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394B1 -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394B1
KR102008394B1 KR1020180037946A KR20180037946A KR102008394B1 KR 102008394 B1 KR102008394 B1 KR 102008394B1 KR 1020180037946 A KR1020180037946 A KR 1020180037946A KR 20180037946 A KR20180037946 A KR 20180037946A KR 102008394 B1 KR102008394 B1 KR 102008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marker
sensor
put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336A (ko
Inventor
함준석
Original Assignee
(주)그린컴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컴퍼스 filed Critical (주)그린컴퍼스
Publication of KR20190086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3Golf ball position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2Ultra-soun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9Field sensors, e.g. rada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골프공 마커에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골프공 마커의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가 연습 퍼팅 시 퍼터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퍼터가 공을 타격하였을 시 예상되는 이동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Golf ball marker and providing method of information}
본 발명은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골프공 마커에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골프공 마커의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퍼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공 마커에 관한 것이다.
골프공 마커는 골프장 필드에서 홀컵이 있는 잔디에 골프공을 올려놓는 온그린 상태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해두기 위해 사용하는 기구이다. 이는 다음 차례에 퍼팅을 실시하는 골퍼가 방해받지 않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납작하고 작은 동전 형태로 형성된다.
만약 자신의 퍼팅 순서가 되면, 골프공 마커로 표시한 위치 바로 앞에 골프공을 위치시키고 퍼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골프공 마커는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이 구비되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자신의 골프공 마커가 눈에 잘 보일 수 있도록 화려한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에 더하여 골프공 마커에서 조명이 발광하거나 점등함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자신의 골프공 마커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골프공 마커에 기울기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골프공 마커를 그린 위에 놓게 되면 사용자에게 해당 필드의 위치에서 홀까지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골프공 마커는 그린 위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본연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에는 퍼팅을 실시하기 위해 골프공 마커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제한적이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시하는 자신의 퍼팅 속도, 퍼팅에 의한 예상 이동거리, 풍속, 온도, 습도 및 그린의 스피드 등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퍼팅을 실시하는 데 유용한 정보이지만, 이러한 정보들을 사용자가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경험에 근거하거나 대회 주최 측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퍼팅을 실시하기 전 다양한 정보를 제공 받아 퍼팅을 실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2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골프공 마커의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연습 퍼팅 시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 및 해당 그린의 상태에 따른 스피드 등 퍼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그린에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골프공 마커에 있어서, 마커 본체; 상기 마커 본체의 일측에 내장되어 상기 마커 본체의 주변에서 사용자가 연습 퍼팅 시 퍼터의 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속도 정보를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퍼터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산출된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마커 본체 옆면에서 상기 마커 본체의 윗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윗면의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가 높아지면서 형성된 복수의 센싱통로의 끝단에 각각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마커 본체의 윗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윗면의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가 높아지면서 돌출된 복수의 센싱통로의 끝단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광센서, 마그네틱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부는 주변온도, 잔디의 습기, 길이 및 지반의 다짐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하여 그린 스피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커 본체의 윗면 또는 옆면에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가 구비되어 마커 본체가 지면에 놓일 시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산출부는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미터(m), 피트(ft), 인치(in) 및 야드(y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마커 본체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상기 산출부의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 산출과 산출된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골프공 마커를 그린에 놓고 상기 골프공 마커 주변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할 시 센서부가 사용자의 퍼터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속도 정보를 상기 산출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산출부에서 상기 속도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퍼터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며, 센서부를 작동시킴으로써, 마커 본체 주변에서 사용자가 실시하는 연습 퍼팅에서 퍼터의 속도를 감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기 퍼터의 속도 정보를 산출부로 