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163A -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163A
KR20180023163A KR1020160108047A KR20160108047A KR20180023163A KR 20180023163 A KR20180023163 A KR 20180023163A KR 1020160108047 A KR1020160108047 A KR 1020160108047A KR 20160108047 A KR20160108047 A KR 20160108047A KR 20180023163 A KR20180023163 A KR 20180023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current
hdc
core
convert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우
양시훈
양진영
여인용
송병섭
이우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163A/ko
Priority to US15/353,085 priority patent/US10056187B2/en
Priority to CN201611090515.0A priority patent/CN107785156B/zh
Publication of KR2018002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7/00Fixed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02P6/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3/14Constrictions; Gaps, e.g. air-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verter used
    • H02P2201/07DC-DC step-up or step-down converter insert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inverter supplying the motor, e.g. to control voltage source fluctuations, to vary the moto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 자동차와 같은 환경차량의 시스템 효율 개선을 위한 분말 자성체 타입의 코어를 적용한 트랜스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 변환 장치에 적용되는 기존 트랜스 인덕터의 코어 소재 대신, 전류 포화에 강한 성질(즉,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 발생시에도 전류 포화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는 소재를 적용하여 높은 전류 발생시 코어 포화로 인한 인덕턴스 감소율을 개선하여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급격한 전류 상승을 저감함으로써, 인버터 파워모듈(IGBT)에 걸리는 피크(peak) 전류는 낮추고 인버터 효율을 향상시키며 출력 RMS 전류(출력 실효 전류)를 감소시켜 콘덴서(Capacitor)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Trans Inductor and power converter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 자동차와 같은 환경차량의 시스템 효율 개선을 위한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환경오염 문제의 대두에 따라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연비 향상과 직결되는 인버터의 효율 향상은 가장 중요한 이슈이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전압을 승압시켜 인버터 입력전압을 향상시킴으로써 인버터의 효율을 개선시키는 HDC(High-voltage DC-DC converter)가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 차량과 같이 전기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친환경차량은 전기모터의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배터리의 출력을 변환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가 배터리와 전기모터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와 인버터 사이에는 배터리의 전압을 승압시켜 인버터 입력전압을 향상시키는 HDC(High-voltage DC-DC converter)가 장착된다.
즉, 친환경차량에는 차량 연비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인버터 효율 향상을 위해, 인버터 입력 전압을 높여 입력 전류를 줄이기 위한 HDC(High-voltage DC-DC converter)라는 배터리 승압 컨버터를 적용하게 된다.
HDC와 같은 승압 컨버터는 양방향 벅 부스트 컨버터가 사용되는데, 이때 HDC 성능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부품이 리플 전류를 결정하게 되는 인덕터이다.
기존 벅 부스트 컨버터에 사용되는 인덕터는 일반 인덕터와 인터리브 인덕터 및 트랜스 인덕터가 있다.
일반 인덕터는 평활 콘덴서 즉, 인버터 입력 콘덴서에 흐르는 리플 전류가 증가하여 콘덴서 용량을 증가시켜 크기나 가격을 높인다.
인터리브 인덕터의 경우 콘덴서에 흐르는 리플 전류는 절반 수준으로 줄일 수 있으나 HDC 컨버터 모듈에 흐르는 리플 전류를 증가시켜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통상적인 트랜스 인덕터(Trans Inductor)의 경우 코어의 재질을 페라이트를 적용하여 사용하는데, 자동차 시스템과 같이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가 발생하는 시스템에서는 페라이트 재질의 코어를 사용할 경우 높은 전류 피크 발생으로 코어가 포화되어 자성체의 특성을 잃어 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인덕터는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가 발생하는 전력 변환 장치 등에 적용시, 스위칭소자(IGBT)에 높은 피크(Peak) 전류가 발생되게 하며 큰 리플 전류로 인해 대용량의 콘덴서를 필요로 하게 되거나, 또는 코어가 포화되어 자성체의 특성을 잃는 문제가 발생한다.
