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883A -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883A
KR20130004883A KR1020120072093A KR20120072093A KR20130004883A KR 20130004883 A KR20130004883 A KR 20130004883A KR 1020120072093 A KR1020120072093 A KR 1020120072093A KR 20120072093 A KR20120072093 A KR 20120072093A KR 20130004883 A KR20130004883 A KR 2013000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eriod
period
image
signal line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히꼬 이또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의 혼재를 억제하는 것이다.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주사선을 2개씩 선택하고, 한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 전위를 신호선에 공급하고, 단위 기간 U2에서는, 다른 쪽의 주사선을 선택하고, 다른 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 전위를 신호선에 공급한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관찰자가 입체감을 지각하도록 서로 시차(視差)가 부여된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시분할로 교대로 표시하는 프레임 시퀀셜 방식의 입체시(視) 방법이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의 한쪽이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간에서는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혼재하므로, 관찰자가 화상을 시인하면 명확한 입체감을 인식하는 것이 곤란해진다(크로스토크).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의 한쪽이 다른 쪽으로 변화되는 기간(즉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혼재하는 기간)에 있어서 입체시용 안경의 우안용 셔터 및 좌안용 셔터의 쌍방을 폐쇄 상태로 하여 관찰자에게 화상을 시인시키지 않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안용 화상에 대응하는 우안용 기간과 좌안용 화상에 대응하는 좌안용 기간이 교대로 설정된다. 우안용 기간의 전반 기간에서는 표시 화상이 좌안용 화상으로부터 우안용 화상으로 갱신됨과 함께 후반 기간에서는 우안용 화상이 표시되고, 좌안용 기간의 전반 기간에서는 표시 화상이 우안용 화상으로부터 좌안용 화상으로 갱신됨과 함께 후반 기간에서는 좌안용 화상이 표시된다. 우안용 기간 및 좌안용 기간의 각각의 전반 기간에서는, 우안용 셔터 및 좌안용 셔터의 쌍방이 폐쇄 상태로 제어된다. 따라서,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의 혼재(크로스토크)는 관찰자에게 지각되지 않는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5436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기술하에서는, 관찰자가 실제로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기간이, 우안용 기간 및 좌안용 기간의 각각에 있어서의 후반 기간(즉 약 절반)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표시 화상의 명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사정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의 혼재가 관찰자에게 지각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표시 화상의 명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표시 기간마다 교대로 표시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교대로 배열된 제1 주사선 및 제2 주사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주사선에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신호선의 각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화소와, 각 표시 기간에 있어서, 해당 표시 기간 내의 제1 단위 기간에서는, 복수의 주사선을 서로 인접하는 2개씩 구분한 제1조를 선택 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제1 단위 기간의 경과 후의 제2 단위 기간에서는, 제1 주사선을 선택 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제2 단위 기간의 경과 후의 제3 단위 기간에서는, 제1조의 구분으로부터 1개 어긋나게 하여 복수의 주사선을 서로 인접하는 2개씩 구분한 제2조를 선택 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제2 단위 기간의 경과 후의 제4 단위 기간에서는, 제1조를 선택 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각 표시 기간에 있어서, 제1 단위 기간의 선택 기간마다, 해당 선택 기간에서 선택되는 제1조 중 제2 주사선에 대응하는 각 화소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를 각 신호선에 공급하고, 제2 단위 기간의 선택 기간마다, 해당 선택 기간에서 선택되는 제1 주사선에 대응하는 각 화소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를 각 신호선에 공급하고, 제3 단위 기간의 선택 기간마다, 해당 선택 기간에서 선택되는 제2조 중 제1 주사선 및 제2 주사선의 한쪽에 대응하는 각 화소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를 각 신호선에 공급하고, 제4 단위 기간의 선택 기간마다, 해당 선택 기간에서 선택되는 제1조 중 제1 주사선 및 제2 주사선의 다른 쪽에 대응하는 각 화소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를 각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각 표시 기간의 제1 단위 기간에서는 주사선을 2개씩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각 화소에 계조 전위를 공급하므로, 각 표시 기간에서 주사선을 1개씩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각 화소에 계조 전위를 공급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혼재하는 기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혼재하는 기간 내에서 입체시용 안경의 우안용 셔터 및 좌안용 셔터의 쌍방을 폐쇄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의 혼재가 관찰자에게 지각되는 것을 억제하는 경우라도 표시 화상의 명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단위 기간에서는 표시 화상의 해상도가 저하되지만, 직후의 제2 단위 기간에서는 1개 걸러 주사선이 선택되어 각 화소에 계조 전위가 공급되므로, 표시 화상의 해상도의 저하를 관찰자에게 지각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우안용 셔터와 좌안용 셔터를 포함하는 입체시용 안경으로 입체시되는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각 표시 기간 중 제1 단위 기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기간(제1 단위 기간의 적어도 일부에 더하여 제2 단위 기간 내지 제4 단위 기간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함)에서 우안용 셔터 및 좌안용 셔터의 쌍방을 폐쇄 상태로 제어하고, 우안용 화상의 각 표시 기간에 있어서의 제2 단위 기간과 제3 단위 기간과 제4 단위 기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기간(제2 단위 기간 내지 제4 단위 기간의 적어도 일부에 더하여 제1 단위 기간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함)에서 우안용 셔터를 개방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좌안용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제어하고, 좌안용 화상의 각 표시 기간에 있어서의 제2 단위 기간과 제3 단위 기간과 제4 단위 기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기간(제2 단위 기간 내지 제4 단위 기간의 적어도 일부에 더하여 제1 단위 기간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함)에서 좌안용 셔터를 개방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우안용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제어하는 안경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 회로는, 기준 전압에 대한 계조 전위의 극성을, 각 표시 기간의 제1 단위 기간과 제2 단위 기간에 있어서 제1 극성으로 설정하고, 각 표시 기간의 제3 단위 기간과 제4 단위 기간에 있어서 제1 극성과는 역의 제2 극성으로 설정한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계조 전위가 제1 극성으로 설정되는 시간 길이와 제2 극성으로 설정되는 시간 길이가 1개의 표시 기간 내에서 균등화된다. 따라서, 화소에 대한 직류 전압의 인가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양태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 회로는, 서로 전후(前後)하는 우안용 화상의 표시 기간과 좌안용 화상의 표시 기간을 포함하는 제어 기간마다, 각 표시 기간의 제1 단위 기간 내지 제4 단위 기간의 각각에 있어서의 계조 전위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상의 양태에서는, 각 단위 기간에 있어서의 계조 전위의 극성을 제어 기간마다 반전시키므로, 화소에 대한 직류 전압의 인가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는 각별히 현저해진다.
