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911A -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911A
KR20170091911A KR1020160012789A KR20160012789A KR20170091911A KR 20170091911 A KR20170091911 A KR 20170091911A KR 1020160012789 A KR1020160012789 A KR 1020160012789A KR 20160012789 A KR20160012789 A KR 20160012789A KR 20170091911 A KR20170091911 A KR 2017009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weight
length
low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욱 filed Critical 정성욱
Priority to KR102016001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1911A/ko
Publication of KR2017009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7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06F19/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발명에 따른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 장치는
기준높이에서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하여 기준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크기(길이,면적)을 기준도형크기DB에 저장하고
측정대상자가 체중계(200)에 올라 직립하였을때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측정대상자 머리위에 올려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촬영한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와 기준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을 비교하여
만약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가 있으면 일치된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의 기준높이가 측정대상자의 신장이 되고
만약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가 없으면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의 비율 계산을 통해 측정대상자의 신장을 계산하여 계산된 신장을 신장체중DB에 저장하고
체중계(200)의 체중표시부(220)에 표시된 체중을 카메라(110)로 촬영하여 체중을 읽거나, 스마트폰의 입력부(140)로 부터 체중을 입력받아 체중을 신장체중DB에 입력한다
신장체중DB의 측정대상자명, 생년월일, 측정일,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를 작성하고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해 시간 흐름에따른 시계열분석 도표를 작성하여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비용 부담없이 측정자의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고 DB화 하여, 측정자의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등 건강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Smartphone and the device for height and weight measurements}
본 발명은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 장치는 기준도형(210)을 포함하는 체중계(200)와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체중뿐만 아니라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여 신장을 측정하고 신장과 체중을 DB화하여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를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 분석을 통해 건강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의 카메라(110)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기준도형(210)의 크기(길이,면적)에 따라 신장을 계산하고, 체중계(200)의 체중표시부(220)의 체중을 촬영하여 측정자의 체중을 입력하거나 스마트폰의 입력부(140)(키보드)로부터 체중을 입력 받아 신장체중DB를 작성하고 신장체중DB의 신장, 몸무게, 체지방지수를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 분석 도표를 제공하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을 보면,
휴대용 신장측정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등록특허 10-1512687)에서는 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외에 별도의 신장측정장치와 신장측정장치거치대를 통해 신장을 측정하고 신장측정후에 체중을 별도로 측정하고있다
휴대가 가능한 신장계 일체형 체중계장치(등록실용신안 20-0464599)에서는 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줄자를 구비하여 신장을 측정하고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신장을 측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신장측정장치, 별도의 줄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신장측정장치, 줄자를 제작하는 비용이 필요하고, 건강관리에 필요한 측정자의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한 시계열 분석 도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신장측정에 별도의 비용이 들어가지 않고, 건강관리에 필요한 측정자의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한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 분석 도표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512687(등록일 : 2015년04월10일, 발명의 명칭 : 휴대용 신장측정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 등록실용신안 20-0464599(등록일 : 2014년01월03일, 고안의 명칭 : 휴대가 가능한 신장계 일체형 체중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비용 부담없이 측정자의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DB화 하여, 측정자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한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 분석 도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에 따른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 장치는
