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549U -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549U
KR20130002549U KR2020110009311U KR20110009311U KR20130002549U KR 20130002549 U KR20130002549 U KR 20130002549U KR 2020110009311 U KR2020110009311 U KR 2020110009311U KR 20110009311 U KR20110009311 U KR 20110009311U KR 20130002549 U KR20130002549 U KR 201300025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fixing
hole
r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철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549U/ko
Publication of KR20130002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B60D1/025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comprising release or locking lever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B60D2001/5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pivot axis
    • B60D2001/54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pivot axis one pivo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견인고리부가 튼튼한 구조를 가지는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는 상, 하측 상시고정 홀 및 상, 하측 견인고정 홀이 형성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된 상, 하측 베이스판을 포함하며, 견인 대차의 후미부에 "ㄷ"자 모양으로 결합된 브라켓과, 상시고정 연결홀 및 견인고정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단부 및 연결봉용 삽입홀이 형성된 후단부를 가지는 견인고리와, 상기 상측 상시고정 홀과, 상기 상시고정 연결홀과, 상기 하측 상시고정 홀을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견인고리의 회전축을 이루는 상시 고정핀과, 상기 견인고리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의 대차 연결봉과 결합되는 위치로 회전된 경우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과, 상기 견인고정 연결홀과,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에 끼워지는 견인 고정핀을 포함하며,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핀 두 개로 고정 고리를 지지함으로써, 대차가 경로에서 이탈하거나, 작업자 또는 주변시설물에 충돌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AN ASSEMBLY OF DRAWBAR HOOK FOR TRANSFERRING PARTS}
본 고안은 창고나 보관소 등에 보관되는 물품의 운반 또는 공장 등에서 다량의 자재 및 부품을 운반 등을 수행하는 물건 이송용 견인 대차에 적용될 수 있다.
창고나 보관소 또는 공장에서는, 각종 부품, 자재, 및 물품(이하 "물건"이라 한다.)을 일시에 운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운반을 위해 통상적으로견인대차가 이용된다. 상기 견인대차는 일정한 적재용량을 가지며 다수가 일렬로 연결되는 열차 구조를 이룬다.
그런데, 운반해야 할 물건의 양과 장소에 따라 견인대차의 연결대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견인대차 간의 연결 및 연결해제가 가능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연결작업 및 연결해제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져야한다.
이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대차(1) 간이 견인고리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 경우, 견인대차 중 앞에서 끄는 차를 견인차(1a)라 하고, 상기 견인차에 의하여 견인되는 차를 대차(1b)라 한다.
즉, 견인차(1a)의 후단에는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견인고리(20)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견인고리(20)의 끝단에는 연결홀(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차(1b)의 전단에는 앞선 견인차의 견인고리 연결홀(22)에 삽입되도록 연결봉(2)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방의 견인차(1a)의 견인고리(20)가 하강 회전하여 연결홀(22)에, 후방의 견인대차(대차)의 연결봉(2)이 삽입되도록 하여서, 견인차와 대차간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견인차의 견인고리(20)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연결홀(22)로부터 대차의 연결봉(2)이 빠지도록 하여서, 전, 후방의 견인대차간이 연결 해제된다.
상기 견인고리 어셈블리(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대차 후방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브라켓(30)과, 상기 브라켓(30)의 좌우벽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봉(4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30)의 좌우벽 사이에 상기 견인고리(20)가 삽입된다. 상기 견인고리(20)의 전단부는 상기 힌지봉(40)을 삽입시키도록 형성된다. 힌지봉(40)이 상기 견인고리의 전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브라켓(30)의 좌우를 연결한다.
