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650A -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 Google Patents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650A
KR20130002650A KR1020110063734A KR20110063734A KR20130002650A KR 20130002650 A KR20130002650 A KR 20130002650A KR 1020110063734 A KR1020110063734 A KR 1020110063734A KR 20110063734 A KR20110063734 A KR 20110063734A KR 20130002650 A KR20130002650 A KR 20130002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verter
output
bidirectional
half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064B1 (ko
Inventor
송유진
한수빈
박석인
정학근
채수용
김규덕
유승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63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064B1/ko
Priority to US13/282,064 priority patent/US20130003423A1/en
Publication of KR2013000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 H02M3/33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3/337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in a push-pull configuration of the paralle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7Plural converter units whose outputs are connected 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전원에 대해 독립적으로 충방전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각 상(phase)의 제어루프를 독립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전원에 이상이 생겨도 다른 전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어루프를 손쉽게 추가 또는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Multi-input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with high voltage conversion ratio}
본 발명은 DC-DC 컨버터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온난화와 화석연료 고갈로 인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New Renewable Energy)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풍력 및 태양광 같은 신재생에너지는 간헐적(intermittent)인 출력특성으로 인해 전력계통과 연계시 계통(grid)의 불안정성, 전력품질의 저하를 발생시킨다.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battery 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한 계통안정화 시스템(grid stabilization system)은 신재생에너지 분산발전시스템(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과의 병렬운전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의 출력변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대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과의 병렬운전을 위해서는 대용량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고에너지 밀도(high energy density)와 고속 충방전 특성을 가지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한 대용량 에너지 저장시스템은 많은 셀들의 직병렬 연결을 통해 구성된다.
특히, 내부 저항(internal resistance)이 낮은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의 경우 직렬로 연결된 특정 셀이 고장을 일으켜 전압이 강하되면 다른 직렬 셀 모듈로부터 많은 전류가 흘러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저압의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 제어할 수 있는 고승압비의 대용량 양방향 DC-DC 컨버터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서로 다른 임피던스 특성 또는 충전상태를 갖는 배터리 셀 모듈 또는 슈퍼 캐패시터 모듈을 포함하는 저전압의 다중 전원에 대해 독립적으로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가 복수의 전류를 입력하거나 또는 복수의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의 제1입출력부와; 상기 각 제1입출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전류 또는 상기 각 제1입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상기 제1입출력부와 동수의 제1하프브리지와; 단일의 전류를 입력하거나 또는 단일의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의 제2입출력부와; 상기 제2입출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전류 또는 상기 제2입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상기 제1하프브리지와 동수의 제2하프브리지와; 충전 또는 방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1하프브리지와 제2하프브리지간에 서로 역방향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변압하되, 상기 제1하프브리지 및 제2하프브리지와 동수의 변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여러 에너지 저장 모듈에 대해 독립적으로 충방전 제어를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 상(phase)의 제어루프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다른 배터리 셀이 고장이 생겨도 다른 배터리 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
만약, 에너지저장 모듈이 배터리인 경우 전류제어 루프를 통해 부하추종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으며, 에너지저장 모듈이 슈퍼 캐패시터인 경우 배터리 보다 고주파의 부하추종 제어를 하거나 전류제어 루프에 전압제어 루프를 추가하여 계통안정화시스템 또는 DC 마이크로그리드의 DC 링크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전류형 하프 브리지 DC-DC 컨버터(current-fed half-bridge DC-DC converter)임과 동시에 2차측에 전압채배회로(voltage doubler)를 채용하여 낮은 권선비(turn ratio)의 변압기로 고승압비의 승압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를 3상으로 구현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도시한 3상으로 구현한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동작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복수의 제1입출력부(110)와, 상기 제1입출력부와 동수의 제1하프브리지(120)와, 단일의 제2입출력부(130)와, 상기 제1하프브리지와 동수의 제2하프브리지(140)와, 상기 제1하프브리지 및 제2하프브리지와 동수의 변압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제1입출력부(110)는 복수의 전류를 입력하거나 또는 복수의 전압을 출력한다. 양방향 DC-DC 컨버터의 특성에 따라 입출력 양단은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에 따라 전류 입력 또는 전압 출력 동작을 수행하므로, 상기 각 제1입출력부(110)는 충전 모드시에는 전류를 입력받고, 방전 모드시에는 전압을 출력한다.