전달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산출부가 상기 속도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퍼터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의 연습 퍼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마커 본체의 윗면 또는 옆면에 퍼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센서에서 감지한 퍼터의 속도를 기반으로 골프공과 퍼터가 충돌하였을 시 일련의 프로세스에 따라 골프공의 속도 및 이동 예상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골프공 마커의 윗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퍼팅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홀컵에 골프공을 넣기 위한 퍼팅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둘째, 골프공 마커와 퍼터의 위치에 상관없이 연습 퍼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구비된 센서가 윗면 또는 옆면에 구비되어 지면과 경사진 상태에서 퍼터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골프공 마커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할 시에도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골프공 마커에서 퍼터의 속도를 기반으로 골프공과 퍼터가 충돌하였을 시 일련의 프로세스에 따라 골프공의 속도 및 이동 예상 거리를 계산하여 퍼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퍼터를 골프공 마커의 수직인 위치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하여야만 센서가 퍼터를 제대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연습 퍼팅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할 수 있었지만, 이는 사용자가 골프공 마커를 의식하여 연습 퍼팅 시 제대로 된 스윙 폼을 유지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골프공 마커와 퍼터가 일정 거리 서로 이격되어 연습 퍼팅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골프공 마커를 의식하여 스윙 폼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연습 퍼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퍼터에 대해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마커 본체의 옆면을 향하여 센서의 감지가 진행된다. 광센서의 경우, 종래에는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센서의 감지 방향이 설정되었을 시 햇빛이나 기타 광원에 의해 간섭되어 센서에서 사용자가 실시하는 퍼팅을 정확히 감지하는 것에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마커 본체의 옆면 방향으로 센서의 감지 방향이 설정되므로 햇빛이나 기타 광원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센서에서 사용자가 실시하는 퍼팅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가 사용자의 연습 퍼팅 후 퍼터에 의해 공이 타격되었을 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에서 A-A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에서 마커 본체의 윗면을 중심으로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가 소정의 각도로 위치하고 있는 다양한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를 지면에 안착시킨 뒤에 사용자가 퍼터로 연습 퍼팅을 실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골프공 마커에서 B-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도1에 도시된 골프공 마커에서 송신측 센싱통로와 수신측 센싱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마커 본체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마커 본체(1)를 포함한다.
마커 본체(1)는 그린 위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공을 놓을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납작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의 형상뿐만 아니라 납작한 육면체, 사면체, 오면체 및 팔면체 등도 가능하다. 따라서 마커 본체(1)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가 가능하다.
마커 본체(1)에는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퍼터(2)가 공을 타격하였을 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센서부, 산출부(20), 디스플레이부(30), 발광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센서부는 마커 본체(1)에 내장되어 사용자가 마커 본체(1) 주변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할 시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는 마커 본체(1) 옆면에서 마커 본체(1)의 윗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지면을 기준으로 마커 본체(1) 윗면의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가 높아지게 형성된 복수의 센싱통로(60)의 끝단인 센서안착홈(70)에 각각 내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퍼터(2)를 감지하기 위해 발산하여 수신되는 광원 또는 전파는 퍼터(2)를 향해 마커 본체(1)가 도2와 같이 평면도상에 놓일 시 6시 방향 일직선으로 최단거리를 향해 도달한다. 이는 추후 도5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광센서, 마그네틱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산출부(20)는 센서부에서 사용자의 퍼터(2)에 대한 속도를 감지한 속도 정보를 전달받고,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자의 연습 퍼팅 시 퍼터(2)가 공을 타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공이 날아가는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이러한 산출부(20)는 마커 본체(1) 일측에 내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산출부(20)에서 산출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는 마커 본체(1) 윗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실시하기에 따라 옆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공의 예상 이동거리는 사용자의 선택하는 모드에 따라 미터(m), 피트(ft), 야드(yd) 및 인치(in)로 각각 표시하거나 전부 표시할 수 있다.
발광부(40)는 사용자가 골프공 마커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마커 본체(1)의 윗면 또는 옆면, 윗면 및 옆면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40)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점멸되거나 발광할 수 있고, 또한 점멸되거나 발광하는 광원의 색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마커 본체(1) 일측에 내장되어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0)는 사용자가 마커 본체(1) 주변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할 시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센서부에서 감지한 퍼터(2)의 속도 정보를 산출부(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산출부(20)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사용자가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발광부(40)에서 발광하는 광원의 색과 발광 방식을 제어한다.
