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477A - 광학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부재 - Google Patents
광학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2477A KR20130002477A KR1020110063456A KR20110063456A KR20130002477A KR 20130002477 A KR20130002477 A KR 20130002477A KR 1020110063456 A KR1020110063456 A KR 1020110063456A KR 20110063456 A KR20110063456 A KR 20110063456A KR 20130002477 A KR20130002477 A KR 201300024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plate
- lens pattern
- light
- diffusion
- micro le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플레이트 및 조명부재에 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베이스기재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인 UGR 감소용 광학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부재에 관한 것이다.
조명(照明)은 각종 광원을 이용하고,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의 장소를 밝게 하는 행위나 기능이며,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환경을 밝게 하기 위해 많이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평판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10)과 루버(Louver) 또는 반사갓(20)을 포함한다. 광원(10)은 백열전구, LED, CCF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표시된 빛의 각도는 사람에게 전달되어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는 기구적으로 UGR을 줄일 수 있지만, 이는 미관상 또는 완전한 평판조명이 되지 못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평판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면, 조명장치(30)는 광원(10)과 광원(10)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40)을 포함한다. 광원(10)에서 발산되는 빛은 확산판(40)을 거쳐 외부로 방출된다. 확산판(40)은 광원(10)의 핫스팟(Hot spot)을 줄이고 빛을 균일하게 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확산판(40)이 사용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각도의 빛은 여전히 사람의 눈에 불쾌감을 준다. 즉, 확산판(40)은 UGR이 높게 나오는 방향까지 빛을 산란시키므로 눈부심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며 이는 실내 평판 조명장치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한다.
따라서, 실내 평판 조명에서는 눈부심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눈부심에 따른 불괘감의 정도는 UGR(Unified Glare Rating)이라는 상수를 이용하여 표현된다. 즉, UGR은 조명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정도를 정량화한 값이다.
UGR은 조명장치가 설치된 천장에서 바닥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0deg, 천장과 평행한 방향을 90deg로 두었을 때, 65deg~90deg로 나오는 광속의 값으로 계산된다. 즉, 65deg~90deg의 광속을 줄이게 되면 눈부심이 줄어든다. 유럽, 미국에서는 URG가 19 이하를 나타내야 실내 조명장치로 쓰여지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쓰이고 있는 대부분의 실내 평판 조명장치는 반사갓 또는 루버를 사용하거나 조명장치 전체를 매립하여 UGR에 영향을 미치는 넓은 범위로 퍼지는 빛의 각도를 줄이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확산판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핫스팟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여전히 19 이하의 UGR 규격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투명 플레이트에 패터닝한 구조의 광학플레이트의 패턴 채움율(Fill factor)을 조절하여 65deg~90deg 사이에 나오는 광속을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UGR 조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기재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인 UGR 감소용 광학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Sag(높이(H):렌즈 지름(R)) 가 0.1~0.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구현하여 UGR 감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광학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조명부재를 구현하되,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출사하는 확산부 및 상기 확산부의 광출사면 상에 배치되며, 베이스기재상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인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집광부를 포함하는 조명부재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투명 플레이트에 패터닝한 구조의 광학플레이트의 패턴 채움율(Fill factor)을 조절하여 65deg~90deg 사이에 나오는 광속을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UGR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와 확산부를 구비한 조명부재 사이에 에어갭을 포함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UGR 감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평판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평판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팩터의 실제 구현 이미지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의 필팩터에 따른 UGR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부재와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를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와 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명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와 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명부재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조명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평판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팩터의 실제 구현 이미지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의 필팩터에 따른 UGR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부재와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를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와 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명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와 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명부재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조명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12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기재(122)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패턴(124)을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124)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를 충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필팩터(Fill Factor)는 단위 베이스기재 면적당 마이크로렌즈패턴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을 투과하는 광학플레이트(120)의 표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턴의 채움율(fill factor)을 50%~100%로 구현하여 광원 투과시 UGR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팩터의 실제 구현 이미지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필팩터 70%, (b)는 필팩터 80%, (c)는 필팩터 88%, (d)는 필팩터 100% 의 구현이미지이다. 물론, 도시된 구조에서는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형상이 동일한 형상과 사이즈로 균일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지만, 이와는 달리 서로 다른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패턴을 불균일하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렌즈 형상은 원형, 타원, 프리즘, 렌티큘러, R-프리즘, 피라미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필팩터 100%의 경우에는 원형 구조가 아닌 렌즈 패턴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구조(육각형, 팔각형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의 마이크로 렌즈 패턴의 필팩터에 따른 UGR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이다.(렌즈사이즈:80㎛, 렌즈 sag:0.45를 기준). 도시된 결과를 살펴보면, 동일한 sag에서 렌즈패턴의 필팩터가 증가할 수록 UGR이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UGR 19 이하를 만족해야 조명 기기에 적용이 가능함은 상술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5의 실험예에 따른 본 발명의 광학플레이트의 렌즈패턴의 필팩터를 50% ~ 82% 까지 조율한 구조는 16.3~17.3의 범위의 UGR 값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 제시한 도 5의 실험데이터의 구조의 상관관계와 같이, 필팩터를 82% 이상 구현하여 100%까지 구현하는 경우, 더욱 UGR 값은 낮아지게 된다.
