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532U -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 Google Patents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532U
KR20130003532U KR2020110010807U KR20110010807U KR20130003532U KR 20130003532 U KR20130003532 U KR 20130003532U KR 2020110010807 U KR2020110010807 U KR 2020110010807U KR 20110010807 U KR20110010807 U KR 20110010807U KR 20130003532 U KR20130003532 U KR 201300035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ame
bell mouse
footrest
bel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최해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532U/ko
Publication of KR20130003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2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체의 선수부에 벨 마우스를 탑재한 다음 호오즈 파이프와의 연결시 벨 마우스의 입구에서 내부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설치대를 개발함으로써,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 사이의 조인트 부위에 대한 내부 접합작업을 보다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벨 마우스(51)의 입구에 결합되는 만곡부(16)를 갖추고서 상기 벨 마우스(51)의 내부로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10),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사다리(55,57)를 걸어 지지하는 거치대(12), 상기 장착 프레임(10)의 일측 선단부에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14), 및 상기 장착 프레임(10)과 상기 발판(14)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대한 상기 발판(14)의 설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Cradle for benchwork within bell mouth}
본 고안은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 마우스의 탑재후 호오즈 파이프와의 연결시 조인트 부위의 내부 접합작업을 보다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 주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등과 같이 해상에서 부양되는 각종 구조물은 계류장치의 일종인 앵커(Anchor)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앵커는 바람이나 조류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항하여 정박한 선체를 일정한 반경의 수역 내에서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게 해 주거나 긴급 상황의 발생시 선체의 운항을 중지시키는 응급 조종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특히, 선박에 있어 앵커는 선체의 선수부에서 묘쇄공이라 지칭되는 호오즈 파이프(Hawse pipe) 내부에 격납되었다가 계류시 체인과 함께 외부로 빠져 나와 해저로 내려지게 되고, 운항시에는 상부 갑판에 설치된 양묘기의 작동에 따라 체인과 함께 선체를 향해 올라가게 된다. 이 경우, 선체의 선수부는 앵커의 투하 또는 올릴 때 발생할 수 있는 선체와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판에 대해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는 벨 마우스(Bell mouth)를 별도로 구비한다. 이에 따라 벨 마우스는 앵커의 동작시 선체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항해중 앵커를 보다 안전한 위치로 격납하는 기능까지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선체의 선수부는 내부에 상부 갑판으로부터 벨 마우스에 이르는 부위에 걸쳐 호오즈 파이프를 설치하고 있는 데, 호오즈 파이프는 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로의 기능외에 앵커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선체의 선수부에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를 설치할 때 주조품의 형태로서 별도로 제작되는 벨 마우스를 선수부 외판에서 호오즈 파이프의 입구측 정위치로 옮긴 다음,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 사이의 조인트 부위를 용접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벨 마우스를 통해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다음,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 사이의 내측 조인트 부위에 대한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 사이의 외측 조인트 부위에 대해서도 용접 작업을 함께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접합 과정에서 작업자는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 사이의 외측 조인트 부위에 대해서는 선수부 외부에 별도의 작업용 발판 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설치된 발판 구조물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에,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 사이의 내측 조인트 부위에 대한 접합 작업에서는 호오즈 파이프의 관 지름이 협소(대략 1.5M 이내)한 관계로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에 사다리를 별도로 설치하고, 작업자는 설치된 사다리에 매달린 상태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이 결과, 종래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 사이의 조인트 부위에 대한 접합작업은 반드시 각종 발판 구조물의 설치와 해체의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내재할 수 밖에 없다. 특히,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 사이의 내측 조인트 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접합작업은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과 연계하지 못하고 분리될 수 밖에 없으므로 작업의 지연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호오즈 파이프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사다리를 설치할 때 지면으로부터 벨 마우스의 입구에 이르는 경로까지 사다리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해야 하는 등 용접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많은 공정이 소요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공정의 지연은 접합 작업후 설치된 구조물의 제거시에도 동일하게 수반되므로 선박 건조에 있어 많은 경제적 손해를 미치게 된다. 