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162U - 계선주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계선주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162U
KR20130002162U KR2020110008722U KR20110008722U KR20130002162U KR 20130002162 U KR20130002162 U KR 20130002162U KR 2020110008722 U KR2020110008722 U KR 2020110008722U KR 20110008722 U KR20110008722 U KR 20110008722U KR 20130002162 U KR20130002162 U KR 201300021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base material
wall
fix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8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162U/ko
Publication of KR20130002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선주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선주가 안벽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안벽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계선주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안벽의 상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상기 안벽에 매설된 기초재;상기 기초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선박의 정박을 위한 무어링 로프가 감기기 위한 계선주;상기 계선주를 기초재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계선주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계선주의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mooring post}
본 고안은 계선주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벽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계선주가 안벽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계선주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사용목적에 따라 상선, 군함, 어선 및 특수 작업선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상선은 여객 또는 화물을 운반하여 운임수입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으로서, 화물선, 화객선, 여객선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선박에는 항구에 계류할 수 있도록 앵커 케이블(anchor cable)을 감기 위한 윈들러스(windlass)나, 무어링 로프(mooring rope)를 감기 위한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 등의 장비들이 마련되고, 항구에는 선박의 무어링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계류 시설이 마련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의 계류 시설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의 계류 시설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계류 시설(10)은 선박(1)으로부터 인출되는 무어링 로프(2)를 매어 두기 위한 다수의 계선주(1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선박의 계류 시설(10)은 선박(1)의 무어링 윈치(3)로부터 풀려진 무어링 로프(2)들을 계선주(11) 각각에 매어 두도록 함으로써 선박(1)이 계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계선주(11)는 항만의 안벽에 매설되어 고정이 된다.
이때, 상기 계선주(11)를 안벽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안벽에 일정 깊이의 고정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홈의 깊이보다 길이가 긴 원기둥 형태의 계선주(11)를 고정홈에 매설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계선주(11)가 안벽에 매설되는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이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계선주가 안벽에 고정된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계선주(11)가 안벽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안벽으로부터 계선주의 분리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항만의 안벽에서 해양 공사시, 공사장비와 상기 계선주(11)의 간섭이 발생하여 공사 진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안벽에 대한 작업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물론, 안벽으로부터 튀어나온 계선주(11)를 절단한 후, 해양 공사가 완료된 후 용접을 통해 상기 계선주(11)를 복구시킬 수도 있으나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번거로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계선주가 안벽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안벽의 공간 활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인 계선주의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벽의 상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상기 안벽에 매설된 기초재;상기 기초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선박의 정박을 위한 무어링 로프가 감기기 위한 계선주;상기 계선주를 기초재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계선주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기초재의 상면 둘레에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상기 계선주의 둘레에는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며,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결합공을 통해 나사공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초재의 상면에는 계선주의 결합 플랜지에 대응된 고정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은 고정플랜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벽에는 기초재가 삽입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의 상부에는 고정플랜지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되,상기 안착홈과 고정홈은 직경차로 인해 상호간에 단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계선주의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항만의 안벽에 계선주가 탈부착되도록 제공됨으로써, 안벽의 작업공간에 대한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즉, 안벽에서의 해양공사시, 안벽으로부터 계선주를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공사장비와 계선주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공사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항만의 안벽에 선박이 정박중인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선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선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선주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선주의 고정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계선주의 고정구조는 계선주를 안벽에 탈부착시키는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기초재(100)와, 계선주(200)와, 탈부착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초재(100)는 계선주(200)가 안벽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안벽(Q)에 매설된다.
이때, 기초재(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벽(Q)에는 기초재(100)가 매설될 수 있을 정도의 고정홈(QG)이 형성된다.
이때, 기초재(100)는 안벽(Q)으로부터 상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고정홈(QH)의 깊이에 비해 큰 길이를 갖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기초재(100)의 상부에는 고정플랜지(11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플랜지(110)는 계선주(200)가 결합되는 부위이며, 정확하게는 후술하는 계선주(200)의 결합플랜지가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때, 고정플랜지(110)는 원판의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의 직경은 기초재(10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플랜지(11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플랜지(110)의 둘레를 따라 나사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111)은 후술하는 체결볼트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다.
다음으로, 계선주(200)는 항만의 안벽(Q)에 선박의 정박시, 상기 선박의 고정을 위한 무어링 로프가 묶이는 부위이며, 몸체(210)와 결합플랜지(220)를 포함한다.
몸체(210)는 계선주(2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플랜지(220)는 몸체(210)가 기초재(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정확하게는 기초재(100)의 고정플랜지(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고정플랜지(220)는 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몸체(210)와 고정플랜지(220) 사이에는 복수의 리브(R)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결합플랜지(220)는 원판의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의 직경은 몸체(21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때, 결합플랜지(220)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플랜지(22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결합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21)은 기초재(100)의 고정플랜지(110)에 형성된 나사공(1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탈부착수단(300)은 계선주(200)를 기초재(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체결볼트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체결볼트(300)는 계선주(200)의 결합공(221)을 통해 기초재(100)의 나사공(11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계선주와 기초재 간에 고정된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안벽(Q)의 일정 부분을 파내어 고정홈(QG)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QG)의 직경은 기초재(100)의 직경에 대응되며, 고정홈(QH)의 상부에는 기초재(100)의 고정플랜지(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플랜지(110)의 직경에 대응되는 안착홈(QH)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정홈(QG)과 안착홈(QH) 간에는 단턱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기초재(100)를 상기 고정홈(QG)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기초재(100)를 안벽(Q)에 매설시킨다.
이때, 기초재(100)는 고정홈(QG)에 삽입이 되어 배치되며, 고정플랜지(10)는 안착홈(QH)에 안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기초재(100)는 안벽(Q)의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초재(100)가 안벽(Q)에 매설됨에 따라, 안벽(Q)의 지면에는 기초재(100)의 고정플랜지(110)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체결볼트(300)를 이용하여 계선주(200)를 기초재(100)에 결합시킨다.
이때, 계선주(200)의 결합플랜지(220)는 기초재(100)의 고정플랜지(110)에 안착되며, 결합플랜지(220)의 결합공(221)은 고정플랜지(110)의 나사공(111)에 대응된다.
이후, 체결볼트(300)를 상기 결합공(221)을 통과하여 나사공(111)에 체결시킴으로써 기초재(100)에 계선주(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계선주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선박의 정박을 위한 무어링 로프가 감기게 되며, 안벽에서의 해양 공사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체결볼트를 풀어 기초재로부터 계선주를 분리함으로써 안벽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선주의 고정구조는 항만의 안벽에 계선주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안벽의 공간 활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기초재 110 : 고정플랜지
111 : 나사공 200 : 계선주
210 : 몸체 220 : 결합플랜지
221 : 결합공 Q : 안벽
QG : 고정홈 QH : 안착홈

