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374B1 -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374B1
KR102192374B1 KR1020190030820A KR20190030820A KR102192374B1 KR 102192374 B1 KR102192374 B1 KR 102192374B1 KR 1020190030820 A KR1020190030820 A KR 1020190030820A KR 20190030820 A KR20190030820 A KR 20190030820A KR 102192374 B1 KR102192374 B1 KR 10219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height
weight
growth
smart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066A (ko
Inventor
박상혁
Original Assignee
박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혁 filed Critical 박상혁
Priority to KR102019003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37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은, 측정 대상 아동의 체중을 측정하여 디지털 값으로 표시하는 스마트 체중계와; 내장된 주파수 방출센서를 통해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고, 스마트 체중계 측으로부터 되돌아오는 감응 신호를 수신하여 아동의 신장을 측정하며, 측정한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컨과; 주파수 방출센서로부터의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감응센서; 및 비컨으로부터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해당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와, 누적된 신장 및 체중 측정값을 바탕으로 한 신장 및 체중의 변화를 보여주는 성장 그래프 및 체중 그래프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체중계와 비컨 및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아동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측정된 아동의 신장 및 체중과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아동의 성장과 발육의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state of growth and development in child using smart scale}
본 발명은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 체중계와 비컨 및 사용자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아동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함으로써, 아동의 성장 및 발육의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는 추세에 따라, 사람들의 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신장과 체중은 신체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키는 신장계(신장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신장계는 발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할 수 있게 마련된 신장 측정기를 구비하고 있다. 신장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몸을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신장 측정기를 사용자의 정수리에 닿도록 위치시킨 후, 신장 측정기가 가리키는 눈금 값을 읽어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게 된다. 사용자의 체중은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체중계는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마련된 발판과,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의 무게를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은 신장계와 체중계의 사용 시 공통점은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측정한다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공통점을 이용하여 키와 몸무게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기들이 선을 보이고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1911호(특허문헌 1)에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에 따르면 기준 높이에서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하여 기준 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 크기를 기준도형크기 DB에 저장하고, 측정 대상자가 체중계(200)에 올라 직립하였을 때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측정 대상자 머리위에 올려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촬영한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준도형(210) 길이 a(x)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그 측정된 기준도형(210) 길이 a(x)와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 크기를 비교하여,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가 있으면 일치된 기준도형(210) 크기의 기준높이가 측정대상자의 신장이 되고,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가 없으면 기준도형(210) 크기의 비율 계산을 통해 측정 대상자의 신장을 계산하여 계산된 신장을 신장체중DB에 저장한다. 