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544U -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 Google Patents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544U
KR20130006544U KR2020120003706U KR20120003706U KR20130006544U KR 20130006544 U KR20130006544 U KR 20130006544U KR 2020120003706 U KR2020120003706 U KR 2020120003706U KR 20120003706 U KR20120003706 U KR 20120003706U KR 20130006544 U KR20130006544 U KR 201300065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stening body
shoe heel
hee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서
Original Assignee
김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서 filed Critical 김근서
Priority to KR2020120003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544U/ko
Publication of KR20130006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5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뒤축에 삽입되는 쿠션성을 부여하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에 있어서, 외면에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걸림돌기(22)가 형성되고, 안쪽 내면에는 나사선(26)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체의 상승을 방지하는 상승 방지턱(24)이 형성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체결 몸체(20); 상기 체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되, 하부에는 삽입용 돌기(12)가 형성된 지지판(10);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삽입되되, 체결 몸체를 벗어나지 않도록 측면에는 상승 걸림턱(34)이 형성되고, 중앙에 지지판의 삽입용 돌기에 대응하는 삽입용 구멍(32)이 형성된 지지체(30); 상기 체결 몸체 내의 상기 지지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0); 및 외면에는 나사선(5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몸체의 내부에 나사삽입되되, 하부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용 홈(54)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스프링을 안치시키는 안치용 홈(56)이 형성된 이동체(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ELASTIC SPRING SUPPORT INSERTED IN THE HEEL OF THE SHOES}
본 고안은 신발 뒤축에 삽입되는 쿠션성을 부여하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 뒤축에 삽입되어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신었을 때, 발의 하부 후방 중앙 부분에 스프링에 의한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발은 인체의 축소판이라 할 정도로 인체의 각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수함은 혈관이 흐르고 있다. 우리 몸의 중요한 혈관이 발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발을 제2의 심장이라고 불린다. 그만큼 발의 건강관리는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피로의 시작과 끝은 발 건강에서 온다고 할 정도로 발 건강은 중요하다.
신발은 주로 천연 인조 가죽의 재질로 형성되어 단순히 발을 감싸서 보호하는 것 외에도, 발에 대한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해 편안한 보행은 물론 각종 운동이나 노동의 능률을 높이는 것이다. 사람의 발바닥은 아치형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는데, 이것은 걸을 때 발의 반동, 착지시의 충격 완화, 발바닥의 신경 보호 등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신발 바닥도 발의 아치에 맞는 형으로 만들어야 편안한 보행이 가능한데, 뒤축을 두껍게 성형하거나 그 부위에 굽을 붙여 높인 것은 이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적당히 높은 뒤축은 하지근 즉, 둔부·대퇴부·하퇴부의 근육상태가 긴장해서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스타일이 바르게 되며, 또 바른 자세로 걸을 수 있게 하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많은 실험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사람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뒤축의 높이는 대체로 3cm가 적당하고 7cm가 넘으면 오히려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안한 보행을 위한 신발은 착지동작의 안정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대개, 보행 또는 달리기(러닝)의 작동은 발 전체를 사용하며 뒤축치 타격으로 시작하여 중간-발을 굴린 다음 최종적으로 앞발 및 발가락을 내밀어 추진시킨다. 뒤축치 타격전에 발은 발바닥이 위로향한 위치, 즉 땅에 관하여 상부로 각을 이루어 배향되며 외부로 꼬여진다. 뒤꿈치 타격시, 발목, 무릎 및 엉덩이 모두는 구부러져서 완충하고 충돌의 충격을 흡수한다.
