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331B1 - 다기능 윤척 - Google Patents

다기능 윤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331B1
KR101871331B1 KR1020170087887A KR20170087887A KR101871331B1 KR 101871331 B1 KR101871331 B1 KR 101871331B1 KR 1020170087887 A KR1020170087887 A KR 1020170087887A KR 20170087887 A KR20170087887 A KR 20170087887A KR 101871331 B1 KR101871331 B1 KR 10187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angle
tree
protective housing
mea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면
Original Assignee
이재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면 filed Critical 이재면
Priority to KR102017008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6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fo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30Bars, blocks, or strips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a pair of faces is fixed, although it may be preadjustable, e.g. end measure, feeler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윤척에 관한 것으로,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척도와, 상기 척도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척도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과, 상기 척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유동각을 형성하여 나무의 지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윤척에 있어서,
상기 척도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각과 일체로 형성되어 척도를 지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척도를 감싸주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홀의 일단에는 유동각이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척도를 집어넣었다 빼낼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의 끝단은 폐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윤척{Multi callipers}
본 발명은 다기능 윤척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고정각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척도와, 유동각이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척도를 보호하기 위하여 척도를 삽탈가능하게 감싸주는 보호집으로 구성되어 산림자원조사의 현장에서는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등산용 스틱, 지름측정여부 표시도구, 나무가지치기 및 덩굴제거용 도구, 야생조수 퇴치도구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기능 윤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림자원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조사하고자 하는 현장의 지형도, 임상도, 항공사진, 줄자, 직경테이프 등과 함께 윤척(輪尺, callipers)과 같은 장비를 휴대하고 현장에 직접 가서 산림조사를 수행하게 된다.
산림조사에 필요한 장비로서 임목(林木) 즉,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는 기구인 윤척은 길이를 재는 눈금이 그려져 있는 척도와, 상기 척도의 일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각과 상기 척도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윤척은 플라스틱으로 재질로 된 것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윤척은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 척도가 쉽게 부러지는 등의 단점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잘 부러지지 않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된 윤척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 역시 알루미늄 재질로 된 척도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쉽게 구부러지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험한 산길을 등산하듯 오르고 내리는 산림조사원들에게는 산행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윤척은 나무의 굵기를 측정하는 용도로만 이용할 수 있을 뿐 산림조사를 위해 산림현장으로 이동 중 야생조수 등을 퇴치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야생조수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나무와 수풀이 우거진 산림현장을 이동시에는 나무의 가지 또는 식물의 덩굴 등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없고, 또 직경을 측정한 나무는 표시를 해놔야 하지만 이를 표시하기 위한 용도의 도구 등등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4342호(2006. 12. 13.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69823호(2013. 10. 3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험한 산길을 오르고 내릴 때 몸을 지탱하는 용도의 지팡이나 등산용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무의 굵기를 측정한 후에는 나무의 껍질 일부를 벗겨내어 측정여부를 알리는 표시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무와 수풀이 우거진 수목 산길을 이동할 때에는 나무에서 뻗은 가지와 식물의 덩굴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 중 야생조수 출현시 이를 퇴치할 수 있는 용도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윤척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척도와, 상기 척도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척도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과, 상기 척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유동각을 형성하여 나무의 지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윤척에 있어서,
상기 윤척은,
상기 척도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각과 일체로 형성되어 척도를 지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척도를 감싸주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홀의 일단에는 유동각이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척도를 집어넣었다 빼낼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의 끝단은 폐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집의 일단에는 유동각과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손잡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윤척은 척도를 보호집에 형성된 삽입홀 속으로 삽입시 상기 척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과 상기 보호집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유동각을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링고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링고리에는 척도의 일측 끝단에 고정각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고리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각과 유동각을 