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917U -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917U
KR20130005917U KR2020120002642U KR20120002642U KR20130005917U KR 20130005917 U KR20130005917 U KR 20130005917U KR 2020120002642 U KR2020120002642 U KR 2020120002642U KR 20120002642 U KR20120002642 U KR 20120002642U KR 20130005917 U KR20130005917 U KR 201300059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ending
mold
groov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민경
이용길
Original Assignee
임민경
이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민경, 이용길 filed Critical 임민경
Priority to KR2020120002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917U/ko
Publication of KR20130005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2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clothes 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06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in 3D with means to rotate the tools about the wir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4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e.g. by twi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장치 및 동력전달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한 직선가공기구(110)와, 와이어이송기구(120)와, 컷팅기구(130)와, 상금형(140a)와 하금형(140b)으로 형성된 금형기구(140), 상기 금형기구(140)의 공급되는 와이어(W)를 절곡하기 위한 제1절곡기구(150), 제2절곡기구(160), 및 트위스트 구동기구(170)로 구성한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기구(150)는 금형기구(140)의 양측 편에 설치한 것으로 상금형(140a)의 양측 끝단에 밀착된 채 회동할 수 있는 회동 롤러(151)에 의해 와이어(W)의 양측이 위로 꺾이면서 부드럽게 밴딩하도록 하되, 회동 롤러(151)에는 회전하여 상금형(140a)의 성형홈(143)에 대응하는 성형돌기(152)를 형성하여 와이어(W)의 좌우를 1차 밴딩함과 동시에 홈(21) 형성시키도록 하고, 회전 롤러(151)에는 가이드편(152a)을 형성하여 성형홈(143)에 성형돌기(152)가 끼워져 홈을 성형할 때 와이어(W)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므로; 와이어의 밴딩이나 홈 성형과정에서 와이어의 들뜸 현상을 해소하여 불량발생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제조과정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WIRE-HANGER}
본 고안은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피복된 와이어를 특정모양을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하되 불량율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공정의 정지 없이 지속적으로 제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사용한 옷걸이는 걸고리부와, 어깨부와, 바지걸이부로 구성하고, 절개부을 가진 미끄럼 방지용 보조대를 걸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옷걸이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옷걸이 제조기술을 살펴보면, 우선 합성수지물이 피복된 철사가 옷걸이 제조기계에 삽입되면, 철사는 자동으로 이송되고, 하나의 옷걸이를 제조하기 위한 길이만큼 철사가 이송되면, 정지에 의해 감지되고, 이송은 정지되고, 그리고 커터기에 의해 절단된다.
여기서 절단된 와이어는 절곡 돌기에 의해 그 형상이 형성되고, 기계로부터 이탈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왔다.
이러한 방식의 와이어 제조기계는 특허등록제1994-11918호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와이어를 절곡하는데 있어서, 힌지점 돌기와 동력을 이용한 레버들을 이용하기 때문에 절곡 완성된 옷걸이가 부분 부분적으로 일정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특히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상태에서 걸고리부분을 꺾고나서 좌,우 어깨부분을 동시에 꺾어 주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그렇지 못하고 좌측 어깨부분 꺾은 후, 우측 어깨부분을 순차적으로 꺾기 때문에 걸고리 부분을 제외하고는 좌, 우 대칭이 완전하게 실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출원인 실용신안등록 제20-439616호가 있으나 와이어를 밴딩하여 옷걸이제조가 완료되면 새로운 와이어가 진입하여 다시 밴딩하여 와이어를 제조하므로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실용신안등록 제439616호는 와이어의 양측을 꼬아 합체하는 트위스트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면 불량품이 공정상에 그대로 남아 제조작업을 방해하여 지소적으로 옷걸이의 불량을 양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본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11-17507호는 