더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신호선 구동 회로는, 기준 전압에 대한 계조 전위의 극성을, 하나의 제어 기간 중 전방의 표시 기간에서는, 제1 단위 기간과 제2 단위 기간에 있어서 제1 극성으로 설정함과 함께 제3 단위 기간과 제4 단위 기간에 있어서 제1 극성과는 역의 제2 극성으로 설정하고, 하나의 제어 기간 중 후방의 표시 기간에서는, 제1 단위 기간 및 제2 단위 기간과 제3 단위 기간 및 제4 단위 기간 중 후방의 기간에 있어서 제1 극성으로 설정함과 함께 제3 단위 기간 및 제4 단위 기간 중 전방의 기간에 있어서 제2 극성으로 설정한다. 이상의 양태에서는, 동일 극성의 전압이 각 화소에 계속적으로 인가되는 시간 길이가 단축되므로, 표시 화상의 플리커(깜박거림)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각 양태에 관한 전기 광학 장치는 표시체로서 각종의 전자 기기에 채용된다. 예를 들면, 이상의 각 양태에 관한 전기 광학 장치와, 안경 제어 회로가 제어하는 입체시용 안경을 구비하는 입체시 표시 장치가, 본 발명의 전자 기기로서 예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입체시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화소 회로의 회로도.
도 3은 입체시 표시 장치의 동작의 설명도.
도 4는 주사선 구동 회로의 동작의 설명도.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입체시 표시 장치의 동작의 설명도.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입체시 표시 장치의 동작의 설명도.
도 7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동작의 설명도.
도 8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동작의 설명도.
도 9는 전자 기기(투사형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전자 기기(퍼스널 컴퓨터)의 사시도.
도 11은 전자 기기(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입체시 동작의 설명도.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입체시 표시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입체시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에게 입체감을 지각시키는 입체시 화상을 액티브 셔터 방식으로 표시하는 전자 기기이며, 전기 광학 장치(10)와 입체시용 안경(20)을 구비한다. 전기 광학 장치(10)는, 서로 시차가 부여된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을 시분할로 교대로 표시한다.
입체시용 안경(20)은, 전기 광학 장치(10)가 표시하는 입체시 화상의 시인 시에 관찰자가 장착하는 안경 형태의 기구이며, 관찰자의 우안의 전방에 위치하는 우안용 셔터(22)와 좌안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안용 셔터(24)를 구비한다. 우안용 셔터(22) 및 좌안용 셔터(24)의 각각은, 조사광을 투과시키는 개방 상태(투과 상태)와 조사광을 차단하는 폐쇄 상태(차광 상태)로 제어된다. 예를 들면 인가 전압에 따라 액정의 배향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하는 액정 셔터가 우안용 셔터(22) 및 좌안용 셔터(24)로서 채용될 수 있다.
도 1의 전기 광학 장치(10)는, 전기 광학 패널(12)과 제어 회로(14)를 구비한다. 전기 광학 패널(12)은, 복수의 화소(화소 회로) PIX가 배열된 화소부(30)와, 각 화소 PIX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40)를 포함한다. 화소부(30)에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M개의 주사선(32)과, x방향에 교차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N개의 신호선(34)이 형성된다(M 및 N은 자연수). 화소부(30) 내의 복수의 화소 PIX는, 주사선(32)과 신호선(34)의 각 교차에 대응하여 세로 M행×가로 N열의 행렬 형상으로 배열된다.
구동 회로(40)는, 주사선 구동 회로(42)와 신호선 구동 회로(44)를 구비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42)는, 각 주사선(32)에 대응하는 주사 신호 Y[1]∼Y[M]의 공급으로 각 주사선(32)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주사 신호 Y[m](m=1∼M)가 소정의 선택 전위로 설정됨으로써 제m행의 주사선(32)이 선택된다.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주사선 구동 회로(42)에 의한 주사선(32)의 선택에 동기하여 N개의 신호선(34)의 각각에 계조 전위 X[1]∼X[N]를 공급한다. 계조 전위 X[n](n=1∼N)는, 외부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신호가 각 화소 PIX에 지정하는 계조(이하 「지정 계조」라 함)에 따라 가변으로 설정된다. 소정의 기준 전위에 대한 계조 전위 X[n]의 극성은 주기적으로 반전한다.
도 2는 각 화소 PIX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화소 PIX는, 액정 소자 CL과 선택 스위치 SW를 포함한다. 액정 소자 CL은, 서로 대향하는 화소 전극(62) 및 공통 전극(64)과 양 전극 사이의 액정(66)으로 구성된 전기 광학 소자이다. 화소 전극(62)과 공통 전극(64)과의 사이의 인가 전압에 따라 액정(66)의 투과율(표시 계조)이 변화된다. 선택 스위치 SW는, 주사선(32)에 게이트가 접속된 N채널형의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액정 소자 CL과 신호선(34)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양자의 전기적인 접속(도통/절연)을 제어한다. 주사 신호 Y[m]가 선택 전위로 설정됨으로써 제m행의 각 화소 PIX에 있어서의 선택 스위치 SW가 동시에 온(ON) 상태로 천이한다. 각 화소 PIX(액정 소자 CL)는, 선택 스위치 SW가 온 상태로 제어되었을 때[즉 주사선(32)의 선택 시]의 신호선(34)의 계조 전위 X[n]에 따른 계조를 표시한다. 또한, 액정 소자 CL에 병렬로 보조 용량을 접속한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도 1의 제어 회로(14)는, 전기 광학 패널(12)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회로(142)와, 입체시용 안경(20)을 제어하는 안경 제어 회로(144)를 구비한다. 또한, 표시 제어 회로(142)와 안경 제어 회로(144)를 단체의 집적 회로에 탑재한 구성이나, 표시 제어 회로(142)와 안경 제어 회로(144)를 별체의 집적 회로에 분산시킨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표시 제어 회로(142)는, 서로 시차가 부여된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이 시분할로 화소부(30)에 표시되도록 구동 회로(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 회로(142)는, 구동 회로(40)가 이하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동 회로(40)를 제어한다.