또한, 체중계(200)의 체중표시부(220)에 표시된 체중을 카메라 (110)로 촬영하여 체중을 읽거나, 스마트폰의 입력부(140)로부터 체중을 입력받아 체중을 신장체중 DB에 저장하고, 신장체중 DB의 측정 대상자명, 생년월일, 측정일, 신장, 체중, 체지방 지수를 작성하여 신장, 체중, 체지방 지수에 대해 시간 흐름에 따른 시계열 분석 도표를 작성함으로써 측정 대상자의 신장, 체중, 체지방 지수 등 건강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체중계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고, 그와 관련하여 체지방 지수까지 포함시킨 시계열 분석 도표를 작성함으로써 건강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신장 측정 메커니즘이 스마트폰(100)을 측정 대상자 머리위에 올려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촬영한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준도형(210) 길이 a(x)를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 크기를 비교하여,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가 있으면 일치된 기준도형 (210) 크기의 기준 높이를 측정대상자의 신장으로 계산하고,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가 없으면 기준도형(210) 크기의 비율 계산을 통해 측정 대상자의 신장을 계산하도록 되어 있어, 스마트폰(100)을 측정 대상자 머리위에 올려서 체중계(200)에 마련되어 있는 기준도형(210)을 촬영하기가 쉽지 않고, 설령 촬영한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촬영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측정값에 대한 정확도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1911호(2017.08.1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체중계와 비컨 및 사용자 단말기를 하나의 연동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이를 이용하여 아동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아동의 성장과 발육의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은,
측정 대상 아동이 체중계의 디딤판 위에 올라섰을 때, 아동의 체중을 측정하여 디지털 값으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스마트 체중계와;
그 일측 단부에는 아동의 신장 측정 관련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주파수 방출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비컨 기능 온/오프 (ON/OFF)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 체중계에 측정 대상 아동이 올라섰을 때, 측정 수행자에 의해 아동의 정수리 부분에서 상기 비컨 기능 온/오프 스위치를 온 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방출센서를 통해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신호에 대해 상기 스마트 체중계 측으로부터 되돌아오는 감응 신호를 수신하여 아동의 신장을 측정하며, 측정한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컨과;
상기 스마트 체중계의 특정 부위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비컨에 설치되어 있는 주파수 방출센서로부터 발생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감응센서; 및
상기 비컨으로부터 임의의 아동에 대해 측정한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해당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와, 누적된 신장 및 체중 측정값을 바탕으로 한 신장 및 체중의 변화를 보여주는 성장 그래프 및 체중 그래프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체중계에는 상기 비컨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컨의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아동의 머리 사이즈, 허리 둘레, 가슴 둘레 등을 측정하기 위한 줄자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줄자는 손으로 잡아당기면 비컨의 몸체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인출되고, 잡아당긴 손을 놓으면 비컨의 몸체 내부로 자동으로 감겨 들어가는 태엽식 줄자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감응센서는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의 4개의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3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비컨으로부터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그와 관련하여 신장 및 체중의 변화를 보여주는 성장 그래프 및 체중 그래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앱(application)이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앱은 아동의 신장뿐만 아니라 아동의 머리 사이즈, 허리 둘레, 가슴 둘레 등 아동 신체의 세부 사이즈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앱은 아동의 신체 사이즈와 온라인 상의 의류판매 정보를 접목하여 아동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한 옷을 추천해주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은 아동의 신장 및 체중의 측정일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아동의 사진을 시기별로 소팅(sorting)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는 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체중계와 비컨 및 사용자 단말기를 하나의 연동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이를 이용하여 아동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측정된 아동의 신장 및 체중과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아동의 성장과 발육의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의 비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의 스마트 체중계와 비컨을 이용하여 아동의 신장을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와, 신체의 세부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300)은 스마트 체중계(310), 비컨(320),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 및 사용자 단말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 체중계(310)는 측정 대상 아동이 체중계의 디딤판 위에 올라섰을 때, 아동의 체중을 측정하여 디지털 값으로 표시부(313)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스마트 체중계(310)에는 후술하는 비컨(32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3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스마트 체중계(310)에는 후술하는 비컨(320)의 보관을 위한 비컨 보관소(310k)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체중계(310)에 비컨 보관소(310k)를 마련하는 것은 비컨(320)을 별도로 보관할 경우 분실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상과 같은 스마트 체중계(310)로는 일반적인 디지털 체중계가 사용될 수 있다.