첨부한 도 1은 일반 인덕터를 적용한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인터리브 인덕터를 적용한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페라이트 코어 타입의 트랜스 인덕터를 적용한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3을 보면, 친환경차량용 전기모터의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전력 변환을 위한 구조로서, 인덕터(2,12,22)와 HDC 컨버터 모듈(3,13,23)로 구성되는 HDC와 더불어 배터리(1,11,21)와 평활 콘덴서(4,14,24) 및 인버터 파워모듈(5,15,25)의 연결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 인덕터(2)를 적용한 도 1의 전력 변환 장치의 경우, 인덕터를 제외한 다른 회로 구성은 도 2 및 도 3의 전력 변환 장치와 동일하며, 평활 콘덴서(4)에 흐르는 리플 전류가 인터리브 인덕터(12) 및 페라이트 코어 타입의 트랜스 인덕터(22) 대비 2배 정도 증가하므로 동일한 성능을 위해서는 콘덴서 용량을 2배로 증가시켜야 한다.
즉, 전력 변환 장치의 HDC 인덕터에 일반 인덕터 사용시, 높은 전류가 흐를 때 높은 피크 전류가 발생하여 콘덴서 용량의 증가를 필요로 하게 되고, 높은 피크 전류는 높은 노이즈로 이어져 차량 전자파 및 소자 수명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인터리브 인덕터(12)를 적용한 도 2의 전력 변환 장치의 경우, 인버터 입력측 평활 콘덴서(14)의 용량은 낮출 수 있으나, 높은 피크 전류가 HDC 컨버터 모듈(13)에 흐르게 되어 스위칭 손실 및 노이즈를 증가시켜 차량 전자파 및 소자 수명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
트랜스 인덕터(22)를 적용한 도 3의 전력 변환 장치의 경우,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 발생시 인덕터 코어가 포화되면서 인덕턴스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스위치 소자에 급격한 전류 상승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력 변환 장치에 적용되는 기존 트랜스 인덕터의 코어 소재 대신, 전류 포화에 강한 성질(즉,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 발생시에도 전류 포화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성질)을 갖는 소재를 적용하여 높은 전류 발생시 코어 포화로 인한 인덕턴스 감소율을 개선하여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급격한 전류 상승을 저감함으로써, 인버터 파워모듈(IGBT)에 걸리는 피크(peak) 전류는 낮추고 인버터 효율을 향상시키며 출력 RMS 전류(출력 실효 전류)를 감소시켜 콘덴서(Capacitor)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트랜스 인덕터에 있어서, 분말 상태의 하이플럭스 소재를 압착하여 형성된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인덕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코어는 그 양측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제1코일부와 제2코일부가 각각 권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력 변환 장치로서,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승압시켜 출력하는 HDC 컨버터 모듈; 상기 배터리와 HDC 컨버터 모듈 사이에 장착되고, HDC 컨버터 모듈에 흐르는 피크 전류를 감소하는 트랜스 인덕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 인덕터는 하이플럭스 소재로 이루어진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HDC 컨버터 모듈의 출력단에는 HDC 컨버터 모듈의 출력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평활 콘덴서가 연결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 인덕터를 사용함에 의해, 인버터 입력측 평활 콘덴서에 흐르는 RMS 전류를 감소시켜 콘덴서 부품의 사이즈 및 용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HDC 컨버터 모듈에 적용되는 리플 전류를 줄임으로써 소자 수명을 증대할 수 있으며, 인덕터 포화를 방지하여 노이즈를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 인덕터를 적용한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인터리브 인덕터를 적용한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페라이트 코어 타입의 트랜스 인덕터를 적용한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트랜스 인덕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트랜스 인덕터의 코어와 코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 인덕터를 적용한 전력 변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입력전류에 따라 각 부품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 그리고 스위치 소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 인덕터를 적용한 전력 변환 회로에서 발생하는 콘덴서의 RMS 전류 및 HDC 컨버터 모듈의 리플 전류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실험 결과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 인덕터를 적용한 전력 변환 회로의 출력 전력에 따른 인덕터 효율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 인덕터의 인덕턴스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실험 결과 그래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플럭스 코어의 투자율 유지 능력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트랜스 인덕터(120)는 변압기 타입의 2상 인덕터로서, 하우징(128) 내에 설치되는 코어(122)와 상기 코어(122)에 권선된 코일부(124,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어(122)는 전류 포화에 강한 특성을 갖는 분말 자성체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분말 타입/상태의 소재를 압착하여 사각의 링 모양으로 제작되며, 예를 들어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사각의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구형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코일부(124,126)는 제1코일부(124)와 제2코일부(126)로 구성되고, 제1코일부(124)와 제2코일부(126)는 코어(122)의 양측에 각각 권선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코일부(124)와 제2코일부(126)는 코어(122)의 개구부를 제외한 부위에 권선된다.