묶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결속용 탄성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도의 폭 방향 일단에는 나무가지, 식물의 덩굴을 제거하기 위한 칼날이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도의 폭 방향 양단에는 나무가지, 식물의 덩굴을 제거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칼날과 톱날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각 및 유동각은 안테나구조와 같이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길이를 짤고 길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림자원을 파악하기 위해 윤척을 휴대하고 조사하고자 하는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윤척을 지팡이 또는 등산용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험한 산길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체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험한 산길을 이동하는 도중에 수목이 우거진 숲길을 통과할 때에는 길을 막고 있는 우거진 나무가지 및 식물의 덩굴 등을 척도에 형성되어 있는 칼날로 절단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절단하고자 하는 나무가지가 굵어 칼날로 절단하기 힘들거나 어려울 때에는 척도에 형성되어 있는 톱날을 사용하여 굵은 나무가지를 절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무의 지름을 측정한 후에는 척도에 형성되어 있는 칼날이나 톱날을 이용하여 지름측정조사가 완료된 나무의 껍질을 일부 벗겨내는 방법으로 측정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산림조사를 위해 깊은 산중을 이동하는 도중에 멧돼지 등과 같은 위험한 야생조수를 만났을 때에는 휴대하고 있는 척도를 야생조수 퇴치용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산림조사를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목적의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척도와 보호집의 분리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척도와 보호집을 결합한 사용상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D 방향에서 바라본 보호집의 유동각과 삽입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척도에 형성된 고정각과 보호집에 형성된 유동각을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링고리와 결속용 탄성끈 연결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척도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척도의 또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윤척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윤척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윤척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윤척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윤척(1)은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21)과 상기 눈금(21)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고정각(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척도(2)와, 상기 척도(2)를 집어넣고 빼낼 수 있도록 척도(2)와 같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31)과 상기 고정각(22)과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삽입홀(31)의 개구단측에 직각상으로 형성되는 유동각(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집(3)이 각기 독립된 구조로 따로따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집(3)을 척도(2)의 길이방향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나무의 지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윤척(1)은 척도(2)를 보호집(3)의 삽입홀(31)로 삽입하여 하나로 결합되게 조립하여 지팡이 또는 등산용 스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나무가지나 식물의 덩굴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야생조수를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윤척(1)은 지팡이 또는 등산용 스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척도(2)는 강도가 강한 금속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스틸이나 고강도 알루미늄합금과 같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척도(2)의 끝부분(도면상 우측부분 또는 하측부분 참조)은 대체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집(3)은 척도(2)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해야 하므로 강도는 강하면서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목재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윤척(1)은 척도(2)를 지팡이나 등산용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척도(2)의 일단(도면상 좌측부분 및 상측부분 참조)에는 척도(2)와 같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돌출되는 손잡이(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4)에는 우천시 발생하는 번개나 낙뢰 등 전기감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나무, 가죽, 고무 등의 절연재질로 피복되어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윤척(1)의 척도(2)는 도 3 내지 5의 도시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면이 마름모꼴모양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척도(2)의 폭 방향 일단이나 양단에는 나무가지 및 식물의 덩굴 등을 쉽게 자를 수 있도록 예리하게 형성되는 칼날(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는 상기 척도(2)의 폭 방향 양단 중 일단에는 예리한 칼날(23)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타단에는 굵은 나무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톱날(24)이 형성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상기 윤척(1)의 보호집(3)에는 상기 척도(2)를 집어넣고 빼낼 수 있는 삽입홀(31)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홀(31)은 척도(2)를 집어넣고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집(3)의 일단(도면상 좌측부분 또는 상측부분 참조)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도 6 참조)되어 있으며, 타단(도면상 우측부분 또는 하측부분 참조)은 폐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끝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도 1, 2 및 도 3 참조)
