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135U -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135U
KR20120007135U KR2020110002942U KR20110002942U KR20120007135U KR 20120007135 U KR20120007135 U KR 20120007135U KR 2020110002942 U KR2020110002942 U KR 2020110002942U KR 20110002942 U KR20110002942 U KR 20110002942U KR 20120007135 U KR20120007135 U KR 201200071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coupling rod
ship
she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섭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2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135U/ko
Publication of KR201200071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닻 등의 장치를 바다에 투척하거나 인양하는 윈치를 받치는 윈치시트를 안전하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박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윈치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는 윈치시트(winch seat)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결합로드가 형성되고 결합로드의 상부에는 끈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된 윈치시트지그; 와, 상기 윈치시트지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로드구멍 형성된 윈치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고안은 윈치시트에 로프와이어 또는 슬링벨트 등의 끈부재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윈치시트 설치 작업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끈부재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송 중의 윈치시트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에 의해 윈치시트 이송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이송될 윈치시트에 끈부재를 연결하는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윈치시트의 설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윈치시트장치{WINCH SEAT APPARATUS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윈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닻 등의 장치를 바다에 투척하거나 인양하는 윈치를 받치는 윈치시트를 안전하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박에 이송하여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윈치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경우에는 해상에서의 선박의 정박을 위하여 닻을 투척하여 해저에 닻을 고정시켜 선박이 조류에 의해 표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정박 후 운항을 위해서는 닻을 인양하게 되는데 이러한 닻의 투척 및 인양을 위해서는 윈치를 이용하게 된다.
도 1은 선박의 갑판 상에서 윈치(W)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술한 윈치(W)는 닻에 연결된 체인을 권취하거나 푸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드럼(D)과, 드럼(D)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모터(M)가 일체형 장치로 구성되어 윈치시트(WS)의 상부에 장착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서 선박의 윈치시트(WS)를 갑판 상으로 이송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윈치시트(WS)를 선박의 갑판 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는 와이어로프 또는 슬링벨트의 끈부재(2)를 윈치시트(WS)에 감아서 크레인 등으로 들어올려 선박의 갑판 상으로 운송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기술과 같이 윈치시트(WS)를 로프와이어 또는 실링벨트 등의 끈부재(2)로 감아서 선박의 갑판 상부로 이송하게 되면, 끈부재(2)의 묶음이 풀리거나, 윈치시트(WS)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끈부재(2)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끈부재(2)를 윈치시트(WS)에 수작업으로 감아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윈치시트(WS) 이송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종래기술의 윈치시트는 입고, 운반, 탑재, 취부, 용접, 사상 및 도장을 수행하는 등의 운송, 자재 배열 및 운반 탑재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 5 ~ 6 주 내의 진수공정 기일을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윈치시트를 용이하게 로프와이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선박의 윈치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윈치시트장치는, 하단부는 윈치시트(winch seat)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결합로드가 형성되고 결합로드의 상부에는 끈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된 윈치시트지그;와, 상기 윈치시트지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로드구멍 형성된 윈치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로드의 하단부 영역의 외주연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결합로드의 전체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부는, 착탈될 수 있도록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재;와, 결합로드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벌어지며 단부에는 고정부재삽입구멍이 형성된 가지부;를 구비하여, 지그의 전체 구조가 샤클의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부는, 또한 상기 결합로드의 상단부에서 환형으로 형성되는 환형고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윈치시트에 로프와이어 또는 슬링벨트 등의 끈부재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윈치시트 설치 작업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한, 지그의 결합로드가 윈치시트의 결합로드구멍으로 삽입된 후 너트에 의해 고정 결합된 후, 지그에 로프와이어 또는 슬링벨트 등의 끈부재가 윈치시트의 날카로운 모서리와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끈부재의 절단 또는 윈치시트로부터의 분리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작업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이중작업 수를 현저히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선박의 갑판 상에서 윈치(W)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서 선박의 윈치시트(WS)를 갑판 상으로 이송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윈치시트(WS)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그(100)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지그(200)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지그(300)의 사시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지그를 이용한 윈치시트 이송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의 윈치장치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면 및 실시예의 설명에서 그 형상은 상이하나 윈치시트에 대한 도면 부호를 종래기술의 윈치시트를 나타내는 'WS'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윈치시트(WS)의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윈치시트(WS)는 상판(11)과 상판(11)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수직판(12)과, 수직판(12)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다리(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판(11)에는 수직판(12)과 다리(13)를 벗어나는 영역에 지그(100, 200, 300)의 결합로드(110, 210, 310)가 삽입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로드구멍(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로드구멍(10)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윈치시트(WS)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윈치시트(WS)의 결합로드구멍(10)에는 지그(100, 200, 300)의 결합로드(110, 210, 310)가 삽입되어 너트(N) 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윈치시트(WS)에 결합되는 지그(100, 200, 3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지그(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1지그(100)는 단부에 수나사부(111)가 형성되어 윈치시트(WS)의 결합로드구멍(10)에 삽입되는 제1결합로드(110)와, 제1결합로드(1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N)와, 제1결합로드(110)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분기되고 단부에는 고정부재결합로드구멍(10)이 형성되며, 고정부재결합로드구멍(10)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하는 샤클(120)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지그(200)의 사시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제2지그(200)는 제2결합로드(210)와 제2결합로드(210)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는 환형고리부(220)로 형성되고, 제2결합로드(210)의 외주면 전체 영역에 수나사부(211)가 형성된 구성 및 구조를 가진다.
제2결합로드(210)는 분리구성되어 환형고리부(220)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지그(300)의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제3지그(300)는 제3결합로드(310)와 제3결합로드(310)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는 환형고리부(220)로 형성되고, 제3결합로드(310)의 단부에는 수나사부(311)이 형성된 구성 및 구조를 가진다.
제3지그(300)에서 환형고리부(220)는 리프팅아이볼트(lifting eye bolt)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지그를 이용한 윈치시트 이송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윈치시트장치를 이용하여 윈치시트(WS)를 갑판 상으로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윈치시트(WS)의 이송을 위해 먼저 윈치시트(WS)의 형성된 결합로드구멍(10)에 제 1 내지 제3 지그(100, 200, 300)의 제 1 내지 제 3 결합로드(110, 210, 310)를 삽입한다.
제 1 내지 제 3 결합로드(110, 210, 310)가 윈치시트(WS)의 결합로드구멍(10)을 통해 삽입되어 반대 측으로 노출된 단부에는 너트를 결합시켜 제 1 내지 제 3 결합로드(110, 210, 310)가 결합로드구멍(10)으로부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내지 제 3 결합로드(110, 210, 310)가 결합구멍에 고정된 후에는 샤클(120) 또는 제2지그(200) 및 제3지그(300)의 환형고리부(220)에 로프와이어 또는 실링벨트 등의 끈부재(2)를 연결한 후 크레인 등을 통해 들어올린다.
이 경우 윈치시트(WS)는 도 7과 같이 끈부재(2)가 윈치시트(WS)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다수의 위치에 결합된 제1 내지 제3 지그(100, 200, 300)와 결합되므로 윈치시트(WS)의 이송 또는 갑판 상부로의 이송 시에 안정되게 윈치시트(WS)를 고정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연간 80척의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선박 1척당 20MH의 공수를 절감시키며, 이에 따라 1MH 당 11,926원의 비용이 절감되어 연간 19,081,600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100 ~ 300: 제1 ~ 제3지그, 110 ~ 310: 제1 ~ 제3결합로드, 120: 샤클
130: 고정부재, 220: 환형고리부, N: 너트, WS: 작업시트, 10: 결합로드구멍

