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992U - 전자 윤척 - Google Patents

전자 윤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992U
KR20130002992U KR2020110010003U KR20110010003U KR20130002992U KR 20130002992 U KR20130002992 U KR 20130002992U KR 2020110010003 U KR2020110010003 U KR 2020110010003U KR 20110010003 U KR20110010003 U KR 20110010003U KR 20130002992 U KR20130002992 U KR 201300029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tree
diameter
ar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823Y1 (ko
Inventor
엄대섭
박태산
Original Assignee
엄대섭
박태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대섭, 박태산 filed Critical 엄대섭
Priority to KR2020110010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82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8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01B3/205Slide gauges provided with a counter for digital indication of the measured dime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40Caliper-like sensors
    • G01B2210/44Caliper-like sensors with detectors on both sides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무의 지름을 전자적으로 측정하는 윤척(輪尺,calipers)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정각이 결합된 제1 본체에 유동각이 결합된 제2 본체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구비하여 나무의 지름을 전자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고, 고정각이 결합된 본체에 GPS 수신부를 구비하여 측정대상 나무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무의 지름과 위치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자적으로 측정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윤척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나무의 외주연 일측과 맞닿는 고정각이 결합된 제1 본체와, 제1 본체 내측에 나선형으로 감기고 일측 단부가 제1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스케일과, 고정각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나무의 외주연 타측과 맞닿는 유동각이 결합되고 스케일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제1 본체는 상기 제2 본체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측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나무의 지름을 전자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을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자 윤척{Electronic callipers}
본 고안은 나무의 지름을 전자적으로 측정하는 윤척(輪尺,calipers)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정각이 결합된 제1 본체에 유동각이 결합된 제2 본체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구비하여 나무의 지름을 전자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한 후, 나무의 지름과 관련된 각종 자료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고정각이 결합된 본체에 GPS 수신부를 구비하여 측정대상 나무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무의 지름과 위치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자적으로 측정하고 나무의 지름과 관련된 필요한 자료를 변환,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윤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림자원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행할 시에는 지형도, 임상도, 항공사진 및 줄자, 직경테이프, 윤척(輪尺,calipers) 등의 산림조사에 필요한 장비를 휴대하여 현장을 방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산림조사에 필요한 장비에 있어서 윤척은 임목(林木,forest tree)의 지름을 측정하는 기구 중의 하나로서, 종래의 윤척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이 표시된 척도(尺度, scale:3)와, 척도(3)의 일단에 고정된 고정각(固定脚, fixed arm:1)과, 척도(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는 유동각(遊動脚, mobile arm:2)으로 구성된다.
척도(3)와 고정각(1) 및 유동각(2)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윤척은 측정하고자 하는 나무의 흉고부에 윤척의 고정각(1)을 수평으로 되도록 맞대고 유동각(2)을 움직여 임목에 맞닿게 한 후 척도(3)를 읽으면 그 수치가 나무의 지름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윤척은 부피가 크고, 수목병해충 예방이나 치료에 필요한 나무주사 등을 실시할 경우 지름에 해당하는 구멍수를 계산하기 위한 종이 자료를 소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윤척에 대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4342호 '휴대용 윤척'이 안출된 바 있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휴대용 윤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휴대용 윤척은 몸통 내부에 권취되어 외부로 인출된 후 내부로 인입되는 스케일로 이루어진 줄자에 있어서, 내부에 권취된 상기 스케일(11)이 관통되도록 외주연에 출입구(12)가 형성되며, 상면과 그에 대응되는 하면에는 안내홈(13a)을 갖는 가이드부(13)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가이드(13)에 형성된 안내홈(13a)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0) 및, 상기 안내홈(13a)에 안내 고정되고, 상기 출입구(12)로 관통된 상기 스케일(11)의 일단이 고정된 이동부재(3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이동부재(30)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자석(40)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홈(13a)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이동부재(30)가 상기 자석(40)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이동부재(30)에는 연결끈(50)을 연결하여 휴대하도록 체결공(23)(33)이 형성되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24a)(34a)를 갖는 손잡이(24)(34)가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윤척은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휴대와 이동이 간편하며, 눈금이 표시된 스케일(11)이 본체(10) 내부에 권취되어 있어, 스케일(11)을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큰 직경의 대상물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윤척은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휴대와 이동이 간편하도록 개선하였으나, 고정부재(20)와 이동부재(30)를 분리시켜서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고 스케일(11)의 눈금을 확인한 후, 측정된 수치를 종이 야장(野帳, field note)에 수기로 기록하는 방식이어서, 산림현장 조사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무의 지름을 측정할 시 유연성 재질로 된 스케일이 휘어져 고정부재와 이동부재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됨으로써, 나무 지름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산림조사 현장에서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자료를 수기로 기록하는 방식은 산림정보를 수집하는데 비효율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림조사를 위해 현장을 방문할 시에는 종이 형태의 지도나 나침반을 대신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현장을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찾아가고 있다.
