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285Y1 -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 Google Patents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285Y1
KR200440285Y1 KR2020070012112U KR20070012112U KR200440285Y1 KR 200440285 Y1 KR200440285 Y1 KR 200440285Y1 KR 2020070012112 U KR2020070012112 U KR 2020070012112U KR 20070012112 U KR20070012112 U KR 20070012112U KR 200440285 Y1 KR200440285 Y1 KR 200440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support
shape
landing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태국
Original Assignee
구인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인덕 filed Critical 구인덕
Priority to KR2020070012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강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발뒷꿈치로 착지를 하고 발끝으로 도약하도록 형성된 건강신발에 있어서, 전체적인 무게를 완충하며 충격 흡수를 하게하며, 앞뒤면에 반원형을 이루어 전체 무게를 분산하도록, 착지부, 지지부, 도약부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미드솔 없이 일체로 형성된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의 내부에 내장되며, 강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아웃솔의 형태를 고정하는 형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으로 하는 바, 충격흡수를 위해 유연하게 형성된 아웃솔의 형태를 고정시켜 사용시 일정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하측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잘 쓰지 않는 다리 주위의 미세한 근육을 사용하여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형태판, 구름운동, 신발, 완충, 곡선, 지지

Description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SHOES SUPPORTING THE SHAPE OF OUTSOLE}
본 고안은 건강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형태판이 구비되고, 하측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발 부위의 미세한 근육을 사용하는 건강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딱딱한 바닥으로부터 신체에 받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해 발바닥과 발목, 무릎관절, 골반, 척추, 뇌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은 밑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착지시 충분히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시키지 못하고 발에 압력이 많이 가해지며, 척추의 부담과 무릎관절의 악화로 디스크와 퇴행성관절염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뒤축을 개량한 건강신발이 2005년 11월28일자에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2587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프링장착백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관통에어백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강신발은 밑창의 뒤축 바닥면의 형상을 발꿈치의 모양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하고 밑창의 뒤축에 스프링장착백(100) 및 관통에어백(20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충격완충부재백을 삽입하여 보행 시 발목 관절을 중심으로 전후로 굴곡되고, 착지시 가장 먼저 지면에 닿는 발꿈치가 지면에 대해 구름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발목관절과 다리 및 신체에 불연속적인 충격을 유발하지 않고, 부드러운 착지와 자연스러운 보행이 가능하며 착지시 완충작용이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건강신발의 구조를 살펴보면 구름운동을 하고 충격력을 연속적으로 분산하기 위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지속적인 외력에 의해 밑창의 형태가 유지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보행시 외력에 의해 형성된 굴곡 및 길이 등의 변형 빈도가 높은 밑창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아서 형태가 비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할 수 있는 건강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하측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평소에 쓰지않는 근육을 이용하도록 하는 건강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건강신발은 발뒷꿈치로 착지를 하고 발끝으로 도약하도록 형성된 건강신발에 있어서,
아웃솔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경사져서 지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착지부와, 상기 착지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아웃솔의 전체 길이의 20~40%로 이루어져 지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곡률이 작게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착지부보다 길이가 길고 상측으로 경사진 도약부로 이루어지며, 미드솔과 일체로 형성된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의 내부에 내장되며, 강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아웃솔의 형태를 고정하는 형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착지부의 곡률보다 도약부의 곡률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은, 재질의 주성분이 발포성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형태판은, 강성 PVC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형태판은, 중앙에서 후방까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발바닥의 아치 부분을 지지하도록 발아치 부근에서 뒷꿈치 부근까지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부로 휘어진 형상을 가진다.
본 고안은 충격흡수를 위해 유연하게 형성된 아웃솔의 형태를 고정시켜 사용시 일정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측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잘 쓰지 않는 다리 주위의 미세한 근육을 사용하여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형태판이 구비된 건강신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크게 아웃솔(10)과 형태판(2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아웃솔(10)은 가칭 마시이족 워킹에 적합하도록 착지부(12), 지지부(14)와 도약부(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착지부(12)는 전체 아웃솔의 전체 길이의 절반보다 작은 길이로 착지부 길이(A)가 형성되며, 후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곡률로 라운딩되며 뒤꿈치 부위의 두께는 후단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4)는 전체 아웃솔의 길이의 20~40%로 이루어진 지지부 길이(B)가 형성되며, 곡률이 작아서 거의 지면과 평평하게 맞닿을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약부(16)는 도약부 길이(C)가 상기 착지부 길이(A) 또는 지지부 길이(B)보다 길게 형성되며, 곡률이 가장 크게 형성되어 도약을 하면서 발이 꺽어질 때 자연스럽게 도약하여 발이 지면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도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행시, 착지부(12), 지지부(14) 및 도약부(16)를 통해 아웃솔(10)의 하측의 곡률을 따라 굴러가듯이 가압력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발목, 골반, 어깨까지 활용하여 걷는 마사이 워킹법으로 걸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10)은 별도의 미드솔 없이 일체로 형성되며, 재질의 주성분이 발포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형성되어 몸무게의 충격완화 및 분산효과로 발목, 무릎 관절을 보호해 줌으로서 각종 관절염 및 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아웃솔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있는 바, 이는 아웃솔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형태판(20)은, 경질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솔(10)의 형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아웃솔(10)의 내부에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형태판(20)이 상기 아웃솔(10)에 포함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며, 형태판(20)을 금형에 고정한 후, 발포제를 주입하여 상기 형태판(20)이 사출에 의해 상기 아웃솔(10)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형태판(20)에 사용된 경질재질은 PVC를 포함하는 소정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며, 발바닥의 아치 부분을 지지하도록 중간 부분이 발 아치 부근에서 뒷꿈치 부근까지 오목하게 하부로 휘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중간 부분이 하부로 휘어진 형상을 가짐으로, 쉽게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음과 동시에 발바닥의 아치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이하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보행시 신발의 뒷부분인 착지부(12), 즉 발의 뒷꿈치가 지면에 닿아 착지하면 착지부(12)의 곡선을 따라 완만하게 가압력이 분산되어 완충작용을 한다.
이렇게 착지부(12)가 닿은 다음 아웃솔(10)의 지지부(16)을 따라서 가압력이 이동하면서 보행을 진행하면, 지지부(14)의 곡률이 적은 부위의 곡선을 따라 굴러가듯이 앞쪽으로 가압되는 힘이 이동되며, 발의 아치 부분에 해당되는 지지부(14)가 곡률이 적어 바른 자세로 설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때, 아웃솔(10)의 착지부(12)와 지지부(14)는 가압되는 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데, 형태판(20)이 상기 아웃솔(10)을 지지하여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자연스럽게 발끝으로 가압력이 이동하여 도약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곡률이 가장 큰 도약부(16)로 가압력이 이동한다.
상기 착지부(12), 지지부(14) 및 도약부(16)의 순차적인 단계로 보행을 하면, 평소에 쓰지 않는 발 주위의 미세한 근육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올바른 자세로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 -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프링장착백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관통에어백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형태판이 구비된 건강신발의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웃솔 12 : 착지부
14 : 지지부 16 : 도약부
A : 착지부 길이 B : 지지부 길이
C : 도약부 길이

