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150B1 -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 Google Patents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150B1
KR102625150B1 KR1020230143731A KR20230143731A KR102625150B1 KR 102625150 B1 KR102625150 B1 KR 102625150B1 KR 1020230143731 A KR1020230143731 A KR 1020230143731A KR 20230143731 A KR20230143731 A KR 20230143731A KR 102625150 B1 KR102625150 B1 KR 10262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refraction
pyramid
light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행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스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스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스라이트
Priority to KR102023014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등기구에 사용되는 눈부심 저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의 PC시트 상면 및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속되는 함몰 및 돌출의 복합 피라미드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시트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등기구의 확산시트 혹은 확산커버로부터 난반사되는 광원의 점등 빛을 무수한 복합 피라미드 패턴이 집광 및 굴절 투과시켜 등기구 측면 방향에서의 눈부심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고, 무수히 반복되는 복합 피라미드 패턴은 난반사되는 점등 빛을 고르게 집광 및 분산시켜 목적하는 조사 범위 내 균제도가 가일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며, 복합 피라미드를 포함한 PC시트 전체가 투명 상태로 만들어지므로 광투과율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Glare reduction sheet for lighting fixtures with complex pyramid pattern structure}
본 발명은 다양한 등기구에 사용되는 눈부심 저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엣지조명등 또는 직하등과 같은 천장용 조명등의 확산시트 저면에 밀착 사용됨으로써, 확산시트를 통해 난반사 형태를 갖고 투과되는 광원의 점등 빛이 복합 피라미트 패턴을 갖는 시트부재를 투과하면서 불필요한 확산성이 제어되므로, 광 투과율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조명 대상부에 대한 균제도 향상 및 측방향에서의 눈부심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도록 한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의 가정 내에서는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또는 학교나 관공서 등의 건물 내에도 실내의 우수한 조도를 확보하기 위한 등기구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등기구는 대부분 실내의 천정 하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매입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 방법에 따라 천정 직착등과 천정 매다는 등으로 구분될 것이고, 설치 형태에 따라 천정등 또는 천정 매입등으로 구분될 것이며, 이들 등기구에 내장되는 램프의 종류에 따라 형광등과 백열등 및 엘이디등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천정용 조명등은 가장 보편적으로 원형이나 사각 형태로 금속 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고정본체의 내측에 광원을 내장하여 설치하고, 상기 고정본체의 저면에는 유백색의 합성수지나 유리로 된 확산커버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고정본체 내부에 결합된 광원에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면 상기 광원의 점등 빛은 하측의 확산커버를 통해 투과 및 확산되면서 실내 전체를 고르게 조명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확산커버는 합성수지에 의한 유백색의 판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표면 가공 등을 통해 투과되는 점등 빛이 무수한 난반사를 일으키면서 실내 전체에 대하여 고른 조도를 갖고 조명이 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수행하게 되는 것인데, 확산커버에 의해 지나치게 넓은 면적으로 조명이 연출됨에 따라 등기구의 직하부에서는 눈부심을 전혀 느끼지 못하지만 이용자의 시선이 닿는 등기구의 측부 방향에서는 등기구에 의한 상당한 눈부심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등기구의 측방향에서 발생하는 눈부심을 저감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시트 혹은 필름 등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로서, 공개특허 제10-2012-0056016호와 같이 다수의 LED 패키지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다수의 LED 패키지 위에 배치되며,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제1 프리즘플레이트; 상기 제1 프리즘플레이트 위에 마련되고, 프리즘 패턴의 길이 방향이 상기 제1 프리즘플레이트의 프리즘 패턴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2 프리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즘플레이트의 프리즘 패턴 단면이 형성하는 삼각형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글레어 저감 조명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279483호와 같이 베이스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패턴; 및 상기 베이스기재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는 에어갭(air gap)을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인 UGR 감소용 