그리고, 산림조사 현장에서는 종이로 된 야장을 대체하여 휴대 단말기에 측정된 자료를 입력하고, 추후 메인 컴퓨터에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여 자료축적 및 통계 처리 등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산림조사 기술체계가 변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나무의 지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자료를 좀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윤척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KR) 등록실용신안공보(Y1) 등록번호 제20-0434342호(2006.12.13) '휴대용 윤척'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나무의 지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지름과 관련된 각종 자료(예:나무주사 천공수 등)를 자체에서 디스플레이하여 현장에서 곧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수집된 측정자료를 좀 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윤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나무의 외주연 일측과 맞닿는 고정각이 결합된 제1 본체와, 제1 본체 내측에 나선형으로 감기고 일측 단부가 제1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스케일과, 고정각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나무의 외주연 타측과 맞닿는 유동각이 결합되고 스케일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제1 본체는 상기 제2 본체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측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나무의 지름을 전자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제1 본체는 지름이 측정된 나무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제1 본체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측정값 또는 GPS 수신부에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삭제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감지부는 제2 본체를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발진부와, 제2 본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레이저빔을 검출하는 레이저수신부와, 레이저빔이 제2 본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계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은 일측 단부가 제1 본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제2 본체에 결합되며, 제1 본체로부터 제2 본체를 이동시킴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면서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가이드바는 지름이 가장 큰 외관의 내부에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하나 이상의 내관이 결합되고, 외관의 일측 단부는 제1 본체에 결합되고, 외관의 내부에 결합되는 수개의 내관 중 지름이 가장 작은 내관의 일측 단부는 제2 본체에 결합되어 제1 본체로부터 제2 본체를 이동시킴에 따라 외관의 내부에서 지름이 가장 작은 내관부터 인출입되어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고정각은 고정본체에 결합되는 제1 아암과, 제1 아암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아암으로 구성되고, 유동각은 유동본체에 결합되는 제2 아암과, 제2 아암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아암으로 구성되어, 고정각과 유동각의 길이를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고정각의 제1 아암과 유동각의 제2 아암은 제1 본체와 제2 본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의하면, 고정각이 결합된 제1 본체에 감지부를 구비하여 유동각이 결합된 제2 본체의 이동거리를 전자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나무의 지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고, 고정각이 결합된 제1 본체에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구비하여 측정대상 나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저장할 수 있고, 나무의 지름과 관련된 각종 자료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림조사작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이드바가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지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각 일면에 나란히 결합된 고정각과 유동각이 평행하게 유지되어 나무의 지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고정각을 제1 본체에 결합되는 제1 아암과, 제1 아암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아암으로 구성하고, 유동각(21)을 제2 본체에 결합되는 제2 아암과, 제2 아암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아암으로 구성하여, 고정각과 유동각의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전자 윤척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윤척을 보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다른 휴대용 윤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을 보인 블럭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의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수목병해충 방제에 필요한 자료를 예시한 도면.
