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33U -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33U
KR20130005833U KR2020120002487U KR20120002487U KR20130005833U KR 20130005833 U KR20130005833 U KR 20130005833U KR 2020120002487 U KR2020120002487 U KR 2020120002487U KR 20120002487 U KR20120002487 U KR 20120002487U KR 20130005833 U KR20130005833 U KR 201300058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auxiliary
aerial work
scaffold
work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094Y1 (ko
Inventor
한연수
이덕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9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상부발판에 높이와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보조사다리를 더 설치하여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통해 접근하지 못하는 높이의 작업위치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사다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발판 주변의 난간에 걸어 놓아 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필요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작업자의 오르내림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다수의 발판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판을 통해 올라온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발판과, 상기 상부발판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과,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상기 상부발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부발판의 설치홀에 끼워져 고정되며, 블록의 작업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블록의 작업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사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Ladder with auxiliary ladder}
본 고안은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높이와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조사다리를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상부발판에 설치하여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통해 접근하기 불가능한 높이의 작업 위치까지 작업자가 이동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제조시 블록의 크기에 맞는 사다리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작업대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선박 건조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고소작업용 사다리(100)는 최대 높이가 5m 정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 1 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오르내림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다수의 발판(111)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판(111)을 통해 올라온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발판(120)과, 상기 상부발판(120)의 주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130)과, 상기 프레임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100)를 이용하여 블록(300)의 작업위치까지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블록(300) 또한 대형화 되면서 고소작업용 사다리(100)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의 높이가 5m 이므로 상부에 형성된 상부발판(120)에서 작업위치까지 높이 차이로 인해 단차가 발생되어 작업자가 블록(300)의 작업위치가 가지 올라가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5m 보다 높은 사다리를 새롭게 제작하기에는 사다리 제작비용이 수 백 만원에 이르러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다리의 상부발판에 별도의 보조사다리를 설치하여 블록의 작업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으나, 보조사다리를 상부발판으로 들어 올리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상부발판 상에서 보조사다리를 설치할 경우 보조사다리를 고정하기가 매우 까다로워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10-001038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상부발판에 높이와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보조사다리를 더 설치하여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통해 접근하지 못하는 높이의 작업위치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사다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발판 주변의 난간에 걸어 놓아 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필요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작업자의 오르내림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다수의 발판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판을 통해 올라온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발판과, 상기 상부발판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과,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상기 상부발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부발판의 설치홀에 끼워져 고정되며, 블록의 작업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블록의 작업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사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사다리는, 상부발판위에 놓여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발판에 형성된 설치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사다리몸체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로 이루어진 사다리고정부; 상기 힌지결합부를 통해 사다리고정부에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블록의 작업 위치까지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사다리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사다리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상기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난간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이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조사다리를 통해 고소 작업 위치까지 자유로운 승, 하강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무리하게 작업위치로 올라갈 경우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사다리를 고소작업용 사다리에 단순 끼움 구조로 설치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사용 후 보관하는 과정에서도 걸이대에 간편하게 걸어 고정하여 보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보조사다리의 길이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설치 환경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은 종래의 사다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사다리를 고소작업용 사다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사다리의 블록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사다리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사다리를 고소작업용 사다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사다리의 블록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사다리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도면에서와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작업자가 블록(300)의 의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와, 상기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소작업용 사다리(100)를 통해 접근할 수 없는 대형 블록의 작업위치 까지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사다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소작업용 사다리(100)는 작업자의 오르내림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다수의 발판(111)이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판(111)을 통해 올라온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조사다리(20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설치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발판(120)과, 상기 상부발판(120)의 주위를 따라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130)과, 상기 프레임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바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사다리(200)는 상부발판(120)에 형성된 설치홀(121)을 통해 끼움결합되는 사다리고정부(220)와, 상기 사다리고정부(220)에 힌지 결합되어 작업자가 블록(300)의 작업위치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하고 블록(3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사다리고정부(220) 상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사다리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다리고정부(220)는, 상부발판(120)위에 놓여지는 받침판(221)과, 상기 받침판(221)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발판(120)에 형성된 설치홀(121)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핀(222)과, 상기 받침판(221)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사다리몸체(210)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사다리고정부(220)는 보조사다리(200)의 설치시 보조사다리몸체(210)가 상부발판 위에서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 보조사다리(200)가 미끄러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해준다.