상기 코어(122)는 분말 자성체 중에서 특히 전류 포화에 강한 특성을 갖는 소재의 분말 자성체를 이용하여 압착 성형되며, 구체적으로 하이플럭스 소재 등으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은 분말 자성체 소재의 코어를 적용한 트랜스 인덕터(120)는, 기존의 페라이트 코어를 적용한 트랜스 인덕터 대비, 하이플럭스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코어(122)를 형성함으로써 전류 포화에 대한 성능이 증대되어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가 발생하여 흐르는 경우에도 인덕턴스가 급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랜스 인덕터(120)는 하이플럭스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대비 코어 형태를 단순화할 수 있고, 코어 사이즈 및 중량을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자성체 코어 타입의 트랜스 인덕터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보듯이, 상기 전력 변환 장치는 친환경차량용 전기모터의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전력 변환을 위한 구조로서 트랜스 인덕터(120)와 HDC 컨버터 모듈(130)로 구성되는 HDC와 더불어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110)와 평활 콘덴서(140) 및 인버터 파워모듈(150)(혹은 인버터라고 함)의 연결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트랜스 인덕터(120)와 HDC 컨버터 모듈(130) 및 평활 콘덴서(140)를 통해 인버터 파워모듈(150)의 입력 전압(Vc)을 상승시킨다.
상기 배터리(110)는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자동차 등에 모터 전원(전력공급원)으로서 장착되는 리튬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00V ~ 400V 의 입력 전압 범위를 가진다.
상기 트랜스 인덕터(120)는 변압기 구조를 가진 인터리브 방식의 인덕터로서, 배터리(110)와 HDC 컨버터 모듈(130) 사이에 장착되어, 누설인덕턴스와 자화인덕턴스가 동시에 작용하여 일반 단상 인덕터보다 평활 콘덴서(140)에 흐르는 리플 전류를 줄여 콘덴서 용량을 줄이도록 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인터리브 인덕터보다 HDC 컨버터 모듈(130)의 스위치 소자에 걸리는(흐르는) 피크 전류를 감소시켜 효율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트랜스 인덕터(120)는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가 발생하여 흐르는 경우에도 분말 자성체 코어(즉, 하이플럭스 코어)가 포화되지 않고 자성체 특성을 유지하여 인덕턴스가 급속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트랜스 인덕터(120)의 출력측에 연결된 HDC 컨버터 모듈(130) 및 평활 콘덴서(140) 등에 흐르는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저감한다.
또한, 상기 트랜스 인덕터(120)는, 제1코일부(124)가 배터리(110)측에 연결되는 한쪽 단자(124a)에 도트(dot)가 형성되고, 제2코일부(126)는 HDC 컨버터 모듈(130)측에 연결되는 한쪽 단자(126b)에 도트가 형성됨으로써 평활 콘덴서(140)에 흐르는 리플 전류를 줄이는데 유리해진다.
