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474U - 선체용 파이프모듈 - Google Patents

선체용 파이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474U
KR20130003474U KR2020110010743U KR20110010743U KR20130003474U KR 20130003474 U KR20130003474 U KR 20130003474U KR 2020110010743 U KR2020110010743 U KR 2020110010743U KR 20110010743 U KR20110010743 U KR 20110010743U KR 20130003474 U KR20130003474 U KR 201300034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bolt
hu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365Y1 (ko
Inventor
윤호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36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체용 파이프모듈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내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를 구속하는 유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에는 상기 유볼트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립 오차에 의해 파이프가 서포트의 중심과 어긋나더라도 유볼트를 단순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체용 파이프모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체용 파이프모듈{Pipe module for ship}
본 고안은 선체용 파이프모듈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내부에는 다양한 파이프가 설치되고, 파이프의 종류로는, 물의 이동을 위한 수관, 기름의 이동을 위한 유관, 공기 및 가스의 통로를 위한 가스관 등이 있다.
선박 내의 많은 파이프들은 기관실은 물론 적재적소의 공간에 배열되어 필요에 따라서 사용된다. 선박 내의 파이프 구조물은 선체를 구성하는 격벽에 고정되는데, 파이프는 수직벽을 타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향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수평면을 타고 벽면을 통과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홀은 선박 내에 미리 형성되고, 파이프는 선박의 설계에 따라 정해진 파이프 라인에 배치된다. 이때, 파이프를 선박 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각 선체의 블록 내의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시 현장 설치 에러(error) 즉, 작업 현장의 조립 오차 등에 의해 볼트홀과 파이프의 위치가 어긋남에 따라, 파이프와 볼트홀을 맞추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설치가 용이한 선체용 파이프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는, 선박의 내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를 구속하는 유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에는 상기 유볼트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볼트는 상기 서포트와 너트로 연결되며, 상기 너트와 상기 서포트의 사이에는 와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공은 장변이 상기 파이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파이프모듈.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은 다수의 파이프, 서포트 및 유볼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조립 오차에 의해 파이프가 장공의 중심과 어긋나더라도 유볼트를 단순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파이프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이 선박에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의 상부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이 선박에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의 상부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체용 파이프모듈(100)은 다수의 파이프(110), 서포트(120) 및 유볼트(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선박의 측면), 다수의 파이프(110)는 복수의 블록(10)으로 이루어지는 선박(1)의 내부에 연결된다. 다수의 파이프(110) 각각의 양단부에는 플랜지(미도시)가 구비되어, 볼팅 및 용접 등의 방법으로 블록(10) 들 사이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110)의 밀봉을 위해 플랜지의 사이에는 가스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120)는 선박(1) 내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수평하게 파이프(110)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서포트(120)는 사각형태의 받침대 형상을 이루어 파이프(110)가 바닥면에 뜬 상태가 되게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파이프(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파이프를 가로지른 방향; A방향으로 도시), 서포트(120)에는 파이프(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유볼트(130)가 삽입되도록 장공(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장공(121)은 파이프(110)를 가로지르는 방향(A)으로 연장형성된다. 예를 들어, 장공(121)은 폭에 비하여 길이가 연장형성되어, 폭이 단변을 이루고 길이가 장변을 이루어, 장변이 파이프(110)를 가로지르는 방향(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공(121)에는 유볼트(130)가 삽입되어 파이프(110)의 길이방향(도 3의 B)을 가로질러, 유볼트(130)가 장공(121)내측에서 좌우 이동 및 슬라이딩될 수 있다.
유볼트(130)는 파이프(11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서포트(120)에 연결되어 파이프(110)를 구속한다. 유볼트(130)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양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131)가 결합될 수 있다. 유볼트(130)의 내측 둘레 지름은 구속하고자 하는 파이프(110)의 외경과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일치는 설계상 제조상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는 실질적 일치를 의미하며, 파이프(110)의 상단부 둘레면을 유볼트(130)가 두르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유볼트(130)는 서포트(120)에 너트(131)로 연결되며, 너트(131)와 서포트(120)의 사이에는 와셔(13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볼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너트(131), 와셔(133) 및 장공(121)이 나열되고 장공(121)의 하부에 별도의 너트가 구비되어 유볼트(130)가 서포트(12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와셔(133)는 너트(13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서포트(120)와 유볼트(130) 사이에는 파이프(110)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유볼트(130)는 설계상의 배관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파이프(110)를 두르며 장공(121)을 관통한다.
여기서, 종래 원형의 홀은 유볼트(130)가 현장 설치 에러에 의해 홀에서 벗어나 위치되면, 유볼트(130)가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유볼트(130)가 장공(121)의 중심에서 어느 일측(파이프의 중심축이 치우친 방향)으로 치우쳐도 삽입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서포트를 상부에서 도시함), 장공(121)은 길게 형성되므로, 유볼트(130)를 서포트(120)에 삽입할 때, 파이프(110)의 중심축이 치우친 방향으로 치우쳐 장공(121)에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볼트(130)를 서포트(120)에 끼우기 위해 별도로 보정 등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선체용 파이프모듈
110 : 다수의 파이프
120 : 서포트
121 : 장공
130 : 유볼트
131 : 너트
133 : 와셔

