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870A -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870A
KR20130006870A KR1020110061798A KR20110061798A KR20130006870A KR 20130006870 A KR20130006870 A KR 20130006870A KR 1020110061798 A KR1020110061798 A KR 1020110061798A KR 20110061798 A KR20110061798 A KR 20110061798A KR 20130006870 A KR20130006870 A KR 2013000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layer
semiconductor layer
2deg
semiconducto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178B1 (ko
Inventor
최혁순
이정희
신재광
오재준
하종봉
김종섭
황인준
홍기하
임기식
김기원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03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4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 H01L29/66462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01L29/778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confinement of carriers by at least two heterojunctions, e.g. DHHEMT, quantum well HEMT, DHMODFET
    • H01L29/778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confinement of carriers by at least two heterojunctions, e.g. DHHEMT, quantum well HEMT, DHMODFET using III-V semiconduct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은 제1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물질층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물질층 상에 상기 제1물질층에 이차원 전자가스(two-dimensional electron gas)(2DEG)를 유발시키는 제2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의 열처리는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 및/또는 표면 상태(surface state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적층구조물 상에 반도체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Stack structure having two-dimensional electron gas,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tack structur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이하, HEMT)는 이종접합구조(heterojunction structure)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이차원 전자가스(2-dimensional electron gas)(이하, 2DEG)를 캐리어(carrier)로 사용하는 소자이다. 분극률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반도체층이 접합된 이종접합구조에서, 상대적으로 큰 분극률을 갖는 반도체층은 그와 접합된 다른 반도체층에 2DEG를 유발할 수 있다. 2DEG에서 전자의 이동도(mobility)는 매우 높을 수 있다. 이러한 2DEG는 HEMT에서 채널로 이용될 수 있다.
HEMT와 같이 2DEG를 이용하는 반도체소자의 성능/특성은 2DEG의 전자 농도 및 저항 등에 영향을 받는다. 2DEG의 전자 농도가 높을수록, 전류밀도가 높은 고출력/고성능 소자를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2DEG의 전자 농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2DEG의 전자 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적용한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적층구조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전자 농도가 높은 2DEG를 갖는 적층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따르면, 제1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물질층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물질층 상에 상기 제1물질층에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유발시키는 제2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물질층의 열처리는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의 열처리는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상태(surface state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의 열처리는 500~1200℃ 사이의 온도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의 열처리는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 및 제2물질층 중 적어도 하나는 Ⅲ-Ⅴ족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은 GaN, InN 및 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물질층은 AlGaN, AlInN 및 Al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으로 2DEG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구조물 상에 상기 2DEG를 이용하는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모폴로지(surface morphology)를 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물질층 상에 상기 제1물질층에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유발시키는 제2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모폴로지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모폴로지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상태(surface state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모폴로지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물질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 및 제2물질층 중 적어도 하나는 Ⅲ-Ⅴ족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은 GaN, InN 및 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물질층은 AlGaN, AlInN 및 Al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으로 2DEG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구조물 상에 상기 2DEG를 이용하는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2nm 이상인 제1면을 갖는 제1물질층; 상기 제1물질층의 제1면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물질층에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유발시키는 제2물질층; 및 상기 제2물질층 상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2DEG를 이용하는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2DEG의 전자 농도는 1014/㎠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 및 제2물질층 중 적어도 하나는 Ⅲ-Ⅴ족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층은 GaN, InN 및 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물질층은 AlGaN, AlInN 및 Al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농도가 높은 2DEG를 갖는 적층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구조물을 이용해서 반도체소자를 제조하면, 고성능/고출력의 반도체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적층구조물 상에 제조된 반도체소자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에서 열처리된 반도체층의 표면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반도체층(열처리 전)의 AFM(atomic force microscopy) 표면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층(열처리 후)의 AFM(atomic force microscopy) 표면 이미지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제1반도체층 20 : 제2반도체층
SUB1 : 기판 S1 : 소오스전극