기준높이에서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하여 기준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크기(길이,면적)을 기준도형크기DB에 저장하고
측정대상자가 체중계(200)에 올라 직립하였을때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측정대상자 머리위에 올려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촬영한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와 기준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을 비교하여
만약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가 있으면 일치된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의 기준높이가 측정대상자의 신장이 되고
만약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가 없으면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의 비율 계산을 통해 측정대상자의 신장을 계산하여 계산된 신장을 신장체중DB에 저장하고
체중계(200)의 체중표시부(220)에 표시된 체중을 카메라(110)로 촬영하여 체중을 읽거나, 스마트폰의 입력부(140)로 부터 체중을 입력받아 체중을 신장체중DB에 저장한다
신장체중DB의 측정대상자명, 생년월일, 측정일,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를 작성하고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해 시간 흐름에따른 시계열분석 도표를 작성한다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비용 부담없이 측정자의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고 DB화 하여, 측정자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한 시간 흐름에따른 시계열분석 도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측정대상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신장측정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에서는 신장 측정을 위해 하우징등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고,
휴대가 가능한 신장계 일체형 체중계(200)장치에서는 신장 측정을 위해 별도의 신장계(줄자,측정바)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추가장비(추가비용)없이 체중과 신장을 동시에 측정하고 또한 측정자별로 측정자명, 생년월일, 측정일,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를 DB화하여 관리하고
측정자별로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를 시간 흐름에따른 시계열 분석 도표를 제공하여 측정자별로 건강상태를 진단 가능 토록하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도형을 포함하는 체중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높이에 따른 기준도형 크기 측정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높이가 5개일 경우 기준도형 길이기준 기준도형DB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도형 길이를 이용한 신장 측정절차를 도시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높이가 5개일 경우 기준도형 면적기준 기준도형DB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도형 면적을 이용한 신장 측정절차를 도시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장체중 DB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장,체중,체지방지수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 분석 도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장치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도형을 포함하는 체중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체중계(200)는 몸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체중을 표시하는 체중표시부(220)와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도형인 기준도형(210)으로 구성된다
기준도형(210)은 사각형, 원, 삼각형, 마름모등 여러 가지 도형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스마트폰은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 사용자가 원하는 앱(App, 어플리케이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수백에서 수십만 종의 다양한 앱(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 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테블릿PC, 팜톱PC, PDA 등을 포함한다.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은
카메라(110), 입력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20), 신장체중처리부(130)로 구성된다
카메라(110)는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과 체중계(200)의 체중표시부(220)를 촬영 한다
입력부(140)는 스마트폰의 입력장치로 키보드등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운용에 필요한 입력 장치이다.
출력부(150)는 스마트폰의 화면(LCD)등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운용에 필요한 출력 장치이다.
저장부(120)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관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기준도형DB, 신장체중DB, 시계열분석 도표(신장,체중,체지방지수)등)를 저장한다.
신장체중처리부(130)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운용 및 관리를 한다
작성된 기준도형DB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카메라(110)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과 체중표시부(220)를 촬영하고
기준도형(210)의 크기(길이,면적)에 따라 신장을 계산하고
측정대상자의 신장을 신장체중DB에 저장하고
측정대상자의 체중을 카메라(110)로 체중계(200)의 체중표시부(220)를 읽거나 입력부(140)(키보드)로부터 수신하여 신장체중DB에 저장한다
신장체중DB에 저장된 측정대상자의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지방지수를 계산하고