광학플레이트가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279486호와 같이 조명부재를 확산판을 통과하여 이격영역으로 인가된 빛 중에서 좌우로 크게 산란하는 빛을 이격영역을 감싸는 주변의 접착패턴물질층을 이용하여 반사효율을 증대함과 동시에 별도의 구조물로 패턴을 구현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공정효율을 증대하며 UGR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가 등록된 바 있는 것이고, 등록특허 제10-1443734호와 같이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입광부에서 대광부로 도파하기 위한 반사시트와, 상기 반사시트와 대향하는 출광부에 위치하며, 제1기재층과, 상기 제1기재층 상층에 형성된 제1패턴층으로 이루어진 제1광학시트 및 상기 제1광학시트의 제1패턴층 상에 형성되며, 제2기재층과, 상기 제2기재층 상층에 형성된 제2패턴층으로 이루어진 제2광학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광학시트를 이용한 조명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 이중 광학시트를 이용한 조명 장치가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의 예시로서 등록특허 제10-1961931호와 같이, 광확산부재와 광시야각 조절부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광확산부재, 투과층 및 광시야각 조절부재를 적층한 조명용 광학부재의 두께를 줄인 일체형 조명용 광학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광확산부재, 투과층 및 광시야각 조절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투과층의 절대굴절률은 광확산부재 및 광시야각 조절부재의 절대굴절률에 비해 절대굴절률 값으로 0.1 ~ 0.7 작은 값으로 하고, 광시야각 조절부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패턴층을 형성하여 방출되는 빛의 시야각을 조절하여 된 조명용 광학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장치가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 선행예시에서의 조명장치 혹은 광학부재는 대부분 볼록 형태의 렌즈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어 볼록 렌즈 효과에 의한 집광작용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조명장치 측방향에서의 눈부심은 저감되는 반면 점등 빛의 조사 범위 내에서는 오히려 과도한 눈부심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 단일 개체의 광학부재 혹은 광학시트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복합 다층의 시트부재를 적층하거나 이격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제조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고비용의 생산비를 요구하게 되는 것이고, 이를 다양한 형태의 등기구에 적용하는 과정에서도 이들 광학부재 및 광학시트가 차지하는 두께로 인해 등기구 본체에 대한 재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기존의 등기구에 적용할 수 없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위 선행예시에서의 광학부재 혹은 광학시트 등은 점등 빛의 굴절각에 대한 가변 설계가 불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어, 실내 전체를 조명하기 위한 천장등이나 포인트 조명등 혹은 하이라이트 조명등과 같이 초기부터 목적하는 점등 조사각을 갖고 만들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등기구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포인트 조명등과 같은 경우에는 지나치게 과도한 집광 현상이 발생하여 조사각 이외의 부분에서 암부가 발생하는 등 실내 조명으로서의 적합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2-0056016 (2012.06.01.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79483 (2013.06.2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79486 (2013.06.2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43734 (2014.09.17.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61931 (2019.03.19.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투명의 PC시트 상면 및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속되는 함몰 및 돌출의 복합 피라미드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시트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각의 함몰 혹은 돌출 피라미드 패턴에 의해 점등 빛의 굴절 투과를 유도하여 등기구 측방향에서의 눈부심을 감소시키고, 상면의 하향 함몰 피라미드에 의해서는 등기구에 적용된 확산시트로부터 난반사되는 점등 빛을 돌출 피라미드 패턴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토록 하며, 돌출 피라미드에 형성된 상향의 함몰 피라미드는 돌출 피라미드의 굴절각에 의한 등기구 직하부에서의 광량 손실이 보상되도록 한 특징을 갖는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명으로 된 PC기재의 상면 및 저면 전체에 평면상 4각의 피라미드가 반복 배열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PC기재의 상면 전체에는 피라미드 형태로 하향 함몰된 투명의 굴절유도셀이 반복된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고, PC기재의 저면 전체에는 피라미드 형태로 하향 돌출된 투명의 굴절제한셀이 반복된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며, 각각의 굴절제한셀 중앙에는 피라미드 형태로 상향 함몰된 투명의 심부보상셀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등기구의 확산시트 혹은 확산커버로부터 난반사되는 광원의 점등 빛을 무수한 복합 피라미드 패턴이 집광 및 굴절 투과시켜 등기구 측면 방향에서의 눈부심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고, 무수히 반복되는 복합 피라미드 패턴은 난반사되는 점등 빛을 고르게 집광 및 분산시켜 목적하는 조사 범위 내 균제도가 가일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며, 복합 피라미드를 포함한 PC시트 전체가 투명 