도 3은 전기 광학 장치(10)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전기 광학 장치(10)는, 소정 길이의 표시 기간 P(우안용 표시 기간 PR 및 좌안용 표시 기간 PL)를 주기로 하여 동작한다. 우안용 표시 기간 PR에서는 화소부(30)에 우안용 화상 GR이 표시되고, 좌안용 표시 기간 PL에서는 화소부(30)에 좌안용 화상 GL이 표시된다. 우안용 표시 기간 PR과 좌안용 표시 기간 PL은 시간축 상에서 교대로 배치된다. 각 표시 기간 P(PR, PL)는, 서로 같은 시간 길이의 4개의 단위 기간(U1∼U4)으로 구분된다. 단위 기간 U2는 단위 기간 U1에 후속하고, 단위 기간 U3는 단위 기간 U2에 후속하고, 단위 기간 U4는 단위 기간 U3에 후속한다.
도 4는 각 표시 기간 P(PR, PL)에서의 주사선 구동 회로(42)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주사선 구동 회로(42)는, M개의 주사선(32)을 서로 인접하는 2개씩 구분한 복수의 조(이하 「제1조」라 함)의 각각을 선택 기간 H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제1조는, 짝수행(제2k행)의 1개의 주사선(32)과, 그 주사선(32)에 대하여 Y방향의 마이너스측으로 인접하는 홀수행[제(2k-1)행]의 1개의 주사선(32)으로 구성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42)는, 단위 기간 U1 내의 1개의 선택 기간 H에서 주사 신호 Y[2k-1] 및 주사 신호 Y[2k]를 선택 전위로 설정함으로써 제1조의 2개의 주사선(32)을 동시에 선택한다. 예를 들면, 단위 기간 U1 내의 제1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제1행 및 제2행의 2개의 주사선(32)이 동시에 선택되고, 단위 기간 U1 내의 제2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제3행 및 제4행의 2개의 주사선(32)이 동시에 선택된다.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2에서는, 주사선 구동 회로(42)는, M개의 주사선(32)을 1개 걸러 선택 기간 H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즉, 제1조의 2개의 주사선(32) 중 한쪽의 주사선(32)이 단위 기간 U2에서는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주사선 구동 회로(42)는, 단위 기간 U2 내의 1개의 선택 기간 H에서 주사 신호 Y[2k]를 선택 전위로 설정함으로써 짝수행의 주사선(32)을 선택 기간 H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단위 기간 U2 내의 제1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제2행의 주사선(32)이 선택되고, 단위 기간 U2 내의 제2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제4행의 주사선(32)이 선택된다. 홀수행의 주사선(32)은 단위 기간 U2에서는 선택되지 않는다.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3에서는, 주사선 구동 회로(42)는, 제1조와는 상이한 조합으로서 M개의 주사선(32)을 서로 인접하는 2개씩 구분한 복수의 조(이하 「제2조」라 함)의 각각을 선택 기간 H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제2조는, 짝수행(제2k행)의 1개의 주사선(32)과, 그 주사선(32)에 대하여 Y방향의 플러스측으로 인접하는 홀수행[제(2k+1)행]의 1개의 주사선(32)으로 구성된다. 즉, 제1조와 제2조는, 주사선(32)의 1개분만큼 Y방향으로 어긋난 관계에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42)는, 단위 기간 U3 내의 1개의 선택 기간 H에서 주사 신호 Y[2k] 및 주사 신호 Y[2k+1]를 선택 전위로 설정함으로써 제2조의 2개의 주사선(32)을 동시에 선택한다. 예를 들면, 단위 기간 U3 내의 제1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제2행 및 제3행의 2개의 주사선(32)이 동시에 선택되고, 단위 기간 U3 내의 제2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제4행 및 제5행의 2개의 주사선(32)이 동시에 선택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에서는 편의적으로, 단위 기간 U3 내에서 제1행째 및 제M행째의 주사선(32)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단위 기간 U3에서 제1행째 및 제M행째의 주사선(32)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4에서는, 주사선 구동 회로(42)는, 단위 기간 U1과 마찬가지로, 제(2k-1)행 및 제2k행의 2개의 주사선(32)으로 구성되는 제1조를 선택 기간 H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단위 기간 U4 내의 제1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제1행 및 제2행의 2개의 주사선(32)이 동시에 선택되고, 단위 기간 U4 내의 제2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제3행 및 제4행의 2개의 주사선(32)이 동시에 선택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우안용 화상 GR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 전위 X[1]∼X[N]를 우안용 표시 기간 PR 내의 선택 기간 H마다 순차적으로 각 신호선(34)에 공급하고, 좌안용 화상 GL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 전위 X[1]∼X[N]를 좌안용 표시 기간 PL 내의 선택 기간 H마다 순차적으로 각 신호선(34)에 공급한다. 도 3에는, 소정의 기준 전위[예를 들면 공통 전극(64)의 전위]에 대한 각 계조 전위 X[n]의 극성(기입 극성)의 시간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계조 전위 X[n]는 액정 소자 CL의 화소 전극(62)에 공급되므로, 도 3에 예시된 극성은, 액정 소자 CL에 대한 인가 전압의 극성과 동일시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각 표시 기간 P(PR, PL) 중 단위 기간 U1 및 단위 기간 U2의 조와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의 조에서 계조 전위 X[n]의 극성(액정 소자 CL의 인가 전압의 극성)을 역극성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계조 전위 X[n]는,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 및 단위 기간 U2에서 정극성(+)으로 설정되고,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에서 부극성(-)으로 설정된다.