물론, 필팩터를 50% 미만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UGR 값은 19 미만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광학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렌즈의 헤이즈(haze)가 낮아지게 되어 광투과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LED 등의 광원에 의한 핫스팟(hot spot)이 조명기구 외부로 보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렌즈의 집광효과도 크게 떨어져 조명기구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광학플레이트(120)의 상기 베이스기재(122)는 기본적으로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는 PC, PMMA 및 PET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기재(122)의 표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렌즈패턴(124)은 상기 베이스기재 표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수지를 도포하여 패터닝하는 공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일예로는 상기 투명 플레이트를 열 및 압력을 이용하여 몰딩하여 렌즈패턴을 일체형으로 구현하거나, 상기 투명플레이트 상에 수지를 도포하여 열 또는 빛을 이용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번째 방법은 투명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투명 플레이트에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투명 플레이트를 몰딩(성형)함으로써 마이크로 렌즈패턴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이다. 첫번째 방법은 프레스 방법, 직가공 방법 등을 포함한다. 두번째 방법은 투명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투명 플레이트 상에 UV 경화수지, 예컨대, 레진을 도포하고 열 또는 빛을 이용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imprinting 방법, direct roll printing 방법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투명 플레이트는 PC, PMMA, PET 필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어떠한 공정에서도 전사율 및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재료의 소모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마이크로렌즈패턴(124)은 단위 렌즈패턴의 사이즈는 20㎛~80㎛의 범위를 충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Sag(높이(H):렌즈 지름(R))가 0.1~0.5를 충족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120)는 후술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기기에 적용되며, 상술한 범위에서 UGR 값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조명기구 중 평판 등기구의 경우 광원을 가리면서도 빛을 골고루 내기 위해 확산판 만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는 UGR이 높게 나오는 방향까지 빛을 산란시키므로 눈부심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며 이는 실내 등기구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렌즈패턴(Micro lens array)이 패터닝된 광학플레이트를 사용하여 UGR을 줄이도록 하였다. 특히, 마이크로렌즈패턴의 필팩터를 0.5~1.0의 범위에서 조율하는 동시에, 마이크로렌즈패턴의 sag는 0.1 ~ 0.25 나 0. 35 ~ 0.5의 범위에서 형성하여 UGR 19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sag에서 마이크로렌즈패턴 어레이의 fill factor가 증가함으로써 UGR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여준다. 렌즈패턴의 sag가 높은 (0.35 ~ 0.5)영역에서는 UGR이 낮아짐과 동시에 광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렌즈패턴의 sag가 낮은 영역(0.1 ~ 0.25)에서 fill factor를 높임으로써 UGR을 낮추는 효과와 더불어 광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바, sag는 0.1~0.25의 범위로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값의 sag에서 필팩터(fill factor)를 조절함으로써 UGR값을 추가적으로 더 낮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부재와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를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는 광원(1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출사하는 확산부(110) 및 상기 확산부의 광출사면 상에 배치되며, 베이스기재상(122)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렌즈패턴(124)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인 광학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집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집광부는 상기 광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7은 상술한 본 발명에 조명부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는 등기구층 (30)에 실장된 광원층 (1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확산부(110)을 지나 집광부인 광학플레이트의 표면에 닿게 되면 집광부인 광광학플레이트(120)의 렌즈패턴(124)에 따라 아래로 굴절되어 집광이 이루어진다.