Claims (3)

  1. 선박의 내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를 구속하는 유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에는 상기 유볼트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파이프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볼트는 상기 서포트와 너트로 연결되며, 상기 너트와 상기 서포트의 사이에는 와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파이프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장변이 상기 파이프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파이프모듈.
KR2020110010743U 2011-12-02 2011-12-02 선체용 파이프모듈 KR200468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43U KR200468365Y1 (ko) 2011-12-02 2011-12-02 선체용 파이프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43U KR200468365Y1 (ko) 2011-12-02 2011-12-02 선체용 파이프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74U true KR20130003474U (ko) 2013-06-12
KR200468365Y1 KR200468365Y1 (ko) 2013-08-07

Family

ID=5139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743U KR200468365Y1 (ko) 2011-12-02 2011-12-02 선체용 파이프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6398A (zh) * 2018-10-18 2019-02-22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化工容器内件可偏转安装支座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43U (ko) * 1990-04-26 1992-01-13
KR100547091B1 (ko) * 2003-12-03 2006-01-26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보트용 시트 베이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6398A (zh) * 2018-10-18 2019-02-22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化工容器内件可偏转安装支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365Y1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410B1 (ko) 선박에 설치되는 가스관의 격벽 관통 구조
KR101538510B1 (ko) 선박용 연료가스 이중배관
US9360136B2 (en) Double hangar
KR200468365Y1 (ko) 선체용 파이프모듈
KR101252220B1 (ko) 차량용 탱크의 지지장치
KR101367429B1 (ko) 직접접촉방식의 유류증발방지용 커버구조
KR101110729B1 (ko) 선박
CN204254033U (zh) 一种船用水管吊架结构
JP7088452B2 (ja) 洋上浮体構造物
KR101657778B1 (ko) 앵커 체인 세척 노즐 마운팅 지그
US201301393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able and conduit
KR20140003489U (ko) 선박의 배관 플랜지 전용 서포트 클램프
KR20130000680U (ko) 이중 배관 장치
KR102375318B1 (ko) 잠수함용 납 발라스트 장치
KR20190070307A (ko)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
KR101284854B1 (ko) 선체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KR200488025Y1 (ko) 선박용 조명장치
KR20140000315U (ko) 선박용 배관고정장치
CN203797162U (zh)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KR20130004716A (ko) 부유식 안벽
KR20140000686U (ko) 핸드레일 조명기구용 결합장치
KR20130007193U (ko) 멀티 파이프 지지구용 임시 고정구
KR20150000771U (ko) 해양구조물의 파이프 설치 조립체
KR20230048781A (ko) 배관용 구속장치
KR20180061931A (ko) 와유기 진동 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