특히,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는 각 호선 별로 설계 사양이 상이하기 때문에 접합 작업을 보조하는 각종 발판 구조물을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이러한 사안은 공정의 지연과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체의 선수부에 벨 마우스를 탑재한 다음 호오즈 파이프와의 연결시 벨 마우스의 입구에서 내부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설치대를 개발함으로써,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 사이의 조인트 부위에 대한 내부 접합작업을 보다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벨 마우스의 입구에 대해 걸이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만곡부를 갖추고서 상기 벨 마우스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다리를 걸어 지지하는 거치대,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 선단부에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및 상기 장착 프레임과 상기 발판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장착 프레임에 대한 상기 발판의 설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장착 프레임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는 좌/우 한 쌍의 부재 사이의 간격을 고정한 상태로 연결하는 핀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거치대는 상기 장착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면서 사다리의 설치를 위해 상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로드를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발판은 상기 장착 프레임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지점 형성용 고정러그와, 상기 각도 조절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지점 형성용 고정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발판은 작업자에 의한 안착 면적의 확장을 위해 가장자리부위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수납 또는 전개 위치로 각각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발판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체결용 슬롯을 형성한 보조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발판은 일단부에 외부로 돌출된 장방형상의 회전 방지턱을 갖추고서,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로 진입하여 설치시 호오즈 파이프의 내주면과의 접촉을 통해 발판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정적인 접촉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과 상기 발판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 또는 와이어류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전체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턴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만곡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에 대해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상대 선회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지점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분할편 사이의 대향면은 상호 이격되어 힌지지점을 중심으로 상대 선회운동할 때 회전 정도를 제한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본 고안에 따른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는 선박의 건조 과정중 선체의 선수부에 벨 마우스의 탑재를 위해 호오즈 파이프와의 연결 작업시 벨 마우스의 입구에서 내부를 향해 착탈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특히 내부 접합작업시 작업자의 자세를 편리하면서도 안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무엇보다도 추락 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데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벨 마우스 입구로의 설치를 위한 만곡부의 곡률과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에서 작업자의 안착을 위한 지지면의 면적을 각각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호선별 규격이 상이한 여러 종류의 벨 마우스와 호오즈 파이프에서도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만곡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판에서 보조발판이 수납 위치에서 전개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가 실제 접합작업에서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로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다리에 대해 착좌용 좌판이 부가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하는 벨 마우스의 입구에 걸이식으로 고정되어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10)과,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대해 별도의 사다리를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거치대(12), 상기 장착 프레임(10)의 일측 선단부에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발판(14), 및 상기 장착 프레임(10)과 상기 발판(14)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대한 상기 발판(14)의 설치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 프레임(10)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바아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부재의 일측 선단부에 상기 벨 마우스의 입구에 대해 걸이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관절형 만곡부(16)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장착 프레임(10)은 상단부에 크레인을 이용한 운반을 위해 후크와의 걸림을 위한 이동용 러그(10a)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 상기 장착 프레임(10)과 거치대(12), 발판(14), 및 각도 조절부 등을 포함하는 설치대는 상기 이동용 러그(10a)에 와이어와 연결된 후크를 걸은 다음 크레인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치 장소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다관절형 만곡부(16)는 설정된 특정의 각도 내에서 자유로운 상대 선회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지점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굴곡진 형태의 분할편(16a)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분할편(16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다른 분할편(16a)에 대해 볼트(16b)와 너트(도시안됨)를 매개로 핀결합되어 힌지지점을 형성하면서 분할편(16a)과 인접한 다른 분할편(16a) 사이의 대향면은 상호 다소간의 틈새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만곡부(16)는 힌지지점을 매개로 다수의 분할편(16a) 사이에서 수반되는 설정범위 내의 자유로운 상대 선회운동에 따라 전체적인 곡률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분할편(16a) 사이의 대향면에서 이루어지는 접촉 발생의 각도에 이르기까지 분할편(16a) 사이의 자유로운 상대 선회운동이 수반될 수 있고, 이러한 선회운동은 상기 만곡부(16)에서 설정각도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벌어졌다가 다시 오므려질 수 있는 선회운동으로 귀결되어 전체적인 곡률의 정도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만곡부(16)의 구성은 각 호선별로 상이한 규격을 갖는 벨 마우스의 입구에 대해 상기 장착 프레임(10)의 걸이식 고정 설치를 좀 더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착 프레임(10)의 범용적 활용까지도 구현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2)는 좌/우 한 쌍의 장착 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핀 볼트와 같은 부재로 이루어지고, 핀 볼트류의 부재는 중앙부위에 사다리의 고정 설치를 위해 상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로드(12a)를 일체로 결합한다. 