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011A -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011A
KR20130007011A KR1020110062907A KR20110062907A KR20130007011A KR 20130007011 A KR20130007011 A KR 20130007011A KR 1020110062907 A KR1020110062907 A KR 1020110062907A KR 20110062907 A KR20110062907 A KR 20110062907A KR 20130007011 A KR20130007011 A KR 20130007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unit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장묵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2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011A/ko
Publication of KR2013000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7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in form of a video summary, e.g. the video summary being a video sequence, a composite still image or having synthesized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A47F2007/195Virtual display of clothes on the wearer by means of a mirror, scree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의류매장에서 직접 옷을 입어보아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해당 의류별로 부여된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의류제품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저장하여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개의 이미지정보를 불러와서 코디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직접 이용자의 전신에 오버랩시키거나 증강현실로 보여주어 켜 마치 의류를 착용한 듯한 효과를 가져와서 간편하게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류를 선택할 수 있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저장부, 촬영부, 제어부 및 현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부에는 의류제품의 모델별로 부여된 식별코드를 그 이미지정보와 매칭하여 기록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촬영부는 고객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선택된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조합하고, 상기 현시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한 조합이미지정보를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체형을 도출해내고, 도출된 체형 위에 선택된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매칭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제품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식별코드가 기록된 정보태그; 및 상기 정보태그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읽어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리더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식별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서치하여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Smart Coordinate System In The Clothes Shop}
본 발명은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의류매장에서 직접 옷을 입어보아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해당 의류별로 부여된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의류제품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저장하여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개의 이미지정보를 불러와서 코디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직접 이용자의 전신에 오버랩 또는 증강현실시켜 마치 의류를 착용한 듯한 효과를 가져와서 간편하게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류를 선택할 수 있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의류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상의, 하의, 겉옷, 속옷 등 패션스타일을 위하여 여러 가지 의류를 조합해서 가장 자신에게 알맞은 옷을 선택하고자 하게 된다. 그러나 남성들이나, 혹은 패션에 관심 없는 여성 또는 신체가 불편한 분들은 여러 개의 옷을 여러 번 입어보는 것이 다소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 되기도 한다. 이럴 경우에는 즐거워야 할 쇼핑시간이 오히려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물론 여러 가지 의류를 피팅해 보는 것이 항상 귀찮은 것이 아님을 감안하더라도 필요한 경우에 가상으로 의류를 입어볼 수 있다는 점은 의류판매사업자뿐만 아니라 고객에 있어서도 하나의 차별적인 판매 전략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신상품, 즉 제품을 입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의류구매자의 전신 또는 일부를 촬영하여 의류구매자의 신체이미지를 직접 사용하여 다양한 의류의 이미지를 오버랩시키거나 증강현실로 투영하여 봄으로써, 직접 옷을 피팅해보는 듯한 효과를 가져 오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의류매장 내에서 직접 옷을 입어볼 필요없이 이용자의 전신을 스캔촬영하여 취득한 전신이미지정보에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둔 다수의 의류이미지정보를 오버랩시키거나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마치 직접 옷을 입어보는 듯한 효과를 가져 오는 시스템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의류매장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해당하는 현시부를 설치하고 이와 연동된 제어부, 촬영부, 저장부 등을 구비하여 직접 옷을 입지 않아도 어울리는 의류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는 매장 방문자가 미리 의류 매장 사이트에 자신의 사진을 올려놓거나, 웹사이트에 자신의 사진을 다운로드받아 촬영하지 않고서도 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저장부, 촬영부, 제어부 및 현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부에는 의류제품의 모델별로 부여된 식별코드를 그 이미지정보와 매칭하여 기록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촬영부는 고객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선택된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조합하고, 상기 현시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한 조합이미지정보를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체형을 도출해내고, 도출된 체형 위에 선택된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매칭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제품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식별코드가 기록된 정보태그; 및 상기 정보태그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읽어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리더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식별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서치하여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매장에서 의류를 선택하고자 하는 고객은 다수의 의류를 전부 다 입어보지 않더라고 어떤 옷이 자기에게 어울리는지 확인하고 의류를 선택할 수 있어 고객 입장에서는 어울리는 의류를 구매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2.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판매업자에게 있어서는 차별화된 피팅 시스템을 통하여 고객의 구매를 자극시킬 수 있어 유용하다.
3.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은 날씨나 계절, 해당 의류에 알맞은 추천의류를 제공받으므로 이를 통하여 좀 더 신속하게 자신에게 맞는 의류를 가상의 놀이로 유희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4.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의 동의하에 피팅된 이미지를 통계, 확률수치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판매마케팅전략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용하다.