옷걸리의 경사부분에 홈을 성형하게 되는 데, 홈을 성형할 때 와이어의 들뜸 현상의 발생으로 다음 공정의 진행이 원활하지 않아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주목적은 와이어의 밴딩이나 홈 성형과정에서 와이어의 들뜸 현상을 해소하여 불량발생을 최소화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로 제조하는 옷걸이에 있어 와이어의 양측을 꼬아 결합하는 트위스트 과정에서 불량발생시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불량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원활하게 제조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는 동력장치 및 동력전달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한 직선가공기구와, 와이어이송기구와, 컷팅기구와, 상금형와 하금형으로 형성된 금형기구, 상기 금형기구의 공급되는 와이어를 절곡하기 위한 제1절곡기구, 제2절곡기구, 및 트위스트 구동기구로 구성한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기구는 금형기구의 양측 편에 설치한 것으로 상금형의 양측 끝단에 밀착된 채 회동할 수 있는 회동 롤러에 의해 와이어 양측이 위로 꺾이면서 부드럽게 밴딩하도록 하되, 회동 롤러에는 회전하여 상금형의 성형홈에 대응하는 성형돌기를 형성하여 와이어 좌우를 1차 밴딩함과 동시에 홈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회전 롤러에는 가이드편을 형성하여 성형홈에 성형돌기가 끼워져 홈을 성형할 때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금형기구의 상금형의 상측에는 제작된 옷걸이를 밀어내는 배출봉을 형성하되 배출봉은 좌우에 가이드돌출부를 형성하여 불량발생시 불량옷걸이를 좌우측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밀어내어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는 회전 롤러의 성형돌기와 상금형의 성형홈에 의해 와이어의 경사부분에 홈을 좌우에 형성하되 회전 롤러에 형성한 가이드편이 홈을 성형할 때, 와이어를 상금형의 경사부에 밀착시키면서 성형하므로 홈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성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제2절곡기구에 의한 다음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나아가 트위스트 구동기구의 원통 삽입공 속으로 와이어가 삽입되지 못하여 와이어의 양측이 결합되지 못하는 불량의 경우에도 배출봉의 가이드돌출부에 의해 불량의 옷걸이를 수요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제조작업의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를 나타낸 전체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의 금형기구 밴딩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의 금형기구 밴딩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의 금형기구 트위스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의 제1절곡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옷걸이 제조장치는 동력장치 및 동력전달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한 직선가공기구(110)와, 와이어이송기구(120)와, 컷팅기구(130)와, 상금형(140a)와 하금형(140b)으로 형성된 금형기구(140), 상기 금형기구(140)의 공급되는 와이어(W)를 절곡하기 위한 제1절곡기구(150), 제2절곡기구(160), 및 트위스트 구동기구(170)로 구성한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기구(150)는 금형기구(140)의 양측 편에 설치한 것으로 상금형(140a)의 양측 끝단에 밀착된 채 회동할 수 있는 회동 롤러(151)에 의해 와이어(W)의 양측이 위로 꺾이면서 부드럽게 밴딩하도록 하되, 회동 롤러(151)에는 회전하여 상금형(140a)의 성형홈(143)에 대응하는 성형돌기(152)를 형성하여 와이어(W)의 좌우를 1차 밴딩함과 동시에 홈(21) 형성시키도록 하고, 성형돌기(152)에는 지지블록(154)을 형성하여 성형홈(143)에 성형돌기(152)가 끼워져 홈(21)을 성형할 때 와이어(W)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직선가공기구(110)는 본체(100)의 정면 일측으로 마련하되, 상, 하 방향 및 전, 후방향으로 밀착된 복수의 롤러(111)들을 이용하여 와이어(W)를 곧게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이송기구(120)는 상기 본체의 정면에서 상기 직선가공기구(110)의 다음 위치에 마련하되, 적어도 한 쌍 이상(도면에는 2쌍의 롤러로 표현되어 있음)의 이송 롤러(121)를 전동 동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W)를 강제 이송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팅기구(130)는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서 상기 와이어 이송기구(120)의 다음 위치에 소정의 간격(옷걸이를 만드는데 필요한 와이어 길이가 확보되는 정도의 거리)을 두고 설치하는 것으로, 본체에 고정된 받침 커터(131)와 동력에 의해 상, 하 작동하는 절단 커터(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형기구(140)는 상기 컷팅기구(130)의 다음 위치에 구비하되, 커팅된 와이어(W)의 중단을 홀딩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가 적당하며, 상금형(140a)과 하금형(140b)으로 이루어져 상금형(140a)과 하금형(140b) 사이로 와이어(W)를 유도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141)을 유지한다.
