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185B1 - Ugr 감소용 조명부재 - Google Patents

Ugr 감소용 조명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185B1
KR101293185B1 KR1020110108665A KR20110108665A KR101293185B1 KR 101293185 B1 KR101293185 B1 KR 101293185B1 KR 1020110108665 A KR1020110108665 A KR 1020110108665A KR 20110108665 A KR20110108665 A KR 20110108665A KR 101293185 B1 KR101293185 B1 KR 10129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gr
layer
lighting memb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546A (ko
Inventor
홍범선
이동현
성동묵
엄준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1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Abstract

본 발명은 UGR 감소용 조명부재에 관한 것으로, 평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에어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일면에 적층되는 마이크로렌즈층과 상기 몸체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는 확산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UGR 감소용 조명부재{ILLUMINATING MEMBER FOR REDUCING UNIFIED GLARE RATING }
본 발명은 조명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UGR을 감소시킬 수 있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에 관한 것이다.
조명(照明)은 각종 광원을 이용하고,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의 장소를 밝게 하는 행위나 기능이며,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환경을 밝게 하기 위해 많이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구는 광원(10)과 등기구(20)로 이루어진다. 광원은 백열전구, LED, CCF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등기구(20)는 루버(또는 반사갓) 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조명기구는 빛을 내는 광원부(10)가 사람에게 직접 전달되는 빛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빛의 각도는 사람에게 전달되어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일으킨다.
따라서, 직접적인 빛이 오지 못하게 루버 (또는 반사갓)을 설치하여 빛을 차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전체적인 조명기구의 크기가 커지거나 천장을 더 깊게 하여 매립해야 하므로 설치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광원(10)에서 나오는 빛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일부에 집중되는 핫스팟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핫스팟을 줄이고 빛을 균일하게 내기 위하여 조명 기구의 최외각에 확산층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확산층을 사용한 구조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면, 등기구(30)에 장착된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은 확산층(40)을 거쳐 외부로 방출된다.
조명 기구의 최외각에 확산층(40)을 사용하는 이유는 광원(10)의 핫스팟(Hot spot)을 줄이고 빛을 균일하게 내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평판 조명에서 사용하는 확산층(40)은 핫스팟만을 제거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각도의 빛은 여전히 사람의 눈에 불쾌감을 준다. 이와 같이 불쾌감을 주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 UGR 수치(Unified Glare Rating)이다.
UGR은 불쾌글레어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을 통합하여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1987년 CIE에 의해 제안되었다. 즉 UGR은 조명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정도를 정량화한 값으로서,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Figure 112011083026162-pat00001
와 같다.
여기서, L Background 는 배경의 휘도(광원의 영향을 포함하지 않는 값)이고, L은 관찰자 시야 내 광원의 발광부분 휘도이며, ω은 관찰자 시야내 광원의 발광부분 입체각이며, p는 각 광원의 Guth 위치지수이다. 여기서 입체각 ω은 조명기구의 발광면적과 관찰자 위치에서 조명기구까지의 거리로부터 구해진다. 즉,
Figure 112011083026162-pat00002
Figure 112011083026162-pat00003
이며, 여기서 AP는 조명기구 발광부분의 면적이며, r은 관찰자에서 조명기구 발광면적 중심까지의 거리이다. UGR은 Einhorn과 Hopkinson 공식의 특성을 결합한 것이며 Guth의 위치 지수 (position index)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UGR이 글레어를 예측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주요공식의 장점을 수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읽기, 쓰기, 수업, 및 컴퓨터 작업 등에 적합한 UGR 평가등급의 수치는 19 이하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 기구가 이러한 적합한 UGR 수치를 만족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조명기구의 빛의 각도에 따른 밝기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의 배광분포를 각도별 강도 (intensity)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산층을 지나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직인 각도 0°를 기준으로 하여, 점선과 같이 60°이상의 각도 내의 빛의 강도를 좌우측의 박스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좌우 박스 내의 값과 UGR 수치는 비례한다. 박스 안의 수치를 참조하면, 확산층 (110)이 형성된 조명기구의 UGR 값은 좌 우측, 즉 -90°내지 -45°과 45°내지 90°에서 각각 20.3 과 20.9의 수치가 도출된다.