이 때, 상기 각 제1입출력부(110)가 충전 또는 방전 가능한 전원 소자(V1,..,Vn)(111)와, 상기 전원 소자에 직렬 연결되어 전원 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인덕터(L1,..,Ln)(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원 소자(111)는 에너지의 충전/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또는 슈퍼 캐패시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와 같이 3상으로 고승압 양방향 DC-DC 컨버터를 구현한 경우, Y 결선으로 연결되는 제1입출력부(110)는 결선마다 DC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3상으로 고승압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제1입출력부(110)로 총 3개의 서로 다른 DC 전원을 포함하게 된다.
만약, 제1전원(Va), 제2전원(Vb), 제3전원(Vc)이 먼저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가정할 경우, 만약 제2전원이 고장이 나는 경우 제1전원 및 제3전원과의 전압차이가 생긴다. 이 경우, 제1전원 및 제3전원의 전류가 고장난 제2전원으로 흐르게 되므로, 제2 전원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각 전원마다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제1입출력부(110)가 서로 다른 제어루프에 의해 제어되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전원 소자(111)를 포함하도록 구현하고, 인덕터(112)를 각 전원 소자(111)에 직렬로 연결하여 각 전원에서 생성되는 전류를 저장하도록 구현한다.
방전 모드에서 각 인덕터(112)는 각 전원 소자(111)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류를 각각 독립적으로 방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전원을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전원이 고장나더라도 다른 루프에 연결된 전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전원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제1하프브리지(120)는 상기 제1입출력부(110)와 동수로 구성되며, 각 제1입출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 전류 또는 각 제1입출력부(110)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제1하프브리지(120)는 제1입출력부(110)와 추후 설명할 변압기(150) 사이에 연결되어 영 전압 스위칭(Zero Voltage Switching) 동작을 한다.
이 때, 각 제1하프브리지(120)는 충전 모드일 경우에는 변압기(150)에 의해 변압된 고주파 전류 펄스를 정류하여 제1입출력부(110)로 DC 전류를 출력하고, 방전 모드일 경우에는 제1입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되는 DC 전류를 고주파 전류 펄스로 변조하여 변압기(150)로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치(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1하프브리지(120)는 변압기(150)의 1차측에 배열된다. 복수의 스위치(121)(122)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또는 MOSFET(MOS field-effect transisto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에서 변압기(150)의 1차측은 2차측 보다 저전압이다.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충전 모드(buck mode)인 경우에는 에너지가 고전압인 2차측에서 저전압인 1차측으로 전달되고, 방전 모드(boost mode)인 경우에는 에너지가 저전압인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각 제1입출력부(110)에 연결되는 제1하프브리지(120)에 대해 독립적인 루프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에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1입출력부(110)가 하나 추가되는 경우, 복수의 스위치(121)(122)를 포함하는 제1하프브리지(120) 하나를 추가하면 된다.
상기 단일의 제2입출력부(130)는 단일의 전류를 입력하거나 또는 단일의 전압을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제2입출력부(130)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전원용 캐패시터(C0)(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제1입출력부(110)의 수와 관계없이 하나의 제2입출력부(130)를 가진다. 방전 모드에서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출력은 제2입출력부(130)의 양단 전압이다. 예컨대, 제2입출력부(130)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DC 입력단, 분산 전원용 컨버터의 DC 출력단 또는 부하용 컨버터의 DC 입력단과 연결될 수 있다.
방전 모드(boost mode)에서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제1입출력부(110)로부터 제2입출력부(130)로 에너지가 공급된다. 공급된 에너지는 제2입출력부(130)의 전원용 캐패시터(C0)(131)에 저장되고, 외부 전원 시스템(도면 도시 생략)의 DC 입력단에 연결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충전 모드(buck mode)에서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제2입출력부(130)로부터 제1입출력부(110)로 에너지가 공급된다. 제2입출력부(130)의 전원용 캐패시터(C0)(131)는 외부의 전원 시스템(도면 도시 생략)으로부터 전달된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추후 설명할 제2하프브리지(140)와 변압기(150)를 통해 제2입출력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2하프브리지(140)는 제1하프브리지(120)와 동수로 구성되며, 상기 제2입출력부(130)에 의해 입력되는 전류 또는 상기 제2입출력부(130)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제2하프브리지(140)는 제2입출력부(130)와 추후 설명할 변압기(150) 사이에 연결된다.
