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380B1 - 스마트 체중계 - Google Patents

스마트 체중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380B1
KR102014380B1 KR1020160072908A KR20160072908A KR102014380B1 KR 102014380 B1 KR102014380 B1 KR 102014380B1 KR 1020160072908 A KR1020160072908 A KR 1020160072908A KR 20160072908 A KR20160072908 A KR 20160072908A KR 102014380 B1 KR102014380 B1 KR 102014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ser
weight
stick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521A (ko
Inventor
최경묵
Original Assignee
최경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묵 filed Critical 최경묵
Priority to KR1020160072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8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측정 수단을 갖는 몸무게 측정부와, 측정된 사용자의 몸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체중계 본체; 및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한 키 스틱(tall stick)을 갖는 스마트 체중계에 있어서, 상기 체중계 본체는 상기 키 스틱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키 스틱 거치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측정 거리 수신부; 및 상기 측정 거리 수신부에 저장되는 값을 이용해 사용자의 키 값을 계산하는 측정 키 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 스틱은 상기 키 스틱의 수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 확인 센서; 측정원(measurement source)을 이용해 상기 키 스틱과 대상 물체간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확인 센서; 및 상기 거리 확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키 스틱과 대상 물체간 이격된 거리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측정 거리 수신부로 전송하는 측정 거리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체중계{SMART SCALE}
본 발명은 스마트 체중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체중계의 보관이 용이한 스마트 체중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의 몸에 대한 관심도 같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키와 몸무게는 몸 관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키는 신장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신장계는 발판에 수직으로 마련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할 수 있게 마련된 신장 측정기를 갖고 있다.
신장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는 방법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몸을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신장 측정기를 사용자의 정수리에 닿도록 위치시킨 후, 신장 측정기가 가리키는 눈금 값을 읽어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의 체중은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체중계는 사용자가 올라 설 수 있도록 마련된 발판과, 상기 발판에 올라 선 사용자의 무게를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다.
신장계와 체중계 사용시 공통점은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측정한다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공통점을 이용하여 키와 몸무게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키와 몸무게를 동시에 측정하는 기기는 신장계와 체중계를 단순 결합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신장계가 갖는 높이와 무게로 인해 이동 및 보관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체중계의 보관이 용이한 스마트 체중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측정 수단을 갖는 몸무게 측정부와, 측정된 사용자의 몸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체중계 본체; 및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한 키 스틱(tall stick)을 갖는 스마트 체중계에 있어서, 상기 체중계 본체는 상기 키 스틱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키 스틱 거치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측정 거리 수신부; 및 상기 측정 거리 수신부에 저장되는 값을 이용해 사용자의 키 값을 계산하는 측정 키 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 스틱은 상기 키 스틱의 수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 확인 센서; 측정원(measurement source)을 이용해 상기 키 스틱과 대상 물체간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확인 센서; 및 상기 거리 확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키 스틱과 대상 물체간 이격된 거리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측정 거리 수신부로 전송하는 측정 거리 전송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 스틱은 상기 거리 확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키 스틱과 대상 물체간 이격된 거리가 저장되는 측정 키 계산부; 상기 거리 확인 센서를 작동시켜 상기 키 스틱의 기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점 조절 스위치; 및 상기 거리 확인 센서를 작동시켜 상기 키 스틱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키 측정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따. 이 때, 상기 키 계산부는 상기 기준점 조절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측정된 키 스틱의 기준 위치와 상기 키 측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측정된 키 스틱의 이동 위치 간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계산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키 스틱은 상기 수평 확인 센서의 작동을 위한 측정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확인 센서는 상기 수평 확인 센서에 의해 상기 키 스틱의 수평이 확인 된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중계 본체는 평탄한 상면을 갖으며, 상기 거리 확인 센서의 측정원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마련된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이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반사판 이동 홈;을 포함하고, 상기 키 스틱은 상기 거리 확인 센서가 위치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마련된 슬라이딩 홈을 갖는 키 