키입력부(80)는 골프공 마커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을 제어부(50)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공의 예상 이동거리 산출과정>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가 사용자의 연습 퍼팅 후 퍼터(2)에 의해 공이 타격되었을 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사용자가 골프공 마커를 그린에 놓고 상기 골프공 마커 주변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할 시 센서부로 구성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가 순차적으로 퍼터(2)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한다.<S40>
여기서, 센서부를 구성하는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는 마커 본체(1)가 도2와 같이 평면도상에 놓여 있을 시 6시 방향 일직선의 최단거리로 퍼터(2)를 향해 광원 또는 전파를 발산하여 수신하고,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광센서, 마그네틱 센서, 이미지 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아울러, 센서부에서 초음파 센서가 사용된다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초음파를 발사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에 의해 초음파가 반사되고,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함으로써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한다. 즉,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의 거리는 이미 정해진 값이므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가 각각 퍼터(2)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한 시간을 알 수 있다면, 거리와 시간의 관계에 의해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 센서부에서 조도 센서가 사용된다면, 마커 본체(1) 주변에서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에 의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가 위치한 부분의 조도가 변화하게 되고, 이 때 각각의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의 저항값이 변화하게 된다. 제1센서부(11)와 제2센서부(12)의 거리는 이미 정해진 값이므로, 제1센서부(11)를 지나는 퍼터(2)에 의해 저항값의 변화가 최대치를 기록할 때의 시간과 제2센서부(12)를 지나는 퍼터(2)에 의해 저항값의 변화가 최대치를 기록할 때의 시간으로부터 거리와 시간의 관계에 의해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에서 광센서가 사용된다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빛을 조사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에 의해 빛이 반사되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로 빛이 수광됨에 따라 퍼터(2)가 지나가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 사이의 거리는 이미 정해진 값이므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각각 퍼터(2)를 인식한 시간을 구함으로써, 거리와 시간의 관계에 의해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에서 마그네틱 센서가 사용된다면,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에 먼저 마그네트가 부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 사이의 거리는 이미 정해진 값이므로, 제1센서부(11)로 마그네트가 부착된 퍼터(2)가 지나가면서 제1센서부(11)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가장 높을 때의 시간과 제2센서부(12)로 퍼터(2)가 지나가면서 제2센서부(12)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가장 높을 때의 시간을 구함으로써, 거리와 시간의 관계에 의해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센서부에서 이미지 센서가 사용된다면, 퍼터(2) 헤드 하단 부분의 이미지를 취득된 다수 프레임에서 연속하는 두 이미지를 비교하여 픽셀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연속하는 두 이미지 사이의 프레임의 시간 간격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두 이미지 상의 픽셀 변화를 분석하여 변위를 계산할 수 있고, 변위와 시간 정보를 통해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물체의 속도를 감지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센서부가 감지한 속도 정보를 산출부(20)로 전달한다.<S41>
이 때 제어부(50)는 센서부에서 감지한 속도 정보를 산출부(20)로 전달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광센서, 마그네틱 센서, 이미지 센서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센서로 구성되어 감지한 속도 정보를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산출부(20)로 전달한다.