각 표시 기간 P(이하에서는 특히 우안용 표시 기간 PR) 내의 각 기간(U1∼U4)에 있어서의 신호선 구동 회로(44)의 동작을 이하에 상술한다.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1 중, 제1조를 구성하는 제(2k-1)행 및 제2k행의 2개의 주사선(32)이 선택되는 선택 기간 H에서는,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우안용 화상 GR 중 제(2k-1)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2k-1]에 따른 계조 전위 X[n]를 각 신호선(34)에 공급한다. 따라서, 도 3의 부분 (R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k-1)행 및 제2k행의 각 화소 PIX에는, 제(2k-1)행의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2k-1]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공통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면, 단위 기간 U1 내의 제1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우안용 화상 GR 중 제1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1]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제1행 및 제2행의 각 화소 PIX에 공급되고, 제2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우안용 화상 GR 중 제3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3]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제3행 및 제4행의 각 화소 PIX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단위 기간 U1에서는, Y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 PIX에 공통의 계조 전위 X[n]가 공급되므로,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1이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Y방향의 해상도를 반으로 저하시킨 우안용 화상 GR이 화소부(30)에 표시된다.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2 중, 제2k행의 주사선(32)이 선택되는 선택 기간 H에서는,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우안용 화상 GR 중 그 제2k행의 주사선(32)에 대응하는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2k]에 따른 계조 전위 X[n]를 각 신호선(34)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부분 (R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기간 U2 내의 제1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우안용 화상 GR 중 제2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2]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제2행의 각 화소 PIX에 공급되고, 제2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우안용 화상 GR 중 제4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4]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제4행의 각 화소 PIX에 공급된다. 한편, 홀수행의 각 화소 PIX에 있어서의 액정 소자 CL의 인가 전압은 직전의 단위 기간 U1에서의 설정 전압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단위 기간 U1의 종점에서는 Y방향으로 반의 해상도로 표시되어 있었던 우안용 화상 GR이, 단위 기간 U2의 종점에서는 소기의 해상도(세로 M행×가로 N열)의 우안용 화상 GR로 갱신된다.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3 중, 제2조를 구성하는 제2k행 및 제(2k+1)행의 2개의 주사선(32)이 선택되는 선택 기간 H에서는,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우안용 화상 GR 중 제2k행의 각 화소 PIX에 대응하는 지정 계조 GR[2k]에 따른 계조 전위 X[n]를 각 신호선(34)에 공급한다. 따라서, 도 3의 부분 (R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조를 구성하는 제2k행 및 제(2k+1)행의 각 화소 PIX에는, 제2k행의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2k]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공통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면, 단위 기간 U3 내의 제1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우안용 화상 GR 중 제2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2]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제2행 및 제3행의 각 화소 PIX에 공급되고, 제2번째의 선택 기간 H에서는, 우안용 화상 GR 중 제4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4]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제4행 및 제5행의 각 화소 PIX에 공급된다. 또한, 단위 기간 U3에서 제1행 및 제M행을 선택하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제1행 및 제M행이 선택되는 선택 기간 H에서 소정 전위(예를 들면 중간조에 대응하는 전위)의 계조 전위 X[n]가 각 신호선(34)에 공급된다.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4에서는,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단위 기간 U1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즉, 도 3의 부분 (R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기간 U4 중 제1조를 구성하는 제(2k-1)행 및 제2k행의 2개의 주사선(32)이 선택되는 선택 기간 H에서는, 우안용 화상 GR 중 제(2k-1)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R[2k-1]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각 신호선(34)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제1행 및 제2행의 각 화소 PIX에는 제1행의 지정 계조 GR[1]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공급되고, 제3행 및 제4행의 각 화소 PIX에는 제3행의 지정 계조 GR[3]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공급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우안용 표시 기간 PR 내의 동작을 예시하였지만, 좌안용 표시 기간 PL 내에서도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즉, 좌안용 표시 기간 PL 중 단위 기간 U1 내의 각 선택 기간 H에서는, 도 3의 부분 (L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k-1)행 및 제2k행으로 구성되는 제1조의 각 화소 PIX에 대하여 제(2k-1)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L[2k-1]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공급된다. 또한, 단위 기간 U2 내의 각 선택 기간 H에서는, 도 3의 부분 (L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k행의 각 화소 PIX에 대하여 그 화소 PIX의 지정 계조 GL[2k]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공급된다. 그리고 단위 기간 U3 내의 각 선택 기간 H에서는, 도 3의 부분 (L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k행 및 제(2k+1)행으로 구성되는 제2조의 각 화소 PIX에 제2k행의 지정 계조 GL[2k]이 공급되고, 단위 기간 U4 내의 각 선택 기간 H에서는, 도 3의 부분 (L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기간 U1과 마찬가지로, 제(2k-1)행 및 제2k행으로 구성되는 제1조의 각 화소 PIX에 대하여 제(2k-1)행의 지정 계조 GL[2k-1]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공급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직전의 좌안용 표시 기간 PL(단위 기간 U4)에서 표시된 좌안용 화상 GL이 제1조마다(2행마다) 순차적으로 우안용 화상 GR로 갱신되고, 좌안용 표시 기간 PL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직전의 우안용 표시 기간 PR(단위 기간 U4)에서 표시된 우안용 화상 GR이 제1조마다 순차적으로 좌안용 화상 GL로 갱신된다. 즉,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이 혼재한다.
도 1의 제어 회로(14)의 안경 제어 회로(144)는, 입체시용 안경(20)의 우안용 셔터(22) 및 좌안용 셔터(24)의 각각의 상태(개방 상태/폐쇄 상태)를 전기 광학 패널(12)의 동작에 동기하여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안경 제어 회로(14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표시 기간 P(PR, PL)의 단위 기간 U1에서 우안용 셔터(22) 및 좌안용 셔터(24)의 쌍방을 폐쇄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안경 제어 회로(144)는,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2와 단위 기간 U3와 단위 기간 U4에서 우안용 셔터(22)를 개방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좌안용 셔터(24)를 폐쇄 상태로 제어하고, 좌안용 표시 기간 PL의 단위 기간 U2와 단위 기간 U3와 단위 기간 U4에서 좌안용 셔터(24)를 개방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우안용 셔터(22)를 폐쇄 상태로 제어한다.