이렇게 전류 포화에 강한 분말 자성체 소재의 코어(122)를 사용하여 트랜스 인덕터(120)를 만들 경우, 높은 전류가 순간적으로 발생시에도 인덕터 코어가 포화되지 않아 회로 내 스위치 소자의 보호, 인버터 효율, 발열 개선에 도움이 되며, 결과적으로 트랜스 인덕터(120)를 채용한 전력 변환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HDC 컨버터 모듈(130)은 각 스위치 소자(Q1,Q2,Q3,Q4)의 동작을 통해 배터리(110)의 전압을 승압시켜 출력하여 인버터 입력 전압을 높여 인버터(150)에 흐르는 평균 전류를 낮춰 인버터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평활 콘덴서(140)는 HDC 컨버터 모듈(130)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불연속 전류 및 전압을 연속으로 평활하여 HDC 컨버터 모듈(130)의 출력 전압 즉, 인버터 입력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인버터 파워모듈(150)은 스위치 소자의 동작을 통해 인버터 출력단에 연결되는 차량 모터(미도시)를 구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력 변환 장치는 도 7과 같은 전류 및 전압을 형성하게 된다.
첨부한 도 7에는,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배터리(110)에서 입력전류(Iin)가 출력될 때, 트랜스 인덕터(120)를 통과하여 HDC 컨버터 모듈(130)에 입력되는 전류(Iin1,Iin2) 및 평활 콘덴서(140)에 인가되는 전류(Ic) 그리고 상기 HDC 컨버터 모듈(130)의 스위치 소자(Q1,Q2,Q3,Q4)의 온/오프 동작 및 평활 콘덴서(140)의 출력전압(Vc) 즉, 인버터 입력전압(Vc)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하이플럭스 분말을 압착하여 사각 링 형상으로 제작된 하이플럭스 코어의 양측에 와이어를 각각 권선하여 2개의 코일부를 형성한 변압기 타입의 2상 인덕터를 준비한 다음, 상기 인덕터를 200V의 리튬 배터리와 HDC 컨버터 모듈 사이에 연결하고 HDC 컨버터 모듈의 출력단에 콘덴서를 연결하여, 도 6에서 인버터 파워모듈이 생략된 구성의 회로를 설계하였다.
비교예1
단상 인덕터를 준비한 다음, 상기 단상 인덕터를 200V의 리튬 배터리와 HDC 컨버터 모듈 사이에 연결하고 HDC 컨버터 모듈의 출력단에 콘덴서를 연결하여, 도 1에서 인버터 파워모듈이 생략된 구성의 회로를 설계하였다. 상기 콘덴서는 실시예1에서 사용한 콘덴서와 동일 용량의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단상 인덕터는 실시예1의 인덕터와 동일 사이즈의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2
2개의 단상 인덕터를 연결한 형태의 인터리브 인덕터를 준비한 다음, 상기 인터리브 인덕터를 200V의 리튬 배터리와 HDC 컨버터 모듈 사이에 연결하고 HDC 컨버터 모듈의 출력단에 콘덴서를 연결하여, 도 2에서 인버터 파워모듈이 생략된 구성의 회로를 설계하였다. 상기 콘덴서는 실시예1에서 사용한 콘덴서와 동일 용량의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인터리브 인덕터는 실시예1의 인덕터와 동일 사이즈의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3
페라이트 코어의 양측에 와이어를 각각 권선하여 2개의 코일부를 형성한 변압기 타입의 2상 인덕터를 준비한 다음, 상기 인덕터를 200V의 리튬 배터리와 HDC 컨버터 모듈 사이에 연결하고 HDC 컨버터 모듈의 출력단에 콘덴서를 연결하여, 도 3에서 인버터 파워모듈이 생략된 구성의 회로를 설계하였다. 상기 콘덴서는 실시예1에서 사용한 콘덴서와 동일 용량의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인덕터는 실시예1의 인덕터와 동일 사이즈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1
상기 실시예1과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회로에서 각각 콘덴서의 RMS 전류와 HDC 컨버터 모듈의 리플 전류를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고, 각 회로의 출력 전력에 따른 인덕터 효율을 도 9에 나타내었다.