스틱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체중계 본체로부터 인출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 이동 홈은 상기 반사판 이동 홈을 따라 상기 반사판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마련된 한 쌍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반사판의 양 측면을 따라 선정된(predetermined)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오목부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중계 본체는 상기 측정 거리 전송부를 통해 전달받은 사용자의 키 값과, 상기 몸무게 측정부를 이용해 측정한 사용자의 몸무게 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키 값과 상기 몸무게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비만도를 계산한 후 계산된 비만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는 비만도 계산부; 및 상기 체중계 본체의 외면에 마련된 표시값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값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값은 상기 표시값 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무게 측정부는 상기 체중계 본체를 이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마련되며 독립된 무게 측정 수단을 갖는 제1측정부; 및 상기 체중계 본체를 이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측정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며 독립된 무게 측정 수단을 갖는 제2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중계 본체는 상기 제1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몸무게 값과 상기 제2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몸무게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몸무게 균형을 계산하는 균형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균형 판단부는 사용자의 몸무게 균형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중계 본체에 마련된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값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체중계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키 측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른 제한 없이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판의 손상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하여 몸무게와 키를 측정하기만 하면, 비만도도 측정하여 보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몸무게 균형을 쉽게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몸무게 값, 키 값, 비만도, 몸무게 균형을 개인별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측정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체중계에서 체중계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체중계에서 키 스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체중계에서 체중계 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체중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계 본체(110)와 키 스틱(tall stick, 120)을 포함한다.
상기 체중계 본체(110)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몸무게 측정부(111)와, 측정된 사용자의 몸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2)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측정 거리 수신부(미도시)와, 상기 키 스틱(120)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키 스틱 거치부(130)와, 측정 키 계산부(미도시)를 갖고 있다.
상기 몸무게 측정부(111)는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과,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측정 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게 측정 수단은 일반 디지털 체중계에 사용되는 로드셀(load cell)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키 스틱(120)은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 수평 확인 센서(미도시) 및 측정 거리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는 상기 키 스틱(120)과 대상 물체 간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신부(123a)와 수신부(123b)를 갖는다.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는 발신부(123a)로부터 발생한 측정원이 대상 물체에 반사되어 수신부(123b)로 들어오는 시간 및 발신부(123a)로부터 발생한 측정원(measurement source)의 속도를 이용하여 대상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 는 측정원의 종류에 따라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측정 거리 전송부는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에 의해 측정된 대상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체중계 본체(110)의 측정 거리 수신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측정 키 계산부는 상기 측정 거리 수신부에 저장된 값을 이용해 사용자의 키 값을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키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측정 키 계산부는 상기 체중계 본체(110)의 높이를 사전에 입력받아 상기 측정 거리 수신부에 저장된 값에서 상기 체중계 본체의 높이를 뺀 값을 사용자의 키 값으로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 물체는 바닥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것이지만, 체중계(100)가 놓인 바닥 주위에 물건이 놓여있거나, 바닥의 재질이나 형상이 측정원이 반사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대상 물체를 천정(ceiling)으로 하여도 무방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키 스틱(120)은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를 작동시켜 상기 키 스틱(120)의 기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점 조절 스위치(미도시)와,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를 작동시켜 상기 키 스틱(120)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키 측정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정 키 계산부는 상기 기준점 조절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측정된 키 스틱(120)의 기준 위치와 상기 키 측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측정된 키 스틱(120)의 이동 위치 간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계산하도록 마련된다.