이후 산출부(20)는 속도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퍼터(2)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한다.<S42> 여기서 산출부(20)는 제어부(50)로부터 전송받은 속도 정보를 토대로 해당 퍼터(2)의 속도로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도록 제어된다. 이 때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도출해 놓은 계산식을 이용하여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퍼터(2)의 속도와 해당 퍼터(2)의 속도로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의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정의하여 계산식을 도출할 수 있고, 또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어떤 계산식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도출된 계산식에 센서부에서 감지한 속도 정보를 대입함으로써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는 마커 본체(1)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 혹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에는 퍼터(2)의 속도 및 퍼터(2)의 속도에 대응하여 해당 퍼터(2)의 속도로 공이 타격되었을 시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산출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디스플레이부(30)로 표시한다.<S43>
이 때 제어부(50)는 산출부(20)에서 산출한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디스플레이부(30)로 전송하도록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후 디스플레이부(30)에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디스플레이부(3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보낸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는 다양한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산출부(20)에서는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미터(m), 피트(ft), 야드(yd) 및 인치(in) 중 적어도 하나로 산출할 수 있고, 이렇게 산출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입력부(80)를 조작하여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미터로 표시하고자 한다면, 디스플레이부(30)에는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가 미터로 표시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키입력부(80)를 조작함으로써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가 피트, 야드 및 인치로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에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것은 모든 단위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가 30m라 가정하면, 디스플레이부(30)에는 30m가 표시되는 것뿐만 아니라 30m가 단위 변환된 98.425ft, 32.808yd 및 11871.102in까지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길이단위로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의 길이단위와 동등한 수치의 길이단위를 모두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신이 휘두르는 퍼터(2)로 타격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에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가 표시되는 것뿐만 아니라 별도의 스피커가 내장되어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센서부에서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그린 스피드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그린 스피드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주변온도, 잔디의 길이, 지반의 다짐정보, 습기 등이 포함된다.
주변온도 및 잔디의 길이의 경우, 온도가 높으면 잔디의 성장이 촉진되기 때문에 잔디가 길면 일종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속도를 줄이게 되고, 잔디의 길이가 짧을수록 잔디의 마찰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린의 스피드는 빨라지는 특성이 있다.
또한, 지반의 다짐정도의 경우, 도로공사 시에 사용되는 롤러와 같은 장비로 그린을 다지게 되어 그린의 다짐정도가 증가하게 되면, 공의 바운드가 커지며 백스핀도 적게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그린 스피드가 빨라지는 특성이 있다.
아울러, 습기의 경우, 잔디 표면이 습하면 속도가 느려지고, 잔디 표면이 건조하면 그린의 스피드는 빨라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센서부는 그린에 심어진 잔디의 길이를 측정하고, 잔디의 온도와 습기 정도를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측정하며, 지반의 다짐정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잔디의 길이, 잔디의 온도 및 습기 정도, 지반의 다짐정도는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 혹은 메모리(미도시)에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고, 각각의 가중치에 기반하여 그린 스피드에 대한 데이터가 계산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잔디의 길이, 잔디의 온도 및 습기 정도, 지반의 다짐정도를 측정하였을 시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그린 스피드가 도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그린 스피드를 결정하는 요소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은 하나의 예시로써 잔디의 길이, 잔디의 온도 및 습기 정도, 지반의 다짐정도의 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잔디의 길이의 경우 0.1cm 이상부터 0.5cm 미만의 범위이면 a 가중치, 0.5cm부터 1cm 미만의 범위이면 b 가중치 등으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온도 및 습기 정도의 범위와 지반의 다짐정도의 범위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여 미리 설정된 그린 스피드 도출 식에 적용하면 그린 스피드를 도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마커 본체 구조>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에서 A-A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커 본체(1)는 마커 본체(1)의 옆면에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가 내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1에서 A-A의 단면을 보면 단면마커 본체(1)의 옆면에는 마커 본체(1)의 윗면 바깥쪽을 향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가 높아지면서 연장된 센싱통로(60) 2개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는 서로 마커 본체(1)의 윗면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센싱통로(60)가 경사진 각도는 지면을 기준으로 10도에서 40도 사이가 바람직하다. 이는 그린에 마커 본체(1)가 놓였을 시 잔디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사용자의 퍼터(2)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센싱통로(60)의 입구가 형성된 방향은 마커 본체(1)가 도2와 같이 평면도상에 놓여 있을 시 6시 방향으로 입구가 형성되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광원 또는 전파를 발산하고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센싱통로(60)의 끝단에는 센서안착홈(70)이 형성되어 있고,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는 센서안착홈(70)에 내장되어 설치 및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단면의 방향에 따라 제1센서부(11)만 도시되었으나, 제2센서부(12) 또한 방향만 바뀐 상태로 제1센서부(11)와 동일하게 센싱통로(60) 내부에 형성된 센서안착홈(70)에 내장되어 설치 및 고정된다.