그런데, 이러한 견인고리부의 구조는 하나의 힌지봉(40)으로 견인고리(20)를 회전 지지하기 때문에, 그 결합구조가 튼튼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서 견인고리 어셈블리 주요 부품이 자주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파손으로 인하여 이동중인 대차가 경로에서 이탈하여서 작업자나 주변 시설물에 충돌하거나, 견인대차 전복으로 물건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대차의 흔들림에 의하여, 상기 연결봉이 상기 견인고리부의 연결홀에 삽입되는 각도가 달라지게 되어서, 응력의 집중으로 인한 브라켓의 파손이 발생하거나, 연결봉이 빠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본 고안은 견인고리부가 튼튼한 구조를 가져서,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전단부는 견인차에 수평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부는 견인되는 후방의 대차 연결봉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 하측 상시고정 홀 및 상, 하측 견인고정 홀이 형성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된 상, 하측 베이스판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 대차의 후미부에 "ㄷ"자 모양으로 결합된 브라켓과, 상시고정 연결홀 및 견인고정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단부 및 연결봉용 삽입홀이 형성된 후단부를 가지는 견인고리와, 상기 상측 상시고정 홀과, 상기 상시고정 연결홀과, 상기 하측 상시고정 홀을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견인고리의 회전축을 이루는 상시고정 핀과, 상기 견인고리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의 대차 연결봉과 결합되는 위치로 회전된 경우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과, 상기 견인고정 연결홀과,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에 끼워지는 견인고정 핀을 포함하는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상시 고정핀은 상기 브라켓에 탭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고정 핀은,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상측 베이스부에 안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 상기 견인고정 연결홀, 및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을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 상기 견인고정 연결홀, 및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핀 두 개로 고정 고리를 지지함으로써, 대차를 견인시에 부품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대차가 경로에서 이탈하거나, 작업자 또는 주변시설물에 충돌하지 않게 된다.
또한, 견인고리를 수평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연결봉이 상기 견인고리부의 연결홀에 삽입되는 각도가 달라지지 않게 되어서, 견인고리의 파손이나 브라켓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 및 이의 견인고리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를 이루는 각 부품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가 견인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100)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견인차(1a)와 후방의 대차(1b)를 연결시키는 견인고리(200) 및 상기 견인고리를 상기 견인차에 장착시키는 부품들을 포함한다. 참고로, 후방의 대차는 더 후방에 있는 대차의 견인차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 견인차 및 대차는 각각 견인차의 기능 및 대차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견인대차(1)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100)는, 브라켓(300)과, 견인고리(200)와, 상시고정 핀(400)과, 견인고정 핀(500)을 포함한다.
브라켓(300)은 상기 견인차(1a)의 후미부에 "ㄷ"자 모양으로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견인차(1a) 후미부에 결합되는 결합판(320)과, 상기 결합판(320)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측 베이스판(310)과, 상기 결합판(320)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하측 베이스판(330)을 포함한다.
결합판(320) 및 견인차 후미부에는 각각 결합홀(326, 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핀(360)이 상기 결합홀들을 관통하여서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베이스판(330)은 상기 상측 베이스판(310)의 하측에서 상기 상측 베이스판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측 베이스판(310)과, 하측 베이스판(330)은 결합판(320)으로부터 절곡되어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각각 별도의 판으로서 서로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측 베이스판(310)에는 상측 상시고정 홀(311) 및 상측 견인고정 홀(312)이 형성된다. 하측 베이스판(330)에는 하측 상시고정 홀(331) 및 하측 견인고정 홀(332)이 형성된다. 상기 상측 상시고정 홀(311)의 중심 및 하측 상시고정 홀(331)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선은 수직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측 상시고정 홀(331)은상기 상측 상시고정 홀(311)과 수직방향으로 하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312)의 중심 및 하측 견인고정 홀(332)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선 또한 수직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고리(200)는 브라켓(300)과, 후방의 대차 연결봉(2; 도 5 참조) 사이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서 견인고리(200)는 전방의 견인차와 후방의 대차 사이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견인고리(200)는 수평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견인고리(200)의 전단부는 상기 상측 베이스판(310) 및 하측 베이스판(330) 사이에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견인고리(200)의 전단부에는 상시고정 연결홀(211) 및 견인고정 연결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상시고정 연결홀(211)은 상측 상시고정 홀(311)과 하측 상시고정 홀(331)과 항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시고정 연결홀(211)의중심과, 상측 상시고정 홀(311)의 중심과, 하측 상시고정 홀(331) 중심을 연결하면 하나의 수직선을 이루게 된다.