5. 특히 촬영된 전신사진은 고객의 동의하에 마케팅자료로 사용되고, 동시에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여 고객에게 신상품과 매치된 전신 사진을 제공하여 판매를 촉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간의 정보흐름에 관한 대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에서 촬영된 전신이미지정보에 의류이미지정보가 오버랩되어 코디되는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에서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에서, 리더기에 의해 정보태그의 정보가 분석되어 저장부에서 의류이미지정보가 추출되는 과정의 도식도이다.
본 발명은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저장부, 촬영부, 제어부 및 현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부에는 의류제품의 모델별로 부여된 식별코드를 그 이미지정보와 매칭하여 기록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촬영부는 고객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선택된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조합하고, 상기 현시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한 조합이미지정보를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체형을 도출해내고, 도출된 체형 위에 선택된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매칭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제품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식별코드가 기록된 정보태그; 및 상기 정보태그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읽어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리더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식별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서치하여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간의 정보흐름에 관한 대략적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간의 흐름을 검토한다.
1. 저장부(100)
상기 저장부(100)는 의류제품의 모델별로 부여된 식별코드를 그 이미지정보와 매칭하여 기록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코드는 의류제품에 기록되는 분류코드로서, 브랜드, 치수, 옷 색깔, 제품번호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이미지정보파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둔다.
상기 이미지정보파일은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촬영된 의류제품의 사진인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인체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촬영한 경우에는 촬영된 이미지정보에 상기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조합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 외에도 가장 적합한 조합이미지정보, 즉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2개 이상 조합한 조합정보를 추가적으로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할 수 있는데, 날씨나 계절에 맞는 추천 코드 이미지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에서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실시예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해당 의류매장이 보유하고 있는 의류정보를 저장하여 두는데, 의류인덱스, 색깔, 치수(크기), 의류이미지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촬영부(200)
상기 촬영부(200)는 고객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전신촬영에 의하여 2차원의 평면적 영상 또는 3차원의 입체적 영상을 취득한다. 상기 촬영부(200)는 일반 카메라를 통한 정지 파일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부분 정지 파일을 추출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또는 고객이 미리 촬영한 사진을 제시할 수도 있으며, 인터넷에서 고객의 사진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상기 촬영부에서 취득한 영상은 곧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로써 상기 제어부(300)의 명령 제어를 통하여 상기 현시부(400)로 현시된다.
3.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촬영부(200)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상기 저장부(100)로부터 수신한 선택된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200)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현시부에 먼저 현시하는데, 이때 기존에 착용하고 있는 의류정보를 필요부분에 따라 제거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가 상기 현시부에 현시되고, 고객이 선택한 의류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부(100)의 의류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전신이미지정보 위에 오버랩시키거나 증강현실로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의류정보는 상의, 하의, 악세사리(모자, 스카프 등) 등으로 카테고리가 나뉘어져 있어, 상기 전신이미지 정보의 적절한 위치에 자동으로 오버랩되거나 증강현실로 보여주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설정 이외에도 고객이 직접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수동모드도 함께 프로그래밍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에서 촬영된 전신이미지정보에 의류이미지정보가 오버랩되어 코디되는 실시예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고객이 매장 내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촬영부에서 자신의 전신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 모습이 상기 현시부(400)에 현시되고, 자신의 전신이미지정보위에 고객이 선택한 의류를 오버랩시켜서 본인에게 어울리는 의류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식별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서치하여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에서 정보태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매칭되는 의류이미지정보를 추출하여 조합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4. 현시부(400)
상기 현시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수신한 조합이미지정보를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현시부는 매장 내에 설치된 전신거울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창문형으로 벽에 부착될 수도 있다. 매장의 분위기, 인테리어에 맞게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의 선택에 대하여는 불문하며, 현시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별도의 설치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고객이나 판매원이 보유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시할 수도 있다.
5. 정보태그(500)
의류제품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식별코드가 기록된 정보태그를 의미하는데, 바코드, QR코드, MS-Tag(smart tag)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태그는 의류제품의 끝단에 달려있는 태그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정보태그(500)는 상기 정보태그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600)에 의하여 인식되고 분석될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도 상기 현시부(400)에 디스플레이된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에 의류이미지를 오버랩시키기 위하여 의류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에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의류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선택하는 방법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의류제품의 끝단에 일반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태그에 의류정보, 인덱스 등을 저장하여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의류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실제로 눈으로 확인한 의류에 대하여 의류이미지를 추출하게 되므로, 실제 의류의 모습과 상기 현시부(400)에 현시되는 의류이미지정보의 차이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고객의 객관적인 판단을 유도하는데 효율적이다.