예를 들어, 센서부를 초음파 센서로 구성한다고 가정하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는 모두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여 2개의 센서안착홈(70)에 각각 내장되어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커 본체(1)의 옆면 내부에 센서부를 내장하고, 센싱통로(60)가 마커 본체(1)의 윗면 바깥쪽을 향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가 높아지면서 형성된 이유는 센서부에 미칠 수 있는 외부의 영향을 축소하여 퍼터(2)의 정확한 속도 감지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를 광센서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퍼터(2)에 대한 속도를 감지하는 것을 가정해본다. 이 때 센서부가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 및 고정되어 있다면 센서부가 퍼터(2)를 감지하는 방향은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퍼터(2)를 휘두르게 되면 센서부는 빛을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수광함으로써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 때 빛을 수광하는 과정에서 센서부에서는 해당 광센서에서 조사한 빛을 수광하는 것뿐만 아니라 햇빛과 같은 외부의 광원까지도 함께 수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외부 광원이 센서부로 함께 수광된다면,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에 대한 속도를 감지하는데 있어서 퍼터(2)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것인지 외부 광원을 수광하는 것인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정확한 속도 감지가 어렵게 된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마커 본체(1)의 윗면 바깥쪽을 향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가 높아지면서 형성된 센싱통로(60) 끝단에 센서부가 내장되어 있다면, 외부의 영향이 크게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옆면으로 센서부가 내장되어 있다면 마커 본체(1)가 그린 위에 놓이게 될 시 햇빛과 같이 마커 본체(1)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조사되는 빛은 센서부에서 수광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부에는 센서부에서 조사하여 퍼터(2)에 의해 반사된 빛만 온전히 수광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에 대한 속도 감지를 기존보다 더 정확히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센싱통로(60)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센싱통로(60) 끝단의 센서안착홈(70)에 내장되어 설치된 센서부는 센싱통로(60) 깊숙이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의 광원이 더욱 더 센서부로 수광되지 않게 된다.
또한, 마커 본체(1)의 옆면 내부에 센서부를 내장하고, 센싱통로(60)가 마커 본체(1)의 윗면 바깥쪽을 향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가 높아지면서 형성된 이유는 측정범위를 보다 넓히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마커 본체(1)의 옆면에 센서부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커 본체(1) 위쪽이 아닌 옆면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하여야 센서부에서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마커 본체(1)에서 센서가 지면과 수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마커 본체(1) 위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하여야 퍼터(2)의 속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가 마커 본체(1) 옆면에 내장되어 있고, 센서부가 센싱 가능한 통로인 센싱통로(60)가 마커 본체(1)의 윗면 바깥쪽을 향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가 높아지면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퍼터(2)보다 상대적으로 위치가 낮은 센서부의 센싱방향을 위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센서부에서 퍼터(2)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는 광원을 발산하고 수광하는 센서일 뿐만 아니라 수광만 실시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외부로부터 광원을 항상 수광하는 중에 사용자의 퍼터(2)가 마커 본체(1)의 주변을 지나가게 되면, 퍼터(2)가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를 일부 가리게 되는 상황으로 인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수광하는 광원의 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수광하는 광원의 양이 달라지는 시간을 감지하여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를 지나가는 퍼터(2)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는 마커 본체(1)의 중심에서 마커 본체(1) 옆면에 내장되어 있는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를 도6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에서 마커 본체(1)의 윗면을 중심으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가 소정의 각도로 위치하고 있는 다양한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는 마커 본체(1)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심각이 90도인 위치에서 2개의 센서안착홈(70)에 각각 내장되어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는 마커 본체(1)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심각이 150도인 위치에서 2개의 센서안착홈(70)에 각각 내장되어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는 마커 본체(1)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심각이 180도인 위치에서 2개의 센서안착홈(70)에 각각 내장되어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가 마커 본체(1)의 어느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도면상에서 화살표 방향과 같이 퍼터(2)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6시 방향으로 광원 또는 전파를 발산하고 수신함으로써 퍼터(2)를 감지한다.