신장, 몸무게, 체지방지수를 시간 흐름에 따른 시계열 분석 도표를 작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 크기 측정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도면에서는 기준높이가 h1, h2, h3, h4, h5 5개로 h5(250cm), h4(200cm), h3(150cm), h2(100cm), h1(50cm)인 경우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높이가 5개인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기준높이는 1개에서 수천개, 많게는 무한대로 설정할수 있다
기준높이가 많으면 많을수록 신장 측정시 정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높이가 5개일 경우 기준도형 길이 기준 기준도형DB를 도시한 도면으로
기준도형DB는 기준높이, 기준도형(210)(길이), 기준높이 구간 설정(h5~h4, h4~h3, h3~h2, h2~h1)으로 구성되어 진다
기준높이 구간 설정은
기준높이가 5개일 경우 4구간(h5~h4, h4~h3, h3~h2, h2~h1)이 되고
기준높이가 7개일 경우 6구간(h7~h6, h6~h5, h5~h4, h4~h3, h3~h2, h2~h1)이 된다
기준높이가 n일 경우 기준높이 구간 설정은 (n-1) 구간으로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도형 길이를 이용한 신장 측정절차를 도시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발명에서 기준높이가 5개일 경우 기준도형(210) 길이를 이용한 신장의 측정 절차를 나타낸것이다
① 기준도형크기DB를 작성한다
기준높이 h5(250cm), h4(200cm), h3(150cm), h2(100cm), h1(50cm)에서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하여 기준도형크기DB에 저장한다
기준높이 h5(250cm) 일때 길이는 a5
기준높이 h4(200cm) 일때 길이는 a4
기준높이 h3(150cm) 일때 길이는 a3
기준높이 h2(100cm) 일때 길이는 a2
기준높이 h1(50cm) 일때 길이는 a1을 기준도형크기DB에 저장한다
기준높이가 높을때 기준도형(210)의 길이가 제일 작으므로 먼저 a5 길이를 1으로 정하고
a4,a3,a2,a1의 길이는 a5 길이의 배수로 정한다
h5 = 250cm, a5 = 1
h4 = 200cm, a4 = 2
h3 = 150cm, a3 = 4
h2 = 100cm, a2 = 6
h1 = 50cm, a1 = 8
② 측정대상자 신장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를 측정한다
측정대상자가 체중계(200)에 올라 직립하였을때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측정대상자 머리위에 올려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촬영한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한다
측정된 측정대상자 신장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③ 측정대상자 신장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와 기준높이(h1,h2,h3,h4,h5)에 따른 기준도형(210) 길이(a1,a2,a3,a4,a5)를 비교한다
④ 만약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길이(a1,a2,a3,a4,a5)가 있으면 일치된 기준도형(210) 길이(a1,a2,a3,a4,a5)의 기준높이(h1,h2,h3,h4,h5)가 측정대상자의 신장이 된다
즉 a(x)와 a3가 일치되었다면 h3(150cm)가 측정대상자의 신장이된다
⑤ 만약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길이(a1,a2,a3,a4,a5)가 없으면
기준도형(210) 길이의 비율 계산을 통해 다음과 같이 측정대상자의 신장을 계산한다
측정대상자 신장 계산 기준높이 구간[h(high), h(low)]을 설정한다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길이를 a(high)라 하고 a(high)에 대응된 기준높이를 h(low)로 설정하고,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보다 작으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길이를 a(low)라 하고 a(low)에 대응된 기준높이를 h(high)로 설정한다
측정대상자 신장을 계산한다
측정대상자 신장 계산은 기준도형(210) 길이의 비율 계산을 통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측정대상자 신장 = 저점기준높이(h(low)) + [1 - 고점기준도형길이(a(low))대비측정기준도형길이배율]X기준높이구간길이
고점기준도형(210)길이(a(low))대비측정기준도형(210)길이배율
= [측정기준도형길이(a(x)) 고점기준도형길이(a(low))]/ [ 저점기준도형길이 (a(high)) - 고점기준도형길이 (a(low))]
= [a(x) - a(low)]/[a(high) - a(low)]
기준높이구간길이
= [고점기준높이(h(high)) - 저점기준높이(h(low))]
= [h(high) h(low)]
측정대상자 신장
= h(low) + 1 - [ax) - a(low)]/[a(high) - a(low)] X [h(high) h(low))]
일례로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가 3.4로 측정되었다면
a(high)는 a(x)=3.4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길이로 a(high)= a2 = 4이 되고
h(low)는 a(high)에 대응된 기준높이로 h(low) = h2 = 100cm가 된다
a(low)는 a(x)=3.4 보다 작으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길이로 a(low) = a3 = 3이 되고
h(high)는 a(low)에 대응된 기준높이로 h(high) = h3 = 150cm가 된다
측정대상자 신장
= h(low) + [1 - [a(x) - a(low)]/[a(high) - a(low)]] X [h(high) h(low))]
= 100cm + [1 - [3.4 - 3]/[4 - 3]] X [150cm 100cm]
= 100cm + [1 - [0.4]/[1]] X [50cm]
= 100cm + 0.6 X 50cm
= 130cm
측정대상자 신장은 130cm 가 된다
측정대상자 신장을 계산하였다면
⑥ 신장체중DB에 체중입력 한다
체중계(200)의 체중표시부(220)에 표시된 체중을 카메라(110)로 촬영하여 체중을 읽거나, 스마트폰의 입력부(140)(키보드)로 부터 체중을 입력받아 체중을 신장체중DB에 입력한다
⑦ 신장체중 DB 작성 및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해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분석 도표를 작성한다
측정대상자의 신장, 체중을 이용하여 체지방지수를 계산하여 신장체중DB에 저장한다
신장체중DB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자의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해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분석 도표를 작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높이가 5개일 경우 기준도형 면적기준 기준도형DB를 도시한 도면으로