비컨(320)은 그 일측 단부에는 아동의 신장 측정 관련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주파수 방출센서(323)가 내장되어 있고,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비컨 기능 온/오프(ON/OFF) 스위치(32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 체중계(310)에 측정 대상 아동이 올라섰을 때, 측정 수행자(예컨대, 아이의 부모)에 의해 아동의 정수리 부분에서 상기 비컨 기능 온/오프 스위치(322)를 온(ON) 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방출센서(323)를 통해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신호에 대해 상기 스마트 체중계(310)의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로부터 되돌아오는 감응 신호를 수신하여 아동의 신장을 측정하며, 측정한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기(34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비컨(320)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는 상기 스마트 체중계(310)의 특정 부위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비컨(320)에 설치되어 있는 주파수 방출센서(323)로부터 발생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310)의 4개의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3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체중계(310)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가 각각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사용자 단말기(340)는 상기 비컨(320)으로부터 임의의 아동에 대해 측정한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해당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와, 누적된 신장 및 체중 측정값을 바탕으로 한 신장 및 체중의 변화를 보여주는 성장 그래프 및 체중 그래프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 (340)로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340)에는 상기 비컨(320)으로부터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그와 관련하여 신장 및 체중의 변화를 보여주는 성장 그래프 및 체중 그래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앱(application)이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앱은 아동의 신장뿐만 아니라 아동의 머리 사이즈, 허리 둘레, 가슴 둘레 등 아동 신체의 세부 사이즈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앱은 아동의 신체 사이즈와 온라인 상의 의류판매 정보를 접목하여 아동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한 옷을 추천해주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은 아동의 신장 및 체중의 측정일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기(340)의 메모리(344)에 저장되어 있는 아동의 사진을 시기별로 소팅(sorting)하여 사용자 단말기(340)의 화면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340)의 메모리(34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예컨대, 아동의 부모)는 이 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를 근거로 아동의 측정된 신장 및 체중 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 아동의 성장 및 발육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 참조번호 311은 무게 감지 센서(312)에 의해 감지된 신호(아날로그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313)를 통해 표시하는 스마트 체중계의 제어부를 나타내고, 341은 비컨(320)으로부터 통신 모듈(343)을 통해 수신한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처리하고, 입/출력부(342)를 통해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의 비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컨(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필기구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그 일측 단부는 경사면을 갖는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경사면 단부의 내부에는 주파수 방출센서(323)가 설치된다. 또한, 경사면 단부의 후방의 몸체에는 비컨 기능 온/오프(ON/OFF) 스위치(322)가 마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컨(320)의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신장 및 체중 측정 대상 아동의 머리 사이즈(머리 둘레), 허리 둘레, 가슴 둘레 등을 측정하기 위한 줄자(320s)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줄자(320s)는 손으로 잡아당기면 비컨(320)의 몸체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인출되고, 잡아당긴 손을 놓으면 비컨(320)의 몸체 내부로 자동으로 감겨 들어가는 태엽식 줄자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비컨(320)의 몸체 내부에는 상기 주파수 방출센서(323)로부터 발생한 신호에 대해 상기 스마트 체중계(310)에 설치되어 있는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로부터 되돌아오는 감응 신호를 수신하여 아동의 신장을 측정하는 제어부(321)와, 제어부(321)에 의해 측정된 아동의 신장 정보(데이터)와 스마트 체중계(310)로부터 수신한 체중 정보(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40)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324)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의 스마트 체중계와 비컨을 이용하여 아동의 신장을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 체중계(310)에 측정 대상 아동이 올라섰을 때, 스마트 체중계(310)의 무게 감지 센서(312)는 무게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스마트 체중계(310)의 제어부(311)는 무게 감지 센서(312)에 의해 감지된 신호(아날로그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313)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스마트 체중계(310)에 측정 대상 아동이 올라섰을 때, 측정 수행자(예컨대, 아이의 부모)에 의해 아동의 정수리 부분에서 비컨(320)의 비컨 기능 온/오프 스위치(322)를 온(ON)한다. 그러면, 비컨(320)의 주파수 방출센서(323)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고, 스마트 체중계(310)의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는 주파수 방출센서(323)로부터 발생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비컨(320)의 제어부(321)는 상기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로부터 되돌아오는 감응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신장을 연산하여 아동의 신장에 대한 측정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아동의 신장에 대한 측정값을 산출하는 것에 대해 부연 설명해 보기로 한다.