즉, 사용자는 키 스틱(120)이 상기 키 스틱 거치부(130)에 놓여있는 상태에서 기준점 조절 스위치를 눌러 상기 키 스틱(120)의 기준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이 후, 사용자는 상기 키 스틱(120)을 머리 위에 올려 놓고 수평을 맞춘 후, 상기 키 측정 스위치를 눌러 상기 키 스틱(120)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측정 키 계산부는 상기 키 스틱(120)의 기준 위치와 상기 키 스틱(120)의 이동 위치의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가 대상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지 여부는 상기 키 스틱(120)의 수평 여부와 관계없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키 스틱(120)이 수평을 이루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가 작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정확한 키 값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상기 수평 확인 센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 스틱(120)의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수평 확인 센서에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머리 위에 키 스틱(120)을 올려 놓은 후 상기 키 스틱(120)의 수평을 맞추게 되므로, 상기 키 스틱(120)의 수평 확인 센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키 스틱(120)이 수평을 이루고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키 스틱(120)에는 상기 수평 확인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통해 상기 키 스틱(120)의 수평이 확인된 경우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는 수평 알람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는 상기 수평 확인 센서에 의해 상기 키 스틱(120)의 수평이 확인 된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서는 측정 값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키 스틱(120)의 수평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수평 확인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의 작동 신호와 연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키 스틱(120)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만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의 측정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키 스틱(120)이 사용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상기 수평 확인 센서가 작동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키 스틱(120)은 상기 수평 확인 센서의 작동을 위한 수평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키 스틱(120)을 머리 위에 놓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상기 수평 확인 센서가 작동하게 된다. 이 후, 상기 키 스틱(120)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면 상기 수평 확인 센서로부터 발생한 신호가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를 작동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키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는 발신부(123a)에서 발신된 측정원이 대상 물체에 반사되어 수신부(123b)로 들어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대상 물체는 발신부(123a)에서 발신된 측정원을 흡수하거나 굴절시키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중계 본체(110)는 병탄한 상면을 갖으며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의 측정원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마련된 반사판(140) 및 상기 반사판(140)이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반사판 이동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키 스틱(120)을 사용자의 머리 위에 수평으로 놓은 상태에서 상기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의 발신부(123a)를 상기 반사판(140)을 향하도록 하게 되면, 상기 발신부(123a)에서 발신된 측정원이 굴절이나 흡수됨 없이 반사판(140)을 통해 반사되게 된다.
또한, 사람의 신체 중 가장 높은 부위는 머리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사람에 따라 배가 나온 체형을 가진 사람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키 스틱(120)은 이러한 조건들을 극복하고 상기 반사판(140)을 향해 측정원을 발신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스틱(120)은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가 위치하는 슬라이더(122) 및 상기 슬라이더(122)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마련된 슬라이딩 홈을 갖는 키 스틱 본체(121)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으로 인하여 상기 키 스틱(120)의 거리 확인 센서(123a, 123b)의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상기 반사판(140)을 인출한 상태에서 키 스틱(120)의 슬라이더(122)를 상기 키 스틱 본체(121)로부터 인출시킴으로써 자신의 키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반사판(140)을 인출 또는 삽입시키는 경우, 반사판(140)이 급격하게 인출되거나 급격하게 삽입되면 반사판(140)의 균형이 무너질 수 있다. 반사판(140)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상기 발신부(123a)에서 발신된 측정원이 다른 방향으로 반사될 가능성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 이동 홈은 한 쌍의 오목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140)은 복수의 볼록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오목부는 상기 반사판(140)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141)들은 상기 반사판(140)의 양 측면을 따라 선정된(predetermined)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볼록부(141) 각각은 상기 오목부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반사판(140)이 상기 반사판 이동 홈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 상기 볼록부(141)가 상기 오목부에 걸리게 되는 구간이 생기게 되므로, 상기 반사판(140)이 급격하게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스마트 체중계(100)로 측정한 사용자의 몸무게와 키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판단하는 데 있어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사용자의 비만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사용자의 비만도는 사용자의 키에 따른 몸무게의 비중을 소정의 계산식에 따라 계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중계 본체(110)는 상기 측정 거리 전송부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키 값과, 상기 몸무게 측정부(111)를 이용해 측정한 사용자의 몸무게 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키 값과 상기 몸무게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비만도를 계산한 후 계산된 비만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는 비만도 계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키 값, 몸무게 값, 비만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2)에 표시되게 되는데, 상기 표시되는 값은 상기 체중계 본체(110)의 외면에 마련된 표시값 전환 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변경된다.