견인고정 연결홀(212)은 상기 견인고리(200)가 상기 후방의 대차를 견인하는 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상측 견인고정 홀(312)과 하측 견인고정 홀(332)과 동일 위치, 즉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견인고리(200)의 후단부에는 후방의 대차 연결봉(2)가 삽입되는 연결봉용 삽입홀(221)이 형성된다.
상시고정 핀(400)은 상기 상측 상시고정 홀(311)과, 상기 상시고정 연결홀(211)과, 상기 하측 상시고정 홀(331)을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견인고리(200)의 회전축을 이룬다. 즉, 상기 견인고리(200)는 상기 상시고정 핀(400)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수평 회전한다. 상기 상시고정 핀(400)은 평상시에 항상 브라켓(300)에 결합된 상태로 있다.
이 경우, 상기 견인고리(200)가 수평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시고정 핀(400)은 상기 견인고리(200)의 상시고정 연결홀(211)과 조금이나마 유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견인고리(200)가 일정 이상의 외력을 받지 않는 경우에 움직이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유격은 일정한 외력을 받지 않는 이상은 회전하지 않는 정도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견인고리(200)의 전단부가 평상시에는 그 무게에 의하여 상기 하측 베이스판(330) 상면에 접하도록 하여서 그 마찰력으로서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견인고리를 회전시에는 상기 견인고리(200)를 상측으로 어느 정도 든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상시고정 핀(400) 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상기 상시고정 핀(400)이 브라켓(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시고정 핀(400)은 하측 베이스판(330)의 직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두께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시고정 핀(400)은 상기 상측 베이스판(310) 및 하측 베이스판(330)에 탭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시고정 핀(400)의 상측 측면과 및 하측 측면에는 나사산(410)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측 상시고정 홀(311) 및 하측 상시고정 홀(331)에는 탭이 형성되어서, 상기 상시고정 핀(400)을 상기 브라켓(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상시고정 홀(311) 상측 외곽 및/또는 상기 하측 상시고정 홀(331) 하측 외곽에는 상기 상시고정 핀의 나사산과 계합하도록 너트(316, 336)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필요시에 상기 상시고정 핀(400)을 회전시켜서 상기 브라켓(3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견인고리(200)를 연결 해제할 수 있으므로, 견인고리(200) 또는 상시고정 핀(400)이 파손되더라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상시고정 핀(400)은 상측 베이스판(310) 및 하측 베이스판(330)에 용접 고정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시고정 핀(400)을 브라켓(300)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본 고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견인고정 핀(500)은, 상기 견인고리(200)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의 대차 연결봉과 결합되는 위치로 회전된 경우,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312)과, 상기 견인고정 연결홀(212)과,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332)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300)에 끼워진다.
이 경우, 상기 견인고정 핀(500)은 머리부(510)와 삽입부(520)를 가질 수 있다. 머리부(510)는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312)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서, 상기 상측 베이스판(310)에안착된다. 삽입부(520)는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312), 상기 견인고정 연결홀(212), 및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332)을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312), 상기 견인고정 연결홀(212), 및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33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고리(200)가후방 대차(1b)를 견인하는 견인위치에 회전하여서, 후방 대차(1b)의 연결봉(2)에 연결봉용 삽입홀(221)이 삽입되면, 상기 견인고정 핀(500)이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312), 상기 견인고정 연결홀(212), 및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332)을 관통하여서, 상기 견인고리를 브라켓(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견인고정 핀(500)은, 상기 견인고리가 후방을 대차를 견인하지 않는 대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300)에 결합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는 상기 견인차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후술하다시피 견인고리를 회전시킬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견인고리(200)가 후방 대차의 연결봉(2)과 연결된 경우에, 상시고정 핀(400) 및 견인고정 핀(500)의 두 개의 고정핀으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후방 대차와 전방 견인차 간의 상대운동으로 인한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견인고리(200)와 브라켓(300) 사이, 견인고리와 후방 대차 연결봉(2) 사이에 파손이 일어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일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고리(200)가 수평 회전할 수 있는 구조라서, 후방 대차(1b)와 전방 견인차(1a) 간이 일렬을 이루지 않고 