특히, 이 경우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광학플레이트와 확산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나, 확산부(110)와 광학플레이트(120)의 사이에 접착층으로 형성되는 저굴절층(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점선과 같이 굴절될 빛이 저굴절층(130)의 굴절률에 의해 실선과 같이 굴절하게 된다. 그리고 저굴절층(130)을 통과한 빛은 저굴절층(130)보다 굴절률이 높은 집광층인 광학플레이트의 표면의 렌즈패턴(124)을 따라 또 한번 아래로 굴절되어 집광이 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 부재는 저굴절층 (130)에 의해 글레어 (Glare)를 1차 감소시키며, 집광층 (130)을 통해 글레어를 2차 감소시킴으로써, 적합한 UGR 수치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저굴절층의 일예로는 OCA (pitically clear adhesive), UV 접착제, UV 수지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확산부 (110) 내부에는 비드 또는 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120)와 확산부(110)를 포함하는 조명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도시된 구조와 같이, 상기 광학플레이트(120)와 확산부(110) 사이에 에어갭(132)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구조에서는 접착층(130)을 패터닝하여 일정한 간격의 에어갭(132)이 광학플레이트(120)와 확산부(110)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나, 별도의 접착층 없이 상기 광학플레이트(120)와 확산부(110)를 맞닿는 구조로 적층하고,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하는 경우에도 미세한 에어갭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갭의 작용은, 상기 확산부(110)을 통과한 빛이 에어갭(132)에 의해 굴절되어 집 광학플레이트(120)로 들어간다. 그에 따라, 확산부(110)를 통과하여 에어갭으로 인가된 빛 중에서 좌우로 크게 산란하는 빛이 굴절되어 집광층으로 입사함으로써 UGR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광학플레이트(120)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필팩터와 sag 값을 갖는다.
아울러 도 8에서 에어갭 (132)과 접착층 (130)의 면적의 비, 도 9 및 도 10에서 에어갭 (114)의 면적과 확산부(110)과 광학플레이트가(120)이 접하는 면적의 비가 중요한 요소이며, 그 수치는 6:4 내지 9:1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플레이트(120)와 확산부를 포함하는 조명부재의 다른 구현예로, 도 8과 다른 점은 별도의 접착물질을 스페이서로 활용하지 않고, 확산부(110)의 일면 자체에 패턴을 구현하여 상기 광학플레이트(120)과 밀착시 에어갭을 구현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즉, 확산부(120)를 형성하는 시트 또는 플레이트의 광출사면에 오목패턴을 형성하여 에어갭(112)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달리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광학플레이트의 마이크로렌즈패턴(124)이 형성된 이면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조명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등기구(30)에 실장된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확산부(110)를 통과하고, 상기 확산부의 하면에 형성된 에어갭(114)을 통해 집광층(120)으로 입사한다. 이 경우, 에어갭(114)을 통과하는 빛은 에어갭(114)만을 통과하여 집광층인 광학플레이트(120)로 입사할 수도 있으며, 확산부(110)의 오목부들(112)에 의해 반사되어 광학플레이트(120)로 입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확산부(110)를 지나 에어갭(114)을 통과해 집광부(120)로 향하는 빛은 확산부(110)에서 직접 집광부(120)로 입사하거나, 확산부(110)의 오목부들(112)에 부딪쳐 반사되어 집광부(120)로 입사한다.
이와 같이, 에어갭(114)만을 통과한 빛과 에어갭(114)을 통과함과 동시에 확산부(110)의 오목부(112)에 의해 반사된 빛은 집광층, 즉 광학플레이트(120)로 입사되고, 상기 광학플레이트(120)의 렌즈패턴(124)에 따라 굴절되어 집광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광학플레이트(120)의 굴절률은 에어갭(114)을 통과한 빛이 아래로 굴절되도록 에어갭(114)내의 공기의 굴절률 1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 부재는 확산부(110)의 오목부(112)에 의해 글레어(Glare)를 1차 감소시키며, 광학플레이트(120)을 통해 글레어를 2차 감소시킴으로써, 더욱 적합한 UGR 수치를 만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확산부
112: 오복부
114: 에어갭
120: 광학플레이트
122: 베이스기재
124: 마이크로 렌즈패턴
130: 접착층
132: 에어갭
112: 오복부
114: 에어갭
120: 광학플레이트
122: 베이스기재
124: 마이크로 렌즈패턴
130: 접착층
132: 에어갭
Claims (19)
- 베이스기재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인 UGR 감소용 광학플레이트.