또한 상기 보호집(3)에는 삽입홀(31)이 개구되어 있는 일단에 유동각(32)과 보조손잡이(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손잡이(33)에는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돌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손잡이(33) 역시 낙뢰 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절연재질이 피복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윤척(1)은 나무의 지름 등을 측정할 때에는 척도(2)와 보호집(3)을 분리시켜서 나무(7)의 지름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동시 지팡이나 등산용 스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척도(2)와 보호집(3)을 하나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속링고리(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속링고리(5)는 척도(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22)과 상기 보호집(3)에 형성되어 있는 유동각(32)이 서로 평행하게 맞닿는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고정각(22)과 유동각(32)을 결속시킬 수 있는 트랙형의 링고리로 형성(도 7 참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결속링고리(5)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51)와 상기 척도(2)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4)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연결고리(41)는 결속용 탄성줄(6)로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링고리(5)는 윤척(1)을 지팡이나 등산용 스틱으로 사용하기 위해 휴대할 때에는 척도(2)와 보호집(3)이 하나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척고(2)를 보호집(3)의 삽입홀(31) 속으로 집어넣었을 때 유동각(32)이 고정각(22)에 평행하게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링고리(5)가 고정각(22)과 유동각(32)을 감싸도록 조립한 후 결속용 탄성줄(6)을 반대쪽으로 잡아당겨서 고정각(22)과 유동각(32)의 끝부분에 걸어주게 되면(도 2의 가상선 부분 참조) 상기 척도(2)와 보호집(3)은 하나로 결합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산림조사원은 윤척(1)을 지팡이 또는 등산용 스틱과 같은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 중에 나무가지 및 식물의 덩굴 등이 우거진 숲속을 지나게 될 때 앞을 가로 막고 있는 나무가지나 식물의 덩굴을 제거하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척도(2)의 폭 방향 일단 또는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예리한 칼날(23)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척도(2)의 폭 방향 일단에는 예리한 칼날(23)을, 타단에는 톱날(24)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도 9 참조)
그리고 상기 척도(2)의 끝부분은 뾰족하게 돌출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멧돼지 등과 같은 야생조수가 출현하여 위험을 느끼게 될 때 휴대하고 있는 윤척(1)을 야생조수 퇴치용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윤척(1)은 지름을 측정하고자 하는 나무(7)의 직경이 너무 커서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22)과 유동각(32)으로는 나무(7)의 지름을 측정하기 어려울 때를 대비하여 상기 고정각(22) 및 유동각(32)를 복수단으로 구성하여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테나와 같은 구조로 잡아 빼거나 집어넣는 방법으로 길이를 짧고 길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11 참조)
한편, 상기 척도(2)에 형성되어 있는 눈금(21)은 음각으로 형성한 다음 그 음각부분에 형광도료 등을 채워넣는 구조로 야간에 손전등을 이용하여 눈금(21)이 밝게 표현되게 함으로써 야간에도 나무(7)의 지름을 측정하게 될 경우에는 척도(2)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21)을 신속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윤척(1)을 휴대하여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수행할 수 있는 데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윤척(1)을 휴대하고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한 후 나무(8)의 지름을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척도(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22)과 보호집(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유동각(32)을 결속시키고 있던 결속링고리(5)를 고정각(22) 및 유동각(32)에서 빼내게 되면 상기 보호집(3)을 척도(2)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따라서 산림조사원은 한손으로는 척도(2)의 손잡이(4)를 붙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보호집(3)의 보조손잡이(33)을 붙잡은 다음, 지름을 측정하고자 하는 나무(7)가 도 10의 도시와 같은 굵기일 경우에는 그 굵기에 맞추어 상기 보호집(3)을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나무(7)의 일측에 밀착시킨 고정각(22)에 대하여 유동각(32)이 나무(7)의 굵기에 맞게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각(22)과 유동각(32)을 나무(7)의 지름위치에 갖다대면, 상기 고정각(22)은 나무(7)의 지름 일측(도면상 좌측부분 참조)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유동각(32)은 나무(7)의 반대측 지름위치에 밀착되도록 유동각(32)을 나무(7) 쪽으로 이동(화살표 방향 참조)시켜서 나무(7)에 밀착시키게 되면 유동각(32)이 멈추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동각(32)이 멈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21)을 확인하여 나무(7)의 지름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측정하고자 하는 나무(7)의 지름이 너무 커서 짧은 길이로 고정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22)과 유동각(32)으로 나무(7)의 지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 고정각(22)과 유동각(32)을 신축조절이 가능한 안테나식 구조와 같이 전체 길이를 길고 짧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사용하게 되면 지름이 굵은 나무(7)도 지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나무(7)의 지름을 측정한 후 그 나무(7)에 지름의 측정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나무(7)의 껍질 일부를 벗겨내고자 할 때에는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는 눈금(21)이 표시되어 있는 척도(2)에서 보호집(3)을 빼내고, 상기 척도(2)의 폭 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예리한 칼날(23)을 사용하여 나무껍질의 일부를 벗겨내는 방법으로 나무(7)의 지름을 측정했는지 또는 안했는지의 여부를 다른 산림조사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둘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산림조사원은 나무(7)의 지름을 측정한 후 그 나무(7)의 성장상태를 확인하고 혹 나무가지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가지치기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척도(2)에 형성되어 있는 칼날(23)을 사용하여 가지치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가지치기작업을 하는 도중에 제거하고자 하는 나무가지의 굵기가 너무 굵어서 척도(2)에 형성되어 있는 칼날(23)로 절단하기 곤란할 경우에는 상기 척도(2)의 칼날(23)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는 톱날(24)을 사용하여 굵은 나무가지 등을 절단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윤척(1)은 산림조사현장에서 나무(7)의 굵기를 측정하는 작업 이외에도 산림자원인 나무(7)의 육림작업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윤척(1)은 산림조사원이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할 때 필수적으로 휴대하고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윤척(1)을 휴대하는 산림조사원은 척도(2)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4)의 연결고리(41)에 결속용 탄성줄(6)로 연결되어 있는 결속링고리(5)를 이용하여 척도(2)와 보호집(3)을 하나로 결합되게 묶어줄 수 있으므로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2의 도시와 같이 척도(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22)과 