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776U - 페이지형 포스트잇 - Google Patents

페이지형 포스트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776U
KR20130006776U KR2020120004098U KR20120004098U KR20130006776U KR 20130006776 U KR20130006776 U KR 20130006776U KR 2020120004098 U KR2020120004098 U KR 2020120004098U KR 20120004098 U KR20120004098 U KR 20120004098U KR 20130006776 U KR20130006776 U KR 201300067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post
adhesive
pag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우영
Original Assignee
방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우영 filed Critical 방우영
Priority to KR2020120004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776U/ko
Publication of KR20130006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7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1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42D5/002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having plural perforation lines, e.g. for detaching parts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9/00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 B42C9/0006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by applying adhesive to a stack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4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42D1/005Perforated or punched sheets having plural perforation lines, e.g. for detaching parts of th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 사이에 삽입 접착되어 하나의 페이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페이지형 포스트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에 메모가 가능한 메모부; 및 책의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 및 고정되는 접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부는 양면에 점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메모부와 접착부의 경계선에는 포스트잇이 책에 삽입되어 접착된 후, 좌우로 쉽게 페이지 넘김이 가능하도록 눌림부가 형성되어, 페이지 면에 붙지 않고,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어 기존 내용을 가리지 않아도 되며, 페이지 사이에 삽입된 포스트잇이 기존 페이지 양면에 부착되어 강한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절취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조절이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페이지형 포스트잇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페이지형 포스트잇{page type of post-it}
본 고안은 페이지형 포스트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 사이에 삽입 접착되어 하나의 페이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페이지형 포스트잇을 제공함에 있다.
복잡하고 다양한 디지털시대에 살면서 조그마한 수첩과 필기도구를 가지고 다니면서 가던 걸음을 멈추고 무언가를 적는 모습을 떠올리면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모습이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아무리 세상이 빠르게 변화되고 다양화되더라도 변하지 않는 것이 있듯이, 습관이 되면 유익하지만 습관이 되지 않아 잊혀지는 것이 메모하는 습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메모를 하는데 있어, 수첩이나 다이어리 등을 사용하기도 하나, 보편적으로 간단한 메모는 일면에 점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포스트잇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포스트 잇(Post-it)은 손쉽게 어디에든 붙였다 땔 수 있도록 하는 접착식 메모지로써, 포스트잇 접착제에 사용하는 마이크로 구는 대표적으로 아크릴산이소옥틸(95%)과 트리메틸아민 메타크릴이미드(5%)를 유화제와 혼합해, 수용액 중에서 공중합하여 얻는다. 따라서 중합체 대부분은 소수성으로 약간의 친수성 구조를 포함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포스트잇 노트 일부 접착제는 요소수지를 마이크로 구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가 포스트잇 노트를 사무실 문에 붙일 때, 눌려진 접착 부분에 있는 마이크로 구가 수없이 터지면서 접착제가 노출되어 붙게 된다. 더 터질 마이크로 구가 있는 한 이 포스트잇은 접착성을 유지해 재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대부분의 학생들은 선생님 또는 강사로부터 학습서 내용에 보충되는 설명을 듣게되면 해당 내용이 기재된 부분의 근처 여백을 이용하여 필기를 한다.
이유는, 해당 내용에 대한 보충설명이기 때문에 별도의 노트에 기재하는 것 보다 추후 내용을 이해하기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백의 공간이 협소하여 설명 내용을 충분히 적는 것에는 무리가 따르기 마련이다.
그래서, 학생들은 포스트잇을 이용하여 메모를 하고 해당 위치에 붙여 놓는다.
그러나, 한 페이지에 적을 내용이 너무 많거나 많은 수의 포스트잇을 해당 페이지에 붙이게 되면 기존 내용을 보기가 어려워질 뿐만아니라 포스트잇의 점착면의 특성상 시간이 흐른후에는 쉽게 떨어져 없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페이지 면에 직접 붙이지 않고,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는 페이지형 포스트잇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페이지 사이에 삽입된 포스트잇이 기존 페이지 양면에 부착되어 강한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페이지형 포스트잇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절취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조절되는 페이지형 포스트잇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면에 메모가 가능한 메모부; 및 책의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 및 고정되는 접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부는 양면에 점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메모부와 접착부의 경계선에는 포스트잇이 책에 삽입되어 접착된 후, 좌우로 쉽게 페이지 넘김이 가능하도록 눌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형 포스트잇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포스트잇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면에 메모가 가능한 메모부; 및 책의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 및 고정되는 접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부는 양면에 각각 외측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화살표 형태의 갈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형 포스트잇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포스트잇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페이지형 포스트잇에 의하면, 페이지 면에 직접 붙이지 않고,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어 기존 내용을 가리지 않아도 되며, 페이지 사이에 삽입된 포스트잇이 기존 페이지 양면에 부착되어 강한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절취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조절이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의 경계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을 책사이에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이 책의 페이지 사이에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절취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서 표현된 "포스트잇(Post-it)"은 메모지의 브랜드 명이나, 이는 통상적으로 접착식 메모지를 대체하는 대표명사로써 특정 브랜드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접착식 메모지를 일컷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의 경계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을 책사이에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1)은 양면에 메모가 가능한 메모부(10)와, 책(100)의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삽입/접착되어 고정되는 접착부(20)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부(20)는 양면에 점착면(20',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부(10)와 접착부(20)의 경계선에는 포스트잇(1)이 책(100)에 삽입되어 접착된 후, 좌우로 쉽게 페이지 넘김을 할 수 있도록 눌림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눌림부(30)는 포스트잇(1) 자체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소형 프레스장치로 잘리지 않는 정도의 압으로 살짝 눌러줌으로 생기는 경계선이다.
상기 접착부(20)는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된 후, 독립적인 페이지 기능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좌우 넘김이 원활해야한다.
따라서, 상기 눌림부(30)는 상기 메모부(10)와 접착부(20)에 비해 압축되어 비교적 얇은 상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100)의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삽입/접착되어 고정되고, 눌림부(30)를 기준으로 좌/우 넘김이 용이함에 따라서, 포스트잇(1)을 기준으로 좌우에 있는 책의 내용에 따라 보충설명을 손쉽게 정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용부분에 붙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존 내용을 가리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형 포스트잇이 책의 페이지 사이에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잇(1)은 양면에 메모가 가능한 메모부(10)와, 책(100)의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삽입/접착되어 고정되는 접착부(20)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부(20)는 양면에 각각 화살표 형태의 갈래부(2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갈래부(21,22)가 형성된 접착부(20)는 외측으로 접착면(20',20")이 형성되며, 사용전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위/아래 적층된 낱개의 포스트잇간에 서로다른 접착면(20',20")이 눌려서 포개진 형태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래부(21,22)의 점착면(20',20")이 각각 책(100) 페이지 좌우 사이에 삽입/접착되어 고정됨으로써, 기존 책(100)의 페이지와 동일한 새로운 페이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절취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구성된 절취선(40)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절취하여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3개의 선으로 도시하였으나, 나누는 갯수 및 방식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메모할 내용에 많을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잇(1)을 절취하지 않고 사용하여 기존 페이지와 동일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메모할 내용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잇(1)의 상단부를 절취하여 일부만 삽입된 형태의 페이지의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포스트잇(1)의 접착면의 접착물질은 입자가 크고 둥글기 때문에 쉽게 붙었다 떨어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만약 책(100)에 반 영구적으로 접착되는 메모지 형태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접착부(20)의 접착면(20',20")의 물질을 입자가 매우작은 일반 접착제로 구성하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별도의 이형지를 덧대도록 하여 책(100)에 접착하기 전에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포스트잇(1)은 책(100)의 페이지 면에 직접 붙이지 않고,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기존 내용을 가리지 않아도 되며, 페이지 사이에 삽입된 포스트잇이 기존 페이지 양면에 부착되어 강한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절취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조절이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포스트잇 10 : 메모부
20 : 접착부 20',20" : 접착면
21,22 : 갈래부 30 : 경계부

