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298A -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 Google Patents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298A
KR20200045298A KR1020180126176A KR20180126176A KR20200045298A KR 20200045298 A KR20200045298 A KR 20200045298A KR 1020180126176 A KR1020180126176 A KR 1020180126176A KR 20180126176 A KR20180126176 A KR 20180126176A KR 20200045298 A KR20200045298 A KR 2020004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eating
transport mechanism
uni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477B1 (ko
Inventor
배석우
Original Assignee
배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석우 filed Critical 배석우
Priority to KR102018012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4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 B62K7/04Frames having a carry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측이 운반기구의 적재부(100)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운반기구의 안착부(200)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방향 조절 및 상기 적재부를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운반기구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과 연장 또는 결합되는 제1연결부(310); 일측이 상기 안착부(200)의 일측과 연장 또는 결합되는 제2연결부(320);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3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축(k1)이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결부(32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축(k2)이 설치되는 회동부(330); 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좌우방향 및 덤프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적재부의 덤프기능을 통해 물, 모래 등과 같은 입자가 작은 적재물들을 손쉽게 하차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들의 편리성이 부여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종래의 3륜 운반기구의 연결부재를 제거한 후,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여, 별도의 3륜 운반기구를 구매하지 않고 상기 연결부재 결착을 통해 덤프기능을 추가할 수가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Three-wheel carrier with a connection between the loading and the anchorage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실질적인 적재물들 적재하는 적재부와, 작업자가 안착하는 안착부 사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조향 및 덤프기능이 가능하게 되어 적재부의 상부에 적재된 작물, 박스, 물, 모래 등과 같은 적재물 등을 손쉽게 지면으로 옮길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운반기구는 산업 현장이나 농가에서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특히 농가에서는 경운기, 트랙터 등을 포함하는 대형 운반기구들의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좁은 밭고랑이나 과수원 등의 나무가 울창하거나 경사가 심한 곳 등에 사용된다.
한편, 운반기구로는 외륜, 이륜, 3륜 등 다양한 개수의 바퀴를 구비하고 있고, 수동식 또는 모터를 구비하여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자동식 운반기구들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외륜과 이륜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움직이면서 조향장치를 통해 방향을 바꾸어가면서 제어하도록 하고, 3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후방에 구성된 안착부에 안착한 상태에서 적재부의 상부에 구성된 조향장치를 조작하여서 방향 등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3륜 운반기구의 경우, 실질적으로 화물 및 작물 등을 적재하는 적재부와, 작업자가 안착하는 안착부의 상호 마주하는 일측을 힌지 결합하여,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좌, 우방향으로 제어가 된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10-1778735호는 본 발명의 출원이 출원한 발명으로써, 하부 일측과 타측에 상호 이격되는 각각의 지지대가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지지대사이에 구성되되, 내부에 허브모터를 포함하는 바퀴가 축 설치되는 유동프레임; 상기 유동프레임이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과 유동프레임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체; 상기 유동프레임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상기 허브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 로 구성되는 운반기구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지대 일측과 상기 지지대와 대응하는 유동프레임의 일측에는 돌출되는 걸림부가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되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는 일측과 타측이 상기 걸림부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되, 두 개 이상의 축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가 고르지 못한 지면을 이동할 시 상기 유동프레임이 각각의 상기 축으로 인해 제한적이지 않고 자유롭게 유동되되, 상기 연결체는, 양측에 각각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연결부재가 다수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연결부재에 형성된 하나의 연결홀을 동일선상에 위치시켜 축을 끼워 각각의 축을 형성하고, 상기 축이 끼워지지 않은 연결부재의 연결홀이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만곡진 형상의 연결부가이드가 구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바퀴의 축 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축 설치되는 회전축부와 하부 일측에 상기 연결부가이드에 안착되는 연결부가 구성되며, 상기 운반기구의 후방에 적재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연결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트레일러가 구성되는 기술이다.