본 고안의 전자 윤척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것인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참고로, 제1, 제2, A, B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으며,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또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전자 윤척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 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윤척은 고정각(11)이 결합된 제1 본체(10)에 유동각(21)이 결합된 제2 본체(20)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100)를 구비하여 나무의 지름을 전자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고, 고정각(11)이 결합된 제1 본체(10)에 GPS 수신부(140)를 구비하여 측정대상 나무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무의 지름과 위치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자적으로 측정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을 보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의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고안의 전자 윤척은 나무의 외주연 일측과 맞닿는 고정각(11)이 결합된 제1 본체(10)와, 제1 본체(10) 내측에 나선형으로 감기고 일측 단부가 제1 본체(1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스케일(30)과, 고정각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나무의 외주연 타측과 맞닿는 유동각(21)이 결합되고 스케일(3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는 제2 본체(20)를 포함하며, 제1 본체(10)는 상기 제2 본체(20)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100)와, 감지부(1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110)와, 제어부(110)에서 전달되는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제어부(110)에서 전달되는 측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30)를 포함하여 나무의 지름을 전자적으로 측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제1 본체(10)는 지름이 측정된 나무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GPS 수신부(140)가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제1 본체(1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측정값 또는 GPS 수신부(140)에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하거나 삭제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입력부(150)가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감지부(100)는 제2 본체(20)를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발진부(101)와, 제2 본체(20)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레이저빔을 검출하는 레이저수신부(102)와, 레이저빔이 제2 본체(20)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계수부(103)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은 일측 단부가 제1 본체(1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제2 본체(20)에 결합되며, 제1 본체(10)로부터 제2 본체(20)를 이동시킴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면서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이드바(40)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바(40)는 지름이 가장 큰 외관(41)의 내부에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하나 이상의 내관(42)(43)이 인출입식 안테나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외관(41)의 일측 단부는 제1 본체(10)에 결합되고, 외관(41)의 내부에 결합되는 수개의 내관(42)(43) 중 지름이 가장 작은 내관(43)의 일측 단부는 제2 본체(2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가이드바(40)는 제1 본체(10)로부터 제2 본체(20)를 이동시킴에 따라 외관(41)의 내부에서 지름이 가장 작은 내관(43)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바(40)의 외주면에는 눈금을 표시하여 나무의 직경을 보조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가이드바(40)에 표시되는 눈금은 지름이 가장 작은 내관(43)에서 지름이 가장 큰 외관(41) 방향으로 읽을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바(40)는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맞닿게 되면 제1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지름이 가장 큰 외관(41)의 내부에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하나 이상의 내관(42)(43)이 인출입식 안테나 형태로 인입되고, 내관(42)(43)이 인입된 외관(41)은 제1 본체(10) 내측에 인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바(40)는 금속재 또는 경질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무의 직경을 측정하기 위해 제1 본체(10)로부터 멀어지도록 제2 본체(20)를 이동시킬 시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를 지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바(40)가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를 지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의 각 일면에 나란히 결합된 고정각(11)과 유동각(21)이 평행하게 유지되어 나무의 지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에 있어서, 고정각(11)은 제1 본체(10)에 결합되는 제1 아암(11a)과, 제1 아암(11a)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아암(11b)(11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동각(21)은 제2 본체(20)에 결합되는 제2 아암(21a)과, 제2 아암(21a)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아암(21b)(21c)으로 구성되어, 고정각(11)과 유동각(21)의 길이를 늘리고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고정각(11)을 구성하는 제1 아암(11a)과 제1 보조아암(11b)(11c)의 결합구조와, 유동각(12)을 구성하는 제2 아암(21a)과 제2 보조아암(21b)(21c)의 결합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될 고정각(11)과 유동각(21)에 형성되는 각 안내돌기와 각 안내홈은 유사한 구성요소이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각(11)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제1 본체(10)에 결합되는 제1 아암(11a)의 일면에는 안내돌기(12)가 제1 아암(11a)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1 보조아암(11b)의 일면에는 제1 아암(11a)의 안내돌기(12)가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어 걸림되는 안내홈(13)이 제1 보조아암(11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보조아암(11b)의 타면에는 안내돌기(12)가 제1 보조아암(11b)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다른 제1 보조아암(11c)의 일면에는 제1 보조아암(11b)의 안내돌기(12)가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어 걸림되는 안내홈(13)이 다른 제1 보조아암(11c)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아암(11a)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제1 보조아암(11b)(11c)들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됨으로써, 고정각(11)의 길이를 늘이고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동각(21)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제2 본체(20)에 결합되는 제2 아암(11a)의 일면에는 안내돌기(12)가 제2 아암(21a)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2 보조아암(21b)의 일면에는 제2 아암(21a)의 안내돌기(12)가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어 걸림되는 안내홈(13)이 제1 보조아암(21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보조아암(21b)의 타면에는 안내돌기(12)가 제2 보조아암(21b)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다른 제2 보조아암(21c)의 일면에는 제2 보조아암(21b)의 안내돌기(12)가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어 걸림되는 안내홈(23)이 다른 제1 보조아암(21c)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아암(21a)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아암(21b)(21c)들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됨으로써, 유동각(21)의 길이를 늘이고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안내돌기(12)와 안내홈(13)의 형상은 고정각(11)과 유동각(21)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고정각(11)과 이동각(21)에 있어서, 제1 아암(11a)과 제2 아암(21a)은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에 착탈가능토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본체(10) 및 제2 본체(20)에 T형 홈을 각각 형성하고, 제1 아암(11a)과 제2 아암(21a)의 일단에는 T형 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제1 아암(11a)과 제2 아암(21a)을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아암(11a)과 제2 아암(21a)에 결합되는 각 제1 보조아암(11b)(11c)과 각 제2 보조아암(21b)(21c)은 힌지방식으로 결합하여 절첩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을 이하 작동과정과 함께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산림조사를 위해 현장을 방문할 시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과 함께 산림조사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휴대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은 제1 본체(10)와 제2 본체(20)의 마주보는 각 면이 맞닿도록 한 후, 고정각(11)의 제1 아암(11a)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보조아암(11b)(11c)들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접고, 유동각(21)의 제2 아암(21a)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보조아암(21b)(21c)들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접게 되면 고정각(11)과 유동각(21)의 부피가 최소화 되어 전자 윤척의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피가 최소화된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을 간편히 휴대하고 산림조사현장에 도착하여 나무의 지름을 측정할 시에는 고정각(11)의 제1 아암(11a)에서 제1 보조아암(11b)(11c)들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펼치고, 유동각(21)의 제2 아암(21a)에서 제2 보조아암(21b)(21c)들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펼친다.