실험예2
회로 내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동작을 동일한 조건으로 제어하고, 그때 실시예1의 트랜스 인덕터와 비교예3의 트랜스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서 상기 각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산출하였고, 그 산출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보듯이, 비교예1과 비교예2의 회로에서 측정한 콘덴서의 RMS 전류 대비 실시예1의 회로에서 측정한 콘덴서의 RMS 전류가 작은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실시예1의 회로에서 콘덴서 사이즈 및 용량을 축소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 1 및 2의 회로에서 측정한 HDC 컨버터 모듈의 리플 전류 대비 실시예1의 회로에서 측정한 HDC 컨버터 모듈의 리플 전류가 작은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실시예1의 회로에서 스위치 소자의 효율 증대 및 발열 감소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9에 보듯이, 실시예1의 출력 전력에 대한 인덕터 효율이 비교예 1 및 2의 인덕터 효율 대비 높게 나타나며, 특히 차량 연비 모드시 주요 사용 영역에 해당하는 점선으로 표시된 저출력 구간에서는 효율 차이가 크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 10에 보듯이, 비교예3의 트랜스 인덕터는 입력전류가 상승함에 따라 인덕턴스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반면, 실시예1의 트랜스 인덕터는 입력전류가 상승함에 따라 인덕턴스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플럭스 코어의 투자율 유지 능력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11에 보듯 하이플럭스 코어의 DC 전류(정확하게는, DC 자계 세기)에 따른 투자율이 다른 소재의 코어 대비 상대적으로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도 12에 보듯 하이플럭스 코어의 온도 변화에 따른 투자율 역시 다른 소재의 코어 대비 상대적으로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10 : 배터리
120 : 트랜스 인덕터
122 : 코어
124 : 제1코일부
126 : 제2코일부
128 : 하우징
130 : HDC 컨버터 모듈
140 : 평활 콘덴서
150 : 인버터(인버터 파워모듈)

Claims (4)

  1. 트랜스 인덕터에 있어서,
    분말 상태의 하이플럭스 소재를 압착하여 형성된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인덕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그 양측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제1코일부와 제2코일부가 각각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인덕터.
  3. 전력 변환 장치로서,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승압시켜 출력하는 HDC 컨버터 모듈;
    상기 배터리와 HDC 컨버터 모듈 사이에 장착되고, HDC 컨버터 모듈에 흐르는 피크 전류를 감소하는 트랜스 인덕터;
    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 인덕터는 하이플럭스 소재로 이루어진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HDC 컨버터 모듈의 출력단에는 HDC 컨버터 모듈의 출력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평활 콘덴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KR1020160108047A 2016-08-25 2016-08-25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KR20180023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047A KR20180023163A (ko) 2016-08-25 2016-08-25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US15/353,085 US10056187B2 (en) 2016-08-25 2016-11-16 Trans inductor and power converter using the same
CN201611090515.0A CN107785156B (zh) 2016-08-25 2016-12-01 变压器型电感器及使用该电感器的功率变换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047A KR20180023163A (ko) 2016-08-25 2016-08-25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163A true KR20180023163A (ko) 2018-03-07

Family

ID=6124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047A KR20180023163A (ko) 2016-08-25 2016-08-25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56187B2 (ko)
KR (1) KR20180023163A (ko)
CN (1) CN1077851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6024B1 (en) * 2018-01-15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 converter temperature estimation
US20210375523A1 (en) * 2018-11-02 2021-12-02 Honda Motor Co., Ltd. Reactor and multi-phase interleave-type dc-dc converter
JP6888601B2 (ja) * 2018-11-13 202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双方向電力変換器、電気自動車、及び、双方向電力変換器の制御方法
US10958204B1 (en) * 2019-10-22 2021-03-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electric drive systems with interleaved variable voltage converters
EP3901542A1 (en) * 2020-04-22 2021-10-27 Carrier Corporation Voltage conversion system for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CN112542978B (zh) * 2020-12-07 2022-08-23 北京理工大学 基于双向交错并联dc-dc逆变器的电机驱动系统