이 때, 각 제2하프브리지(140)는 충전 모드일 경우에는 제2입출력부(130)에 의해 입력되는 DC 전류를 고주파 전류 펄스로 변환하여 변압기(150)로 출력하고, 방전 모드일 경우에는 변압기(150)에 의해 변압된 고주파 전류 펄스를 정류하여 제2입출력부(130)로 DC 전류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치(141)(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2하프브리지(140)는 변압기(150)의 2차측에 배열된다. 복수의 스위치(141)(142)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또는 MOSFET(MOS field-effect transisto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에서 변압기(150)의 1차측은 2차측 보다 저전압이다.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충전 모드(buck mode)인 경우에는 에너지가 고전압인 2차측에서 저전압인 1차측으로 전달되고, 방전 모드(boost mode)인 경우에는 에너지가 저전압인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각 제1입출력부(110)에 연결되는 제1하프브리지(120)에 대해 독립적인 루프제어가 가능하며, 제1하프브리지(120)에 대응하는 제2하프브리지(140)도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에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1입출력부(110)가 하나 추가되는 경우, 복수의 스위치(121)(122)를 포함하는 제1하프브리지(120) 하나를 추가하면 되고, 동시에 복수의 스위치(141)(142)를 포함하는 제2하프브리지(140) 하나를 추가하면 된다.
상기 변압기(150)는 상기 제1하프브리지(120) 및 제2하프브리지(140)와 동수로 구성되며, 충전 또는 방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1하프브리지(120)와 제2하프브리지(140)간에 서로 역방향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변압한다.
각 변압기(150)의 1차측에는 제1하프브리지(120)가 연결되고, 2차측에는 제2하프브리지(140)가 각각 연결되며, 방전 모드일 경우에는 1차측의 전압을 변압하여 2차측에 변압된 전압을 인가하고, 충전 모두일 경우에는 역으로 2차측 전압을 변압하여 1차측에 변압된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변압기(150)는 전원과 부하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변압기(150)는 설정된 권선비 1:K로 권선되어 1차측과 2차측간에 전압을 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각 전원에 대해 독립적인 제어루프를 구성하므로, 전원이 하나 추가될 때마다 제1하프브리지(120) 및 제2하프브리지(140)가 각각 하나씩 추가되고, 이들간에 연결되는 변압기(150)도 하나 추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상기 각 제1하프브리지(120)가 공유하되, 각 제1하프브리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스위치(121)(122) 각각에 연결되어 소프트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161)(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가 상기 각 제2하프브리지(140)마다 별도로 구비하되, 각 제2하프브리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스위치(141)(142) 각각에 연결되어 소프트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171)(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각 구성 요소간의 연결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n상의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의 경우, n 개의 독립된 DC 전원 소자(V1,...,Vn)(111)가 병렬 형태로 배열되며, 각 전원 소자(111)에는 인덕터(L1,...,Ln)(112)가 직렬로 연결되어 복수의 제1입출력부(110)가 구성된다.
각 제1입출력부(110)마다 각각 제1하프브리지(120)가 연결되고, 각 제1하프브리지(120)는 복수의 스위치(121)(122)가 각 전원 소자(111) 양단과 각 변압기(150) 양단에 병렬 연결되고, 각 제1하프브리지(120)가 공유하되 복수의 스위치(121)(122) 각각에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161)(162)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독립된 제1입출력부(110)가 추가될 때마다 제1하프브리지(120)도 추가된다. 이 때, 제1하프브리지(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치(121)(122)만 추가되고, 각 제1하프브리지(120)들이 공유하는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161)(162)는 추가되는 제1하프브리지(120)가 다른 제1하프브리지(120)들과 공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독립된 제1입출력부(110)와 동수의 변압기(T1,...,Tn)(150)를 포함한다. 각 변압기(150)(T1,...,Tn)는 고주파 변압기(high frequency transformer)로써, 1차측과 2차측 각각에 Y-Y 결선형태로 제1하프브리지(120)와 제2하프브리지(140)가 각각 연결된다.
이 때, 각 변압기(150) 1차측의 일단은 각 제1하프브리지(120)들에 포함되는 스위치(Q1 -1,Q1 -2,...,Qn -1,Qn -2)(121)(122)들의 접점과 연결되며, 1차측의 타단은 각 제1하프브리지(120)들이 공유하는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C1, C2)(161)(162)의 접점과 연결된다.