제어부(321)는 상기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로부터 되돌아오는 감응 신호(예를 들면 4개의 감응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선 아동의 정수리로부터 4개의 각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까지의 거리, 예컨대, 이를 d1, d2, d3, d4라 하면, 이 d1, d2, d3, d4를 각각 산출한다. 그런 후, 산출된 4개의 각 거리 d1, d2, d3, d4의 평균거리(이를 'da'라 한다)를 구한다. 이와 같이 평균거리를 구하는 것은 각 주파수 감응센서(330a∼330d)로부터 아동의 정수리 부분까지의 거리 산출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평균거리, da는 다음의 수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9027786699-pat00001
이렇게 하여 평균거리 da가 구해지면(이때, 이 da는 곧 임의의 주파수 감응센서(예를 들면, 330a)와,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의 중심점 및 아동의 정수리 부분의 3점으로 이루어지는 직각 삼각형의 대각선의 길이에 해당한다), 임의의 주파수 감응센서(330a)로부터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310)의 중심점까지의 거리(이를 'dc'라 한다)를 구한다.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310)의 가로의 길이를 A라하고, 세로의 길이를 B라하면, 임의의 주파수 감응센서(330a)로부터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310)의 중심점까지의 거리 dc는 다음의 수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9027786699-pat00002
이렇게 하여 임의의 주파수 감응센서(330a)로부터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310)의 중심점까지의 거리 dc가 구해지면(이때, dc는 곧 직각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에 해당한다),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310)의 중심점으로부터 아동의 정수리 부분까지의 거리 dh(이는 곧 아동의 신장에 해당하며, 또한 직각 삼각형의 높이에 해당한다)는 다음의 수식 관계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9027786699-pat00003
이상에 의해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310)의 중심점으로부터 아동의 정수리 부분까지의 거리 dh, 즉 아동의 신장이 측정되면, 비컨(320)은 그 측정된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340)의 제어부(341)는 상기 비컨(320)으로부터 임의의 아동에 대해 측정한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통신 모듈(343)을 통해 수신하고, 탑재된 앱을 작동시켜 수신한 해당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와, 누적된 신장 및 체중 측정값을 바탕으로 한 신장 및 체중의 변화를 보여주는 성장 그래프 및 체중 그래프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341)는 앱을 작동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동의 신장뿐만 아니라 아동의 머리 사이즈, 허리 둘레, 가슴 둘레 등 아동 신체의 세부 사이즈에 대한 정보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1)는 상기 앱을 작동시켜 아동의 신체 사이즈와 온라인 상의 의류판매 정보를 접목하여 아동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한 옷을 추천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41)는 상기 앱을 작동시켜 아동의 신장 및 체중의 측정일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기(340)의 메모리(344)에 저장되어 있는 아동의 사진을 시기별로 소팅(sorting)하여 사용자 단말기(340)의 화면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해줄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340)의 메모리(34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예컨대, 아동의 부모)는 이 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를 근거로 아동의 측정된 신장 및 체중 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 아동의 성장 및 발육의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은 스마트 체중계와 비컨 및 사용자 단말기를 하나의 연동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이를 이용하여 아동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측정된 아동의 신장 및 체중과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아동의 성장과 발육의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310: 스마트 체중계 310k: 비컨 보관소
311,321,341: 제어부 312: 무게 감지 센서
313: 표시부 320: 비컨
320s: 줄자 322: 온/오프(ON/OFF) 스위치
323: 주파수 방출센서 324,343: 통신 모듈
330a∼330d: 주파수 감응센서 340: 사용자 단말기
342: 입/출력부 344: 메모리

Claims (10)

  1. 측정 대상 아동이 체중계의 디딤판 위에 올라섰을 때, 아동의 체중을 측정하여 디지털 값으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스마트 체중계와;
    그 일측 단부에는 아동의 신장 측정 관련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주파수 방출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비컨 기능 온/오프 (ON/OFF)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 체중계에 측정 대상 아동이 올라섰을 때, 측정 수행자에 의해 아동의 정수리 부분에서 상기 비컨 기능 온/오프 스위치를 온 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방출센서를 통해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신호에 대해 상기 스마트 체중계 측으로부터 되돌아오는 감응 신호를 수신하여 아동의 신장을 측정하며, 측정한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컨과;
    상기 스마트 체중계의 특정 부위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비컨에 설치되어 있는 주파수 방출센서로부터 발생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감응센서; 및
