체(30')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크레인 후크(5')를 좌우로 흔들며 갈고리(7')에 고정된 후크지지체(30') 중 일측에서 한 갈고리(7')가 벗어나게 한 후 다른 갈고리(7')도 후크지지체(30')에서 벗어나게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중량물 운송 지그를 크레인 후크(5')에 장착하는 방법은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며, 작업자에 숙련도가 부족한 경우에는 작업 시간이 현저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크지지체(30')는 크레인 결합부(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수직으로 후크지지체(30')가 세워질 수 있게 하는 일정한 작업 높이(H)의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으로써, 크레인의 높이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레인 후크에 후크지지체가 착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중량물 운송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으로 갈고리가 형성된 크레인 후크가 착탈되는 크레인 결합부와, 상기 크레인 결합부의 하부에 링크 결합된 링크 암과, 상기 링크 암에 연결되며 중량물을 지지하는 메인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크레인 결합부는 상부면 양측단에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 상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 핀과, 일단은 상기 링크 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후크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크레인 후크가 일정 작동 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환형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일정 폭을 가지는 보강 프레임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후크지지체는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기역자('ㄱ')형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 핀이 관통되는 지지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양 모서리는 일정 각도로 면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첫째, 크레인 후크에 후크지지체가 착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크레인 후크와 중량물 운송용 지그의 장착구조를 견고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과 이송 중 중량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중량물 운송용 지그의 하우징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어 크레인을 이용한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중량물 운송용 지그를 이용한 작업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서의 크레인 결합부의 제1 작업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서의 크레인 결합부의 제2 작업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서의 크레인 결합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크레인 후크(5)에 탈착 가능한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레인 결합부(100), 링크 암(200)(link arm) 및 메인 암(300)(main ar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크레인 결합부(100)는 하우징(10), 링크 핀(20) 및 후크지지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크레인 후크(5)에 착탈되는 것이다.
링크 암(200)은 다수 개의 링크 조합으로 크레인 결합부(100)와 메인 암(300)에 결합된 것으로서, 링크의 구동에 의하여 메인 암(300)을 승강 가능하게 한다.
메인 암(300)은 이송시키고자 하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부위로서, 메인 암(300)의 일단에는 집게 형상의 중량물 지지부(301)가 설치된다.
중량물 지지부(301)는 집게를 개폐하면서 이송하고자 하는 중량물을 잡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음에서 크레인 결합부(100)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서의 크레인 결합부의 제1 작업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서의 크레인 결합부의 제2 작업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서의 크레인 결합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4는 크레인 후크(5)에 삽입되는 상태도이고, 도 5는 크레인 결합부(100)에 크레인 후크(5)가 장착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크레인 결합부(100)는 하우징(10), 링크 핀(20) 및 후크지지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크레인 후크(5)의 양측에는 갈고리(7)가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 후크(5)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하우징(10)은 내부에 일정 공간이 구비된 수용부(15)와 한 쌍의 플레이트(1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11)는 수용부(15)이 상부면 양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수용부(15)에는 호이스트, 안전장치, 전기박스, 구동장치 등 내장 도구(E)가 내장된다.
내장 도구(E)에 있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링크 암(200)과 메인 암(3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측면에는 일정 폭의 보강 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어 하우징(10)의 측면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킨다.
여기서, 보강 프레임(14)은 각 플레이트(11)와 볼팅 또는 용접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1)는 상부 양측에 일정 각도로 면취(cutting)된 면취부(13)를 형성함으로써, 크레인 후크(5)가 후크지지체(30)에 탈착되는 과정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수용부(15)의 상면에는 크레인 후크(5)가 일정 범위에서 회동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게 상향 돌출 형성된 환형의 가이드부재(17)가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7)의 내경은 크레인 후크(5)의 갈고리(7)가 회동가능한 범위에 맞게 설정한다.
링크 핀(20)은 일정 이격 거리((W1)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일정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핀으로서, 각 플레이트(11)의 상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링크 핀(20) 간의 이격 거리(W1)는 크레인 후크(5)의 직경(D1)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후크지지체(30)는 크레인 후크(5)가 착탈되는 부위로서 상단이 링크 핀(20)에 연결되고 하단이 하우징(10)의 수용부(15)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31)과, 지지공(32) 및 고정단(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후크지지체(30)의 지지 프레임(31)은 기역자('ㄱ')형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거리(W2)를 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31) 간의 이격 거리(W2)는 크레인 후크(5)의 갈고리(7)의 직경(D2)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지지공(32)은 지지 프레임(21)의 상단에 형성되어 링크 핀(20)과 관통 결합되는 것이다.
지지공(32)은 링크 핀(20)이 유격(裕隔) 없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의 직경은 링크 핀(20)의 외주면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고정단(33)은 지지 프레임(31)의 하단으로서 하우징(10)의 수용부(15)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위이다.
고정단(33)은 하우징(10)의 수용부(15)와 볼팅 또는 용접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크레인 후크(5)를 크레인 결합부(100)에 장착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크레인 후크(5)를 링크 핀(12) 간의 이격 거리(W1)의 범위 내에 삽입시킨다(도 4 참조).
이때, 크레인 후크(5)은 갈고리(7)의 말단이 링크 핀(20)에 걸리지 않고 가이드부재(15)의 내측에 위치하게 내린다.
그리고, 갈고리(7)가 가이드부재(15)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크레인 후크(5)를 일방향으로 90°회동시킨다.
크레인 후크(5)는 90° 회동되어 지지체(21) 간의 이격 거리(W2)의 범위에 갈고리(7)가 위치하게 되고, 크레인 후크(5)를 상향으로 올리면서 갈고리(7)가 링크 핀(20)에 장착되게 한다(도 5 참조).
이 상태에서 크레인 후크(5)를 이동시켜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크레인 후크(5)를 크레인 결합부(100)에서 이탈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크레인 후크(5)를 일정 거리 하강시켜 갈고리(7)가 링크 핀(20)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그리고, 크레인 후크(5)를 일방향으로 90°회동시킨다.
크레인 후크(5)는 링크 핀(20) 간의 이격 거리(W1)의 범위를 지나면서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어 후크지지체(30)에서 이탈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5, 5': 크레인 후크
7, 7': 갈고리
10: 하우징
10': 크레인 결합부
11: 플레이트 13: 면취부
14: 보강 프레임 15: 수용부
17: 가이드부재
20: 링크 핀
30, 30': 후크지지체
31: 지지 프레임 32: 지지공
33: 고정단
100: 크레인 결합부
200: 링크 암
300: 메인 암
301: 중량물 지지부
D1: 크레인 후크의 직경
D2: 갈고리의 직경
E: 내장 도구
H: 작업 높이
W1: 링크 핀 간의 이격거리
W2: 후크지지체 간의 이격거리