보호집(3)에 형성되어 있는 유동각(32)이 서로 평행하게 맞닿게 한 상태에서 결속링고리(5)가 고정각(22)과 유동각(32)을 감싸도록 조립한 다음, 결속용 탄성줄(6)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각(22)과 유동각(32)을 묶어주는데, 이때 상기 결속용 탄성줄(6)으로 고정각(22)과 유동각(32)을 감아주는 방법으로 묶어줄 수도 있겠지만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결속용 탄성줄(6)을 결속링고리(5)의 반대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고정각(22)과 유동각(32)의 끝부분(도면상 좌측부분 참조)에 묶어주는 방법(가상선 부분 참조)으로 상기 척도(2)와 보호집(3)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윤척(1)의 척도(2)와 보호집(3)을 하나로 결합시키게 되면 윤척(1)의 휴대가 간편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산림조사원은 윤척(1)의 손잡이(4)를 잡고 보행시 지팡이 또는 등산용 스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할 때 보행시 윤척(1)을 의지하면서 보행할 수 있게 되므로 피로를 덜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윤척(1)은 험한 산길을 이동하게 될 때 나무가지와 식물의 덩굴이 이동을 어렵게 한다고 느낄 때에는 보호집(3)에서 척도(2)를 빼낸 다음, 상기 척도(2)의 손잡이(4)를 잡고 노출된 칼날(23)을 이용하여 나무가지 및 식물 덩굴 등의 장애물을 절단 제거하면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나무가지와 식물의 덩굴이 우거져 있는 숲속도 어려움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윤척(1)은 척도(2)의 끝부분은 물론이고 보호집(3)의 폐구된 끝부분이 뾰족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산림조사원은 험한 산길을 이동하는 도중에 가파르게 경사진 길을 올라갈 때 또는 내려갈 때 지면이나 나무뿌리부분 등에 척도(2) 또는 보호집(3)의 뾰족한 끝부분을 꽂아줄 수 있게 되므로 올라갈 때에는 손과 팔의 힘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산길을 오를 수 있으며, 내려갈 때에는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윤척(1)을 휴대하고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숲속에서 멧돼지와 같은 야생조수가 갑자기 출현하게 되어 위험을 느끼게 될 때에는 휴대하고 있는 윤척(1)을 야생조수 퇴치용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데, 이때에는 휴대하고 있는 윤척(1)의 보호집(3) 끝부분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 뾰죽한 부분으로 야생조수를 찌르는 방법으로 야생조수를 물리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척도(2)에서 보호집(3)을 빼내어 분리시킨 후 척도(2)의 뾰족한 끝부분이나 예리한 칼날(23) 또는 톱날(24)을 사용하여 야생조수를 퇴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척도(2)와 보호집(3)을 동시에 이용하여 야생조수를 퇴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윤척(1)은 척도(2)와 보호집(3)을 각각 독립된 구조로 구성하고, 나무의 지름을 측정할 때에는 상기 척도(2)에 보호집(3)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보호집(3)을 척도(2)의 길이방향을 향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나무의 지름을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산림조사현장으로 이동할 때에는 윤척(1)을 지팡이나 등산용 스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산길 이동시 피로를 덜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나무가지와 식물의 덩굴이 우거진 숲속을 이동할 때에는 척도(2)를 이용하여 나무가지와 식물의 덩굴 등을 절단 제거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나무의 지름을 측정한 후에는 상기 척도(2)의 칼날(23)을 이용하여 나무껍질의 일부를 벗겨내는 방법으로 지름의 측정여부를 표시할 수 있으며, 험한 산길을 이동하는 도중에 야생조수가 출현하여 위험을 느낄 때에는 휴대하고 있는 윤척(1)을 야생조수 퇴치용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일 뿐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설계변경되거나 변형된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윤척 2 : 척도
21 : 눈금 22 : 고정각
23 : 칼날 24 : 톱날
3 : 보호집 31 : 삽입홀
32 : 유동각 33 : 보조손잡이
4 : 손잡이 41 : 연결고리
5 : 결속링고리 51 : 결속고리
6 : 결속용 탄성줄 7 : 나무

Claims (7)

  1. 눈금(21)이 형성되어 있는 척도(2)와, 상기 척도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척도의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22)과, 상기 척도(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유동각(32)을 형성하여 나무의 지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윤척(1)에 있어서,
    상기 윤척(1)은,
    상기 척도(2)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각(22)과 일체로 형성되어 척도를 지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척도(2)를 감싸주는 삽입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홀의 일단에는 유동각(32)이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척도(2)를 집어넣었다 빼낼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31)의 끝단은 폐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집(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윤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집(3)의 일단에는 유동각(32)과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손잡이(33)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윤척.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척(1)은 척도(2)를 보호집(3)에 형성된 삽입홀(31) 속으로 삽입시 상기 척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각(22)과 상기 보호집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유동각(32)을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링고리(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윤척.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링고리(5)에는 척도(2)의 일측 끝단에 고정각(22)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4)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고리(41)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각(22)과 유동각(32)을 묶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결속용 탄성줄(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윤척.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도(2)의 폭 방향 일단에는 나무가지, 식물의 덩굴을 제거하기 위한 칼날(23)이 길이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윤척.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도(2)의 폭 방향 양단에는 나무가지, 식물의 덩굴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단에는 칼날(23)을, 타단에는 톱날(24)을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윤척.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각(22) 및 유동각(32)은 안테나구조와 같이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길이를 짧고 길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윤척.