Claims (4)

  1. 양면에 메모가 가능한 메모부; 및
    책의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 및 고정되는 접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부는 양면에 점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메모부와 접착부의 경계선에는 포스트잇이 책에 삽입되어 접착된 후, 좌우로 쉽게 페이지 넘김이 가능하도록 눌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형 포스트잇.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잇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형 포스트잇.
  3. 양면에 메모가 가능한 메모부; 및
    책의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 및 고정되는 접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부는 양면에 각각 외측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화살표 형태의 갈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형 포스트잇.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잇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형 포스트잇.
KR2020120004098U 2012-05-16 2012-05-16 페이지형 포스트잇 KR201300067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098U KR20130006776U (ko) 2012-05-16 2012-05-16 페이지형 포스트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098U KR20130006776U (ko) 2012-05-16 2012-05-16 페이지형 포스트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76U true KR20130006776U (ko) 2013-11-26

Family

ID=5243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098U KR20130006776U (ko) 2012-05-16 2012-05-16 페이지형 포스트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7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340B1 (ko) 2019-05-16 2019-10-16 황준호 양면 사용이 가능한 접착식 메모지 및 그 사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340B1 (ko) 2019-05-16 2019-10-16 황준호 양면 사용이 가능한 접착식 메모지 및 그 사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05246A3 (en) Writable electronic book
CN202062836U (zh) 一种新型的便签纸
KR20130006776U (ko) 페이지형 포스트잇
KR200476040Y1 (ko) 무접착 스티커가 구비된 속지 구조
KR101101266B1 (ko) 반영구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식메모지 겸용 수첩
CN203126260U (zh) 一种书写垫板
JP3137134U (ja) ミシン目とリング穴を備えた機能拡張性の高い付箋
KR20140012567A (ko) 절취선 포스트잇
JP3185861U (ja) 日記帳
JP3121640U (ja) 粘着式整理ファイル
JP3153855U (ja) フィルム付きメモシート
CN219312365U (zh) 一种多层自粘式包书皮
CN201784277U (zh) 多用笔记本
CN210234444U (zh) 一种新型书套
KR20230010307A (ko) 곡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본 방법
JP3166828U (ja) 本文のいずれかが取り換え可能な本
CN1789016B (zh) 随意贴
CN206049084U (zh) 一种组合式笔记本
JP3199278U (ja) 御朱印帳
CN207758401U (zh) 一种装订册
CN206833804U (zh) 一种标签
CN202986411U (zh) 书本固定器
CN111284184A (zh) 带便贴的记事本
JP3190677U (ja) 付箋
CN203284366U (zh) 一种新型双面胶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