현재 쓰이고 있는 대부분의 실내 등기구는 반사갓 또는 루버를 사용하거나 등기구 전체를 매립하여 UGR에 영향을 미치는 넓은 범위로 퍼지는 빛의 각도를 줄이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경우 루버 또는 갓, 매립등으로 인하여 등기구의 크기가 커지고 설치 면적이 넓어지는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확산층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핫스팟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여전히 19 이하의 UGR 규격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496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층(에어영역)을 포함하는 조명부재를 이용하여 UGR을 제어하고,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마이크로렌즈패턴을 구비하는 집광층과 확산층을 구비하되, 에어여역을 형성하기 위해 확산층이나 집광층의 가공을 하지 않아 공정이 간소화되며, 별도의 접착층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명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에어영역을 포함하는 에어플레이트; 상기 에어플레이트 상면과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렌즈패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렌즈층; 및 상기 에어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는 확산층;을 포함하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 경우 상기 에어영역은, 상기 에어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단위에어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에어영역은, 상기 에어플레이트의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는 에어관 형상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위 에어영역은, 상기 에어플레이트의 상부면 및 하부면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격벽으로 분획되며, 상기 에어관의 단면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렌즈층은, 상기 에어플레이트 상면에 임프린팅을 통해 상기 렌즈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상기 조명부재의 상기 마이크로렌즈층은, 렌즈의 형상이 원형, 타원, 프리즘, 렌티큘러, R-프리즘, 피라미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구비하거나, 하나 이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직경은 20㎛ 내지 100㎛의 범위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Sag는 0.1 내지 0.5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영역과 상기 에어영역과 에어영역 이외의 영역의 면적의 비는 6:4 내지 9:1의 범위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확산층은, 상기 에어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하여 확산잉크를 코팅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확산층은, 내부에 비드(bead) 또는 기포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층은, 상기 몸체에 접하는 반대면에 형성되는 헤이즈확산패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는, UGR (Unified Glare Rating)이 17 내지 19.6인의 범위에서 구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는 PC, PMMA 및 PET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패턴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층(에어영역)을 포함하는 조명부재를 이용하여 UGR을 제어하고,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는 마이크로렌즈패턴을 구비하는 집광층과 확산층을 구비하되, 에어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확산층이나 집광층의 가공을 하지 않아 공정이 간소화되며, 별도의 접착층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접착력 약화로 인해 구성요소의 분리문제가 일소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의 배광분포를 각도별 강도 (intensity)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개념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는 평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에어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후술하는 확산판과 결합하는 경우, 내부의 공기층의 면적에 따라 UGR 및 광효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영역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에어영역의 구현방식을 살펴보면, 도 4a와 같은 구조에서는, 확산층 (110), 접착층 (120),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MLA; micro lens array) 층 (130)과 같은 렌즈층 (이하, MLA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렌즈형태를 포함하는 렌즈층으로 이해해야 한다), 및 에어영역 (40)으로 구성된다. 확산층 (110)과 MLA층 (130) 사이에는 에어갭 (40)이 형성되며, 이러한 에어영역은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산층 (110)이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b)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MLA층 (130)이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MLA층 (130)은 에어갭 (40)을 통과한 빛을, 비추고자 하는 소정의 부분으로 광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UGR의 감소 및 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 확산층 (110)과 MLA층 (130)과의 접착을 위해 접착층 (120)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착층의 사용은 기본적으로 고가인 접착물질을 이용하거나 필름(PSA)를 사용하게 되어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한편, 접착력의 약화로 접합부분의 분리되는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상술한 에어영역의 형성을 별도의 투명플레이트(이하, '에어플레이트'라 한다.) 내부에 형성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에어영역을 포함하는 에어플레이트와 상기 에어플레이트 상면과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렌즈패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렌즈층 및 상기 에어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는 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에어플레이트(200)는 도 4b의 (a)와 같은 구조물을 형성하되,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210)의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에어영역(220)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영역(220)은 도 4b의 (a)와 같이 공기의 통로구조의 에어관 형상으로 다수의 개수를 형성하여 에어영역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사이에 몸체의 제1방향(가로방향) 또는 제2방향(세로방향)으로 에어관이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개개의 에어관을 '단위에어영역'으로 정의한다.