특히 상기 거치대(12)는 상기 장착 프레임(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양단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 마우스(51)의 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거치대(12)가 벨 마우스(51)의 입구측 외부와 벨 마우스(51)의 내부에 위치한 호오즈 파이프(53)의 내부에 각각 사다리(55,57)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4는 선체의 선수부 외판(50)에 대해 벨 마우스(51)와 호오즈 파이프(53)를 각각 설치하는 작업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는 상부 갑판(59)이 아래로 향한 뒤집힌 상태에서 조립되는 통상의 작업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판(14)은 장착 프레임(10)의 설치시 호오즈 파이프(53)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외형으로 볼 때 둥근 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발판(14)은 상기 장착 프레임(10)과의 힌지 결합을 위해 발판(14)에 결합되어 힌지지점을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제1고정러그(14a)와, 상기 각도 조절부와의 연결을 위해 발판(14)에 결합되어 연결지점을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제2고정러그(14b)를 각각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발판(14)은 일측단부에 장방형으로 돌출된 회전 방지턱(14c)을 일체로 형성하는 바, 상기 회전 방지턱(14c)은 호오즈 파이프(53)의 내부에서 원형인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호오즈 파이프(53) 내에서 발판(14)의 유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제한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한편, 상기 발판(14)은 호오즈 파이프(53) 내에서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안착 면적의 확장을 위해 가장자리부위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수납 또는 전개 위치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발판(18)을 구비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발판(18)은 상기 발판(14)의 전 부위에 걸쳐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위치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발판(18)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절개된 슬롯(18a)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발판(14)과의 결합은 슬롯(18a)을 통해 체결되고 파지를 돕기 위한 고리형태의 돌출부를 갖춘 볼트(18b)와 너트(도시안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안착 면적의 조절은 상기 발판(14)에 대한 상기 보조발판(18)의 슬라이딩 정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그 때 고정은 볼트(18b)와 너트에 의한 나사 체결로서 구현된다. 이와 같은 상기 발판(14)과 보조발판(18)의 구성은 각 호선별로 상이한 규격을 갖는 호오즈 파이프(53)의 직경에 맞춰 상기 발판(14)과 보조발판(18)에 의해 설정되는 안착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호오즈 파이프(53) 내에서 이루어지는 접합시 작업자의 행동반경을 보다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해 주고, 무엇보다도 발판(14)과 보조발판(18) 및 호오즈 파이프(53) 사이의 빈 공간을 메워 작업자가 아래로 추락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벨 마우스(51) 작업용 고정 설치대에 대한 범용적 활용을 가능하게 해 준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10)과 상기 발판(14)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 또는 와이어류의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에 설치되어 각도 조절부에 대한 전체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턴버클(22; Turnbuckle)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부는 호오즈 파이프(53)의 내부에서 상기 발판(14)이 장착 프레임(10)의 일측 선단부에 대해 자유롭게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해 준다. 즉, 상기 턴버클(22)의 조작에 따라 각도 조절부의 전체 길이가 조정되므로, 상기 발판(14)은 제1고정러그(14a)에 의한 힌지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대해 적정의 각도로 설치 상태를 가변화시킬 수 있게 되는 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호선별 벨 마우스(51)와 호오즈 파이프(53)에 대한 사양이 상이함에 따라 상부 갑판(59)에 대한 호오즈 파이프(53)의 설치각도에 맞춰 호오즈 파이프(53) 내에서 발판(14)의 설치상태를 수평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체의 선수부에서 벨 마우스(51)와 호오즈 파이프(53)의 설치 작업시 상기 벨 마우스(51)의 입구에 대해 다관절형 만곡부(16)를 걸이식으로 걸어 설치하게 되면, 장착 프레임(10)은 만곡부(16)를 매개로 벨 마우스(51)의 입구를 통해 선수부 내부에 위치한 호오즈 파이프(53)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결합된 거치대(12)를 통해 내/외부에서 각각 사다리(55,57)를 설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외부 사다리(57)를 이용하여 벨 마우스(51)의 외부에서 호오즈 파이프(53)와의 조인트 부위에 대한 접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다른 작업자는 내부 사다리(55)를 이용하여 호오즈 파이프(53)의 내부에서 벨 마우스(51)와 호오즈 파이프(53) 사이의 내측 조인트 부위에 대한 접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연결부재(20)에 설치된 턴버클(22)을 이용하여 각도 조절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호오즈 파이프(53) 내에서 발판(14)의 설치 각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고, 특히 호오즈 파이프(53)의 내경에 맞춰 발판(14)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하는 보조발판(18)에 대한 돌출량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정감 있는 안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완벽하게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호선별로 상부 갑판(59)에 대한 호오즈 파이프(53)의 장착각도(θ)에 맞춰 각도 조절부의 조정을 통해 호오즈 파이프(53)의 내부에 위치하는 발판(14)의 설치각도를 수평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발판(14)에 대한 보조발판(18)의 펼침 정도에 따라 호오즈 파이프(53)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외부측 사다리(55,57)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별도의 착좌용 좌판(61)을 추가로 설치하면, 이를 통해 작업자는 접합 작업시 앉은 자세에서 용접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있어 편의성의 향상과 함께 그에 따른 생산성의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고안은 벨 마우스(51)의 입구에서 호오즈 파이프(53)의 내부를 향해 걸이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10)의 다관절형 만곡부(16)를 매개로 벨 마우스(51)와 호오즈 파이프(53) 사이의 내/외측 조인트 부위에 대한 작업을 연계시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사다리(55,57)에 고정될 수 있는 착좌용 좌판(61)을 이용하여 작업시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근골격계에서 수반되는 피로의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발판(14)의 안착 면적에 대한 크기를 보조발판(18)을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호오즈 파이프(53)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장착프레임 10a-이동용 러그