KR1020170087887A 2017-07-11 2017-07-11 다기능 윤척 KR10187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87A KR101871331B1 (ko) 2017-07-11 2017-07-11 다기능 윤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87A KR101871331B1 (ko) 2017-07-11 2017-07-11 다기능 윤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331B1 true KR101871331B1 (ko) 2018-06-27

Family

ID=6279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887A KR101871331B1 (ko) 2017-07-11 2017-07-11 다기능 윤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33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07U (ko) * 1990-05-21 1992-01-29
KR200434342Y1 (ko) 2006-09-14 2006-12-19 박성주 휴대용 윤척
CN201161088Y (zh) * 2007-08-24 2008-12-10 方换弟 多功能爬山棒
KR20090104805A (ko) * 2006-11-07 2009-10-06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디지털 깊이 측정기
KR20130002992U (ko) * 2011-11-11 2013-05-22 엄대섭 전자 윤척
CN203274607U (zh) * 2013-05-20 2013-11-06 内蒙古北方重工业集团有限公司 红热件毛坯测量辅具
WO2015037906A1 (ko) * 2013-09-11 2015-03-19 Jung Mun Hwa 워킹 스틱
KR20170029148A (ko) * 2015-09-07 2017-03-15 장천덕 트리캘리퍼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07U (ko) * 1990-05-21 1992-01-29
KR200434342Y1 (ko) 2006-09-14 2006-12-19 박성주 휴대용 윤척
KR20090104805A (ko) * 2006-11-07 2009-10-06 에이도스메드 엘엘시 디지털 깊이 측정기
CN201161088Y (zh) * 2007-08-24 2008-12-10 方换弟 多功能爬山棒
KR20130002992U (ko) * 2011-11-11 2013-05-22 엄대섭 전자 윤척
KR200469823Y1 (ko) 2011-11-11 2013-11-14 박태산 전자 윤척
CN203274607U (zh) * 2013-05-20 2013-11-06 内蒙古北方重工业集团有限公司 红热件毛坯测量辅具
WO2015037906A1 (ko) * 2013-09-11 2015-03-19 Jung Mun Hwa 워킹 스틱
KR20170029148A (ko) * 2015-09-07 2017-03-15 장천덕 트리캘리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00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tation agriculture tasks management and data collection
CN206658584U (zh) 新型多功能园艺剪
CN207461016U (zh) 一种园林用树木起苗专用铲
KR101871331B1 (ko) 다기능 윤척
CN109211308A (zh) 在砍伐树木的情况中用于协助的方法以及用于协助的系统
US9770625B1 (en) Gaff guard
CN210008344U (zh) 一种树木推拉装置
Kirk et al. The effect of spiked boots on logger safety, productivity and workload
JP2019180389A (ja) 林業用樹木間移動機械
CN107360873B (zh) 一种多功能的绝缘修枝器
JP7422079B2 (ja) 結束タイ取付け用器具
CN205623338U (zh) 一种果树表皮环槽切剥装置
JP6073699B2 (ja) 高所作業用の導入筒
Collis et al. Line-throwing gun and cutter for obtaining branches from tree crowns
Landsberg et al. Repetitive sampling of the canopies of tall trees using a single rope technique
CN217523295U (zh) 一种基于园林植物用修剪装置
CN211322145U (zh) 一种园林用高枝剪
CN212963135U (zh) 一种植物资源野外调查时测量胸径并采集高枝树叶的装置
Wieringa Tree-climbing on a free rope
CN217487008U (zh) 一种玫瑰花枝条修剪用剪刀
CN211459728U (zh) 一种园林修剪设备悬挂架
CN105145139A (zh) 一种便携式修剪线刀
Murray Cone collecting techniques for whitebark pine
CN115024112A (zh) 一种清理电力线路树障的装置
Zákányiné Mészáros et al. Proposals to amend the legal framework for felling in inhabited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