상기 단위에어영역의 형성은, 도 4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관의 규칙적인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불규칙 적인 형상으로 공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규칙적인 형상으로 에어영역을 형성하는 구조의 일예로는 도 4b의 (a)와 같이, 상기 단위에어영역(220)은 단면적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b의 (b)구조에서는 단위에어영역(220)의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매립되는 구조로 형성되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일부가 개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4c와 같이 단위에어영역(230)의 단면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거나, 도 4d와 같이 입체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던 상기 단위에어영역(220)이 형성되는 경우, 각 단위에어영역(220) 사이에는 지지격벽의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전체적으로는, 상부면과 하부면의 복층플레이트에 지지격벽으로 형성되는 몸체가 구비되는 구조인바, 이러한 복층형 플레이트의 경우 공압출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금형 형상에 따라 두께 및 내부 공기통로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에어영역과 상기 몸체의 면적의 비는 6:4 내지 9:1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의 구현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는, 마이크로렌즈층(130)을 더 포함하거나, 확산층(110)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확산층 (110)은 시트 또는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둘을 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확산층 (110) 내부에는 비드 또는 기포 (111)가 형성될 수 있다. 확산층 (110)과 마이크로렌즈층 (130)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200)이 배치된다. 확산층과 마이크로렌즈층, 그리고 조명부재의 몸체(210)는 별도의 접착물질을 이용하지 않고 적층되는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확산층(110)은 확산잉크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헤이즈의 확산을 위해 헤이즈확산패턴(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렌즈층 (130)은 본 발명에 다른 조명부재의 몸체(210)의 에어영역을 통과한 빛을, 비추고자 하는 소정의 부분으로 광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또한, 마이크로렌즈층 (130)은, 확산층 (110)과 접하는 부분인 몸체부 (130a)와 이러한 몸체부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 패턴 (1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 (130a)는 시트 또는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둘을 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렌즈 패턴(130b)은 광을 수집하는 역할과 동시에, 에어영역(210)을 통과한 빛을 다시 한번 굴절시킴으로써, UGR의 수치를 조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렌즈층(13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의 구조와 같이 별도의 마이크로렌즈층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 상기 에어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렌즈 패턴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플레이트(200)의 상부면에 임프린팅을 통해 렌즈패턴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렌즈층(130)과 상기 에어플레이트(200)은 동일한 물질로 구현하게 되어, 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정의 간소화를 구현할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렌즈층(130)의 렌즈는 렌즈의 형상이 원형, 타원, 프리즘, 렌티큘러, R-프리즘, 피라미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구비하거나,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렌즈의 직경은 20㎛ 내지 100㎛의 범위에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렌즈패턴(124)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를 충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필팩터(Fill Factor)는 단위 베이스기재 면적당 마이크로렌즈패턴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채움율(fill factor)을 50%~100%로 구현하여 광원 투과시 UGR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렌즈패턴의 사이즈는 20㎛~100㎛의 범위를 충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패턴의 Sag(높이(H):렌즈 지름(R))가 0.1~0.5를 충족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기기에 적용되며, 상술한 범위에서 UGR 값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조명기구 중 평판 등기구의 경우 광원을 가리면서도 빛을 골고루 내기 위해 확산판 만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는 UGR이 높게 나오는 방향까지 빛을 산란시키므로 눈부심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며 이는 실내 등기구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렌즈패턴(Micro lens array)이 패터닝된 광학플레이트를 사용하여 UGR을 줄이도록 하였다. 특히, 마이크로렌즈패턴의 필팩터를 0.5~1.0의 범위에서 조율하는 동시에, 마이크로렌즈패턴의 sag는 0.1 ~ 0.25 나 0. 35 ~ 0.5의 범위에서 형성하여 UGR 19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sag에서 마이크로렌즈패턴 어레이의 fill factor가 증가함으로써 UGR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여준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값의 sag에서 필팩터(fill factor)를 조절함으로써 UGR값을 추가적으로 더 낮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에어영역(210)을 통과한 빛은 마이크로렌즈층 (130)의 표면에 닿게 되면 마이크로 렌즈 패턴 (130b)에 따라 또 한번 굴절되어 집광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마이크로렌즈층 (130)의 굴절률은 에어영역(220)을 통과한 빛이 더 좁은 각도로 굴절되도록 에어영역(220) 내의 공기의 굴절률 1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 부재는 에어영역(220)에 의해 글레어 (Glare)를 1차 감소시키며, 마이크로렌즈층(130)을 통해 글레어를 2차 감소시킴으로써, 적합한 UGR 수치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를 이용한 광학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UGR condition : X = 4 H, Y = 8 H , Reflectance grade(ceiling, wall ,ground) : 70/50/20 % , 등기구 size : 600mm * 600mm)