Claims (4)

  1. 안벽의 상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상기 안벽에 매설된 기초재;
    상기 기초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선박의 정박을 위한 무어링 로프가 감기기 위한 계선주;
    상기 계선주를 기초재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계선주의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재의 상면 둘레에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계선주의 둘레에는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결합공을 통해 나사공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선주의 고정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재의 상면에는 계선주의 결합 플랜지에 대응된 고정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은 고정플랜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선주의 고정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안벽에는 기초재가 삽입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의 상부에는 고정플랜지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과 고정홈은 직경차로 인해 상호간에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선주의 고정구조.


KR2020110008722U 2011-09-28 2011-09-28 계선주의 고정구조 KR201300021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22U KR20130002162U (ko) 2011-09-28 2011-09-28 계선주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22U KR20130002162U (ko) 2011-09-28 2011-09-28 계선주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62U true KR20130002162U (ko) 2013-04-05

Family

ID=5242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722U KR20130002162U (ko) 2011-09-28 2011-09-28 계선주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1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190A (ko) * 2019-11-07 2021-05-17 조진택 계선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190A (ko) * 2019-11-07 2021-05-17 조진택 계선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7606B2 (ja) 洋上風力発電装置の設置方法
JP5798227B2 (ja) 浮体の設置方法
US20170120993A1 (en) Vessel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using said vessel
US66515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oring
JP2010234965A (ja) 緊張係留浮体システム、支援用システム及びこの支援用システムを用いた浮体の曳航方法と設置方法
JP2011207446A (ja) 支援用浮体、支援用浮体を用いた浮体の曳航方法及び支援用浮体を用いた浮体の設置方法
JP2020172872A (ja) セミサブ浮体、及びセミサブ浮体を用いた風車の洋上設置方法
KR102111988B1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BRPI1001222B1 (pt) método de fixação de uma estrutura de armação em um casco flutuante
US8181589B2 (en) Gravity anchor
KR20130002162U (ko) 계선주의 고정구조
CN105083486A (zh) 临时固定装置及其施工方法
US20090194012A1 (en) Procedure for descent of equipment to bottom of sea
KR102266943B1 (ko) 부이 앵커 및 상기 부이 앵커가 구비된 정박장치
US3935829A (en) Anchoring system for a floating offshore drilling vessel
US6463870B2 (en) Mooring system for a tender for production platforms
KR20150004186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CN206374929U (zh) 一种加强型大抓力锚
JP5684220B2 (ja) 浮標の設置方法
KR101152677B1 (ko) 수밀부가 구비된 선박 예인장치
KR20120007135U (ko)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CN106741642B (zh) 一种加强型大抓力锚
KR100516140B1 (ko) 선박 예인장치
KR20130065024A (ko)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제작방법
CN210634711U (zh) 一种系船浮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