한편, 각 변압기(150) 2차측의 일단은 각 제2하프브리지(140)들에 포함되는 스위치들(S1 -1,S1 -2,...,Sn -1,Sn -2)(141)(142)의 접점과 연결되며, 2차측의 타단은 각 제2하프브리지(140)들의 복수의 스위치(141)(142) 각각에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들(C1-1,C1-2,...,Cn-1,Cn-2)(171)(172)의 접점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는 독립된 제1입출력부(110)가 추가될 때마다 제2하프브리지(140)도 추가된다. 이 때, 제2하프브리지(140)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치(141)(142)와 이들 각각에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171)(172)도 추가된다. 각 제2하프브리지(140)는 제2입출력부(130)의 전원용 캐패시터(C0)(131)와 연결된다.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를 3상으로 구현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3 은 도 2 에 도시한 3상으로 구현한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의 동작 파형도이다.
3상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는 3개의 독립된 제어루프가 형성된다. 3상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는 1차측과 2차측에 모두 Y-Y 결선의 3상 고주파 변압기(high frequency transformer)(150)를 포함한다.
3상 고주파 변압기(150)의 1차측에는 3개의 인덕터(La, Lb, Lc)(112)와 3개의 제1하프브리지(120)가 배치된다. 각 제1하프브리지(120)는 각각 복수의 스위치(Q1,Q2)(Q3,Q4)(Q5,Q6)(121)(122)를 포함하며,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C1,C2)(161)(162)를 공유한다.
3상 고주파 변압기(150)의 1차측 일단은 각 제1하프브리지(120)의 복수의 스위치(121)(122)간의 접점(a, b, c)에 연결된다. 또한, 3상 고주파 변압기(150)의 1차측 타단은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161)(162)의 접점 m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한편, 3상 고주파 변압기(150)의 2차 측에는 3개의 제2하프브리지(140)와, 3개의 제2하프브리지(140)가 공유하는 전원용 캐패시터(C0)(131)가 배열된다. 각 제2하프브리지(140)는 각각 복수의 스위치(S1,S2)(S3,S4)(S5,S6)(141)(142)를 포함하며, 각 제2하프브리지(140)의 복수의 스위치(S1,S2)(S3,S4)(S5,S6)(141)(142) 마다 각각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Ca3,Ca4)(Cb3,Cb4)(Cc3,Cc4)(171)(172)가 연결된다.
3상 고주파 변압기(150)의 2차측 일단은 각 제2하프브리지(140)의 복수의 스위치(141)(142)간의 접점(a', b', c')에 연결된다. 또한, 3상 고주파 변압기(150)의 2차측 타단은 각 제2하프브리지(140)의 복수의 스위치(141)(142)에 각각 연결되는 무손실 캐패시터(171)(172)의 접점(am', bm', cm')과 연결된다.
도 3 을 참조해 보면, a상의 전원(Va)을 포함하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제1하프브리지(120)의 스위치(121)(122)의 턴온(turn-on) 시간과 제2하프브리지(140)의 스위치(141)(142)의 턴온(turn-on)시간은 차이가 존재한다.
ILa, ILb, ILc는 a, b, c상의 인덕터(La, Lb, Lc)(112) 입력 전류를 나타내고, Ipa, Ipb, Ipc는 변압기(150)의 1차측 전류를 나타낸다. Vpa는 변압기(150)의 a상의 1차측 펄스 전압을 나타내고, Vsa는 변압기(150)의 a상의 2차측 펄스 전압을 나타낸다. Vc1은 무손실 캐패시터(C1)의 양단 전압, Vc2는 무손실 캐패시터(C2)의 양단 전압을 나타낸다.