D1 : 드레인전극 G1 : 게이트전극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 전자가스(2DEG)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SUB1) 상에 제1반도체층(10)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SUB1)은, 예컨대, 사파이어(sapphire), Si, SiC, GaN 등으로 구성된 기판일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은 Ⅲ-Ⅴ족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반도체층(10)은 GaN, InN, GaA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은 미도핑된(undoped) 층일 수 있지만, 소정의 불순물이 도핑된 층일 수도 있다. 제1반도체층(10)은 에피택셜(epitaxial) 성장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은, 예컨대, MOCVD(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비를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판(SUB1)과 제1반도체층(10) 사이에 소정의 버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기판(SUB1)과 제1반도체층(10) 사이의 격자상수 및 열팽창계수 차이를 완화시켜 제1반도체층(10)의 결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예컨대, AlN, GaN, AlGaN, AlInN, AlGaInN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반도체층(10)을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제1반도체층(10)의 표면 특성을 변화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열처리 공정은 제1반도체층(10)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 및/또는 표면 상태(surface state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제1반도체층(10)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는 약 2nm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열처리된 제1반도체층(10)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는 2~50nm 정도일 수 있다. 도 2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도체층(10)의 표면(상면)은 나노스케일(nanoscale) 또는 원자스케일(atomic-scale) 수준에서 울퉁불퉁(rough) 할 수 있다. 한편, 제1반도체층(10)의 표면 상태(surface states)의 증가는 표면 전하의 증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제1반도체층(10)의 표면부에서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의 수가 증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표면 전하가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제1반도체층(10)의 표면에 다량의 양(+)의 전하가 발생할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의 표면 상태(surface states) 및/또는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의 증가는 추후에 제1반도체층(10)에 형성될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의 전자 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도 2의 제1반도체층(10)의 열처리 공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열처리 공정은, 예컨대, 약 500~1200℃ 사이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공정은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할 수 있고, 수 내지 수십 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공정은 제1반도체층(10)의 증착 장비(예컨대, MOCVD 장비) 내에서 인-시츄(in-situ)로 진행하거나, 상기 증착 장비가 아닌 별도의 퍼니스(furnace)를 이용해서 수행하거나, 그 밖에 다른 방법, 예컨대, 레이저 어닐링(laser annealing) 방법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열처리된 제1반도체층(10) 상에 제2반도체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과 유사하게, 제2반도체층(20)도 에피택셜 성장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반도체층(20)은 MOCVD 장비를 이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제2반도체층(20)은 제1반도체층(10) 내에 2DEG를 유발시키는 물질층일 수 있다. 제2반도체층(20)은 Ⅲ-Ⅴ족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반도체층(20)은 AlGaN, AlInN, AlGaA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lGaN, AlInN 및 AlGaAs 등은 제1반도체층(10)보다 큰 분극률을 갖기 때문에, 제1반도체층(10)에 2DEG를 유발할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이 GaN층인 경우, 제2반도체층(20)은 AlGaN층 또는 AlInN층일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이 InN층인 경우, 제2반도체층(20)은 AlInN층일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이 GaAs층인 경우, 제2반도체층(20)은 AlGaAs층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한 제1반도체층(10) 및 제2반도체층(20)의 물질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2반도체층(20)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층일 수도 있다. 상기 n형 불순물은, 예컨대, Si일 수 있다. 또한 제2반도체층(20)은 서로 다른 복수의 물질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반도체층(20)에 의해 제1반도체층(10)에 형성되는 2DEG는 높은 전자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형성되는 2DEG는 종래의 방법으로 형성된 2DEG의 전자 농도보다 10~15배 정도 높은 전자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 설명한 제1반도체층(10)의 열처리 공정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열처리된 제1반도체층(10)은 나노스케일 또는 원자스케일 수준에서 다소 큰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를 갖거나, 비교적 많은 표면 전하(즉, 높은 표면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로 인해 2DEG의 전자 농도가 증가되는 것이라 추정된다. 또한,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제1반도체층(10)이 스트레스(stress)를 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2DEG의 전자 농도가 증가될 수 있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한 2DEG의 전자 농도 증가 요인(메커니즘) 이외에 다른 요인이 더 있을 수 있다.
도 3의 적층구조물에 소정의 반도체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와 같은 구조의 반도체소자(HEMT)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반도체층(20)의 소정 영역 상에 게이트전극(G1)이 구비될 수 있고, 게이트전극(G1) 양측의 제2반도체층(20) 상에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 제2반도체층(20), 게이트전극(G1),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은 HEMT를 구성할 수 있다. 제1반도체층(10)에 구비된 2DEG는 HEMT의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제1반도체층(10)은 '채널층'이라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EMT의 기본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이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전극(G1)과 제2반도체층(20) 사이에 게이트절연층(미도시)이나 디플리션층(미도시)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게이트전극(G1)이 형성되는 제2반도체층(20) 부분을 소정 깊이까지 리세스(recess) 하여 리세스영역(미도시)을 형성한 후에, 상기 리세스영역에 게이트전극(G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세스영역에 대응하는 2DEG의 특성이 변화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HEMT의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부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DEG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은 HEMT가 아닌 다른 반도체소자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반도체소자는, 예컨대,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 소자일 수 있다. 그 밖에도 2DEG를 이용하는 모든 소자 분야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비교예에 따른 반도체층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층의 AFM(atomic force microscopy) 표면 이미지이다. 도 6는 열처리 전의 반도체층에 대한 결과이고, 도 7은 열처리 후의 반도체층에 대한 결과이다. 도 6의 반도체층은 도 1의 제1반도체층(1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7의 반도체층은 도 2의 제1반도체층(1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반도체층의 물질은 모두 GaN 이었다.