6. 리더기(600)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정보태그(500)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읽어 분석하기 기능과, 분석된 내용을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정보태그(500)의 식별코드를 분석할 수 있도록 미리 상기 정보태그의 정보암호화를 역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를 읽어 들여 분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00)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300)에서 분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별도로 분석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정보태그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에서, 리더기에 의해 정보태그의 정보가 분석되어 저장부에서 의류이미지정보가 추출되는 과정의 도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의류제품의 정보태그를 상기 리더기가 인식하고 분석하여 상기 제어부로 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저장부의 의류이미지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 저장부 200 : 촬영부
300 : 제어부 400 : 현시부
500 : 정보태그 600 : 리더기

Claims (3)

  1.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저장부, 촬영부, 제어부 및 현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부에는 의류제품의 모델별로 부여된 식별코드를 그 의류이미지정보와 매칭하여 기록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촬영부는 고객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선택된 의류이미지정보를 조합하고,
    상기 현시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한 의류이미지정보의 조합을 현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체형을 도출해내고, 도출된 체형 위에 선택된 의류이미지정보를 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의류제품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식별코드가 기록된 정보태그; 및
    상기 정보태그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읽어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리더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식별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식별코드에 매칭되는 의류제품의 이미지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서치하여 고객의 전신이미지정보와 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KR1020110062907A 2011-06-28 2011-06-28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KR20130007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907A KR20130007011A (ko) 2011-06-28 2011-06-28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907A KR20130007011A (ko) 2011-06-28 2011-06-28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11A true KR20130007011A (ko) 2013-01-18

Family

ID=4783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907A KR20130007011A (ko) 2011-06-28 2011-06-28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01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638A (ko) 2014-09-15 2014-11-11 (주)인더스웰 실사 영상 기반의 스마트 피팅장치 및 그 방법
CN104318000A (zh) * 2014-10-17 2015-01-28 上海和鹰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成衣的自动生成方法
KR101720016B1 (ko) 2015-10-16 2017-03-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특징점 기반 의상 피팅 시스템 및 방법
CN106649692A (zh) * 2016-12-19 2017-05-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ar设备的服饰搭配的推送方法及系统
KR20190052824A (ko) * 2017-11-09 2019-05-17 (주)코아시아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의류 피팅 미러 장치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638A (ko) 2014-09-15 2014-11-11 (주)인더스웰 실사 영상 기반의 스마트 피팅장치 및 그 방법
CN104318000A (zh) * 2014-10-17 2015-01-28 上海和鹰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成衣的自动生成方法
KR101720016B1 (ko) 2015-10-16 2017-03-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특징점 기반 의상 피팅 시스템 및 방법
CN106649692A (zh) * 2016-12-19 2017-05-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ar设备的服饰搭配的推送方法及系统
KR20190052824A (ko) * 2017-11-09 2019-05-17 (주)코아시아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의류 피팅 미러 장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6127B2 (ja) 検索システム、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59710B1 (en) Fitting support device and method
US8861866B2 (en) Identifying a style of clothing based on an ascertained feature
JP6800820B2 (ja) 人流分析方法、人流分析装置、及び人流分析システム
KR100687906B1 (ko) 상품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764998B (zh) 智能展示装置以及智能展示方法
CN112703286A (zh) 衣物登记装置和衣物推荐装置及包括这些装置的线上系统
CN111681070B (zh) 线上商品的购买方法、购买装置、存储装置及购买设备
KR20130027801A (ko)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스타일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KR20200023970A (ko) 가상 피팅 지원 시스템
KR101682769B1 (ko) 사용자맞춤형 온라인 패션 코디네이션 자동 매칭방법
KR20130007011A (ko) 의류매장 내 스마트 코디네이트 시스템
CN108596730A (zh) 服饰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智能设备
CN106951448A (zh) 一种个性化穿搭推荐方法及系统
KR20150087793A (ko) 스마트 거울 장치와 그에 따른 시스템
KR20130116091A (ko) 쇼핑 경로를 제공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JP6076304B2 (ja) 物品情報提供装置、物品情報提供システム、物品情報提供方法及び物品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2019805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人物検索システムおよび人物検索方法
JP2019139321A (ja) 顧客行動分析システムおよび顧客行動分析方法
KR20140107734A (ko) 가상의 피팅 방법 및 시스템
KR102044347B1 (ko) 가상의류 피팅미러 장치를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JP7109520B2 (ja) 購入商品推定装置
KR20160106438A (ko) 전신거울을 이용한 3차원 코디시스템
KR20090003507A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스타일 코디 상품 추천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