변압기(150)의 a상의 1차측 구형파 전압(Vpa)과, 변압기(150) a상의 2차측 구형파 전압(Vsa)에는 위상차(phase shift, φa)가 존재한다. 이러한 위상차에 의해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전력전달 양이 결정된다. 각상의 제1하프브리지(120) 및 제2하프브리지(140)는 50%의 듀티비(duty ratio)로 동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전원에 대해 독립적으로 충방전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의 각 상(phase)의 제어루프를 독립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전원에 이상이 생겨도 다른 전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어루프를 손쉽게 추가 또는 제거가 가능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DC-DC 컨버터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DC-DC 컨버터 110 : 제1입출력부
111 : 전원 소자 112 : 인덕터
120 : 제1하프브리지 121, 122, 141, 142 : 스위치
130 : 제2입출력부 140 : 제2하프브리지
150 : 변압기 161, 162, 171, 172 : 무손실 캐패시터

Claims (7)

  1. 충전 또는 방전 모드에 따라 전압 출력 방향이 반대가 되는 양방향 DC-DC 컨버터에 있어서,
    복수의 전류를 입력하거나 또는 복수의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의 제1입출력부와;
    상기 각 제1입출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전류 또는 상기 각 제1입출력부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되, 상기 제1입출력부와 동수의 제1하프브리지와;
    단일의 전류를 입력하거나 또는 단일의 전압을 출력하는 단일의 제2입출력부와;
    상기 제2입출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전류 또는 상기 제2입출력부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되, 상기 제1하프브리지와 동수의 제2하프브리지와;
    충전 또는 방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1하프브리지와 제2하프브리지간에 서로 역방향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변압하되, 상기 제1하프브리지 및 제2하프브리지와 동수의 변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하프브리지가:
    충전 모드일 경우에는 변압기에 의해 변압된 고주파 전류 펄스를 정류하여 제1입출력부로 DC 전류를 출력하고, 방전 모드일 경우에는 제1입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DC 전류를 고주파 전류 펄스로 변조하여 변압기로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하프브리지가:
    충전 모드일 경우에는 제2입출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DC 전류를 고주파 전류 펄스로 변환하여 변압기로 출력하고, 방전 모드일 경우에는 변압기에 의해 변압된 고주파 전류 펄스를 정류하여 제2입출력부로 DC 전류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가:
    상기 각 제1하프브리지가 공유하되, 각 제1하프브리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스위치 각각에 연결되어 소프트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가:
    상기 각 제2하프브리지마다 별도로 구비하되, 각 제2하프브리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스위치 각각에 연결되어 소프트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무손실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6. 제 1 항 있어서,
    상기 각 제1입출력부가;
    충전 또는 방전 가능한 전원 소자와;
    상기 전원 소자에 직렬 연결되어 전원 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7. 제 1 항 있어서,
    상기 제2입출력부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전원용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KR1020110063734A 2011-06-29 2011-06-29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KR10125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34A KR101251064B1 (ko) 2011-06-29 2011-06-29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US13/282,064 US20130003423A1 (en) 2011-06-29 2011-10-26 Multi-input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with high voltage conversion rati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34A KR101251064B1 (ko) 2011-06-29 2011-06-29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50A true KR20130002650A (ko) 2013-01-08
KR101251064B1 KR101251064B1 (ko) 2013-04-05

Family

ID=4739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734A KR101251064B1 (ko) 2011-06-29 2011-06-29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03423A1 (ko)
KR (1) KR101251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403B1 (ko) * 2013-11-07 2015-03-26 (주)티에스식스티즈 전력 저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90B1 (ko) * 2011-06-29 2012-1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승압비 다상 인터리브 양방향 dc-dc 컨버터
FR2988933B1 (fr) * 2012-03-30 2014-04-04 Geo27 S Ar L Generateur de courant et procede de generation d'impulsions de courant
US9203309B2 (en) 2013-09-11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Multi-output boost regulator with single control loop
EP2924863A1 (en) * 2014-03-27 2015-09-30 Kone Corporation A bidirectional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9802493B2 (en) * 2014-06-20 2017-10-3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ulti-phase bidirectional DC to DC power converter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with transient stress control
CN106033931B (zh) * 2015-03-18 2019-09-03 山特电子(深圳)有限公司 双向dc-dc变换器及其控制方法
CN104917198B (zh) * 2015-06-08 2018-08-03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储能系统控制装置和方法
US9973099B2 (en) * 2015-08-26 2018-05-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AC/DC converters with wider voltage regulation range
KR20180023163A (ko) * 2016-08-25 2018-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CN108448884A (zh) * 2018-04-04 2018-08-24 南京航空航天大学 双输入dc-ac变换器的两种失效容错方法
CN111010038A (zh) * 2018-10-05 2020-04-14 株式会社电装 电力转换设备
CN109768725B (zh) * 2019-03-06 2020-08-07 武汉大学 一种单相非隔离型光伏并网逆变器拓扑结构
CN110085926B (zh) * 2019-04-11 2021-02-09 华中科技大学 一种具有自修复功能的锂电池系统及其自修复方法