따라서,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2와 단위 기간 U3와 단위 기간 U4에서 표시되는 우안용 화상 GR은 우안용 셔터(22)를 투과하여 관찰자의 우안에 도달함과 함께 좌안용 셔터(24)에서 차단된다. 한편, 좌안용 표시 기간 PL의 단위 기간 U2와 단위 기간 U3와 단위 기간 U4에서 표시되는 좌안용 화상 GL은 좌안용 셔터(24)를 투과하여 관찰자의 좌안에 도달함과 함께 우안용 셔터(22)에서 차단된다. 우안용 셔터(22)를 투과한 우안용 화상 GR을 우안으로 시인함과 함께 좌안용 셔터(24)를 투과한 좌안용 화상 GL을 좌안으로 시인함으로써, 관찰자는 표시 화상에 대하여 입체감을 지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이 혼재하지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우안용 셔터(22) 및 좌안용 셔터(24)의 쌍방이 폐쇄 상태로 유지되므로,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의 혼재(크로스토크)는 관찰자에게 지각되지 않는다. 즉,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이 확실하게 우안 및 좌안으로 분리되므로, 관찰자에게 명확한 입체감을 지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단위 기간 U1에서 주사선(32)을 2행 단위로 선택하여 각 화소 PIX에 계조 전위 X[n]를 공급한다. 따라서, 각 표시 기간 P에서 주사선(32)을 1행 단위로 선택 기간 H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각 화소 PIX에 계조 전위 X[n]를 공급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이 혼재하는 기간[즉 우안용 셔터(22) 및 좌안용 셔터(24)의 쌍방을 폐쇄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기간]의 시간 길이가 단축된다. 즉, 표시 기간 P 중 우안용 셔터(22) 또는 좌안용 셔터(24)를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시간 길이가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관찰자가 인식하는 표시 화상의 명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표시 화상의 Y방향의 해상도가 저하되지만, 직후의 단위 기간 U2에서는 제2k행의 각 화소 PIX에 계조 전위 X[n]가 공급되므로, 단위 기간 U1에 있어서의 표시 화상의 해상도의 저하는 관찰자에게 거의 인식되지 않는다.
또한,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에서는 단위 기간 U1과 마찬가지로 각 화소 PIX가 2행씩 선택되므로,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의 각각에서는 표시 화상의 해상도가 실제로는 저하된다. 그러나 단위 기간 U3에서 선택 단위가 되는 제2조와 단위 기간 U4에서 선택 단위가 되는 제1조는 1행분만큼 Y방향으로 어긋난 관계에 있고, 또한, 단위 기간 U3에서 제2조의 각 화소 PIX에 공급되는 계조 전위 X[n](제2k행의 지정 계조에 따른 전위)와 단위 기간 U4에서 제1조의 각 화소 PIX에 공급되는 계조 전위 X[n][제(2k-1)행의 지정 계조에 따른 전위]는 상이하므로,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에 있어서의 표시 화상의 해상도의 저하는 관찰자에게 지각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계조 전위 X[n]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우안용 표시 기간 PR과 좌안용 표시 기간 PL에서 계조 전위 X[n]를 역극성으로 설정하는 구성(이하 「구성 A」라 함)도 상정될 수 있다. 그러나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은 통상은 상이하므로, 우안용 표시 기간 PR과 좌안용 표시 기간 PL에서 액정 소자 CL의 인가 전압이 상이하여, 결과적으로 액정 소자 CL의 인가 전압의 극성에 편향(직류 성분의 잔류)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과 단위 기간 U2에서 계조 전위 X[n]가 정극성(+)으로 설정되고,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3와 단위 기간 U4에서 계조 전위 X[n]가 부극성(-)으로 설정된다. 즉, 우안용 표시 기간 PR 내에서 계조 전위 X[n]가 정극성으로 설정되는 시간 길이와 부극성으로 설정되는 시간 길이가 균등화되고, 또한, 좌안용 표시 기간 PL 내에서도, 계조 전위 X[n]가 정극성으로 설정되는 시간 길이와 부극성으로 설정되는 시간 길이가 균등화된다. 따라서, 액정 소자 CL에 대한 직류 성분의 인가를 구성 A와 비교하여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계조 전위 X[n]의 극성 반전의 주기가 구성 A와 비교하여 단축되므로, 표시 화상의 플리커를 유효하게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단, 구성 A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B: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예시하는 각 형태에 있어서 작용이나 기능이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요소에 대해서는, 이상의 설명에서 참조한 부호를 유용하여 각각의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표시 화상이 우안용 화상 GR 및 좌안용 화상 GL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갱신되므로, 단위 기간 U2∼U4와 비교하여 액정 소자 CL의 액정(66)의 배향 상태를 크게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위 기간 U1에서는 다른 단위 기간 U2∼U4와 비교하여 액정(66)의 응답 지연이 현재화되기 쉽다. 이상과 같은 액정(66)의 응답 지연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정 계조에 따른 목표 전압을 상회하는 과전압을 각 화소 PIX의 액정 소자 CL에 인가하는 오버드라이브(과전압 구동)를 각 표시 기간 P(PR, PL)의 단위 기간 U1에서 실행한다.
그런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 및 단위 기간 U2에서 계조 전위 X[n]를 정극성으로 설정함과 함께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에서 계조 전위 X[n]를 부극성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 오버드라이브를 실행하는 경우, 단위 기간 U1 및 단위 기간 U2에서 액정 소자 CL에 부여되는 정극성의 인가 전압과,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에서 액정 소자 CL에 부여되는 부극성의 인가 전압이 불균등해져, 결과적으로 액정 소자 CL에 직류 성분이 인가될 가능성이 있다.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 실시 형태의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서로 전후하는 2개의 표시 기간 P(우안용 표시 기간 PR과 좌안용 표시 기간 PL의 조)로 구성되는 제어 기간 T마다, 각 단위 기간 U(U1∼U4)에 있어서의 계조 전위 X[n]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도 5에는, 임의의 1개의 제어 기간 T1과 그 직후의 제어 기간 T2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기간 T1 내의 각 표시 기간 P(PR, PL)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위 기간 U1 및 단위 기간 U2에서 계조 전위 X[n]가 정극성으로 설정되고,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에서 계조 전위 X[n]가 부극성으로 설정된다. 한편, 제어 기간 T2 내의 각 표시 기간 P(PR, PL)에서는, 제어 기간 T1 내의 각 단위 기간 U와는 반대로, 단위 기간 U1 및 단위 기간 U2에서 계조 전위 X[n]가 부극성으로 설정되고,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에서 계조 전위 X[n]가 정극성으로 설정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실현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각 단위 기간 U(U1∼U4)에서의 계조 전위 X[n]의 극성이 제어 기간 T마다 반전하므로, 제어 기간 T1 내의 우안용 표시 기간 PR과 제어 기간 T2 내의 우안용 표시 기간 PR에 주목한 경우에, 단위 기간 U1에서 정극성의 전압이 액정 소자 CL에 인가되는 시간 길이와 부극성의 전압이 액정 소자 CL에 인가되는 시간 길이는 균등화된다. 따라서,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 오버드라이브를 실행하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액정 소자 CL에 대한 직류 성분의 인가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액정 소자 CL의 인가 전압의 극성의 편향의 원인은 오버드라이브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오버드라이브를 실행하지 않는 구성에도 제2 실시 형태는 유효하게 채용된다.