또한, 센싱통로(6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10도~40도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마커 본체(1) 위쪽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마커 본체(1)의 옆면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마커 본체(1)의 윗면을 중심으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가 소정의 각도로 위치한 상태를 다양하게 실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의 측정범위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마커 본체 주변에서 사용자의 연습 퍼팅 실시>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를 지면에 안착시킨 뒤에 사용자가 퍼터(2)로 연습 퍼팅을 실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마커 본체(1) 주변에서 사용자가 연습 퍼팅을 실시하는 것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마커 본체(1)를 그린 위에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마커 본체(1) 위가 아닌 옆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로 구성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가 마커 본체(1)의 옆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마커 본체(1)의 옆에서 연습 퍼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와 퍼터(2)의 이격 거리가 10cm 이내인 것으로 설정한다. 이는 센서부가 퍼터(2)를 감지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인 것으로, 퍼터(2)와 센서부의 이격된 거리가 10cm 이상이면, 센서부에서 퍼터(2)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연습 퍼팅을 실시할 시 퍼터(2)와 센서부의 거리가 10cm 이내이기만 하면 마커 본체(1) 옆면에서 자유롭게 연습 퍼팅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골프공 마커를 의식하지 않고 사용자가 연습 퍼팅을 실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신의 연습 퍼팅에 대한 정보를 골프공 마커로부터 정확히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커 본체(1)에 센서부가 지면과 수직으로 내장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마커 본체(1) 바로 위쪽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하여야 센서부가 정확히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제공해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연습 퍼팅을 실시할 시에는 사용자가 연습 퍼팅을 하다가 마커 본체(1)를 타격하거나 건드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의식함으로써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윙 폼이 망가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습 퍼팅 중 마커 본체(1)를 실제로 타격하게 되면, 마커 본체(1)가 일부 손상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센서부에서 정확히 퍼터(2)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사용자의 퍼터(2)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마커 본체(1) 옆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마커 본체(1) 위쪽이 아닌 옆면에서 사용자가 연습 퍼팅을 실시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으로 마커 본체(1)를 타격하거나 건드릴 수 있다는 의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스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습 퍼팅 시 스윙폼을 정확히 유지하여 퍼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자신이 연습 퍼팅으로 마커 본체(1)를 타격하거나 건드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연습 퍼팅 후 자신의 퍼팅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마커 본체(1)로부터 정확히 제공받을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마커 본체 구조>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의 사시도이고, 도9는 도8에 도시된 골프공 마커에서 B-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마커 본체(1')에 포함된 센서부, 산출부, 디스플레이부(300), 발광부(400) 및 제어부는 제1실시예와 그 역할과 기능이 동일하게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마커 본체(1') 윗면에 센싱통로(600)가 마커 본체(1')의 윗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지면을 기준으로 마커 본체(1')의 윗면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가 높아지면서 돌출 및 형성되어 있고, 센싱통로(600) 끝단의 센서안착홈(700)에는 센서부가 내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센싱통로(600)가 마커 본체(1') 윗면 일측에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센서부(110)는 센싱통로(600) 끝단의 센서안착홈(700)에 내장되어 설치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센싱통로(600)는 마커 본체(1')의 평면도상에서 6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다. 이는 제2센서부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6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2개의 센싱통로(600)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와 같이 2개의 센싱통로(600)를 중심각이 90도인 위치로 형성함으로써,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는 중심각이 90도인 위치에서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센싱통로(600)를 중심각이 150도인 위치로 형성함으로써,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는 중심각이 150도인 위치에서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2개의 센싱통로(600)를 중심각이 180도인 위치로 형성함으로써,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는 중심각이 180도인 위치에서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가 마커 본체(1')의 어느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도면상에서 같이 퍼터(2)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6시 방향으로 광원 또는 전파를 발산하고 수신함으로써 퍼터(2)를 감지한다.