(단, 필 팩터(Fill Factor)는 단위 베이스기재 면적당 마이크로렌즈패턴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은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른 다수의 렌즈패턴이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광학플레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은,
원형, 타원, 프리즘, 렌티큘러, R-프리즘, 피라미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구비하는 광학플레이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단위 렌즈패턴의 사이즈는 20㎛~80㎛인 광학플레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Sag(높이(H):렌즈 지름(R)) 가 0.1~0.5인 광학플레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재는,
PC, PMMA 및 PET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투명 플레이트인 광학플레이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은,
상기 투명 플레이트를 열 및 압력을 이용하여 몰딩하여 렌즈패턴을 일체형으로 구현한 광학플레이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패턴은,
상기 투명플레이트 상에 수지를 도포하여 열 또는 빛을 이용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구조인 광학플레이트.
-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출사하는 확산부; 및
상기 확산부의 광출사면 상에 배치되며, 베이스기재상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인 광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집광부;를 포함하는 조명부재.
(단, 필팩터(Fill Factor)는 단위 베이스기재 면적당 마이크로렌즈패턴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광학플레이트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Sag(높이(H):렌즈 지름(R)) 가 0.1~0.5인 조명부재.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단위 렌즈패턴의 사이즈는 20um~80um인 조명부재.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광학시트 또는 기판인 조명부재.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확산부의 상기 광학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air gap)을 더 포함하는 조명부재.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은,
상기 확산부의 일면이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조명부재.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은,
상기 광학플레이트의 마이크로렌즈패턴이 형성된 이면을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조명부재.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의 내부에는 비드 또는 기포가 포함되는 조명부재.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확산부와 상기 광학플레이트가 접하는 면에 에어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에어갭은 상기 확산부 또는 광학플레이트의 표면에 패터닝되어 형성되며,
상기 에어갭의 면적과 상기 확산부와 상기 광학플레이트가 접하는 면적의 비는 6:4 내지 9:1인 조명부재.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과 상기 광학플레이트는 OCA (pitically clear adhesive), UV 접착제, UV 수지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접착되는 조명부재.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UGR이 16.0~19.0인 조명부재.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456A KR101279483B1 (ko) | 2011-06-29 | 2011-06-29 | 광학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부재 |
US14/130,160 US9470393B2 (en) | 2011-06-29 | 2012-06-29 | Optical plate and illuminating member using the same |
PCT/KR2012/005165 WO2013002596A2 (en) | 2011-06-29 | 2012-06-29 | Optical plate and illuminating member using the same |
TW101123569A TWI515392B (zh) | 2011-06-29 | 2012-06-29 | 光學板及具有其之照明元件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456A KR101279483B1 (ko) | 2011-06-29 | 2011-06-29 | 광학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477A true KR20130002477A (ko) | 2013-01-08 |
KR101279483B1 KR101279483B1 (ko) | 2013-07-05 |
Family
ID=4742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3456A KR101279483B1 (ko) | 2011-06-29 | 2011-06-29 | 광학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부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470393B2 (ko) |
KR (1) | KR101279483B1 (ko) |
TW (1) | TWI515392B (ko) |
WO (1) | WO2013002596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7931A (ko) * | 2011-07-11 | 2013-01-2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조명 부재 및 조명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
CN104680947A (zh) | 2015-02-15 | 2015-06-03 | 北京环宇蓝博科技有限公司 | Led屏幕消除莫尔条纹并提高填充系数的装置及方法 |
EP3057082B1 (en) * | 2015-02-15 | 2019-10-09 | Beijing Universal Lanbo Technology Co., Ltd. | Led display screen covers and led displays |