비틀림 각을 이루고 있더라도, 수평 회전하면서 이를 보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견인고리에 대한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고리(200)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의 대차를 견인하지 않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견인고리의 전단부는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312) 및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332) 사이가 연통하는 것을 막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견인고리가 대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견인고정 핀(500)이 상측 견인고정 홀(312)과, 하측 견인고정 홀(332)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대기위치에서, 견인고리가 외부의 흔들림에 의하여 수평 회전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견인고리를 수평 회전 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상기 상기 견인고정 핀(500)을 브라켓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시고정 핀(4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상시고정 핀(400)은 상기 브라켓(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으나, 상기 상시고정 핀(400)과 브라켓(300) 사이에는, 상기 견인고리 후단부가 상기 후방의 대차를 견인하지 않는 대기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토션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상시고정 핀(400)에 결합되고, 토션 스프링의 타단은 브라켓(300)에 결합되어서, 외부에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상시고정핀을 대기 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견인차가 견인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견인고리(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서 고정되므로, 상기 견인차가 이동시 외부 물체와 부딪치거나, 작업자가 다치는 위험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의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서 상기 견인차가 대차를 견인하기 위하여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차(1a)가 후방의 대차를 견인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견인고리(200)가 회전하여서 대기 위치에 놓여진다. 상기 대기 위치는 상기 견인차 후미부와 평행한 위치로서 외부에 잘 노출되지 않은 위치이다. 이 때에 상기 견인고리(200)가 상시고정 핀(400)에 끼워져 있고 상기 하부 베이스판에접한 상태로 안착되어 있으므로, 일정 이상의 외력이 발생하지 않는 한 회전하지 않는다.
그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대차를 견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견인고리(200)를 수평 회전시켜서 상기 견인고리(200)가 후방을 향하도록 한다. 상기 견인고리(200)가후방을 향하게 되면, 상, 하측 견인고정 홀(332) 및 견인고정 연결홀(212)이 서로 연통된다. 이 경우, 상기 견인고리(200)를 상기 하측 베이스판(330)으로부터 조금 들어서 회전시켜서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견인고리(200)의 연결봉용 삽입홀을 후방의 대차 연결봉에 끼워놓는다. 그 후에 견인고정 핀(500)을 상측 견인고정 홀(312)과, 견인고정 연결홀(212)과, 하측 견인고정 홀(332)에 끼워서 고정시킨 다음 견인한다.
한편, 후방 대차의 견인이 끝난 경우에는, 상기 견인고정 핀(500)을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312)과, 견인고정 연결홀(212)과, 하측 견인고정 홀(332)로부터 빼어 낸 다음, 상기 견인고리(200)를 상기 대차의 연결봉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후에 상기 견인고리(200)를 수평 회전시켜서 대기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견인대차 10a: 견인차
10b: 대차 100: 견인고리 어셈블리
200: 견인고리 211: 상시고정 연결홀
212: 견인고정 연결홀 300: 브라켓
310: 상측 베이스 311: 상측 상시고정 홀
331: 하측 상시고정 홀 312: 상측 견인고정 홀
330: 하측 베이스판 332: 하측 견인고정 홀판

Claims (4)

  1. 전단부는 견인차에 수평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부는 견인되는 후방의 대차 연결봉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 하측 상시고정 홀 및 상, 하측 견인고정 홀이 형성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된 상, 하측 베이스판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차의 후미부에 "ㄷ"자 모양으로 결합된 브라켓;
    상시고정 연결홀 및 견인고정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단부 및 연결봉용 삽입홀이 형성된 후단부를 가지는 견인고리;
    상기 상측 상시고정 홀과, 상기 상시고정 연결홀과, 상기 하측 상시고정 홀을 관통하며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견인고리의 회전축을 이루는 상시 고정핀; 및
    상기 견인고리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의 대차 연결봉과 결합되는 위치로 회전된 경우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과, 상기 견인고정 연결홀과,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에 끼워지는 견인 고정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고정핀은 상기 브라켓에 탭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리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의 대차를 견인하지 않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견인고리의 전단부는 상기 상측 견인고정 홀 및 상기 하측 견인고정 홀 사이가 연통하는 것을 막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시 고정핀에는, 상기 견인고리 후단부가 상기 후방의 대차를 견인하지 않는 대기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 견인고리 어셈블리.