그리고, 고정각(11)과 유동각(12)이 평행한 상태로 벌어지도록 제1 본체(10)로부터 제2 본체(20)를 이동시킨 후, 고정각(11)을 나무의 외주연 일측에 맞대고 유동각(12)이 나무의 외주연 타측에 맞닿도록 제2 본체(2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각(11)과 유동각(12)을 평행한 상태로 벌어지도록 하여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게 되는바, 나무의 지름은 산림현황 조사자가 스케일(30)의 눈금을 확인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가이드바(40)에 표시된 눈금을 확인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은 입력부(150)의 거리측정 또는 측정종목 버튼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나무의 지름이나 이와 연관된 자료를 전자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림현황 조사자가 전자 윤척의 전원스위치를 켜고, 입력부(150)의 거리측정 버튼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제어부(110)는 감지부(100)에 측정신호를 전달하고, 측정신호를 전달받은 감지부(100)는 레이저발진부(101)에서 레이저빔을 제2 본체(20)에 발사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본체(20)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레이저빔을 레이저수신부(102)에서 검출하고, 계수부(103)에서 레이저빔이 제2 본체(20)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산출된 나무의 지름에 대한 측정값은 제어부(110)로 전달되고 제어부(110)는 측정값을 측정종목에서 요구하는 자료(나무 직경에 따른 구멍의 천공수 등)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GPS 수신부(140)는 지름이 측정된 나무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제어부(110)는 나무의 위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나무의 위치 데이터(예:위도와 경도)는 도쿄좌표체계 또는 WGS 84좌표체계로 표시될 수 있으며, 위경도 좌표 또는 TM 좌표 등 입력부(150)에서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여 필요한 좌표값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무의 지름과 나무의 위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면 조사자는 입력부(150)에 구비될 수 있는 저장 버튼을 작동시켜 제어부(110)로 저장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저장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10)는 나무의 지름에 대한 측정값과 나무의 위치 데이터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나무의 지름에 대한 측정값과 나무의 위치 데이터는 내장메모리(EEPROM, DRAM) 또는 SD카드(Secure Digital Card), USB 플래시 드라이브(USB flash drive) 등의 외장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나무의 지름과 위치 데이터는 전자 야장이나 휴대용 노트북에 연결하여 산림현황 조사현장에서 바로 처리하여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도 있고, 차후 주컴퓨터와 연결하여 산림통계 처리 등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은 나무의 수종과 수고 등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필요한 사항을 선택하여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을 입력부(150)에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나무의 지름이 측정되면 제어부(110)와 연동되어 수목병해충 방제에 필요한 자료가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종목 선택버튼(예:직경측정, 소나무 재선충병 나무주사, 솔껍질 깍지벌레 나무주사 등)을 소나무 재선충병에 맞추고, 나무의 직경을 측정하면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나무의 지름에 따라 필요한 구멍의 천공수가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어 작업자는 확실하게 방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윤척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본체(10)에서 스케일(30)을 제거한 상태의 구성으로도 나무의 지름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며, 스케일(30)을 결합하여 구성할 시에는 스케일(30) 표면에 나무주사 천공 및 약제주입 기준표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윤척은 고정각(11)이 결합된 제1 본체(10)에 감지부(100)를 구비하여 유동각(21)이 결합된 제2 본체(20)의 이동거리를 전자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나무의 지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각(11)이 결합된 제1 본체(10)에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40)를 구비하여 측정대상 나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림조사작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제1 본체, 11:고정각, 11a:제1 아암(arm), 11b,11c:제1 보조아암
12:안내돌기, 13:안내홈
20:제2 본체, 21:유동각, 21a:제1 아암(arm), 21b,21c:제1 보조아암
30:스케일
40:가이드바, 41:외관, 42,43:내관
100:감지부, 101:레이저발진부, 102:레이저수신부, 103:계수부
110:제어부
120:디스플레이부
130:메모리부
140:GPS 수신부
150:입력부

Claims (8)

  1. 나무의 외주연 일측과 맞닿는 고정각이 결합된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 내측에 나선형으로 감기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스케일과;
    상기 고정각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나무의 외주연 타측과 맞닿는 유동각이 결합되고 상기 스케일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는 상기 제2 본체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측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나무의 지름을 전자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는 지름이 측정된 나무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측정값 또는 상기 GPS 수신부에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삭제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본체를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발진부와,
    상기 제2 본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레이저빔을 검출하는 레이저수신부와,
    레이저빔이 상기 제2 본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계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
  5.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제2 본체를 이동시킴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면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지름이 가장 큰 외관의 내부에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하나 이상의 내관이 결합되고, 상기 외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외관의 내부에 결합되는 수개의 내관 중 지름이 가장 작은 내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제2 본체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외관의 내부에서 상기 지름이 가장 작은 내관부터 인출입되어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각은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되는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아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각은 상기 제2 본체에 결합되는 제2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아암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각과 상기 유동각의 길이를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각의 제1 아암과 상기 유동각의 제2 아암은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윤척.