기준도형DB는 기준높이, 기준도형(면적), 기준높이 구간 설정(h5~h4, h4~h3, h3~h2, h2~h1)으로 구성되어 진다
기준높이 구간 설정은
기준높이가 5개일 경우 4구간(h5~h4, h4~h3, h3~h2, h2~h1)이 되고
기준높이가 3개일 경우 2구간(h3~h2, h2~h1)이 된다
기준높이가 n일 경우 기준높이 구간 설정은 (n-1) 구간으로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도형 면적을 이용한 신장 측정절차를 도시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발명에서 기준높이가 5개일 경우 기준도형(210) 면적을 이용한 신장의 측정 절차를 보면
① 기준도형크기DB를 작성한다
기준높이 h5(250cm), h4(200cm), h3(150cm), h2(100cm), h1(50cm)에서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기준도형(210)의 면적을 측정하여 기준도형크기DB에 저장한다
기준높이 h5(250cm) 일때 면적은 b5
기준높이 h4(200cm) 일때 면적은 b4
기준높이 h3(150cm) 일때 면적은 b3
기준높이 h2(100cm) 일때 면적은 b2
기준높이 h1(50cm) 일때 면적은 b1을 기준도형크기DB에 저장한다
기준높이가 높을때 기준도형(210)의 면적이 제일 작으므로 먼저 b5 면적을 1으로 정하고
b4,b3,b2,b1의 면적은 b5 면적의 배수로 정한다
h5 = 250cm, b5 = 1
h4 = 200cm, b4 = 4
h3 = 150cm, b3 = 7
h2 = 100cm, b2 = 10
h1 = 50cm, b1 = 13
②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면적을 측정한다
측정대상자가 체중계(200)에 올라 직립하였을때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측정대상자 머리위에 올려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촬영한 기준도형(210)의 면적을 측정한다
측정된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면적 b(x)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③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면적 b(x)와 기준높이(h1,h2,h3,h4,h5)에 따른 기준도형(210) 면적(b1,b2,b3,b4,b5)를 비교한다
④ 만약 b(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면적(b1,b2,b3,b4,b5)가 있으면 일치된 기준도형(210) 면적(b1,b2,b3,b4,b5)의 기준높이(h1,h2,h3,h4,h5)가 측정대상자의 신장이 된다
즉 b(x)와 b2가 일치되었다면 h2(100cm)가 측정대상자의 신장이된다
⑤ 만약 b(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면적(b1,b2,b3,b4,b5)가 없으면
기준도형(210) 면적의 비율 계산을 통해 다음과 같이 측정대상자의 신장을 계산한다
측정대상자 신장 계산 기준높이 구간[h(high), h(low)]을 설정한다
측정용 기준도형(210) 면적 b(x)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면적을 b(high)라 하고 b(high)에 대응된 기준높이를 h(low)로 설정하고,
측정용 기준도형(210) 면적 b(x)보다 작으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면적을 b(low)라 하고 b(low)에 대응된 기준높이를 h(high)로 설정한다
측정대상자 신장을 계산한다
측정대상자 신장 계산은 기준도형(210) 면적의 비율 계산을 통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측정대상자 신장 = 저점기준높이(h(low)) + [1 - 고점기준도형면적(b(low))대비측정기준도형면적배율]X기준높이구간면적
고점기준도형면적(b(low))대비측정기준도형면적배율
= [측정기준도형면적(b(x)) 고점기준도형면적(b(low))]/ [ 저점기준도형면적 (b(high)) - 고점기준도형면적 (b(low))]
= [b(x) - b(low)]/[b(high) - b(low)]
기준높이구간면적
= [고점기준높이(h(high)) - 저점기준높이(h(low))]
= [h(high) h(low)]
측정대상자 신장
= h(low) + [1 - [bx) - b(low)]/[b(high) - b(low)]] X [h(high) h(low))]
일례로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면적 b(x)가 6.4로 측정되었다면
b(high)는 b(x)=6.4 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면적으로 b(high) = b3 = 7이 되고
h(low)는 b(high)에 대응된 기준높이로 h(low) = h3 = 150cm가 된다
b(low)는 b(x)=6.4 보다 작으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면적으로 b(low) = b4 = 4이 되고
h(high)는 b(low)에 대응된 기준높이로 h(high) = h4 = 200cm가 된다
측정대상자 신장
= h(low) + [1 - [b(x) - b(low)]/[b(high) - b(low)]] X [h(high) h(low))]
= 150cm + [1 - [6.4 - 4]/[7 - 4]] X [200cm 150cm]
= 150cm + [1 - [2.4]/[3]] X [50cm]
= 150cm + 10cm
= 160cm
측정대상자 신장은 160cm 가 된다
측정대상자 신장을 계산하였다면
⑥ 신장체중DB에 체중입력 한다
체중계(200)의 체중표시부(220)에 표시된 체중을 카메라(110)로 촬영하여 체중을 읽거나, 스마트폰의 입력부(140)(키보드)로 부터 체중을 입력받아 체중을 신장체중DB에 입력한다
⑦ 신장체중 DB 작성 및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해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분석 도표를 작성한다
측정대상자의 신장, 체중을 이용하여 체지방지수를 계산하여 신장체중DB에 저장한다
신장체중DB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자의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해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분석 도표를 작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측정대상자가 체중계(200)에 직립했을때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으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여 기준도형(210)의 크기(길이,면적)로 측정대상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장체중 DB를 도시한 도면으로
신장체중 DB는 측정자대상자별로 측정자대상자명, 생년월일, 측정일,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로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장,체중,체지방지수 시간흐름에 따른 시계열 분석 도표를 도시한 도면으로
측정대상자의 신장,체중,체지방지수를 시간 흐름에 따른 시계열 분석 도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110 : 카메라
120 : 저장부
130 : 신장체중처리부
140 : 입력부
150 : 출력부
200 : 체중계
210 : 기준도형
220 : 체중표시부