이 연속작동동안에 러너의 만성 또는 외상 상해를 피하기 위하여, 착지 안정성에 부합하도록 가능한한 발타격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능하다면 좋은 러닝 안정성에 부합하고 에너지-효율측면에서 흡수된 충격 에너지를 저장하여 활보의 추진시기동안에 발에 반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러닝동안에 발타격에 의해 부여된 충격에너지를 저장하여 발을 들어올리는 동안에 착용자의 발에 적어도 저장에너지를 되돌려 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신발 뒤축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고 착지 안정성을 도모하고, 이를 다시 되돌려 주어 상쾌하고 가벼운 발걸음으로 보행이나 러닝이 가능한 신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의 뒤축(하부 뒤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몸 전체가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발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의 건강을 도모하여, 보행이나 러닝시에 반발력을 전달하여 가벼운 발걸음을 수행할 수 있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뒤축에 삽입되는 쿠션성을 부여하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에 있어서, 안쪽 내면에는 나사선(26)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체의 상승을 방지하는 상승 방지턱(24)이 형성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체결 몸체(20); 상기 체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되, 하부에는 삽입용 돌기(12)가 형성된 지지판(10);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삽입되되, 체결 몸체를 벗어나지 않도록 측면에는 상승 걸림턱(34)이 형성되고, 중앙에 지지판의 삽입용 돌기에 대응하는 삽입용 구멍(32)이 형성된 지지체(30); 상기 체결 몸체 내의 상기 지지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0); 및 외면에는 나사선(5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몸체의 내부에 나사삽입되되, 하부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용 홈(54)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스프링을 안치시키는 안치용 홈(56)이 형성된 이동체(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의 표면에는 쿠션성을 지니는 고탄력 스폰지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용 돌기(12)와 상기 삽입용 구멍(32)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각의 단면을 지닌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 몸체(20)의 외면에는 체결 몸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걸림돌기(22)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는 신발의 뒤축에 삽입되어 발의 뒤축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이를 되돌려 주도록 탄성 지지함으로, 발 뒤축의 충격을 흡수하고 발의 중심으로 앞쪽에 두게 함으로써 발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보행이나 러닝시에 반발력을 전달하여 신발 착용자의 피로감을 줄여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가 신발 뒤축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신발 뒤축에 삽입되는 쿠션성을 부여하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는 쿠션성을 지니는 지지판(10), 속이 빈 원통형상의 체결 몸체(20),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지지체(30), 스프링(40), 및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되어 상기 스프링을 가압시키는 이동체(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는 기본적으로 신발 뒤축에 삽입용 홈을 형성하고, 그 삽입용 홈에 삽입되어 발의 뒤굽(하부 뒤부분)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지지판(10)은 실제로 발의 하부에 위치하여 탄성지지하는 부분이다. 상부면은 발의 뒤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중앙이 낮은 오목한 구조를 갖는다. 하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지지체(30)와의 결합을 위해서, 삽입용 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판의 상부면은 쿠션성을 지니는 고탄력 스폰지가 형성될 수 있다. 스폰지의 재료는 고무재, 폴리우레탄제, EVA제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 몸체(20)는 신발 뒤축의 삽입용 홈에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속이 빈 원통형상을 지닌다. 체결몸체(20) 내부에, 지지체(20), 스프링(30), 이동체(40)가 삽입된다.
체결 몸체(20)의 외면에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걸림돌기(22)가 형성된다. 고정용 걸림 돌기(22)는 신발 뒤축의 삽입용 홈에 체결 몸체를 삽입한 경우에, 체결 몸체(20)가 움직이지 않고 신발 뒤축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 몸체(20)의 안쪽 내면에는 나사선(26)이 형성되는 데, 이는 스프링 하부의 이동체(50)가 회전에 의해서 상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체결 몸체(20)의 상부에는 지지체(30)의 상승을 방지하는 상승 방지턱(24)이 형성된다. 즉, 지지체는 체결 몸체 내부에 삽입된 후, 지지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승 걸림턱(34)이 체결 몸체(20)의 상승 방지턱(24)이 걸리게 됨으로, 더 이상의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고, 체결 몸체 내에서 탄성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지지판과 결합되는 지지체(30)는 하부의 스프링(40)에 의해 탄성 지지하는 부분이다. 중앙에는 지지판의 삽입용 돌기(1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용 구멍(32)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판의 삽입용 돌기(12)와 지지체의 삽입용 구멍(32)은 지지판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과 같은 다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30)는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삽입되되, 체결 몸체를 벗어나지 않도록 측면에는 상승 걸림턱(34)이 형성된다.
스프링(40)은 체결 몸체(20) 내의 지지체(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지체를 탄성지지하는 부분이다. 스프링(40)은 본 고안의 탄성 지지구에서 발의 뒤축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라 할 것이다. 스프링(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스프링이 사용된다. 스프링의 강도 내지 탄성력의 정도는 당업자가 선택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프링의 개수 또한, 스프링의 강도 및 탄성력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체(50)는 스프링을 하부에서 받치는 부분이다. 이동체(50)의 상부면에는 스프링을 안치시키는 안치용 홈(56)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치용 홈에는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홈이나 고정용 고리가 형성될수 있다.