상태로 만들어지므로 광투과율에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상부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하부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정면 및 평면, 저면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사용 예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서의 복합 피라미드 개체에 대한 굴절 및 조사 방향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사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또 다른 사용 예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상부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하부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대한 정면 및 평면, 저면 상세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는, 투명으로 된 PC기재(100)의 상면 및 저면 전체에 평면상 4각의 피라미드가 반복 배열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PC기재(100)는 투명도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스크레치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부재로서 가장 적합한 소재에 해당될 것이나, PC(Poly Carbonate) 이외에도 PS(Poly Styrene) 또는 아크릴(acrylic)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PC기재(100)의 상면 전체에는 피라미드 형태로 하향 함몰된 투명의 굴절유도셀(110)(110')이 반복된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고, PC기재(100)의 저면 전체에는 피라미드 형태로 하향 돌출된 투명의 굴절제한셀(120)(120')이 반복된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며, 각각의 굴절제한셀(120)(120') 중앙에는 피라미드 형태로 상향 함몰된 투명의 심부보상셀(130)(130')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의 굴절유도셀(110)(110')은 다양한 등기구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확산시트 혹은 확산커버로부터 난반사 형태로 투과되는 점등 빛을 집광하여 하향 굴절 유도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굴절제한셀(120)(120')의 경우 확산커버 혹은 확산시트로부터 투과되는 점등 빛과 굴절유도셀(110)(110')에 의해 굴절 유도된 점등 빛이 4면의 피라미드 경사면을 통해 제한된 각도를 갖고 굴절 투과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의 심부보상셀(130)(130')은 피라미드 형태로 된 굴절유도셀(110)(110')의 중앙 직하부에서의 광량 손실을 보상하여 등기구 하측 전체에 균일한 밝기 및 균제도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한 굴절제한셀(120)(120')은 평면상 사각의 돌출 피라미드 형태로 인해 4면의 경사굴절면(121)(1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굴절제한셀(120)(120')의 중앙에 형성된 평면상 사각의 함몰 피라미드 형태로 된 심부보상셀(130)(130')은 굴절제한셀(120)(120')로부터 평면상 45°회전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함에 따라, 굴절제한셀(120)(120')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심부보상셀(130)(130')의 각 변을 연결하는 4면의 보조굴절면(122)(122')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의 굴절제한셀(120)(120')은 경사굴절면(121)(121')과 보조굴절면(122)(122')으로 인해 총 8면의 경사진 굴절면을 갖게 될 것이다.
이에, 4면의 경사굴절면(121)(121')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등기구 측방향으로부터 65° 이상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가장 효율적인 조명이 연출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65° 범위 이상의 각도에서는 눈부심이 저감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고, 보조굴절면(122)(122')의 경우 4면의 경사굴절면(121)(121')에 의한 점등 빛의 방향성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피라미드의 4방향 굴절 투과가 아닌 8방향 굴절 투과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미세하게 확산된 형태로 광원의 점등 빛이 소정의 각도 범위를 갖고 굴절 확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굴절유도셀(110)(110')은 굴절제한셀(120)(120')과 평면상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함몰 피라미드 구조로 된 굴절유도셀(110)(110')의 4방향 경사굴절면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된 굴절제한셀(120)(120')의 경사굴절면(121)(121')으로 그대로 점등 빛이 투과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굴절제한셀(120)(120')의 보조굴절면(122)(122')은 등기구의 확산커버 혹은 확산시트로부터 난반사되는 점등 빛이 보조굴절면(122)(122')의 경사각에 따라 굴절되면서 투과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광원(10)의 점등 빛이 도광판(20) 등을 통해 확산커버 혹은 확산시트(30)로부터 난반사되면서 조명 하부 전체에 점등 빛이 조사되던 기존의 등기구는 확산커버 혹은 확산시트의 저면에 밀착하여 위치되는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시트로 인해 확산커버를 투과한 점등 빛이 피라미드가 갖는 경사각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갖고 굴절되면서 등기구 측면 방향에서의 눈부심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것이고, 투명 소재로 된 PC기재(100)를 포함한 굴절유도셀(110)(110')과 굴절제한셀(120)(120') 및 심부보상셀(130)(130')이 모두 투명한 상태로 만들어져 있어 광량 손실도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될 것이다.