Claims (1)

  1.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체중표시부(220)와 기준도형(210)이 포함된 체중계(200)와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과 체중표시부(220)를 촬영하는 카메라(110),
    측정대상자의 신장을 입력하는 키보드,
    측정대상자의 신장,체중,체지방지수의 시계열 분석 도표를 표시하는 출력부(150)(LCD),
    기준도형DB, 신장체중DB, 신장,체중,체지방지수의 시계열 분석 도표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포함하고

    각각의 기준높이에서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촬영하고 기준도형(210)의 크기(길이,면적)를 측정하여 각각의 기준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을 기준도형크기DB에 저장하고
    측정대상자가 체중계(200)에 올라 직립하였을때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을 측정대상자 머리위에 올려서 체중계(200)의 기준도형(210)을 카메라(110)로 촬영하여 촬영한 기준도형(210)의 길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측정대상자 신장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와 기준높이에 따른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을 비교하여
    만약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가 있으면 일치된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의 기준높이를 측정대상자의 신장으로 정하여 신장체중DB에 저장하고

    만약 a(x)와 일치되는 기준도형(210) 크기(길이,면적)가 없으면

    기준도형(210) 크기(길이)의 비율 계산을 통해
    측정대상자 신장 계산 기준높이 구간[h(high), h(low)]을 설정하고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길이를 a(high)라 하고 a(high)에 대응된 기준높이를 h(low)로 설정하고,
    측정용 기준도형(210) 길이 a(x)보다 작으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길이를 a(low)라 하고 a(low)에 대응된 기준높이를 h(high)로 설정하고,

    고점기준도형길이(a(low))대비측정기준도형길이배율은
    [측정기준도형길이(a(x)) 고점기준도형길이(a(low))]/ [저점기준도형길이(a(high)) - 고점기준도형길이(a(low))] 로 계산하고

    기준높이구간길이는
    [고점기준높이(h(high)) - 저점기준높이(h(low))] 로 계산하고

    측정대상자 신장은
    저점기준높이(h(low)) + [1 - 고점기준도형길이(a(low))대비측정기준도형길이배율]X기준높이구간길이 로 계산하여
    계산된 신장을 신장체중DB에 저장하거나,