이처럼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가 퍼터(2)의 속도를 감지하는 방향을 옆면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마커 본체(1')와 퍼터(2)가 서로 이격된 거리에서 사용자가 연습 퍼팅을 실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퍼터(2)의 속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해당 퍼터(2)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연습 퍼팅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송신부 및 수신부 이원화>
도10은 도1에 도시된 골프공 마커에서 송신측 센싱통로와 수신측 센싱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마커는 앞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사용자의 퍼터(2)를 감지하기 위해 하나의 센싱통로(60)가 형성되어 광센서의 경우 빛을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수광하고, 초음파 센서의 경우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수신한다고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가 송신과 수신을 하나의 구성에서 실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빛을 조사하거나 초음파를 발사하는 송신부 및 빛을 수광하거나 초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마커 본체(1)의 옆면에는 제1센서부(11) 부분에 센싱통로가 2개 형성되어 있고, 제2센서부(12) 부분에도 센싱통로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센싱통로는 각각 송신측 센싱통로(601) 및 수신측 센싱통로(602)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측 센싱통로(601) 및 수신측 센싱통로(602)는 사용자가 휘두르는 퍼터(2)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퍼터(2)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송신측 센싱통로(601)에 송신부(미도시)를 마련하고,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수신측 센싱통로(602)에는 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광센서의 경우 송신부에서는 사용자의 퍼터(2)에 빛을 조사하고, 수신부에서는 퍼터(2)에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퍼터(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부와 수신부의 작동은 앞서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에서 동일하게 작동한다.
아울러, 초음파 센서의 경우에서도 제1센서부(11) 및 제2센서부(12)의 송신부에서 초음파를 발사하면 사용자의 퍼터(2)에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부가 수신하여 퍼터(2)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에서 사용자의 퍼터(2)를 감지하기 위한 송신과 수신을 하나의 구성에서 실시할 수 있지만, 송신부와 수신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퍼터(2)를 감지하기 위해 빛 또는 초음파를 조사 또는 발사하는 구성과 수광 또는 수신하는 구성을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1' : 마커 본체
11, 110 : 제1센서부
12 : 제2센서부
20 : 산출부
30, 300 : 디스플레이부
40, 400 : 발광부
50 : 제어부
60, 600 : 센싱통로
70, 700 : 센서안착홈
80, 800 : 키입력부
601 : 송신측 센싱통로
602 : 수신측 센싱통로
2 : 퍼터

Claims (10)

  1. 그린에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골프공 마커에 있어서,
    마커 본체;
    상기 마커 본체의 일측에 내장되어 상기 마커 본체의 옆면 주변에서 사용자가 연습 퍼팅 시 퍼터의 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속도 정보를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퍼터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산출된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마커 본체 옆면에서 상기 마커 본체의 윗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윗면의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가 높아지면서 형성된 복수의 센싱통로의 끝단에 각각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마커 본체의 윗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윗면의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가 높아지면서 돌출된 복수의 센싱통로의 끝단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광센서, 마그네틱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주변온도, 잔디의 습기, 길이 및 지반의 다짐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하여 그린 스피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본체의 윗면 또는 옆면에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가 구비되어 마커 본체가 지면에 놓일 시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미터(m), 피트(ft), 인치(in) 및 야드(y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본체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상기 산출부의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 산출과 산출된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마커.
  9. 사용자가 마커 본체를 그린에 놓고 상기 마커 본체의 옆면 주변에서 연습 퍼팅을 실시할 시 센서부가 사용자의 퍼터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속도 정보를 산출부로 전달하는 단계;
    산출부가 상기 속도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퍼터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
  10.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며,
    센서부를 작동시킴으로써, 마커 본체의 옆면 주변에서 사용자가 실시하는 연습 퍼팅에서 퍼터의 속도를 감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기 퍼터의 속도 정보를 산출부로 전달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산출부가 상기 속도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퍼터에 의해 타격된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공의 예상 이동거리를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제어방법.