한편 상기 보조사다리몸체(210)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사다리고정부(220)의 힌지결합부(223)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12)과, 상기 지지프레임(212)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발판(213)으로 이루어진 하부몸체(211b)와, 상기 하부몸체(211b)의 지지프레임(212)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12)과, 상기 지지프레임(212)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발판(213)으로 이루어진 상부몸체(211a)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211b)의 지지프레임(212)에는 하부몸체(211b)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관통홀(21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211a)의 지지프레임(212) 하부에는 상기 관통홀(214)과 연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14)들을 통해 설치되는 고정부재(215)를 통해 하부몸체(211b) 상에서 슬라이딩된 상부몸체(211a)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사다리몸체(210)는 하부몸체(211b)와 상부몸체(211a)가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보조사다리(200)의 설치시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와 작업위치의 높이에 따라 하부몸체(211b) 상에서 상부몸체(211a)를 슬라이딩 시켜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위치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211a)의 지지프레임(212)에는 작업자의 추락이나 작업자가 보조사다리몸체(210)를 오르내릴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안정적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난간형태의 손잡이(216)를 더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보조사다리(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조사다리(200)를 거치해놓을 수 있도록 상기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의 난간(130)에 돌출되도록 걸이대(131)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의 높이보다 높은 작업위치로 작업자가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보조사다리(200)를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보조사다리(200)를 거치해 놓아야 하는데, 이때 상기 걸이대(131)에 보조사다리(200)의 발판(213)을 걸어서 보조사다리(20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걸이대(131)는 'ㄴ' 형태로 형성하여 발판(213)이 용이하게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의 상부발판(120)에는 걸이대(131)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고 사다리고정부(220)의 고정핀(2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설치홀(12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걸이대(131)의 하부에 설치홀(121)을 더 형성함으로써 보조사다리(200)의 고정시 상부는 걸이대(131)에 발판을 걸어 고정하고 하부는 고정핀(222)을 설치홀(121)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고소작업용 사다리(100)가 이동하더라도 보조사다리(200)가 유동되지 않고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사다리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고소작업용 사다리(100)를 작업하고자 하는 블록(300)까지 이동시킨 후 작업자는 발판(111)을 통해 상부발판(120)까지 올라간다.
여기서 블록(300)의 크기가 작아 고소작업용 사다리(100)를 통해 블록(300)에 형성된 작업위치까지 이동이 가능하면 상부발판(120)에서 바로 작업위치까지 이동하고, 블록(300)에 형성된 작업위치가 상부발판(120)보다 높아 작업자가 올라가기 곤란 경우에는 걸이대(131)에 걸려진 보조사다리(200)를 설치하여 작업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보조사다리(200)를 설치하는 과정은 사다리고정부(220)의 고정핀(222)을 상부발판(120)에 형성된 설치홀(121)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보조사다리몸체(210)를 힌지결합부(223)를 통해 블록(300)의 높이와 거리에 맞게 각도를 조절하며, 상부몸체(211a)를 하부몸체(211b) 상에서 슬라이딩 시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핀을 통해 고정한 후 보조사다리(200)를 타고 작업위치로 이동한다.
이후 블록(300) 의장작업이 완료될 경우에는 보조사다리(200)를 통해 고소작업용 사다리(100)의 상부발판(120)으로 내려오고 상부발판(120)에 끼워지도록 설치된 보조사다리(200)를 분리한 후 걸이대(131)에 걸어 고정해 놓는다.