<제3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각 단위 기간 U에서의 계조 전위 X[n]의 극성을 제어 기간 T마다 반전시킨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기간 U의 4개분에 상당하는 시간 길이 τ에 걸쳐 액정 소자 CL의 인가 전압이 계속적으로 동일 극성으로 유지되는 기간이 발생한다. 그러나 액정 소자 CL에 동일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이 길수록, 인가 전압의 극성의 상이에 기인한 표시 계조의 시간적인 변동(즉 플리커)이 관찰자에게 지각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제3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의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 형태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6에 화살표로 강조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제어 기간 T(T1, T2)의 마지막의 단위 기간 U4에서의 계조 전위 X[n]가 제2 실시 형태와는 역극성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기간 T1 내의 전방의 표시 기간 P(도 6의 예시에서는 우안용 표시 기간 PR)에서는,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계조 전위 X[n]의 극성을,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위 기간 U1 및 단위 기간 U2에서 정극성으로 설정함과 함께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에서 부극성으로 설정한다. 한편, 제어 기간 T1 내의 후방의 표시 기간 P(도 6의 예시에서는 좌안용 표시 기간 PL)에서는,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계조 전위 X[n]의 극성을, 단위 기간 U1 내지 단위 기간 U3에서는 직전의 표시 기간 P 내의 각 단위 기간 U와 마찬가지의 극성(정극성→정극성→부극성)으로 설정하지만, 제어 기간 T1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단위 기간 U4에서는 직전의 표시 기간 P 내의 단위 기간 U4와는 역의 정극성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 기간 T2에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단위 기간 U(U1∼U4)에 있어서의 계조 전위 X[n]의 극성이 제어 기간 T1과는 역전한다. 따라서, 제어 기간 T1의 마지막의 단위 기간 U4에 있어서의 계조 전위 X[n]의 극성은, 그 직후의 제어 기간 T2의 최초의 단위 기간 U1에서의 계조 전위 X[n]와는 역극성이라고 환언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실현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각 단위 기간 U에서의 계조 전위 X[n]의 극성이 이상의 규칙으로 선정되므로,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액정 소자 CL의 인가 전압이 계속적으로 동일 극성으로 유지되는 시간은 최장으로 단위 기간 U의 2개분이다. 따라서, 단위 기간 U의 4개분의 시간 길이 τ에 걸쳐 인가 전압이 동일 극성으로 유지될 수 있는 제2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인가 전압의 극성의 상이에 기인한 플리커가 관찰자에게 지각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변형예>
이상의 각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의 양태를 이하에 예시한다. 이하의 예시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2 이상의 양태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합될 수 있다.
(1) 전술한 각 형태에서는,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2에서 짝수행의 각 화소 PIX에 계조 전위 X[n]를 공급하였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2에서 홀수행[제(2k-1)행]의 각 화소 PIX에 계조 전위 X[n]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주사선 구동 회로(42)는, 단위 기간 U2의 선택 기간 H마다 홀수행의 주사선(32)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신호선 구동 회로(44)는, 그 홀수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GR[2k-1], GL[2k-1])에 따른 계조 전위 X[n]를 각 신호선(34)에 공급한다. 또한, 단위 기간 U2의 직전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선(32)의 제1조가 순차적으로 선택됨과 함께 짝수행의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각 신호선(34)에 공급된다.
이제, 단위 기간 U2에서 선택되는 주사선(32)을 제1 주사선(32A)으로 표기함과 함께 다른 주사선(32)을 제2 주사선(32B)으로 표기한다. 제1 주사선(32A)과 제2 주사선(32B)은 Y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한다. 전술한 각 형태에서는 짝수행의 주사선(32)이 제1 주사선(32A)에 상당하고, 도 7의 구성에서는 홀수행의 주사선(32)이 제1 주사선(32A)에 상당한다. 전술한 예시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 및 단위 기간 U2에 있어서의 신호선 구동 회로(44)의 동작은, 단위 기간 U1의 선택 기간 H마다, 해당 선택 기간 H에서 선택되는 제1조 중 제2 주사선(32B)에 대응하는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 X[n]를 각 신호선(34)에 공급하고, 단위 기간 U2의 선택 기간 H마다, 해당 선택 기간 H에서 선택되는 제1 주사선(32A)에 대응하는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 X[n]를 각 신호선(34)에 공급하는 동작으로서 포괄된다.
(2) 전술한 각 형태에서는, 단위 기간 U4에서 단위 기간 U1과 마찬가지로 신호선 구동 회로(44)를 동작시켰지만, 단위 기간 U1과 단위 기간 U4에서 신호선 구동 회로(44)의 동작을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1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선택 기간 H에서 선택되는 제1조 중 홀수행의 주사선(32)에 대응하는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각 신호선(34)에 공급되고,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4에서는, 선택 기간 H에서 선택되는 제1조 중 짝수행의 주사선(32)에 대응하는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각 신호선(34)에 공급된다. 단위 기간 U4의 직전의 단위 기간 U3에서는, 선택 기간 H에서 선택되는 제2조 중 홀수행의 주사선(32)에 대응하는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 X[n]가 각 신호선(34)에 공급된다.