즉, 상기한 기술은 운반기구의 후방에 별도의 트레일러가 연결 구성되어 3륜 운반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운반기구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나, 상기 운반기구의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들을 하차하는 목적지까지 도착한 후, 작업자들이 일일이 상기 적재물들을 들어서 하차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박스형태의 적재물들 이외에 물, 모래 등과 같은 아주 작은 다수의 부어야 하는 적재물일 경우에는 많은 불편함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륜운반기구를 구성하는 적재부와 안착부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되, 상기 적재부가 작업자에 의해 좌, 우 조향 및 덤프기능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물, 모래 등과 같은 입자가 작은 적재물들을 적재 시, 작업자들이 기타 도구들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덤프기능을 통해 손쉽게 하차가능토록 하는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를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일측이 운반기구의 적재부(100)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운반기구의 안착부(200)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방향 조절 및 상기 적재부를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운반기구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과 연장 또는 결합되는 제1연결부(310); 일측이 상기 안착부(200)의 일측과 연장 또는 결합되는 제2연결부(320);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3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축(k1)이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결부(32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축(k2)이 설치되는 회동부(330); 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좌우방향 및 덤프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310)는, 상기 적재부(100)와 결합되는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돌출부(311)가 형성되되, 각각의 제1돌출부(311)에는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관통홀(313)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1돌출부(311)가 마주하는 면 사이에 제1공간(3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320)는, 상기 안착부(200)와 결합되는 타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돌출부(321)가 형성되되, 각각의 제2돌출부(321)에는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관통홀(323)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돌출부(321)이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제2공간(325)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330)는, 일측에 수직방향의 수직홀(333)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315)에 위치되는 수직회동부(331)와 타측에 수평방향의 수평홀(337)이 형성되어 제2공간(325)에 위치되는 수평회동부(335)가 구성되어, 상기 제1관통홀(313)과 수직홀(333)을 축(k1)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관통홀(323)과 수평홀(337)을 축(k2)으로 연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부(320)의 상부 일측에는 수직봉(329)이 구성되고, 상기 축(k1)은 상기 제1연결부(310)의 상측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수직봉(329)의 외주를 감싸되 상기 수직봉(329) 상에서 상, 하부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이 상기 축(k1)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고정바(34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부에 적재공간과 조향부가 각각 구성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바퀴와 연결되는 동력수단으로 구성되는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한 쌍의 바퀴가 구성되는 안착부(200); 상기 적재부(100)와 안착부(200)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1항의 연결부재(30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에 의하면, 3륜운반기구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적재부에 적재물들을 싣고 하차위치까지 이동 후, 적재된 적재물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재부의 덤프기능을 통해 물, 모래 등과 같은 입자가 작은 적재물들을 손쉽게 하차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들의 편리성이 부여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종래의 3륜 운반기구의 연결부재를 제거한 후,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여, 별도의 3륜 운반기구를 구매하지 않고 상기 연결부재 결착을 통해 덤프기능을 추가할 수가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실질적인 적재물들 적재하는 적재부와, 작업자가 안착하는 안착부 사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조향 및 덤프기능이 가능하게 되어 적재부의 상부에 적재된 작물, 박스, 물, 모래 등과 같은 적재물 등을 손쉽게 지면으로 옮길 수 있는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살펴보면, 일측이 운반기구의 적재부(100)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운반기구의 안착부(200)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방향 조절 및 상기 적재부를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운반기구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과 연장 또는 결합되는 제1연결부(310); 일측이 상기 안착부(200)의 일측과 연장 또는 결합되는 제2연결부(320);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3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축(k1)이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결부(32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축(k2)이 설치되는 회동부(330); 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좌우방향 및 덤프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3륜 운반기구의 연결부분에 상기 연결부재를 구성하여, 좌우방향의 조향 및 상기 적재부(100)가 선택적으로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물, 모래 등과 같은 적재물들을 적재 시에 사용자가 일일이 기타 도구들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편리한 하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연결부(3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00)와 결합되는 타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돌출부(311)가 형성되되, 각각의 제1돌출부(311)에는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관통홀(313)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1돌출부(311)가 마주하는 면 사이에 제1공간(315)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연결부(310)는 정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315)에 의해 