이동체의 외면에는 나사선(52)가 형성되는 데, 이는 체결 몸체 내면의 나사선(26)과 맞물려, 이동체(50)를 회전시킬 때, 이동체를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동체의 하부면에는 도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이동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용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용 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홈이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가 신발 뒤축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신발 뒤축에 삽입용 홈을 형성한 후에, 본 고안의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를 삽입한다. 그런 후, 신발 안쪽에 깔창(도시되지 않음)을 깔아 본 고안의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를 덮게 된다. 착용자가 신발을 신었을 때, 탄성이 너무 강하거나 약한 경우에는 탄성 지지구를 다시 꺼내어 하부의 이동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는 가장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신발 뒤축에 삽입 설치되어 탄성 지지함으로 신발 착용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지판
12: 삽입용 돌기
20: 체결 몸체
22: 고정용 걸림돌기
24: 상승 방지턱
26: 나사선
30: 지지체
32: 삽입용 구멍
34: 상승 걸림턱
40: 스프링
50: 이동체
52: 나사선
54: 회전용 홈
56: 안치용 홈

Claims (4)

  1. 신발 뒤축에 삽입되는 쿠션성을 부여하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에 있어서,
    안쪽 내면에는 나사선(26)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체의 상승을 방지하는 상승 방지턱(24)이 형성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체결 몸체(20);
    상기 체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되, 하부에는 삽입용 돌기(12)가 형성된 지지판(10);
    상기 체결 몸체 내에 삽입되되, 체결 몸체를 벗어나지 않도록 측면에는 상승 걸림턱(34)이 형성되고, 중앙에 지지판의 삽입용 돌기에 대응하는 삽입용 구멍(32)이 형성된 지지체(30);
    상기 체결 몸체 내의 상기 지지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0);
    외면에는 나사선(5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몸체의 내부에 나사삽입되되, 하부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용 홈(54)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스프링을 안치시키는 안치용 홈(56)이 형성된 이동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표면에는 쿠션성을 지니는 고탄력 스폰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용 돌기(12)와 상기 삽입용 구멍(32)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각의 단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몸체(20)의 외면에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걸림돌기(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KR2020120003706U 2012-05-04 2012-05-04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KR201300065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706U KR20130006544U (ko) 2012-05-04 2012-05-04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706U KR20130006544U (ko) 2012-05-04 2012-05-04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44U true KR20130006544U (ko) 2013-11-13

Family

ID=5243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706U KR20130006544U (ko) 2012-05-04 2012-05-04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54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1747A (zh) * 2019-12-10 2020-03-17 江西省东鹏鞋业有限公司 一种消防鞋及其制造方法
KR102196360B1 (ko) * 2019-06-24 2020-12-29 이덕규 회전 운동이 가능한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360B1 (ko) * 2019-06-24 2020-12-29 이덕규 회전 운동이 가능한 신발
CN110881747A (zh) * 2019-12-10 2020-03-17 江西省东鹏鞋业有限公司 一种消防鞋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495B2 (en) Postural corrective ankle stabilizing insole
TW201410172A (zh) 籃球鞋墊及其製造方法
WO2015056958A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JP6884777B2 (ja) 主としてシューズ用のミッドソール又はインソール
ES2910782T3 (es) Entresuela para zapatos
CN103284400B (zh) 一种具减震功能及平稳保护的运动鞋底
KR101537248B1 (ko) 인체의 균형과 발의 평형 유지용 건강신발
KR20130006544U (ko) 신발 뒤축용 탄성 지지구
KR102224341B1 (ko) 밸런스 운동기구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1119566B1 (ko) 하체 근력강화를 유도하는 신발창
CN201750745U (zh) 一种保健鞋
KR200467057Y1 (ko) 신발용 깔창
KR101105829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KR200427686Y1 (ko) 신발 깔창
KR200462400Y1 (ko) 복합 기능 건강 신발
KR101245973B1 (ko) 신발 중창
KR20100025051A (ko)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KR101252287B1 (ko)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KR20210015553A (ko)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KR200440285Y1 (ko)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JP6858319B2 (ja) 履物の中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