여기서 상금형(140a)과 하금형(140b) 사이의 작업공간(141)은 와이어(W)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원활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정확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유도함 바람직하고, 하금형(140)에는 반원뿔 형상의 가이드홈(144)을 형성하여 상금형(140a)과 하금형(140b) 사이로 유입하는 와이어(W)를 원활하게 유도함과 동시에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금형(140a)은 삼각형상으로 형성하되, 좌우에는 1차 밴딩부(146)를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2차 밴딩부(147)를 형성한다.
더욱이 상금형(140a)과 하금형(140b) 사이에는 유입한 와이어(W)를 이동시키는 이동판(148)을 설치하여 유입된 와이어(W)를 밴딩 위치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금형(140a)의 상측에는 제작된 옷걸이(H)를 밀어내는 배출봉(149)을 형성하고 옷걸이(H)의 걸고리와 대응되는 배출파이프(145)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배출봉(149)은 좌우에 가이드돌출부(149a)를 형성하여 불량발생시 불량옷걸이를 좌우측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밀어내도록 하므로 트위스트 공정의 불량 등으로 인한 불량 옷걸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상금형(140a)의 좌우 경사면에는 성형홈(143)을 형성하여 옷걸이(H)에 나시 등의 끈이 부착된 의류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홈(21)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절곡기구(150)는 금형기구(140)의 양측 편에 설치한 것으로 상금형(140a)의 양측 끝단에 밀착된 채 회동할 수 있는 회동 롤러(151)에 의해 와이어(W)의 양측이 위로 꺾이면서 부드럽게 밴딩하는 것이다.
여기서 회동 롤러(151)에는 회전하여 상금형(140a)의 성형홈(143)에 대응하는 성형돌기(152)를 형성하여 와이어(W)의 좌우를 1차 밴딩함과 동시에 홈(21) 형성시키도록 한다.
특히, 회전 롤러(151)에는 성형홈(143)에 성형돌기(152)가 끼워져 홈을 성형할 때 와이어(W)를 지지하는 지지블록(154)을 성형돌기(152)에 결합하여 지지블록의 가압돌부(155)가 와이어(W)가 상금형(140a)의 경사부(142)를 가압하여 들뜸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더욱이 성형돌기(152)에는 가이드홈(153)을 형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와이어(W)를 가이드하여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절곡기구(160)는 금형기구(140)의 위 쪽에 설치한 것으로 상금형(140a)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2차 밴딩부(147)에 양측 끝단을 근접시키도록 밀어 넣도록 슬라이더(161)가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 트위스트 구동기구(170)는 금형기구(140)의 상부에 마련하되, 내부에 장공 또는 땅콩 모양의 삽입공(172)을 가진 원통(171)을 업/다운과 회전/역회전 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W)는 직선가공기구(110)의 롤러(111)들에 의해서 곧게 펴진 채 와이어 이송기구(120)에 의해 강제 공급되고, 강제로 진행되는 와이어(W)는 소정의 길이 만큼 이동된 후, 컷팅기구(130)에 의해서 절단된다.
즉, 컷팅기구(130)의 받침 커터(131) 위로 와이어(W)가 이송되는 도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절단 커터(132)가 작동하여 절단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와이어(W)는 금형기구(140)의 상금형(140a)과 하금형(140b) 사이에 공급된다.
이때 하금형(140b)에 형성된 가이드홈(144)에 의해 와이어(W)가 작업공간(141)으로 원활하고 정확하게 유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절단된 와이어(W)가 상금형(140a)과 하금형(140b) 사이에 작업공간(141)에 완전하게 위치하면 작동수단(148a)에 의해 이동판(148)이 가이드홈(144)으로 유입된 와이어(W)를 작업공간(141)의 작업위치로 이동시킨다.
더불어 와이어(W)가 작업공간(141)의 작업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1절곡기구(150)의 회동 롤러(151)가 와이어(W)의 양쪽을 위로 꺾어 올려 상금형(140a)의 1차 밴딩부(146)에 의해 와이어(W)의 좌우가 부드럽게 밴딩된다.