KR1020180037946A 2018-01-12 2018-04-02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08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4435 2018-01-12
KR1020180004435 2018-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36A KR20190086336A (ko) 2019-07-22
KR102008394B1 true KR102008394B1 (ko) 2019-10-21

Family

ID=6746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46A KR102008394B1 (ko) 2018-01-12 2018-04-02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587B1 (ko) 2019-12-16 2020-04-17 김영도 골프용 드론 및 볼마커를 이용한 퍼팅 라인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701B1 (ko) * 2019-05-09 2021-04-27 주식회사 카이샷 디지털 골프 퍼팅용 방향지시장치
KR102239061B1 (ko) * 2020-10-20 2021-04-13 주식회사 인터커뮤니케이션즈 레이저 라인 볼마커
US11806594B1 (en) * 2023-04-24 2023-11-07 Robert Pitre Golf ball mar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42Y1 (ko) 2009-05-14 2010-06-21 (주)솔라이트 Led가 장착된 골프용 볼 마커
JP2011156305A (ja) * 2010-02-04 2011-08-18 Nix Co Ltd パッティングアシストシステム
KR101615216B1 (ko) * 2013-10-31 2016-04-25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골프 정보제공 기능을 갖는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정보제공 방법
US20170120119A1 (en) 2015-10-01 2017-05-04 Daniel G. Trojan Golfing accessory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964A (ko) * 2007-06-14 2008-12-18 송기무 자외선지수 표기기능을 갖는 볼마커겸용 디지털 수평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42Y1 (ko) 2009-05-14 2010-06-21 (주)솔라이트 Led가 장착된 골프용 볼 마커
JP2011156305A (ja) * 2010-02-04 2011-08-18 Nix Co Ltd パッティングアシストシステム
KR101615216B1 (ko) * 2013-10-31 2016-04-25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골프 정보제공 기능을 갖는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정보제공 방법
US20170120119A1 (en) 2015-10-01 2017-05-04 Daniel G. Trojan Golfing accessory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functiona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587B1 (ko) 2019-12-16 2020-04-17 김영도 골프용 드론 및 볼마커를 이용한 퍼팅 라인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36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394B1 (ko) 골프공 마커 및 골프공 마커의 정보 제공 방법
KR100923452B1 (ko)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2850A (ko) 스타트 센서를 이용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US89351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golf ball fitting analysis
CN109789327A (zh) 草痕检测高尔夫挥杆垫
US9782656B2 (en) Putting stroke analysis device
KR101716360B1 (ko) 골프 스윙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443453B1 (ko) 골프 퍼팅 거리를 평지거리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727903B2 (en) Putting stroke training system
KR101310570B1 (ko) 퍼팅거리 표시장치
KR101615216B1 (ko) 골프 정보제공 기능을 갖는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정보제공 방법
KR100918302B1 (ko) 모의 골프시스템의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싱 방법
US20200340809A1 (en) Pressure sensing switch structure of range finder
KR100915886B1 (ko) 퍼팅거리 예측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퍼터
KR20230060728A (ko) 퍼팅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위한 볼 마커
US9480898B2 (en) Multipurpose putting practice device for enabling straight putting and distance practice by situation
KR101543753B1 (ko) 그린 스피드 측정장치
KR20110065737A (ko) 골프 퍼팅 연습 장치
KR100946971B1 (ko) 골프클럽 식별장치를 이용하는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KR101282048B1 (ko)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060177807A1 (en) Putting stroke analyzer and putter for use therein
KR20210070409A (ko) 실측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거리를 보정하여 골프공 타격을 위한 권장거리를 제공하는 시스템
CN209752127U (zh) 一种测距机的角度开关结构改良
CN209438017U (zh) 一种具有角度开关的测距机
KR20210027685A (ko) 실측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된 거리를 보정하여 골프공 타격을 위한 권장거리를 제공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