KR2020110009311U 2011-10-19 2011-10-19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 KR201300025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11U KR20130002549U (ko) 2011-10-19 2011-10-19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11U KR20130002549U (ko) 2011-10-19 2011-10-19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49U true KR20130002549U (ko) 2013-04-29

Family

ID=5242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311U KR20130002549U (ko) 2011-10-19 2011-10-19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549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96B1 (ko) 2018-01-31 2019-05-09 석주호 트레일러용 견인장치
KR20200045298A (ko) * 2018-10-22 2020-05-04 배석우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KR102239001B1 (ko) * 2019-12-03 2021-04-12 세메스 주식회사 견인 유닛 및 이를 갖는 견인 비히클
KR20210122442A (ko) * 2020-04-01 2021-10-12 배석우 덤프기능을 구비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이륜 운반기구
US11472241B2 (en) * 2020-04-22 2022-10-18 Hyundai Motor Company Towing apparatus for bus
KR102555131B1 (ko) * 2022-09-14 2023-07-13 주식회사 성진테크 시위 진압용 펜스
WO2023243748A1 (ko) * 2022-06-16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송 로봇, 운송 수단 및 그 제어방법
WO2023241585A1 (en) * 2022-06-13 2023-12-21 Atlas Copco (Wuxi) Compressor Co., Ltd. Traction coupler assembly and light tow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96B1 (ko) 2018-01-31 2019-05-09 석주호 트레일러용 견인장치
KR20200045298A (ko) * 2018-10-22 2020-05-04 배석우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KR102239001B1 (ko) * 2019-12-03 2021-04-12 세메스 주식회사 견인 유닛 및 이를 갖는 견인 비히클
KR20210122442A (ko) * 2020-04-01 2021-10-12 배석우 덤프기능을 구비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이륜 운반기구
US11472241B2 (en) * 2020-04-22 2022-10-18 Hyundai Motor Company Towing apparatus for bus
WO2023241585A1 (en) * 2022-06-13 2023-12-21 Atlas Copco (Wuxi) Compressor Co., Ltd. Traction coupler assembly and light tower
WO2023243748A1 (ko) * 2022-06-16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송 로봇, 운송 수단 및 그 제어방법
KR102555131B1 (ko) * 2022-09-14 2023-07-13 주식회사 성진테크 시위 진압용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2549U (ko)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
US9211900B2 (en) Tugger and rider cart assembly
US8302975B2 (en) Transport system, in particular having movable pallets
US20180134074A1 (en) Caster adapter or wheel assembly for mobile wheel base
US7357398B2 (en) Cart for welding operations
US10633011B2 (en) Carriage
US10112805B1 (en) Pallet-pulling device
JP7097059B6 (ja) ハーネスボード用台車、ハーネスボード収納ラックおよびハーネスボード運用支援システム
JP5275005B2 (ja) 運搬用台車
KR100575076B1 (ko) 캐스터 및 캐스터를 포함하는 이동장치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FR3063244A1 (fr) Module logistique roulant muni d'un dispositif d'attelage
KR200445099Y1 (ko) 화물운반용 카트
JP2019059254A (ja) 運搬具
KR101904304B1 (ko) 균형유지가 가능한 운반기구
JP4488832B2 (ja) 運搬台車
JP5376248B2 (ja) 荷受台
KR102150540B1 (ko) 분리형 이동대차
JP6354573B2 (ja) 搬送台車
KR200490745Y1 (ko) 운반용 카트
CN205312493U (zh) 一种新型物流滑车
CN215155161U (zh) 运输车
US11801881B1 (en) Support dolly for hitched-mounted accessories
JP2015147558A (ja) 台車構造
JP3197861U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