1차적으로 적재부(100)의 외측 3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여 결합되게 되고, 상기 적재부(100)에 의해 남은 공간에는 상기 회동부(330)의 수직회동부(331)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연결부(310)의 적재부(100)와의 연결 위치는 상기 적재부(100)와 안착부(300)가 마주하는 일측의 중앙부분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부(3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200)와 결합되는 방향에는 안착부결합홈(327)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돌출부(321)가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311)와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제2돌출부(321)에는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관통홀(323)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돌출부(321)이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제2공간(325)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3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수직방향의 수직홀(333)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315)에 위치되는 수직회동부(331)와 타측에 수평방향의 수평홀(337)이 형성되어 제2공간(325)에 위치되는 수평회동부(335)가 구성되어, 상기 제1관통홀(313)과 수직홀(333)을 축(k1)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관통홀(323)과 수평홀(337)을 축(k2)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축(k1, k2)은 각각의 관통홀(313, 323)에 끼워진 후 고정을 위하여 끝단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성시켜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축(k1)의 상부에는 하기될 고정바(340)가 끼워지되 일정부분까지만 내려가고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상기 축(k1)의 외주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부재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k1)을 중심으로 적재부(100)가 좌, 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축(k2)을 중심으로 적재부(100)와 안착부(200)가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서, 최종적으로 상기 적재부(100)가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330)가 제1,2연결부(310, 320)의 제1,2공간(315, 325)에 위치되되 제1,2연결부(310, 320)와 삽입대응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과 그 사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회동부(330)에 수직회동부(311)와 적재부(100)의 부딪힘을 방지하고, 상기 회동부(330)의 수평회동부(335)와 제2연결부(320)의 부딪힘을 방지하여 원활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320)의 상부 일측에는 수직봉(329)이 구성되고, 상기 축(k1)은 상기 제1연결부(310)의 상측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수직봉(329)의 외주를 감싸되 상기 수직봉(329) 상에서 상, 하부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이 상기 축(k1)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고정바(340)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340)는 양측에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일측의 홀은 수직봉(329)가 제2연결부(320)와 결합 전 상기 수직봉(329)의 외주에 끼움되도록 하고, 타측의 홀은 제1연결부(310)의 관통홀(313)에 끼워지는 축(k1)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340)가 상기 축(k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목적으로는, 상기 고정바(340)가 상기 축(k1)에 끼움 또는 분리됨에 따라 덤프기능의 수행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34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수직봉(329)를 중심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의 고정이 풀림됨에 동시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310)가 축(k2)을 중심으로 수평방향(덤프기능)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가 되고, 반대로 상기 고정바(340)를 원래대로 축(k1)이 끼움하게 되면, 상기 제1연결부(310)는 수평방향으로 회동이 되지 못하고 고정되는 구조가 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k1)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좌우방향)으로 회동이 되는 구조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300)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의 구성을 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적재공간과 조향부가 각각 구성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바퀴와 연결되는 동력수단으로 구성되는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한 쌍의 바퀴가 구성되는 안착부(200); 상기 적재부(100)와 안착부(200)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300); 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덤프기능이 가능함에 따라 적재되는 적재물을 손쉽게 하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재부(100)의 조향부는 통상의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손잡이가 되고, 상기 바퀴는 지면으로부터 전진할 수 있도록 회전되게 구성되며, 상기 모터의 경우 배터리 등의 동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그 구조의 경우 통상의 연결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200)의 바퀴는 한 쌍으로 각각 구성되고, 상부에는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안착할 수 있도록 의자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결부재는 3륜 운반기구에 연결되는 부분이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연결부재를 분리시킨 후, 상기 연결부재(300)를 결착 구성하여 별도로 3륜 운반기구를 구매하지 않고서도 연결부재(300)만을 변경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100 : 적재부 200 : 안착부
300 : 연결부재
310 : 제1연결부
311 : 제1돌출부 313 : 제1관통홀 315 : 제1공간
320 : 제2연결부
321 : 제2돌출부 323 : 제2관통홀 325 : 제2공간
327 : 안착부연결공간
330 : 회동부
331 : 수직회동부 333 : 수직홀 335 : 수평회동부
337 : 수평홀 339 : 수직봉
340 : 고정바
k1 : 축 k2 : 축

Claims (4)

  1. 일측이 운반기구의 적재부(100)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운반기구의 안착부(200)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방향 조절 및 상기 적재부를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운반기구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과 연장 또는 결합되는 제1연결부(310);
    일측이 상기 안착부(200)의 일측과 연장 또는 결합되는 제2연결부(320);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3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축(k1)이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결부(32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수평축(k2)이 설치되는 회동부(330); 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부(100)의 좌우방향 및 덤프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310)는,