Claims (5)

  1. 양측으로 갈고리가 형성된 크레인 후크가 착탈되는 크레인 결합부와, 상기 크레인 결합부에 링크 결합된 링크 암과, 상기 링크 암에 연결되며 중량물을 지지하는 메인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량물 운송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결합부는,
    상부면 양측단에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하우징;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 상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 핀; 및
    일단은 상기 링크 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후크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송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크레인 후크가 일정 작동 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환형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송용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일정 폭을 가지는 보강 프레임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송용 지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지지체는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기역자('ㄱ')형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 핀이 관통되는 지지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송용 지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양 모서리는 일정 각도로 면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송용 지그.
KR2020120004569U 2012-05-31 2012-05-31 중량물 운송용 지그 KR201300070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69U KR20130007056U (ko) 2012-05-31 2012-05-31 중량물 운송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69U KR20130007056U (ko) 2012-05-31 2012-05-31 중량물 운송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56U true KR20130007056U (ko) 2013-12-10

Family

ID=5244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569U KR20130007056U (ko) 2012-05-31 2012-05-31 중량물 운송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05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358B1 (ko) * 2023-02-02 2024-01-29 이홍섭 레일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일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358B1 (ko) * 2023-02-02 2024-01-29 이홍섭 레일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일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9196B1 (en) TOWER CRANE AND TIE ROD STRUCTURE of balance boom THEREOF, AND method for MOUNTING tie rod structure of balance boom
CN102092626A (zh) 钢筋笼吊具
CN201901515U (zh) 船舶清仓机械专用吊具
JP6648908B2 (ja) 荷重試験用の構造体および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30007056U (ko) 중량물 운송용 지그
JP2009007737A (ja) 構造体組立方法と昇降足場装置
KR20120129102A (ko) 선박용 블록 러그의 로드 테스트 장치
KR101134465B1 (ko)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용 구조물 및 크로스 타이 용접 작업 방법
JP4753962B2 (ja) ブームの輸送装置
JP4064935B2 (ja) 仮設アーム及びこの仮設アームを用いた送電線鉄塔における腕金の組立工法
KR200456465Y1 (ko) 포크레인용 보조집게
JP2017166196A (ja) 杭打機のオーガ着脱方法及びオーガ着脱用のサポート治具
JP2017020603A (ja) 流体機材搬出設備及び流体機材搬出方法
JP2016098622A (ja) 杭打機の下部リーダ着脱治具
JP6226180B2 (ja) 解体物搬送用の吊治具及び解体物の搬送方法
JP2012189078A (ja) 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始動モータをガスタービンの補助コンパートメントから取り外す方法
CN106744245A (zh) 多构件吊装用升降架
KR20120065004A (ko) 중량물 인양지그
CN204198234U (zh) 一种风电基础环翻转装置
JP6290772B2 (ja) ブームの俯仰装置
KR102502007B1 (ko)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KR102497626B1 (ko) 판넬소재 이송용 흡착행거
JP2010255343A (ja) 高所解体機のアタッチメント輸送冶具
CN220505051U (zh) 一种用于暗挖隧道的拱架安装装置
CN215047940U (zh) 一种用于搬运移动工业机器人的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