특히, 도 5의 도시와 같이 굴절유도셀(110)(110')에 의한 소정의 집광 작용은 확산커버를 투과한 점등 빛이 굴절제한셀(120)(120')로 효과적으로 유도되면서 굴절제한셀(120)(120')에 의한 측부 방향 눈부심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고, 피라미드 셀이 갖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파라미드 직하부에서의 광량 손실은 역방향의 함몰 파리미드 구조로 된 심부보상셀(130)(130')이 보완해주면서,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부재가 적용된 다양한 형태의 등기구는 굴절제한셀(120)(120')의 피라미드 경사면에 의한 각도 제한의 조사 범위 내에서 매우 밝고 우수한 균제도를 연출할 것이므로, 결국 불필요한 조사각의 축소 및 광량 손실의 억제를 통해 조명 효율의 향상 및 전기 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더불어, 전기한 굴절제한셀(120)(120')은 PC기재(100)의 저면 전체에 각각의 셀이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연이어 배열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PC기재(100) 하부 전체에서 각각의 굴절제한셀(120)(120')을 굴절 투과한 점등 빛이 서로 이웃하는 굴절제한셀(120)(120')의 굴절 투과 범위에 대한 상호 단절 구간없이 다중 복합 투과에 의한 균제도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굴절유도셀(110)(110')과 심부보상셀(130)(130')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의 굴절제한셀(120)(120')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그 크기는 굴절유도셀(110)(110')과 심부보상셀(130)(130')을 형성하기 위한 4방향 각 변의 길이가 굴절제한셀(120)(120')을 형성하기 위한 각 변의 길이 대비 1/3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등기구의 확산커버 혹은 확산시키로부터 난반사되는 점등 빛의 집광 및 분산과 피라미드 직하부에 대한 심부 보상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굴절유도셀(110)(110')이 지나치게 큰 크기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심부보상셀(130)(130')로 유도되는 점등 빛의 광량이 감소하여 피라미드 직하부에서의 광량 보상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고, 굴절유도셀(110)(11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굴절제한셀(120)(120')로 유도되는 점등 빛이 광량이 감소하여 등기구의 측방향 눈부심 저감 효과가 축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심부보상셀(130)(130')의 크기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굴절유도셀(110)(110')의 경사굴절면(121)(121')과 보조굴절면(122)(122')의 면적이 감소하여 효과적인 굴절 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역시 측방향 눈부심 저감 효과가 축소될 것이고, 심부보상셀(130)(13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굴절제한셀(120)(120')의 피라미드 구조로 인한 심부 광량 손실이 많아지면서 시각적으로 검은 도트 무늬가 연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시트는 굴절유도셀(110)(110')과 굴절제한셀(120)(120') 및 심부보상셀(130)(130')이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등기구의 확산시트 혹은 확산커버로부터 난반사되는 점등 빛을 효과적으로 집광 및 유도 굴절시켜 목적하는 조사 범위 이외 측방향에서의 눈부심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이고, 목적하는 조사 범위에서는 더욱 향상된 조명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균제도 역시 매우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측방향 광원(10)의 점등 빛이 도광판(20) 및 확산시트(30)를 통해 하방으로 조사되게 한 천장엣지등의 경우 확산시트(30)의 저면에 밀착하여 위치하고 있는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시트로 인해 확산시트(30)로부터 난반사되는 광원의 점등 빛이 천장엣지등의 하부에만 효과적으로 조사되므로 측방향 이격거리에서 천장엣지등을 주시하더라도 눈부심이 거의 없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PC기재(100)의 굴절제한셀(120)(120')이 갖고 있는 피라미드의 경사면 각도가 천장엣지등의 직하부로부터 65°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조사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시트의 전체 두께는 0.8mm이 이상적인 것으로, 필요 이상 두꺼운 경우에는 기존의 다양한 등기구에 삽입하는 경우 설계 변경이 동반되어야 하는 폐단이 발생하는 동시에 과도한 중량감 및 생산 원가의 증가가 예상될 것이고, 눈부심 저감시트의 두께를 필요 이상 얇게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작상의 곤란함은 물론 시트의 면적에 따라 눈부심 저감시트의 처짐이나 휨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시트는 전기한 바와 같은 천장엣지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7의 도시와 같이 확산커버(40)를 갖는 일반적인 형태의 천장직하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천장직하등의 경우에도 확산커버(4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등기구 본체에 삽입 고정함에 따라 확산커버(40)로부터 난반사되는 점등 빛을 효과적으로 집광 및 굴절시켜 측방향 이격거리에서의 눈부심이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 혹은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PC기재
110,110' : 굴절유도셀
120,120' : 굴절제한셀 121,121' : 경사굴절면
122,122' : 보조굴절면
130,130' : 심무보상셀

Claims (4)

  1. 투명으로 된 PC기재(100)의 상면 및 저면 전체에 평면상 4각의 피라미드가 반복 배열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PC기재(100)의 상면 전체에는 피라미드 형태로 하향 함몰된 투명의 굴절유도셀(110)(110')이 반복된 형태의 패턴으로 형성되고, PC기재(100)의 저면 전체에는 피라미드 형태로 하향 돌출된 투명의 굴절제한셀(120)(120')이 반복된 형태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굴절제한셀(120)(120') 중앙에는 피라미드 형태로 상향 함몰된 투명의 심부보상셀(130)(130')을 더 형성하여 구성되어진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굴절제한셀(120)(120')은 평면상 사각의 돌출 피라미드 형태로 인해 4면의 경사굴절면(121)(1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굴절제한셀(120)(120')의 중앙에 형성된 평면상 사각의 함몰 피라미드 형태로 된 심부보상셀(130)(130')은 굴절제한셀(120)(120')로부터 평면상 45°회전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여, 굴절제한셀(120)(120')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심부보상셀(130)(130')의 각 변을 연결하는 4면의 보조굴절면(122)(122')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제한셀(120)(120')은 PC기재(100)의 저면 전체에 각각의 셀이 상호 이격되지 않도록 연이어 배열되도록 구성하고, 굴절유도셀(110)(110')과 심부보상셀(130)(130')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의 굴절제한셀(120)(120') 보다 작게 형성하여 구성하되, 굴절유도셀(110)(110')과 심부보상셀(130)(130')을 형성하기 위한 4방향 각 변의 길이는 굴절제한셀(120)(120')을 형성하기 위한 각 변의 길이 대비 1/3이 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3. 삭제