(a)는 도 4a에 제시된 적층형 구조를 이용한 결과이며, (b)는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의 구조를 이용하여, 몸체와 내부 에어영역의 비율이 95%인 경우, (c)몸체 내부의 에어영역의 비율이 80%인 경우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각 결과를 비교하면, (a)의 단순 적층구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영역을 구비한 구조에서 UGR은 동등한 수준으로 제어되며, 광효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UGR (Unified Glare Rating)이 17 내지 19.6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확산층
120: 접착층
130: 마이크로렌즈층
200: 에어플레이트
210: 몸체
220: 단위에어영역

Claims (15)

  1.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에어영역을 포함하는 에어플레이트;
    상기 에어플레이트 상면과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렌즈패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렌즈층; 및
    상기 에어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는 확산층
    을 포함하되,
    상기 확산층은,
    내부에 비드(bead) 또는 기포가 포함되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영역은,
    상기 에어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단위에어영역으로 형성되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 에어영역은,
    상기 에어플레이트의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는 에어관 형상을 구비하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 에어영역은,
    상기 에어플레이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격벽으로 분획되며,
    상기 에어관의 단면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UGR 감소용 조명 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층은,
    상기 에어플레이트 상면에 임프린팅을 통해 상기 렌즈패턴이 형성되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층은,
    렌즈의 형상이 원형, 타원, 프리즘, 렌티큘러, R-프리즘, 피라미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구비하거나,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직경은 20㎛ 내지 100㎛인 UGR 감소용 조명 부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Sag는 0.1 내지 0.5인 UGR 감소용 조명 부재.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플레이트는,
    상기 에어영역과 에어영역 이외의 영역의 면적의 비는 6:4 내지 9:1인 UGR 감소용 조명 부재.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상기 에어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하여 확산잉크를 코팅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
  11. 삭제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상기 몸체에 접하는 반대면에 형성되는 헤이즈확산패턴을 더 포함하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UGR (Unified Glare Rating)이 17 내지 19.6인, UGR 감소용 조명 부재.
  1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플레이트는 PC, PMMA 및 PET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UGR 감소용 조명 부재.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렌즈패턴의 필팩터(Fill Factor)가 0.5~1.0인 UGR 감소용 조명 부재.
KR1020110108665A 2011-10-24 2011-10-24 Ugr 감소용 조명부재 KR10129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665A KR101293185B1 (ko) 2011-10-24 2011-10-24 Ugr 감소용 조명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665A KR101293185B1 (ko) 2011-10-24 2011-10-24 Ugr 감소용 조명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46A KR20130044546A (ko) 2013-05-03
KR101293185B1 true KR101293185B1 (ko) 2013-08-05

Family

ID=4865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665A KR101293185B1 (ko) 2011-10-24 2011-10-24 Ugr 감소용 조명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937A (ko) 2016-10-28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일체형 확산판 및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451A (ja) * 2005-10-18 2007-05-10 Omron Corp 面光源装置
KR20110049082A (ko) * 2009-11-04 2011-05-1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451A (ja) * 2005-10-18 2007-05-10 Omron Corp 面光源装置
KR20110049082A (ko) * 2009-11-04 2011-05-1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46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1960B2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装置
KR101330763B1 (ko) 조명기구
WO2012063759A1 (ja) Led照明装置
WO2015174401A1 (ja) 採光装置
JP6192535B2 (ja) 光ダクト及び照明装置
US9470393B2 (en) Optical plate and illuminating member using the same
US7217010B2 (en) Reflector with negative focal length
KR101279486B1 (ko)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CN103582780A (zh) 照明条
KR20120056016A (ko) 글레어 저감 조명장치
KR101293185B1 (ko) Ugr 감소용 조명부재
CN211040856U (zh) 一种防眩光led照明装置
KR101250380B1 (ko) 에어갭이 형성된 ugr감소용 조명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2355B1 (ko) 확산 및 투과율이 우수한 엘이디 조명등용 커버체
CN101493210A (zh) 一种基于发光二极管的光源结构
KR101198818B1 (ko) Ugr감소용 조명 부재
KR101263808B1 (ko) 에어갭이 형성된 ugr감소용 조명 부재
CN217004185U (zh) 一种防眩光的匝道灯
KR101211480B1 (ko) 격벽이 형성된 ugr감소용 조명 부재
KR101293172B1 (ko)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
JP2009110804A (ja) パネル光源
KR20120113062A (ko) 조명 부재
KR20120113063A (ko) 조명 부재
KR20120129696A (ko) 조명 부재
JP2018022640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