    상기 적재부(100)와 결합되는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돌출부(311)가 형성되되, 각각의 제1돌출부(311)에는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관통홀(313)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1돌출부(311)가 마주하는 면 사이에 제1공간(3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320)는,
    상기 안착부(200)와 결합되는 타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돌출부(321)가 형성되되, 각각의 제2돌출부(321)에는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관통홀(323)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돌출부(321)이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제2공간(325)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330)는,
    일측에 수직방향의 수직홀(333)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315)에 위치되는 수직회동부(331)와 타측에 수평방향의 수평홀(337)이 형성되어 제2공간(325)에 위치되는 수평회동부(335)가 구성되어,
    상기 제1관통홀(313)과 수직홀(333)을 축(k1)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관통홀(323)과 수평홀(337)을 축(k2)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320)의 상부 일측에는 수직봉(329)이 구성되고,
    상기 축(k1)은 상기 제1연결부(310)의 상측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수직봉(329)의 외주를 감싸되 상기 수직봉(329) 상에서 상, 하부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이 상기 축(k1)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고정바(3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4. 상부에 적재공간과 조향부가 각각 구성되고 하부에는 바퀴가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바퀴와 연결되는 동력수단으로 구성되는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한 쌍의 바퀴가 구성되는 안착부(200);
    상기 적재부(100)와 안착부(200)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1항의 연결부재(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KR1020180126176A 2018-10-22 2018-10-22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KR10215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76A KR102156477B1 (ko) 2018-10-22 2018-10-22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76A KR102156477B1 (ko) 2018-10-22 2018-10-22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298A true KR20200045298A (ko) 2020-05-04
KR102156477B1 KR102156477B1 (ko) 2020-09-15

Family

ID=7073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76A KR102156477B1 (ko) 2018-10-22 2018-10-22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442A (ko) * 2020-04-01 2021-10-12 배석우 덤프기능을 구비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이륜 운반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453U (ko) * 1989-10-24 1991-06-20
JPH1014319A (ja) * 1996-07-08 1998-01-20 Kumagai Noki:Kk トラクターの後方にトレーラーを連結するトレーラー連結装置
KR200165219Y1 (ko) * 1999-08-06 2000-02-15 김주호 전동식 손수레
KR20110012999A (ko) * 2009-07-31 2011-02-09 황병진 농작물 수확을 위한 손수레 겸용 좌식 작업차
KR20130002549U (ko) * 2011-10-19 2013-04-2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
KR101778732B1 (ko) * 2016-10-04 2017-09-26 배석우 원활한 균형유지를 위해 다축 연결체를 구비하는 운반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453U (ko) * 1989-10-24 1991-06-20
JPH1014319A (ja) * 1996-07-08 1998-01-20 Kumagai Noki:Kk トラクターの後方にトレーラーを連結するトレーラー連結装置
KR200165219Y1 (ko) * 1999-08-06 2000-02-15 김주호 전동식 손수레
KR20110012999A (ko) * 2009-07-31 2011-02-09 황병진 농작물 수확을 위한 손수레 겸용 좌식 작업차
KR20130002549U (ko) * 2011-10-19 2013-04-2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물건 이송용 견인대차의견인고리 어셈블리
KR101778732B1 (ko) * 2016-10-04 2017-09-26 배석우 원활한 균형유지를 위해 다축 연결체를 구비하는 운반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442A (ko) * 2020-04-01 2021-10-12 배석우 덤프기능을 구비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이륜 운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477B1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06668A (ja) リフト装置の水平調整システム
US3580348A (en) Wheel collapsible frame
US8459515B1 (en) Systems and accessory kits for dolly carts
JP2008536779A (ja) コンテナを吊り上げ、取り扱い及び輸送する装置
FR2477494A1 (fr) Vehicule tous terrains a deux unites mu par moteurs hydrauliques
US9809263B2 (en) Articulating cart system
CN110510549A (zh) 用于在物料搬运车辆上的通用安装件和通用框架的系统和方法
KR20200045298A (ko) 운반기구의 적재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가 구성된 3륜 운반기구
US11897530B2 (en) Self-contained multi-axis articulable platform and containment system for facilitating transport and dispersal of bulk materials and methods for employing such a system
KR20180039544A (ko) 독립운전이 가능한 트레일러형 전동운반기
US3692135A (en) Self-propelled pipe cart
KR101334304B1 (ko) 틸팅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KR101772978B1 (ko) 농업용 운반차의 바퀴 장착장치
JP2008127006A (ja) バランス取り装置
KR101904304B1 (ko) 균형유지가 가능한 운반기구
US20070205055A1 (en) Trailerable Miniature Forklift for Moving Portable Toilet Enclosures
KR200489939Y1 (ko)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운반기구용 조향장치 및 그 조향장치가 구성된 운반기구
WO2012150222A1 (fr) Dispositif de manutention
KR20130047935A (ko) 삼방향 덤프 운반차
JPH02114031A (ja) トレーラ装置
JP6511276B2 (ja) アタッチメント
FR2883545A1 (fr) Vehicule articule a quatre roues motrices
KR102395875B1 (ko) 덤프기능을 구비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이륜 운반기구
US6050367A (en) Bi-directional vehicle
KR200265743Y1 (ko) 열매수확용 운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