Claims (5)

  1. 발뒷꿈치로 착지를 하고 발끝으로 도약하도록 형성된 건강신발에 있어서,
    아웃솔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측으로 경사져서 지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착지부(12)와,
    상기 착지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아웃솔의 전체 길이의 20~40%로 이루어져 지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곡률이 작게 형성된 지지부(14)와,
    상기 지지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착지부보다 길이가 길고 상측으로 경사진 도약부(16)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미드솔 없이 일체로 형성된 아웃솔(10)과;
    상기 아웃솔(10)의 내부에 내장되며, 강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아웃솔(10)의 형태를 고정하는 형태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아웃솔(10)의 상부면에는 중량감소와 충격완화를 위해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형태판(20)은 발바닥의 아치 부분을 지지하도록 발아치 부근에서 뒷꿈치 부근까지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부로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0)은,
    상기 착지부의 곡률보다 도약부의 곡률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0)은,
    재질의 주성분이 발포성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판(20)은,
    강성 PVC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5. 삭제
KR2020070012112U 2007-07-23 2007-07-23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KR200440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112U KR200440285Y1 (ko) 2007-07-23 2007-07-23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112U KR200440285Y1 (ko) 2007-07-23 2007-07-23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285Y1 true KR200440285Y1 (ko) 2008-06-09

Family

ID=4163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112U KR200440285Y1 (ko) 2007-07-23 2007-07-23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2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05Y1 (ko) * 2009-01-23 2012-02-27 신성복 아웃솔을 구비한 건강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05Y1 (ko) * 2009-01-23 2012-02-27 신성복 아웃솔을 구비한 건강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5750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projections
US7472495B2 (en) Postural corrective ankle stabilizing insole
KR20180003568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KR20180004126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US20110232128A1 (en) Shoe Soles With Damping Foot Pads
KR101047352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력을 강화시킨 신발창
US20140237852A1 (en) Sole assembly and footwear comprising a sole assembly
JP2010538788A (ja) 衝撃吸収性および反発弾性を有する弾性ソールおよびその靴
KR20120101776A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RU2524894C2 (ru) Обувь для здоровь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761897B1 (ko)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200440285Y1 (ko)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WO2020217041A1 (en) Resilience enhancing footwear
KR200430896Y1 (ko) 이동 가능한 뒷굽이 장착된 신발 밑창
JP2020534126A (ja) 履物のアウトソール
KR200461631Y1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KR101031043B1 (ko) 스프링 신발
JP5458257B2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KR100639503B1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JP3211541U (ja) 履物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KR100979261B1 (ko) 스포츠 런닝 슈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