특히 회전 롤러(150)의 성형돌기(152)와 상금형(140a)의 성형홈(143)에 의해 와이어(W)의 경사부분에 홈(21)을 좌우에 형성한다.
더욱이, 회전 롤러(150)에 형성한 가이드편(152a)이 홈(21)을 성형할 때, 와이어(W)를 상금형(140a)의 경사부(142)에 밀착시키면서 성형하므로 홈(21)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성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W)의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제2절곡기구(160)에 의한 다음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나아가, 와이어(W)의 좌우 밴딩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2절곡기구(160)의 슬라이더(161)가 와이어(W)의 양측을 다시 꺾어 와이어(W)의 양측으로 수직으로 절곡하되 상금형(140a)의 중앙에 위치하는 2차 밴딩부(147)에 의해 부드럽게 밴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측의 트위스트 구동기구(170)가 하강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와이어(W)의 양단을 원통(171)의 삽입공(172) 속으로 들어가게 하고, 이 상태에서 트위스트 구동기구(170)의 원통(171)을 회전시켜 와이어(W)의 양측으로 서로 꼬아서 묶어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측의 걸고리 성형기구에서 후크 모양의 걸고리를 만들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옷걸리(H)는 의해 배출봉(149)이 밀어 걸고리부(10)가 경사지 배출파이프(145)에 걸려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트위스트 구동기구(170)의 원통(171) 삽입공(172) 속으로 와이어(W)가 삽입되지 못하여 와이어(W)의 양측이 결합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배출봉(149)의 가이드돌출부(149a)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조작업의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H : 옷걸이 W : 와이어
10 : 걸고리부 20 : 어깨걸이부
21 : 홈 30 : 바지걸이부
100 : 본체 110 : 직선가공기구
111 : 롤러 120 : 와이어 이송기구
121 : 이송 롤러 130 : 컷팅기구
131 : 받침 커터 132 : 절단 커터
140 : 금형기구 140a : 상금형
140b : 하금형 140c : 지지플레이트
141 : 작업공간 142 : 경사부
143 : 성형홈 144 : 가이드홈
145 : 배출파이프 146 : 1차 밴딩부
147 : 2차 밴딩부 148 : 이동판
149 : 배출봉 149a : 가이드돌출부
150 : 제1절곡기구 151 : 회동롤러
152 : 성형돌기 153 : 가이드홈
154 : 지지블록 155 : 가압돌부
156 : 체결수단 160 : 제2절곡기구
161 : 슬라이더 170 : 트위스트 구동기구
171 : 원통 172 : 삽입공

Claims (3)

  1. 동력장치 및 동력전달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한 직선가공기구(110)와, 와이어이송기구(120)와, 컷팅기구(130)와, 상금형(140a)와 하금형(140b)으로 형성된 금형기구(140), 상기 금형기구(140)의 공급되는 와이어(W)를 절곡하기 위한 제1절곡기구(150), 제2절곡기구(160), 및 트위스트 구동기구(170)로 구성한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기구(150)는 금형기구(140)의 양측 편에 설치한 것으로 상금형(140a)의 양측 끝단에 밀착된 채 회동할 수 있는 회동 롤러(151)에 의해 와이어(W)의 양측이 위로 꺾이면서 부드럽게 밴딩하도록 하되, 회동 롤러(151)에는 회전하여 상금형(140a)의 성형홈(143)에 대응하는 성형돌기(152)를 형성하여 와이어(W)의 좌우를 1차 밴딩함과 동시에 홈(21) 형성시키도록 하고, 성형돌기(152)에는 지지블록(154)을 형성하여 성형홈(143)에 성형돌기(152)가 끼워져 홈(21)을 성형할 때 와이어(W)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기구(140)의 상금형(140a)의 상측에는 제작된 옷걸이(H)를 밀어내는 배출봉(149)을 형성하되 배출봉(149)은 좌우에 가이드돌출부(149a)를 형성하여 불량발생시 불량옷걸이를 좌우측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밀어내어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기구(150)의 회전 롤러(151)에 형성한 지지블록(154)에는 가압돌부(155)를 형성하여 와이어(W)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성형돌기(152)에는 가이드홈(153)을 형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와이어(W)를 가이드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KR2020120002642U 2012-04-02 2012-04-02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KR201300059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42U KR20130005917U (ko) 2012-04-02 2012-04-02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42U KR20130005917U (ko) 2012-04-02 2012-04-02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17U true KR20130005917U (ko) 2013-10-11