KR2020110010003U 2011-11-11 2011-11-11 전자 윤척 KR200469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003U KR200469823Y1 (ko) 2011-11-11 2011-11-11 전자 윤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003U KR200469823Y1 (ko) 2011-11-11 2011-11-11 전자 윤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92U true KR20130002992U (ko) 2013-05-22
KR200469823Y1 KR200469823Y1 (ko) 2013-11-14

Family

ID=5074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003U KR200469823Y1 (ko) 2011-11-11 2011-11-11 전자 윤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8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148A (ko) 2015-09-07 2017-03-15 장천덕 트리캘리퍼스
KR101871331B1 (ko) * 2017-07-11 2018-06-27 이재면 다기능 윤척
CN114518191A (zh) * 2021-12-30 2022-05-20 山东省计量科学研究院 基于超声纵波反射技术的非介入式管道压力测量的夹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870U (ko) * 1997-07-09 1999-02-05 박병재 절첩식 거리 측정자
JP2003014441A (ja) * 2001-07-03 2003-01-15 Tsubakimoto Chain Co 摩耗測定具
JP2003294402A (ja) * 2002-03-29 2003-10-15 Masahiko Chishina 外径測定装置及び材積測定装置
KR200434342Y1 (ko) * 2006-09-14 2006-12-19 박성주 휴대용 윤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148A (ko) 2015-09-07 2017-03-15 장천덕 트리캘리퍼스
KR101871331B1 (ko) * 2017-07-11 2018-06-27 이재면 다기능 윤척
CN114518191A (zh) * 2021-12-30 2022-05-20 山东省计量科学研究院 基于超声纵波反射技术的非介入式管道压力测量的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823Y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4567B2 (ja) 長さ測定装置及び長さ測定システム
US20130002854A1 (en) Mark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including optical flow-based dead reckoning features
US20110117272A1 (en) Marking device with transmitter for triangulating location during locate operations
ES2616447T3 (es) Toma de datos de sensor
WO2015189846A1 (en) Rfid reader and antenna system for locating items using a mobile device
US9212889B2 (en) Apparatus for pointing spatial coordinates, comprising a movable hand-held probe and a portable base unit, and a related method
US9036454B2 (en) Handheld forestry device
KR200469823Y1 (ko) 전자 윤척
US11506499B2 (en) Determining of absolute altitudes of floors of a structure
US20150308861A1 (en) Wireless position sensing using magnetic field of two transmitters
RU2008151053A (ru) Детектор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и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скрытых объектов в исследуемом объекте
CN102506719A (zh) 一种用于树木高度测量的测高仪
AU2012250766A1 (en) Mark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including optical flow-based dead reckoning features
US20220136821A1 (en) Dual laser measurement device and online ordering system using the same
JP4614685B2 (ja) 手持ち式光電測距装置
CN108225199A (zh) 数字无线测隙规
US11187803B1 (en) Laser distance measurement device
US20210383488A1 (en) Dual laser measurement device and online orde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192374B1 (ko)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FI3256851T3 (fi) Järjestelmä, menetelmä ja laite kairausrei'issä esiintyvien rakenteellisten piirteiden sijoittumisen määrittämiseksi
TWI762924B (zh) 量測裝置
EP3001145A1 (en) Inertial object dimensioning
JP2018081044A (ja) 長さ測定装置
JP6258730B2 (ja) 測量装置
WO2017198187A1 (zh) 在目标空间中对目标物体进行定位的方法及测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