    상기 비컨으로부터 임의의 아동에 대해 측정한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해당 아동의 신장 및 체중 정보와, 누적된 신장 및 체중 측정값을 바탕으로 한 신장 및 체중의 변화를 보여주는 성장 그래프 및 체중 그래프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체중계에는 상기 비컨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의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아동의 머리 사이즈, 허리 둘레, 가슴 둘레를 측정하기 위한 줄자가 더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줄자는 손으로 잡아당기면 비컨의 몸체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인출되고, 잡아당긴 손을 놓으면 비컨의 몸체 내부로 자동으로 감겨 들어가는 태엽식 줄자의 구조로 구성된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감응센서는 4각형 형태의 스마트 체중계의 4개의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3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비컨으로부터의 신장 및 체중 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그와 관련하여 신장 및 체중의 변화를 보여주는 성장 그래프 및 체중 그래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앱(application)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앱은 아동의 신장뿐만 아니라 아동의 머리 사이즈, 허리 둘레, 가슴 둘레와 같은 아동 신체의 세부 사이즈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앱은 아동의 신체 사이즈와 온라인 상의 의류판매 정보를 접목하여 아동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한 옷을 추천해주는 기능을 더 가지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앱은 아동의 신장 및 체중의 측정일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아동의 사진을 시기별로 소팅(sorting)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더 가지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는 한국 남녀 표준 성장 그래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KR1020190030820A 2019-03-18 2019-03-18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KR102192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20A KR102192374B1 (ko) 2019-03-18 2019-03-18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20A KR102192374B1 (ko) 2019-03-18 2019-03-18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66A KR20200111066A (ko) 2020-09-28
KR102192374B1 true KR102192374B1 (ko) 2020-12-17

Family

ID=7280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20A KR102192374B1 (ko) 2019-03-18 2019-03-18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3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777B1 (ko) * 2020-11-18 2021-12-2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고무시트 잔량 측정기
CN116659638B (zh) * 2023-08-01 2023-10-13 深圳市美孚电子有限公司 一种体重测量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812A (ko) * 2001-09-07 2003-03-15 박영출 Pc연결식 디지털 체중계와 디지털 줄자를 이용한종합신체측정기 및 그 방법
KR20170091911A (ko) 2016-02-02 2017-08-10 정성욱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066A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9334B (zh) 距离测量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323328B1 (ko)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어린이의 성장 상태 측정 시스템
KR102192374B1 (ko)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US9658058B1 (en) Height measuring device
WO2014203433A1 (ja) 機器、及びシステム
CN204909419U (zh) 一种人体生理指标检测装置
CN103630100B (zh) 物体尺寸量测与比对系统及方法
US20160157718A1 (en) Choosing a heart rate monitor for a wearable monitoring device
US20160091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segment parameters of a human body for recording a body mass index
US20160151672A1 (en) Recommending an exercise activity for a user
CN108489585A (zh) 一种智能识别的电子秤
CN111854966A (zh) 温度测量方法、装置、可穿戴设备和介质
CN208012749U (zh) 一种基于脚部形状的智能人体秤
CN112762915B (zh) 指南针精度优化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6355081B2 (ja) 情報処理装置
CN110736961B (zh) 一种树木位置的测量系统及方法
TWI635844B (zh) Vision detecting device and vision detecting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visual target size
KR200469823Y1 (ko) 전자 윤척
CN110113468A (zh) 一种状态检测装置和方法
US9658333B1 (en) Height measuring device
KR102014380B1 (ko) 스마트 체중계
CN104159507B (zh) 晃动检测装置以及晃动检测方法
CN205748267U (zh) 一种智能体积测量装置
KR101355889B1 (ko) 신체 부위 운동 범위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5635584A (zh) 终端拍照方法及装置、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