KR102619173B1 (ko) * 2020-12-21 2024-0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양방향 절연형 대용량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1314A (en) 1991-02-04 1992-06-09 Maxwell Laboratories Bi-mode high voltage resonant power supply and method
US5343079A (en) * 1991-02-25 1994-08-3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tandby power supply with load-current harmonics neutralizer
US5781419A (en) * 1996-04-12 1998-07-14 Soft Switching Technologies, Inc. Soft switching DC-to-DC converter with coupled inductors
JP4010060B2 (ja) 1998-08-27 2007-11-21 ソニー株式会社 昇圧型コンバータ装置
US7138730B2 (en) * 2002-11-22 2006-11-21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Topologies for multiple energy sources
JP2008517582A (ja) * 2004-10-20 2008-05-22 シーメンス ヴィディーオ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コーポレイション 電力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7518886B1 (en) * 2005-02-18 2009-04-14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Multiphase soft switched DC/DC converter and active control technique for fuel cell ripple current elimination
EP2025051B1 (en) * 2006-06-06 2014-12-31 Ideal Power Inc. Universal power converter
US7746041B2 (en) * 2006-06-27 2010-06-29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Non-isolated bus converters with voltage divider topology
CN101689808B (zh) * 2007-06-28 2012-08-15 新电元工业株式会社 双向dc/dc转换器
US7796406B2 (en) * 2007-07-31 2010-09-14 Lumeni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isolated power converter
KR100983673B1 (ko) * 2007-09-27 2010-09-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승압형 dc-dc 컨버터
US7768800B2 (en) * 2007-12-12 2010-08-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ultiphase conver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031217B1 (ko) * 2009-10-21 2011-04-27 주식회사 오리엔트전자 고정 시비율로 동작하는 llc 공진 컨버터를 사용한 2단 방식 절연형 양방향 dc/dc 전력변환기
US8503194B2 (en) * 2009-12-21 2013-08-06 Intersil Americas LLC Bidirectional signal conversion
US8284576B2 (en) * 2010-04-16 2012-10-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module bidirectional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US8363427B2 (en) * 2010-06-25 2013-01-29 Greecon Technologies Ltd.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 with regulated output and soft switching
KR101199490B1 (ko) * 2011-06-29 2012-1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승압비 다상 인터리브 양방향 dc-dc 컨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403B1 (ko) * 2013-11-07 2015-03-26 (주)티에스식스티즈 전력 저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064B1 (ko) 2013-04-05
US20130003423A1 (en)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064B1 (ko)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KR101168078B1 (ko)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KR101199490B1 (ko) 고승압비 다상 인터리브 양방향 dc-dc 컨버터
US8853888B2 (en) Multiple-input DC-DC converter
US9673719B2 (en) Dual Active Bridge with flyback mode
US9362848B2 (en) Hybrid AC/DC converter for HVDC applications
KR101397026B1 (ko)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Sarhangzadeh et al. Multiinput direct DC–AC converter with high-frequency link for clean power-generation systems
Suryadevara et al. Full-bridge ZCS-converter-based high-gain modular DC-DC converter for PV integration with medium-voltage DC grids
JP6194205B2 (ja) バッテリ温度制御システムとこれを備えた電力貯蔵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40042815A1 (en) Balancing, filtering and/or controlling series-connected cells
US8928176B2 (en) Energy storage system
EP3399634A1 (en) Isolat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WO2018157838A1 (zh) 用于混合电源系统的组合dc-dc变换器
Jiya et al. Novel family of high-gain nonisolated multiport converters with bipolar symmetric outputs for DC microgrids
Park et al. An interleaved half-bridge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energy storage system applications
US11165358B2 (en) Switching control method for isolat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Sato et al. Non-isolated multi-port converter integrating PWM and phase-shift converters
US11336192B2 (en) Three-phase power apparatus with bidirectional power conversion
Park et al.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with interleaving structure of dual-active-bridge converter and non-isolated DC-to-DC converter with wide input and output voltage
Chen et al. A new nonisolated three-port DC-DC converter with high step-up/down ratio
Cui et al. Direct 400 Vdc to 1 Vdc power conversion with input series output parallel connection for data center power supplies
LT6944B (lt) Rezonansinis nuolatinės srovės keitiklis
Asa et al. Analysis of a novel interleaved CLL resonant converter for EV battery charger applications
Ko et al. High Efficiency Asymmetric Dual Active Clamp Forward Converter with Phase-Shift Control for Small Conduction Lo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