이때 보조사다리(200)의 사다리고정부(220)를 걸이대(131)에 하부의 상부발판(120)에 형성된 설치홀(121)에 삽입하여 보조사다리(200)의 상하단 모두가 고정되도록 하여 이동시에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고소 작업 위치까지 자유로운 승, 하강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무리하게 작업위치로 올라갈 경우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해준다.
또한 보조사다리(200)의 설치가 단순 끼움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 후 보관하는 과정에서도 걸이대를 통해 간편하게 고정하여 보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고소작업용 사다리 (110) : 프레임부
(111) : 발판 (120) : 상부발판
(121) : 설치홀 (130) : 난간
(131) : 걸이대 (140) : 바퀴
(200) : 보조사다리 (210) : 보조사다리몸체
(211a) : 상부몸체 (211b) : 하부몸체
(212) : 지지프레임 (213) : 발판
(214) : 관통홀 (215) : 고정부재
(220) : 사다리고정부 (221) : 받침판
(222) : 고정핀 (223) : 힌지결합부
(224) : 손잡이 (300) : 블록

Claims (3)

  1. 작업자의 오르내림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다수의 발판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판을 통해 올라온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발판과, 상기 상부발판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과,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상기 상부발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부발판의 설치홀에 끼워져 고정되며, 블록의 작업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블록의 작업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사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사다리는,
    상부발판위에 놓여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발판에 형성된 설치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사다리몸체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로 이루어진 사다리고정부;
    상기 힌지결합부를 통해 사다리고정부에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블록의 작업 위치까지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사다리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사다리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상기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난간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이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KR2020120002487U 2012-03-28 2012-03-28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KR200472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87U KR200472094Y1 (ko) 2012-03-28 2012-03-28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87U KR200472094Y1 (ko) 2012-03-28 2012-03-28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33U true KR20130005833U (ko) 2013-10-08
KR200472094Y1 KR200472094Y1 (ko) 2014-04-04

Family

ID=5148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487U KR200472094Y1 (ko) 2012-03-28 2012-03-28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0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009A (ko) 2016-12-05 2018-06-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용 바스켓
KR102617571B1 (ko) * 2023-06-26 2023-12-27 주식회사 삼공사 액추에이터로 작동하는 불워크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983B1 (ko) * 2018-02-22 2019-09-0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사다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907A (ko) * 2003-08-23 2005-03-0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탑승용 사다리
KR20080093514A (ko) * 2007-04-17 2008-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가변형 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009A (ko) 2016-12-05 2018-06-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용 바스켓
KR102617571B1 (ko) * 2023-06-26 2023-12-27 주식회사 삼공사 액추에이터로 작동하는 불워크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094Y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000B1 (ko) 갱폼 장치
KR101553966B1 (ko)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KR101457578B1 (ko) 보일러용 공중 비계 및 그 조립방법
KR200472094Y1 (ko)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JP2013192402A (ja) 電柱昇降器
KR200381397Y1 (ko) 거푸집의 발판 안전 난간 장치
KR200439000Y1 (ko) 블록 부착식 사다리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JP2005105795A (ja) 曲線仮設足場の親綱支持装置
KR20170124311A (ko)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CN219774050U (zh) 一种用于电梯维护的安全爬梯
KR100536099B1 (ko) 건축용 지붕작업사다리
KR100752394B1 (ko) 리프트 발판
KR200483649Y1 (ko) 비계 수직봉 연장 설치용 지지대
KR101796138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ES2288075A1 (es) Dispositivo para configurar una plataforma o andamio en un muro existente.
KR101733148B1 (ko) 사다리 받침
CN209942721U (zh) 一种机电安装辅助移动装置
KR20130002098U (ko) 전주용 슬라이딩 사다리
KR20120003896U (ko) 전도방지용 사다리
KR20140006011U (ko) 곤도라 상부 이동용 사다리
JP5973810B2 (ja) 仮設階段構造
JP3152342U (ja) 梯子固定治具及び梯子装置
KR20120018891A (ko) 전주 작업용 휴대용 안전작업대
NL2020293B1 (en) Demountable assembly for lifting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