  4. 삭제
KR1020230143731A 2023-10-25 2023-10-25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KR10262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3731A KR102625150B1 (ko) 2023-10-25 2023-10-25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3731A KR102625150B1 (ko) 2023-10-25 2023-10-25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150B1 true KR102625150B1 (ko) 2024-01-17

Family

ID=8971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731A KR102625150B1 (ko) 2023-10-25 2023-10-25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150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3277A (zh) * 2007-09-17 2009-03-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棱镜片
JP2010032868A (ja) * 2008-07-30 2010-02-12 Toppa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照明装置、電子看板、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0061637A1 (ja) * 2008-11-27 2010-06-03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調光型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用光学層、及び、調光型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及び、調光型太陽光発電パネル
KR20120056016A (ko) 2010-11-24 2012-06-01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글레어 저감 조명장치
KR20120075059A (ko) * 2010-12-28 2012-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KR101279486B1 (ko) 2011-08-17 2013-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KR101279483B1 (ko) 2011-06-29 2013-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부재
KR20130118501A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포스코 공간 맞춤형 광학시트
KR101443734B1 (ko) 2012-12-17 2014-09-26 주식회사 세코닉스 이중 광학시트를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961931B1 (ko) 2011-12-20 2019-03-26 미래나노텍(주) 조명용 광학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장치
KR20230042864A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3277A (zh) * 2007-09-17 2009-03-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棱镜片
JP2010032868A (ja) * 2008-07-30 2010-02-12 Toppa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照明装置、電子看板、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0061637A1 (ja) * 2008-11-27 2010-06-03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調光型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用光学層、及び、調光型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及び、調光型太陽光発電パネル
KR20120056016A (ko) 2010-11-24 2012-06-01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글레어 저감 조명장치
KR20120075059A (ko) * 2010-12-28 2012-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KR101279483B1 (ko) 2011-06-29 2013-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부재
KR101279486B1 (ko) 2011-08-17 2013-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KR101961931B1 (ko) 2011-12-20 2019-03-26 미래나노텍(주) 조명용 광학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장치
KR20130118501A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포스코 공간 맞춤형 광학시트
KR101443734B1 (ko) 2012-12-17 2014-09-26 주식회사 세코닉스 이중 광학시트를 이용한 조명 장치
KR20230042864A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7901B (zh) 光场调节装置及采用该光场调节装置的照明装置
US10073210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5951626B2 (ja) Led光拡散用拡張型アイシクルタイプ光調整レンズ
KR100931266B1 (ko)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실내용 led 조명
KR101062839B1 (ko)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조명
US6809892B2 (en) Hollow surface illuminator
KR20190021522A (ko) 도광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JP2012182117A (ja) 管型照明器具、管型照明器具用筐体及び両面内照式看板装置
US8646961B2 (en) Reflective plate, planar lamp and planar lamp fixture including the same
KR101066755B1 (ko)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KR102625150B1 (ko) 복합 피라미드 패턴구조의 등기구용 눈부심 저감부재
EP1303725A2 (en) Hollow surface illuminator
CN211040856U (zh) 一种防眩光led照明装置
WO2013066048A1 (en) Optical shee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70082262A1 (en) Optical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WM426710U (en) Double-side lighting type lamp structure
WO2014203725A1 (ja) 照明装置
KR101082355B1 (ko) 확산 및 투과율이 우수한 엘이디 조명등용 커버체
EP3521693B1 (en) Light-diffusing lamp shade and panel lamp having same
KR20160112908A (ko) 적층시트필름을 구비한 조명기구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
KR101578164B1 (ko) 적층시트필름을 구비한 조명기구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
US11947154B2 (en) Luminaire and lighting system
CN201496802U (zh) 一种照明装置
KR102640067B1 (ko) 눈부심 저감시트가 적용된 천장용 엣지조명등
CN219349181U (zh) 一种导光板及黑板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