한편, 스마트 체중계(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직립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사용자몸체의 좌우 균형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무게 측정부(111)는 상기 체중계 본체(110)를 이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마련된 제1측정부(111a)와, 상기 체중계 본체(110)를 이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측정부(111a)의 반대측에 마련된 제2측정부(11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정부(111a)와 상기 제2측정부(111b)에는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측정 수단이 각각 별도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체중계 본체(110)에는 상기 제1측정부(111a)로부터 측정된 몸무게 값과 상기 제2측정부(111b)로부터 측정된 몸무게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몸무게 균형을 계산하는 균형 판단부(미도시)가 마련된다.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체중계 본체(110)에 올라서는 경우, 한 쪽 발은 상기 제1측정부(111a)에, 다른 한 쪽 발은 상기 제2측정부(111b)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측정부(111a)와 상기 제2측정부(111b)에는 무게 측정 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111a) 및 상기 제2측정부(111b)에 의해 측정되는 값은 사용자 몸체의 좌우 균형에 따라 각각 달라지게 된다.
이 후, 균형 판단부는 상기 제1측정부(111a)로부터 측정된 값과 상기 제2측정부(111b)로부터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몸무게 균형을 계산하게 되고, 계산된 몸무게 균형 값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사람의 신체 내부에는 장기(organ)들이 비대칭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균형 판단부는 이를 고려하여 소정의 계산식을 이용한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스마트 체중계(100)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몸무게, 키, 비만도, 및 신체 균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측정된 값은 사용자 별로 누적되어 관리되는 것이 개인 신체 변화의 추이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상기 스마트 체중계(100)는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미도시) 및 데이터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부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식별법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또는 고유 단말을 이용한 식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값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시키도록 마련되며, 사용자는 전송된 값들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스마트 체중계 110: 체중계 본체
111: 몸무게 측정부 111a, 111b: 제1측정부, 제2측정부
112: 디스플레이부 120: 키 스틱
121: 키 스틱 본체 122: 슬라이더
123a, 123b: 발신부, 수신부 130: 키 스틱 거치부
140: 반사판 141: 볼록부

Claims (8)

  1.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측정 수단을 갖는 몸무게 측정부와, 측정된 사용자의 몸무게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체중계 본체; 및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한 키 스틱(tall stick)을 갖는 스마트 체중계에 있어서,
    상기 체중계 본체는
    상기 키 스틱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키 스틱 거치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측정 거리 수신부; 및
    상기 측정 거리 수신부에 수신되는 값을 이용해 사용자의 키 값을 계산하는 측정 키 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 스틱은
    상기 키 스틱의 수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 확인 센서;
    측정원(measurement source)을 이용해 상기 키 스틱과 대상 물체간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확인 센서;
    상기 거리 확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키 스틱과 대상 물체간 이격된 거리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측정 거리 수신부로 전송하는 측정 거리 전송부;
    상기 거리 확인 센서를 작동시켜 상기 키 스틱의 기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점 조절 스위치;
    상기 거리 확인 센서를 작동시켜 상기 키 스틱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키 측정 스위치; 및
    상기 수평 확인 센서의 작동을 위한 수평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키 계산부는 상기 기준점 조절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측정된 상기 키 스틱의 기준 위치와 상기 키 측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측정된 상기 키 스틱의 이동 위치 간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 값을 계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거리 확인 센서는 상기 수평 확인 센서에 의해 상기 키 스틱의 수평이 확인된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체중계 본체는
    평탄한 상면을 가지며, 상기 거리 확인 센서의 측정원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마련된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이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반사판 이동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 스틱은
    상기 거리 확인 센서가 위치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마련된 슬라이딩 홈을 갖는 키 스틱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체중계 본체로부터 인출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반사판 이동 홈은
    상기 반사판 이동 홈을 따라 상기 반사판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마련된 한 쌍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반사판의 양 측면을 따라 선정된(predetermined)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오목부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중계 본체는