도 6 및 도 7을 비교하면, 열처리 후 반도체층의 표면(도 7)이 열처리 전 반도체층의 표면(도 6)보다 울퉁불퉁한(rough)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를 측정한 결과, 열처리 전 반도체층(도 6)의 표면 조도는 1.67nm 정도였고, 열처리 후 반도체층(도 7)의 표면 조도는 29.2nm 정도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에 의해 반도체층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비교예에 따른 적층구조물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2DEG의 전자 농도 및 면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은 열처리 없이 형성한 것이고,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의 방법으로, 즉, 열처리를 거쳐서 형성한 것이다.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적층구조물은 모두 GaN/AlGaN 구조를 갖는다. 표 1의 전자 농도(즉, sheet carrier concentration)는 CV(capacitance-voltage) 법으로 측정하였다. 한편, 표 1에서 면저항(sheet resistivity)은 GaN과 AlGaN 사이의 계면의 면저항이다.
비교예
(without thermal treatment)
실시예
(with thermal treatment)
Sheet carrier concentration 1.03×1013/㎠ 1.47×1014/㎠
Sheet resistivity 414.9 Ω/sq 398 Ω/sq
표 1의 결과를 보면, 비교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2DEG의 전자 농도(즉, sheet carrier concentration)는 1.03×1013/㎠ 정도이고,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2DEG의 전자 농도(즉, sheet carrier concentration)는 1.47×1014/㎠ 정도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2DEG의 전자 농도가 비교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2DEG의 전자 농도보다 15배 정도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에 의해, 2DEG의 전자 농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면저항(sheet resistivity)은 비교예에 따른 적층구조물의 면저항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농도가 높은 2DEG를 갖는 적층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적층구조물을 이용해서 HEMT와 같은 반도체소자를 구성할 경우, 고성능/고출력의 반도체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소자는, 예컨대, 파워 디바이스(power device)로 사용될 수 있지만, 그 밖에 다른 다양한 분야에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도체소자는 파워 디바이스뿐 아니라, 조명, 메모리소자 및 다양한 회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3의 적층구조물 형성방법 및 도 4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열처리 공정 이외에 다른 방법을 이용해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전자 농도가 높은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가해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idea)은 HEMT가 아닌 다른 다양한 반도체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20)

  1. 제1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물질층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물질층 상에 상기 제1물질층에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유발시키는 제2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의 열처리는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의 열처리는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상태(surface state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의 열처리는 500~1200℃ 사이의 온도로 수행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의 열처리는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 및 제2물질층 중 적어도 하나는 Ⅲ-Ⅴ족 반도체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은 GaN, InN 및 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물질층은 AlGaN, AlInN 및 Al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9. 제1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모폴로지(surface morphology)를 변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물질층 상에 상기 제1물질층에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유발시키는 제2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모폴로지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모폴로지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상태(surface states)를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의 표면 모폴로지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물질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 및 제2물질층 중 적어도 하나는 Ⅲ-Ⅴ족 반도체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의 형성방법.
  14. 청구항 1에 기재된 방법으로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구조물 상에 상기 2DEG를 이용하는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9에 기재된 방법으로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구조물 상에 상기 2DEG를 이용하는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16.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2nm 이상인 제1면을 갖는 제1물질층;
    상기 제1물질층의 제1면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물질층에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유발시키는 제2물질층; 및
    상기 제2물질층 상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2DEG를 이용하는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2DEG의 전자 농도는 1014/㎠ 이상인 반도체소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 및 제2물질층 중 적어도 하나는 Ⅲ-Ⅴ족 반도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질층은 GaN, InN 및 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물질층은 AlGaN, AlInN 및 AlGa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KR1020110061798A 2011-06-24 2011-06-24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813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98A KR101813178B1 (ko) 2011-06-24 2011-06-24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98A KR101813178B1 (ko) 2011-06-24 2011-06-24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70A true KR20130006870A (ko) 2013-01-18
KR101813178B1 KR101813178B1 (ko) 2017-12-29

Family

ID=4783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798A KR101813178B1 (ko) 2011-06-24 2011-06-24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1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1202B2 (ja) * 2003-06-27 2009-11-25 日立電線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ウエハ並びに半導体デバイス
JP2007235000A (ja) * 2006-03-03 2007-09-13 Eudyna Devices Inc 半導体の処理方法、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178B1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0171B2 (ja) 半導体装置
JP4381380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5894B2 (ja) 半導体素子形成用板状基体及びこ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使用した半導体素子
KR101350092B1 (ko) 화합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000485B2 (en) Electrode structures, gallium nitride based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634681B2 (ja) 半導体素子
US1028363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025141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341479A1 (en) Nitride semiconductor epitaxial stack structure and power device thereof
JP2008147311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08856B2 (ja)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法
KR20140045303A (ko) 반도체 기판,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
JP2023527310A (ja) ベリリウムをドープしたショットキーコンタクト層を有する空乏モード高電子移動度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半導体デバイス
TWI552948B (zh) 半導體元件
WO2015115126A1 (ja) 窒化物半導体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窒化物半導体装置
JP2016157801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12523A (ko) 이종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75539A1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13178B1 (ko) 이차원 전자가스를 갖는 적층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6264485B2 (ja)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62201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6142893B2 (ja)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47297A (ja) 半導体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146282B (zh) 高电子迁移率晶体管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364026B1 (ko) 질화물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