이상의 예시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주사선(32)을 전술한 설명과 같이 제1 주사선(32A)과 제2 주사선(32B)으로 구분한 경우, 각 표시 기간 P의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에 있어서의 신호선 구동 회로(44)의 동작은, 단위 기간 U3의 선택 기간 H마다, 해당 선택 기간 H에서 선택되는 제2조 중 제1 주사선(32A) 및 제2 주사선(32B)의 한쪽에 대응하는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 X[n]를 각 신호선(34)에 공급하고, 단위 기간 U4의 선택 기간 H마다, 해당 선택 기간 H에서 선택되는 제1조 중 제1 주사선(32A) 및 제2 주사선(32B)의 다른 쪽에 대응하는 각 화소 PIX의 지정 계조에 따른 계조 전위 X[n]를 각 신호선(34)에 공급하는 동작으로서 포괄된다. 이상의 표현에 있어서의 「제1 주사선(32A) 및 제2 주사선(32B)의 한쪽」은,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짝수행의 주사선(32)에 상당하고, 도 8의 구성에서는 홀수행의 주사선(32)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1 주사선(32A) 및 제2 주사선(32B)의 다른 쪽」은,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홀수행의 주사선(32)에 상당하고, 도 8의 구성에서는 짝수행의 주사선(32)에 상당한다.
(3) 전술한 각 형태에서는 단위 기간 U4가 단위 기간 U3에 후속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단위 기간 U3와 단위 기간 U4의 선후를 역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조의 각 화소 PIX에 계조 전위 X[n]를 공급하는 단위 기간 U4를, 제2조의 각 화소 PIX에 계조 전위 X[n]를 공급하는 단위 기간 U3에 선행시키는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단위 기간 U3 및 단위 기간 U4의 각각은 단위 기간 U2의 경과 후의 기간으로서 포괄되고, 단위 기간 U3와 단위 기간 U4의 선후는 임의이다.
(4) 전술한 각 형태에서는, 우안용 표시 기간 PR 중 단위 기간 U1의 종점에서 우안용 셔터(22)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켰지만, 우안용 셔터(22)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키는 시기는 적절히 변경된다. 예를 들면,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1의 종점 이전에 우안용 셔터(22)를 개방 상태로 변화시키는 구성에서는, 단위 기간 U1 내에서의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의 혼재가 관찰자에게 약간은 지각되지만, 표시 화상의 명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1의 종점 이후의 시점에서 우안용 셔터(22)를 개방 상태로 변화시키는 구성에서는, 표시 화상의 명도는 저하되지만,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의 혼재가 관찰자에게 지각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우안용 셔터(22)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화시키는 시기를,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4의 종점 이전으로 설정한 구성(표시 화상의 명도는 저하되지만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의 혼재는 방지됨)이나, 우안용 표시 기간 PR의 단위 기간 U4의 종점 이후로 설정한 구성(좌안용 표시 기간 PL의 단위 기간 U1 내에서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의 약간의 혼재는 지각되지만 표시 화상의 명도는 향상됨)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의 혼재가 관찰자에게 지각되기 어려운 개폐의 시기는, 우안용 셔터(22) 및 좌안용 셔터(24)의 응답 특성과 전기 광학 패널(12)(액정 소자 CL)의 응답 특성의 관계에도 의존한다. 따라서, 우안용 셔터(22)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화시키는 시기나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제어하는 시기는, 우안용 화상 GR과 좌안용 화상 GL의 혼재가 관찰자에게 지각되는 것의 방지와 표시 화상의 명도의 확보의 우선도(밸런스)나, 입체시용 안경(20)의 응답 특성과 전기 광학 패널(12)의 응답 특성의 관계 등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선정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우안용 셔터(22)를 대상으로 언급하였지만, 좌안용 셔터(24)의 개폐의 시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사정이 타당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우안용 셔터(22)가 개방 상태로 제어되는 기간은, 우안용 표시 기간 PR에 있어서의 단위 기간 U2와 단위 기간 U3와 단위 기간 U4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기간(단위 기간 U1을 포함하는지 여부는 불문)으로서 포괄된다. 마찬가지로, 좌안용 셔터(24)가 개방 상태로 제어되는 기간은, 좌안용 표시 기간 PL에 있어서의 단위 기간 U2와 단위 기간 U3와 단위 기간 U4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기간(단위 기간 U1을 포함하는지 여부는 불문)으로서 포괄된다. 또한, 우안용 셔터(22) 및 좌안용 셔터(24)의 쌍방이 폐쇄 상태로 제어되는 기간은, 각 표시 기간 P(PR, PL) 중 단위 기간 U1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으로서 포괄된다.
(5) 전기 광학 소자는 액정 소자 CL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기 영동 소자를 전기 광학 소자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기 광학 소자는, 전기적인 작용(예를 들면 전압의 인가)에 따라 광학적인 특성(예를 들면 투과율)이 변화하는 표시 소자로서 포괄된다.
<응용예>
이상의 각 형태에 예시한 전기 광학 장치(10)는, 각종의 전자 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전기 광학 장치(10)를 채용한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9는 전기 광학 장치(10)를 적용한 투사형 표시 장치(3판식의 프로젝터)(4000)의 모식도이다. 투사형 표시 장치(4000)는, 상이한 표시색(적색, 녹색, 청색)에 대응하는 3개의 전기 광학 장치(10)(10R, 10G, 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 광학계(4001)는, 조명 장치(광원)(4002)로부터의 출사광 중 적색 성분 r을 전기 광학 장치(10R)에 공급하고, 녹색 성분 g를 전기 광학 장치(10G)에 공급하고, 청색 성분 b를 전기 광학 장치(10B)에 공급한다. 각 전기 광학 장치(10)는, 조명 광학계(4001)로부터 공급되는 각 단색광을 표시 화상에 따라 변조하는 광 변조기(라이트 밸브)로서 기능한다. 투사 광학계(4003)는, 각 전기 광학 장치(10)로부터의 출사광을 합성하여 투사면(4004)에 투사한다. 관찰자는, 투사면(4004)에 투사된 입체시 화상을 입체시용 안경(20)(도 9에서는 도시 생략)으로 시인한다.
도 10은 전기 광학 장치(10)를 채용한 가반형의 퍼스널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퍼스널 컴퓨터(2000)는,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전기 광학 장치(10)와, 전원 스위치(2001)나 키보드(2002)가 설치된 본체부(2010)를 구비한다.