JP6884518B2 (ja) * | 2015-10-29 | 2021-06-09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拡散板、拡散板の設計方法、拡散板の製造方法、表示装置、投影装置及び照明装置 |
US11448388B2 (en) * | 2020-05-01 | 2022-09-20 | Exposure Illumination Architects, Inc. | Vertical illumination device with lamp modules having nano-optical lenses structure with light source pre-configured to uniformly illuminate horizontal areas below |
JP7536104B2 (ja) | 2020-09-01 | 2024-08-19 |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 拡散光照射装置 |
KR102625150B1 (ko) | 2023-10-25 | 2024-01-17 | 주식회사 네오스라이트 |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07478B2 (ja) * | 2002-07-12 | 2009-01-14 | 株式会社ニコン | オプティカルインテグレータ、照明光学装置、露光装置および露光方法 |
JP4294306B2 (ja) | 2002-12-11 | 2009-07-08 | 恵和株式会社 |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KR100629866B1 (ko) * | 2003-12-23 | 2006-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어된 비구면 계수를 갖는 마이크로렌즈 배열 시트의 제조 방법 |
JP4633369B2 (ja) | 2004-02-03 | 2011-02-1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拡散板及びこの拡散板を備える光学装置 |
US20070041097A1 (en) * | 2005-08-18 | 2007-02-22 | Jen-Chin Wu | Method for fabricating a micro-lens mold and a concave micro-lens |
US7924368B2 (en) | 2005-12-08 | 2011-04-1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Diffuse multilayer optical assembly |
CN103257379B (zh) * | 2007-11-27 | 2015-08-05 | 3M创新有限公司 | 形成具有悬浮合成图像的片材的母模 |
KR101174693B1 (ko) * | 2008-01-30 | 2012-08-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복합 기능성 집광 필름 및 이를 장착한 직하형 백라이트유닛 |
KR20100126393A (ko) * | 2008-03-18 | 2010-12-01 |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 광학 소자, 이를 구비한 광원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
US20090296024A1 (en) * | 2008-03-18 | 2009-12-03 |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 Light diffuser plate with primer lay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aminated optical member,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2011
- 2011-06-29 KR KR1020110063456A patent/KR10127948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6-29 WO PCT/KR2012/005165 patent/WO2013002596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6-29 US US14/130,160 patent/US9470393B2/en active Active
- 2012-06-29 TW TW101123569A patent/TWI515392B/zh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515392B (zh) | 2016-01-01 |
US20140133160A1 (en) | 2014-05-15 |
US9470393B2 (en) | 2016-10-18 |
WO2013002596A2 (en) | 2013-01-03 |
KR101279483B1 (ko) | 2013-07-05 |
WO2013002596A3 (en) | 2013-03-28 |
TW201305496A (zh) | 2013-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0763B1 (ko) | 조명기구 | |
TWI794456B (zh) | 光學裝置 | |
KR101279483B1 (ko) | 광학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부재 | |
JP6579712B2 (ja) | 採光装置 | |
WO2015174401A1 (ja) | 採光装置 | |
KR101062837B1 (ko) |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조명 | |
WO2012147653A1 (ja) | Led照明用の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led照明器具 | |
KR101279486B1 (ko) |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 |
JP2011124023A (ja) | Led照明装置 | |
TWI534389B (zh) | 光學板及其發光裝置 | |
US9435508B2 (en) | Lighting device | |
JP2011014533A (ja) | 照明装置及び間接照明システム | |
JP2011124022A (ja) | Led照明装置 | |
JP2014175253A (ja) | 照明装置 | |
JPH01209479A (ja) | 背面照光装置 | |
KR101250380B1 (ko) | 에어갭이 형성된 ugr감소용 조명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293185B1 (ko) | Ugr 감소용 조명부재 | |
TWI764028B (zh) | 高穿均光擴散模組 | |
KR20220111594A (ko) | 집광 장치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 |
CA308908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optical sheets in luminaires | |
KR20180112887A (ko) | Ugr 감소용 조명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 |
KR20130053937A (ko) |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 |
KR20040100097A (ko) | 백라이트유닛의 휘도조절시트 | |
KR20120113062A (ko) | 조명 부재 | |
KR20120113063A (ko) | 조명 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