CN114915173A (zh) * 2021-02-08 2022-08-1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柔切式电源转换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2364B1 (en) * 1999-06-21 2002-05-21 Denso Corporation High voltage discharge lamp apparatus for vehicles
US7518886B1 (en) * 2005-02-18 2009-04-14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Multiphase soft switched DC/DC converter and active control technique for fuel cell ripple current elimination
US20100277267A1 (en) * 2009-05-04 2010-11-04 Robert James Bogert Magnetic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082205A (ja) 2009-10-02 2011-04-21 Sumitomo Electric Ind Ltd トランス装置及びこのトランス装置を備えた変換器
JP5991460B2 (ja) 2011-03-24 2016-09-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複合材料、リアクトル用コア、及びリアクトル
KR101251064B1 (ko) * 2011-06-29 2013-04-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KR101316125B1 (ko) 2012-01-05 2013-10-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배터리 충전 장치
US8760253B2 (en) 2012-01-17 2014-06-24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il assembly including a ferrite layer and a thermally-conductive silicone layer
US9584047B2 (en) * 2013-03-14 2017-02-28 Hdt Expeditionary Systems, Inc.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 having a charger and export modes of operation
CN104104243A (zh) * 2013-04-02 2014-10-15 通用电气公司 模块式高压发电系统
JP2015056997A (ja) 2013-09-13 2015-03-23 富士通テレコ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双方向絶縁型dc−dcコンバータと電源装置
CN105097222A (zh) * 2015-07-22 2015-11-25 上海正泰电源系统有限公司 一种交错并联变换器的磁耦合电感器及其磁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56187B2 (en) 2018-08-21
US20180061566A1 (en) 2018-03-01
CN107785156A (zh) 2018-03-09
CN107785156B (zh)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3163A (ko) 트랜스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
Hirakawa et al. High power DC/DC converter using extreme close-coupled inductors aimed for electric vehicles
Kimura et al. Downsizing effects of integrated magnetic components in high power density DC–DC converters for EV and HEV applications
JP6098870B2 (ja) リアクトル、コンバータ、及び電力変換装置
Hirakawa et al. High power density DC/DC converter using the close-coupled inductors
Andersen et al. A ZVS-PWM three-phase current-fed push–pull DC–DC converter
KR100820461B1 (ko) 차량용 디지털앰프 전원을 위한 dc/dc 컨버터 회로
Ouyang et al. Planar-integrated magnetics (PIM) module in hybri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fuel cell application
Hirakawa et al. High power density interleaved dc/dc converter using a 3-phase integrated close-coupled inductor set aimed for electric vehicles
JP2012110208A (ja) 電力変換装置
Hirose et al. A consideration of bidirectional superposed dual active bridge dc-dc converter
Yang et al. Design of high efficiency high power density 10.5 kW three phase on-board-charger for electric/hybrid vehicles
EP2631921A1 (en) Transformer arrangement
JP2003142319A (ja) 圧粉磁心、コイル部品、及びそれら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Ouyang et al. Low profile, low cost, new geometry integrated inductors
Martinez et al. Current ripple modeling of an interleaved high step-up converter with coupled inductor
US9248747B2 (en) Converter for an electrical circuit designed to supply electrical propulsion power on board a motor vehicle
CN109617406A (zh) 一种耦合多相dc-dc变换器
CN1556580B (zh) 采用无直流偏磁集成磁件的dc/dc开关变换器
Kimura et al. Downsizing effects of integrated magnetic components in high power density DC-DC converters for EV and HEV
Kimura et al. Potential power analysis and evaluation for interleaved boost converter with close-coupled inductor
JP5733779B2 (ja) 車載用電源装置
Praneeth et al. DC–DC converter with reduced circulating current in on-board battery chargers for electric transportation
Ouyang et al. Planar integrated magnetics design in wide input range DC-DC converter for fuel cell application
CN201887661U (zh) 一种电磁炉用开关电源及其高频互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