    기준도형(210) 크기(면적)의 비율 계산을 통해
    측정대상자 신장 계산 기준높이 구간[h(high), h(low)]을 설정하고
    측정용 기준도형(210) 면적 b(x)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면적을 b(high)라 하고 b(high)에 대응된 기준높이를 h(low)로 설정하고,
    측정용 기준도형(210) 면적 b(x)보다 작으면서 가장 가까운 기준도형(210) 면적을 b(low)라 하고 b(low)에 대응된 기준높이를 h(high)로 설정하고,

    고점기준도형면적(b(low))대비측정기준도형면적배율은
    [측정기준도형면적(b(x)) 고점기준도형면적(b(low))]/ [저점기준도형면적(b(high)) - 고점기준도형면적(b(low))] 로 계산하고

    기준높이구간길이는
    [고점기준높이(h(high)) - 저점기준높이(h(low))] 로 계산하고

    측정대상자 신장은
    저점기준높이(h(low)) + [1 - 고점기준도형면적(b(low))대비측정기준도형면적배율]X기준높이구간길이 로 계산하여
    계산된 신장을 신장체중DB에 저장하고,

    체중계(200)의 체중표시부(220)에 표시된 체중을 카메라(110)로 촬영하여 체중표시부(220)에 표시된 체중을 읽거나, 스마트폰의 입력부(140)(키보드)로 부터 체중을 입력받아 체중을 신장체중DB에 저장하고

    신장체중DB의 측정대상자명, 생년월일, 측정일, 신장, 체중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자의 체지방지수를 계산하고, 신장, 체중, 체지방지수에 대해 시간 흐름에따른 시계열분석 도표를 작성하는 신장체중처리부(130)를 포함하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100) 및 그 장치
KR1020160012789A 2016-02-02 2016-02-02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 KR20170091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89A KR20170091911A (ko) 2016-02-02 2016-02-02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89A KR20170091911A (ko) 2016-02-02 2016-02-02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911A true KR20170091911A (ko) 2017-08-10

Family

ID=5965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789A KR20170091911A (ko) 2016-02-02 2016-02-02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19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066A (ko) 2019-03-18 2020-09-28 박상혁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066A (ko) 2019-03-18 2020-09-28 박상혁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9907A1 (en) Method of monitoring a surface feature and apparatus therefor
CN105043271B (zh) 长度测量方法及装置
CN110916620A (zh) 一种体温测量方法及终端
CN108050943A (zh) 一种长度测量方法及终端
CN103294916A (zh) 一种远程用户多诊断方式选择的医疗系统
Higgins Accessibility toolbox for R and ArcGIS
CN108489585A (zh) 一种智能识别的电子秤
KR20170091911A (ko) 신장과 체중 측정용 스마트폰 및 그 장치
KR102192374B1 (ko)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아동의 성장 및 발육 상태 확인 시스템
JP6411640B2 (ja) 肌状態測定分析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方法
KR20190096519A (ko) 피부측정기 필요없이 500만화소 이상의 카메라를 가진 모든 디바이스로 피부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CN105635584A (zh) 终端拍照方法及装置、终端
US20200370944A1 (en) Pressure and temperature based scale
JPWO2019181651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17956A (ko) 단말기를 이용한 피부진단 측정시스템
CN202582534U (zh) 一种距离测量装置
CN112019564A (zh) 一种测量体重的方法及系统
Linlin et al. CATIA 3D human body modeling based on photographic method
JP2018005720A (ja) 食事の栄養線分を管理する管理システム
Frosenbach Digital Gaging: Embracing The Accessibility Afforded By Today's Technology
CN104976971A (zh) 可显示被拍摄物平面尺寸的行动终端测量系统及测量方法
JP1756710S (ja) アイコン用画像
UA131637U (uk) Індикатор "intelligent 4.0"
RU2014111708A (ru)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ая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артер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и сопутствующих параметров
Leandry et al. Determination of human body segment inertial parameters using a fringe proj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