12-거치대 12a-걸림로드
14-발판 14a-제1고정러그
14b-제2고정러그 14c-회전방지턱
16-만곡부 16a-분할편
16b-볼트 18-보조발판
18a-슬롯 18b-볼트
20-연결부재 22-턴버클
50-외판 51-벨마우스
53-호오즈파이프 55,57-사다리
59-상부갑판 61-좌판

Claims (8)

  1. 벨 마우스(51)에 설치되는 고정 설치대로서,
    상기 벨 마우스(51)의 입구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만곡부(16)를 갖추고서 상기 벨 마우스(51)의 내부로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10);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사다리(55,57)를 걸어 지지하는 거치대(12);
    상기 장착 프레임(10)의 일측 선단부에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14); 및
    상기 장착 프레임(10)과 상기 발판(14)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대한 상기 발판(14)의 설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10)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12)는 좌/우 한 쌍의 부재 사이의 간격을 고정시킨 상태로 연결하는 핀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2)는 상기 장착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측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사다리(55,57)의 설치를 위해 상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로드(12a)를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14)은 상기 장착 프레임(10)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1고정러그(14a)와 상기 각도 조절부와의 연결을 위한 제2고정러그(1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14)은 가장자리부위에서 수납 또는 전개 위치로 각각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발판(14)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체결용 슬롯(18a)을 형성한 보조발판(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14)은 일단부에 외부로 돌출된 장방형상의 회전 방지턱(14c)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10)과 상기 발판(1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에 설치되어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턴버클(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16)는 상기 장착 프레임(10)에 대해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상대 선회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지점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편(16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분할편(16a) 사이의 대향면은 상호 이격되어 힌지지점을 중심으로 상대 선회운동할 때 회전 정도를 제한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KR2020110010807U 2011-12-06 2011-12-06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KR201300035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807U KR20130003532U (ko) 2011-12-06 2011-12-06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807U KR20130003532U (ko) 2011-12-06 2011-12-06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32U true KR20130003532U (ko) 2013-06-14

Family

ID=5368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807U KR20130003532U (ko) 2011-12-06 2011-12-06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5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16367A1 (en) * 2006-08-05 2019-10-17 Donald F. Lombardi Mason's adjustable chimney-platform arran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16367A1 (en) * 2006-08-05 2019-10-17 Donald F. Lombardi Mason's adjustable chimney-platform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7214B2 (ja) 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輸送フレーム
US20100175951A1 (en) Access apparatus
US20110097156A1 (en) Pipe Laying Apparatus and Method
US98155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arding animals onto a boat
KR101259945B1 (ko) 앵커 체인 스토핑 장치
EP3336041B1 (fr) Systeme de compensation de mouvement d'une charge accrochee a une installation mobile avec verin principal et verin secondaire
KR20130003532U (ko) 벨 마우스 작업용 고정 설치대
US10156080B1 (en) Boat work platform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08082396B (zh) 一种自升式登船梯
KR20130070861A (ko) 접철식 반목
US20180065714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to ocean structures
US6095080A (en) Tilting frame fold away swing boom skiff lift
KR101358216B1 (ko) 핀타입 리프팅프레임 및 핀타입 리프팅프레임을 이용한 데릭 설치 공법
US72965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mooring line of a vessel
JP3201780U (ja) 岸壁又は船舶用簡易梯子
JP7142584B2 (ja) 起倒式マスト構造物
KR101896604B1 (ko) 신축 가능한 체인 연결 장치
KR101516293B1 (ko) 족장 지지대
US4157131A (en) Boat boarding ladder
KR200476263Y1 (ko) 선박의 휴대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543514B1 (ko) 선박용 비상 탈출 장치
FR2685723A1 (fr) Dispositif de stabilisation pour des panneaux de coffrage.
CN210315188U (zh) 一种用于船舶维修的船岸连接桥梁
NL7906629A (nl)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werkzaamheden aan een onder water liggende pijpleiding.
KR20230018078A (ko) 송전선로 현수형 작업용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