    상기 측정 키 계산부를 통해 계산한 사용자의 키 값과, 상기 몸무게 측정부를 이용해 측정한 사용자의 몸무게 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키 값과 상기 몸무게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비만도를 계산한 후 계산된 비만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는 비만도 계산부;
    상기 체중계 본체의 외면에 마련된 표시값 전환 스위치; 및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체중계 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값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값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값은 상기 표시값 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변경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몸무게 측정부는
    상기 체중계 본체를 이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마련되며 독립된 무게 측정 수단을 갖는 제1측정부; 및
    상기 체중계 본체를 이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측정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며 독립된 무게 측정 수단을 갖는 제2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중계 본체는
    상기 제1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몸무게 값과 상기 제2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몸무게 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몸무게 균형 값을 계산하는 균형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균형 판단부는 사용자의 몸무게 균형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시키도록 마련된 스마트 체중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72908A 2016-06-13 2016-06-13 스마트 체중계 KR102014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908A KR102014380B1 (ko) 2016-06-13 2016-06-13 스마트 체중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908A KR102014380B1 (ko) 2016-06-13 2016-06-13 스마트 체중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521A KR20170140521A (ko) 2017-12-21
KR102014380B1 true KR102014380B1 (ko) 2019-08-26

Family

ID=6093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908A KR102014380B1 (ko) 2016-06-13 2016-06-13 스마트 체중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72B1 (ko) 2018-05-09 2020-05-29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스마트 체중 측정 및 예측 장치
KR102323328B1 (ko) 2019-09-17 2021-11-09 주식회사 날마다자라는아이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어린이의 성장 상태 측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284B2 (ja) * 1992-06-03 2001-04-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過回転防止装置
JP2007312877A (ja) * 2006-05-24 2007-12-06 Anima Kk 身体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566A (ko) * 2005-12-26 2006-05-10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체질량지수 신장체중계
US20100298708A1 (en) * 2006-12-22 2010-11-25 Weichao Pan Body height meas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284B2 (ja) * 1992-06-03 2001-04-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過回転防止装置
JP2007312877A (ja) * 2006-05-24 2007-12-06 Anima Kk 身体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521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2373B (zh) 一种跳远测试装置及跳远成绩评估装置
CN103300838A (zh) 血压测定装置及其控制方法
US9188472B2 (en) Enhanced reference line tank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6805392B (zh) 拐杖助行器
US9658058B1 (en) Height measuring device
KR100937983B1 (ko) 도화정보에 대한 기준점 대비 지피에스 좌표를 적용하여 정확도를 높인 수치지도 정보 갱신시스템
KR102014380B1 (ko) 스마트 체중계
US98612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bio-impedance data of a person
KR102323328B1 (ko)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어린이의 성장 상태 측정 시스템
CN102878879A (zh) 利用角度进行长度、距离测量的测距尺
CN103228212A (zh) 用于身高测量的装置
KR102008394B1 (ko)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
US201200659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uman height measurement
CN105193197A (zh) 一种检测饮水量的智能水杯
CN113171083A (zh) 一种三维光幕式平衡分析仪及其控制方法
US20170319084A1 (en) Measuring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KR102192374B1 (ko)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US7190439B2 (en) Direct reading stadia rod for use with laser level
CN206208375U (zh) 体重秤
JP2006308301A5 (ko)
US20190360907A1 (en) Multimodal system for estimating the volume and density of a body
US9964400B1 (en) Height measuring device
CN206823120U (zh) 一种跳远测试装置及跳远成绩评估装置
KR102568696B1 (ko) 스마트 신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장 관리 방법
CN205785176U (zh) 高程传递接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2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16

Effective date: 201907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