Family

ID=5243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642U KR20130005917U (ko) 2012-04-02 2012-04-02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917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5262A (zh) * 2017-10-19 2018-02-16 台山市万力达金属制品科技有限公司 衣架连杆物料弯折装置
CN107755606A (zh) * 2017-10-19 2018-03-06 台山市万力达金属制品科技有限公司 衣架连杆自动生产装置的生产控制方法
CN110682106A (zh) * 2019-10-23 2020-01-14 浙江聚新自动化设备有限公司 导丝成型焊接机
CN116638034A (zh) * 2023-06-26 2023-08-25 山东爱迪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钢丝晾衣架的初步压制成型机
CN117047474A (zh) * 2023-09-20 2023-11-14 青县引领机箱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折弯与焊接工序同步进行的折弯焊接机
KR102705971B1 (ko) * 2023-12-29 2024-09-11 최준수 옷걸이 고리부 조립 및 라벨링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5262A (zh) * 2017-10-19 2018-02-16 台山市万力达金属制品科技有限公司 衣架连杆物料弯折装置
CN107755606A (zh) * 2017-10-19 2018-03-06 台山市万力达金属制品科技有限公司 衣架连杆自动生产装置的生产控制方法
CN110682106A (zh) * 2019-10-23 2020-01-14 浙江聚新自动化设备有限公司 导丝成型焊接机
CN116638034A (zh) * 2023-06-26 2023-08-25 山东爱迪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钢丝晾衣架的初步压制成型机
CN116638034B (zh) * 2023-06-26 2024-01-23 山东爱迪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钢丝晾衣架的初步压制成型机
CN117047474A (zh) * 2023-09-20 2023-11-14 青县引领机箱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折弯与焊接工序同步进行的折弯焊接机
CN117047474B (zh) * 2023-09-20 2024-01-19 青县引领机箱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折弯与焊接工序同步进行的折弯焊接机
KR102705971B1 (ko) * 2023-12-29 2024-09-11 최준수 옷걸이 고리부 조립 및 라벨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5917U (ko)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KR20120118292A (ko)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CN210253832U (zh) 一种拉伸冲压模具的防拉伤机构
KR20130074769A (ko) 특히 전기 기계들의 바 권선들을 위한, 예비-성형 전기 바 도체들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783552B (zh) 线圈成型装置及线圈成型方法
KR101132411B1 (ko) 프레스금형
CN104669556A (zh) 90度弧形塑料弯管模具抽芯机构
KR100814508B1 (ko) 파이프 벤딩방법 및 벤딩장치
KR20100087067A (ko) 자동차 도어록용 로드 제조장치
CN106984743B (zh) 衣架主体成型机
CN105799360B (zh) 一种挂历钩自动穿本系统
KR20130042696A (ko) 코일스프링 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40088317A (ko) 구김방지용 와이어 옷걸이 제조장치
CN110076238A (zh) 一种篱笆桩及其生产系统和生产方法
CN206046786U (zh) 一种模内快换冲头的模具
KR20100111909A (ko) 옷걸이 제조장치용 철사 직선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제조장치
CN205519405U (zh) 一种跳杆弹簧加工线
CN204449181U (zh) 一种加工弹片的自动成型机
KR20140034456A (ko) 롤러를 이용한 수동 파이프 벤딩기
CN202185542U (zh) 一种制作钢线园艺挂钩的设备
CN201428053Y (zh) 一种缝纫机的自动卷边装置
CN205763285U (zh) 线板材成型机心型嵌环连续生产模具
CN104018379A (zh) 一种钢丝绳绳股断丝修复方法及其装置
CN203579176U (zh) 管道金属保温外壳的全自动生产设备
KR20060040622A (ko) 유리창 프레임의 절곡 안내홈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