Claims (5)

  1. 하단부는 윈치시트(winch seat)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결합로드가 형성되고 결합로드의 상부에는 끈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된 윈치시트지그; 및
    상기 윈치시트지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로드구멍 형성된 윈치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로드의 하단부 영역의 외주연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결합로드의 전체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착탈될 수 있도록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및
    결합로드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벌어지며 단부에는 고정부재삽입구멍이 형성된 가지부; 를 구비하는 샤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결합로드의 상단부에서 환형으로 형성되는 환형고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KR2020110002942U 2011-04-07 2011-04-07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KR201200071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42U KR20120007135U (ko) 2011-04-07 2011-04-07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42U KR20120007135U (ko) 2011-04-07 2011-04-07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35U true KR20120007135U (ko) 2012-10-17

Family

ID=4750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942U KR20120007135U (ko) 2011-04-07 2011-04-07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13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645A (ko) 2014-06-25 2016-01-05 김대중 수상 구조물 결속체
KR20220000536U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 각도 가변식 샤클구조체
KR102506134B1 (ko) * 2022-08-02 2023-03-06 주식회사 케이팩 종이 부표 및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645A (ko) 2014-06-25 2016-01-05 김대중 수상 구조물 결속체
KR20220000536U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 각도 가변식 샤클구조체
KR102506134B1 (ko) * 2022-08-02 2023-03-06 주식회사 케이팩 종이 부표 및 제조방법
WO2024029938A1 (ko) * 2022-08-02 2024-02-08 주식회사 케이팩 종이 부표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7355B2 (en) Method for transpor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in a floating manner
EP2706839A1 (en) Connection element for a mooring system and use of the connection element
FI101280B (fi) Ankkurinlaskualus ja menetelmä lautan ankkuroimiseksi
KR20120007135U (ko) 선박의 윈치시트장치
WO2014166945A1 (en) Device for lifting a load
US8181589B2 (en) Gravity anchor
KR20150065442A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372278B1 (ko) 컨테이너선의 래싱 브리지 진동 저감장치
KR20140002178U (ko) 인양용 선박의 4점 계류장치
CN110789669B (zh) 一种深水单点系泊中水浮筒回收下放系统及方法
JP5684220B2 (ja) 浮標の設置方法
AU2013348479A1 (en) Anchor, method of installing a mid water arch with an anchor, use of an anchor, and a mid water arch system for flexible risers comprising an anchor
KR20120007540U (ko) 계선주 선상 탑재용 지그
KR20150004186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1884526B1 (ko) 간편 설치가 가능한 안전줄 어셈블리
WO2013073950A1 (en) Vessel and method for towing a heavy load under water
US20110030966A1 (en) Universal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flying leads
KR20120007134U (ko) 컨테이너 선박의 셀가이드 설치용 지그
KR101429551B1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용 트롤리 호이스트의 설치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KR20080099584A (ko) 선박 추진 조립체용 리프팅 장치
KR101781205B1 (ko) 리그선 무어링 체인 탑재 방법
JP2008131781A (ja) 柱上変圧器支持具
NL2033206B1 (en) Method for decoupling a crane block from an offshore crane
KR101946247B1 (ko) 원격 핀 제거장치
KR102021132B1 (ko) 침몰선체 인양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인양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