도 11은 전기 광학 장치(10)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3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3001) 및 스크롤 버튼(3002)과,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전기 광학 장치(10)를 구비한다. 스크롤 버튼(3002)을 조작함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10)에 표시되는 화면이 스크롤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기 광학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예시한 기기 외에, 휴대 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스틸 카메라, 텔레비전, 비디오 카메라, 카 네비게이션 장치, 차량 탑재용의 표시기(인너패널), 전자 수첩, 전자 페이퍼,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영상 전화, POS 단말기,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비디오 플레이어,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100 : 입체시 표시 장치
10 : 전기 광학 장치
12 : 전기 광학 패널
14 : 제어 회로
142 : 표시 제어 회로
144 : 안경 제어 회로
20 : 입체시용 안경
22 : 우안용 셔터
24 : 좌안용 셔터
30 : 화소부
PIX : 화소
CL : 액정 소자
SW : 선택 스위치
32 : 주사선
34 : 신호선
40 : 구동 회로
42 : 주사선 구동 회로
44 : 신호선 구동 회로

Claims (8)

  1.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주사선과,
    상기 주사선에 교차하는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된 화소와,
    상기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기간과 상기 좌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기간은, 제1 단위 기간과 제2 단위 기간과 제3 단위 기간과 제4 단위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주사선을 서로 인접하는 2개씩으로 이루어지는 제1 조합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2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주사선 중 한쪽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3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과는 주사선 1개분 어긋난 2개씩으로 이루어지는 제2 조합으로 상기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4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상기 제1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다른 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2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상기 한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3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2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한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4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상기 다른 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우안용 셔터와 좌안용 셔터를 구비한 입체시(視)용 안경과,
    상기 우안용 화상의 표시 기간 및 상기 좌안용 화상의 표시 기간의 상기 제1 단위 기간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셔터 및 상기 좌안용 셔터의 쌍방을 차광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우안용 화상의 표시 기간의 상기 제2 단위 기간과 상기 제3 단위 기간과 상기 제4 단위 기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셔터를 투과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좌안용 셔터를 차광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좌안용 화상의 표시 기간의 상기 제2 단위 기간과 상기 제3 단위 기간과 상기 제4 단위 기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셔터를 투광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상기 우안용 셔터를 차광 상태로 제어하는 안경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기준 전압에 대한 상기 계조전위의 극성을, 상기 제1 단위 기간과 상기 제2 단위 기간에 있어서 제1 극성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3 단위 기간과 상기 제4 단위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극성과는 역의 제2 극성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서로 전후하는 우안용 화상의 표시 기간과 좌안용 화상의 표시 기간을 포함하는 제어 기간마다, 상기 각 표시 기간의 상기 제1 단위 기간으로부터 상기 제4 단위 기간의 각각에 있어서의 계조전위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교대로 반복하는 제1 제어 기간과 제2 제어 기간에 있어서,
    기준 전압에 대한 상기 계조전위의 극성을,
    상기 제1 제어 기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기간과 상기 제2 단위 기간에 있어서 제1 극성으로 설정함과 함께 상기 제3 단위 기간과 상기 제4 단위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극성과는 역의 제2 극성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기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기간과 상기 제2 단위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2 극성으로 설정함과 함께 상기 제3 단위 기간과 상기 제4 단위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극성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주사선과,
    상기 주사선에 교차하는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된 화소와,
    상기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기간과 상기 좌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기간은, 제1 단위 기간과 제2 단위 기간과 제3 단위 기간과 제4 단위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주사선을 서로 인접하는 2개씩으로 이루어지는 제1 조합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2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주사선 중 한쪽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3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과는 주사선 1개분 어긋난 2개씩으로 이루어지는 제2 조합으로 상기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4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상기 제1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다른 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2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상기 한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3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2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한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4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상기 한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주사선과,
    상기 주사선에 교차하는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된 화소와,
    상기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기간과 상기 좌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기간은, 제1 단위 기간과 제2 단위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주사선을 서로 인접하는 2개씩으로 이루어지는 제1 조합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2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주사선 중 한쪽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와,
    상기 제1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다른 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2 단위 기간에서는, 상기 제1 조합의 상기 주사선 중 상기 한쪽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상기 화소의 화상 신호에 따른 계조전위를 상기 신호선에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120072093A 2011-07-04 2012-07-03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30004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8197A JP5891621B2 (ja) 2011-07-04 2011-07-04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11-148197 2011-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83A true KR20130004883A (ko) 2013-01-14

Family

ID=4743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093A KR20130004883A (ko) 2011-07-04 2012-07-03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77495B2 (ko)
JP (1) JP5891621B2 (ko)
KR (1) KR20130004883A (ko)
CN (1) CN102867471B (ko)
TW (1) TW2013045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9628B2 (en) 2014-12-01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4143A (ja) 2011-11-30 2013-06-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4599619A (zh) * 2013-12-06 2015-05-0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栅线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及显示装置
KR20160007970A (ko) * 2014-07-10 2016-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CN104464670B (zh) * 2014-12-10 2017-06-0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的驱动结构、液晶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7738A (en) * 1992-03-05 1999-03-02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element drive method, drive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JPH11161243A (ja) * 1997-09-26 1999-06-1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4093717A (ja) * 2002-08-30 2004-03-2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4297100B2 (ja) * 2004-11-10 2009-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7586476B2 (en) * 2005-06-15 2009-09-08 L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09488B2 (ja) 2007-07-18 2013-10-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107580A (ja) * 2008-10-28 2010-05-1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駆動方法および電気光学装置
JP2010181452A (ja) * 2009-02-03 2010-08-1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526597B2 (ja) * 2009-05-19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
JP5876635B2 (ja) * 2009-07-22 2016-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118052A (ja) * 2009-12-01 2011-06-16 Sony Corp 表示装置及び駆動方法
KR101677182B1 (ko) * 2010-03-22 2016-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의 디밍 방법
KR20110129329A (ko) * 2010-05-25 201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95040A (ko) * 2012-02-17 2013-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140035894A1 (en) * 2012-08-03 2014-02-0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hree-Dimension LCD and the Driv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9628B2 (en) 2014-12-01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15663A (ja) 2013-01-24
JP5891621B2 (ja) 2016-03-23
CN102867471B (zh) 2016-05-18
TW201304510A (zh) 2013-01-16
CN102867471A (zh) 2013-01-09
US9177495B2 (en) 2015-11-03
US20130010006A1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5227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20022656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9019326B2 (en) Electro-optic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s device
KR20130004883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9961331B2 (en) Electro-opt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5771994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82874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064920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99709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842632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810494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3117554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102990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131212B2 (en) Electro-opt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5821415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064824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03768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092603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駆動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