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413A - 와블 장치 - Google Patents
와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1413A KR20130001413A KR1020110062140A KR20110062140A KR20130001413A KR 20130001413 A KR20130001413 A KR 20130001413A KR 1020110062140 A KR1020110062140 A KR 1020110062140A KR 20110062140 A KR20110062140 A KR 20110062140A KR 20130001413 A KR20130001413 A KR 201300014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ipe
- support
- movable member
- upper movable
- mounting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3—Free movement, i.e. the only restriction coming from the res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가동부재의 볼록 곡면부가 하부 받침부재의 오목 곡면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인장코일스프링이 장착되어, 상부 가동부재에 앉아 골반을 전후좌우로 움직이거나 돌리면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와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블 장치는 상부 가동부재(10)의 하부면 중앙에 기둥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가동부재(10)의 상부면 중심에서 기둥부(11)를 관통하는 제 1 중공부(12)가 형성되고, 기둥부(11)의 하단 둘레가 라운딩 처리되어, 기둥부(11)의 하단 둘레에 볼록 곡면부(13)가 형성되고, 하부 받침부재(20)의 중앙에 제 2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제 2 중공부(21)가 상부 가동부재(10)의 제 1 중공부(12)와 일치되고, 하부 받침부재(20)의 상부면에서 제 2 중공부(21)의 둘레에 오목 곡면부(22)이 형성되어, 하부 받침부재(20)의 오목 곡면부(22)에 기둥부(11)의 볼록 곡면부(13)가 안착되고, 제 1 중공부(12) 및 제 2 중공부(21)에 인장코일스프링(30)이 배치되고, 제 1 중공부(12) 상단에 제 1 마개(33)가 체결되고, 제 2 중공부(21) 하단에 제 2 마개(35)가 체결되어, 인장코일스프링(30)의 상단이 제 1 마개(33)에 장착되고, 인장코일스프링(30)의 하단이 제 2 마개(35)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블 장치는 상부 가동부재(10)의 하부면 중앙에 기둥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가동부재(10)의 상부면 중심에서 기둥부(11)를 관통하는 제 1 중공부(12)가 형성되고, 기둥부(11)의 하단 둘레가 라운딩 처리되어, 기둥부(11)의 하단 둘레에 볼록 곡면부(13)가 형성되고, 하부 받침부재(20)의 중앙에 제 2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제 2 중공부(21)가 상부 가동부재(10)의 제 1 중공부(12)와 일치되고, 하부 받침부재(20)의 상부면에서 제 2 중공부(21)의 둘레에 오목 곡면부(22)이 형성되어, 하부 받침부재(20)의 오목 곡면부(22)에 기둥부(11)의 볼록 곡면부(13)가 안착되고, 제 1 중공부(12) 및 제 2 중공부(21)에 인장코일스프링(30)이 배치되고, 제 1 중공부(12) 상단에 제 1 마개(33)가 체결되고, 제 2 중공부(21) 하단에 제 2 마개(35)가 체결되어, 인장코일스프링(30)의 상단이 제 1 마개(33)에 장착되고, 인장코일스프링(30)의 하단이 제 2 마개(35)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반을 전후좌우로 움직이거나 돌림으로써,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와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가동부재의 볼록 곡면부가 하부 받침부재의 오목 곡면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인장코일스프링이 장착되어, 상부 가동부재에 앉아 골반을 전후좌우로 움직이거나 돌리면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와블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594358호(2006년 6월 21일, 등록)에 "허리운동기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허리운동기구는 의자나 시트상에 안치될 수 있는 받침판과 앉은 사람의 둔부를 받쳐주는 좌판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과 좌판의 사이에는 움직임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는 운동자가 구비되며, 상기 좌판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안정성을 주기 위해 안쪽으로 오목하고 둔부의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도록 발포재질의 쿠션체가 구비되고, 상기 운동자는 상측의 직경이 좁고 하측의 직경이 넓은 상협하광 형상의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며, 압축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은 좌판과 받침판 사이에 게재되어 이를 지탱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용착 고정되고, 상기 운동자는 수축 및 신장되는 자바라관에 의해 감합되어 지되, 자바라관의 상·하단은 좌판의 저면 요입환테와 받침판의 상면 요입환테에 끼워 좌판과 받침판 사이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허리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좌판에 앉기 전의 초기 높이가 높고,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압축량이 달라져 운동 효과가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가동부재의 볼록 곡면부가 하부 받침부재의 오목 곡면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인장코일스프링이 장착되어, 골반을 전후좌우로 움직이거나 돌리면서 허리운동을 할 있으며,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상부 가동부재의 배치높이가 가변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운동 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가동부재의 초기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없으며, 상부 가동부재와 하부 받침부재를 사출성형할 수 있고, 간단한 조립구조로 되어 있어,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와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블장치의 일례는 상부 가동부재의 하부면 중앙에 기둥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가동부재의 상부면 중심에서 기둥부를 관통하는 제 1 중공부가 형성되고, 기둥부의 하단 둘레가 라운딩 처리되어, 기둥부의 하단 둘레에 볼록 곡면부가 형성되고, 하부 받침부재의 중앙에 제 2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 2 중공부가 상부 가동부재의 제 1 중공부와 일치되고, 하부 받침부재의 상부면에서 제 2 중공부의 둘레에 오목 곡면부이 형성되어, 하부 받침부재의 오목 곡면부에 기둥부의 볼록 곡면부가 안착되고, 제 1 중공부 및 제 2 중공부에 인장코일스프링이 배치되고, 제 1 중공부 상단에 제 1 마개가 체결되고, 제 2 중공부 하단에 제 2 마개가 체결되어, 인장코일스프링의 상단이 제 1 마개에 장착되고, 인장코일스프링의 하단이 제 2 마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블장치의 다른 예는 상부 가동부재에 제 1 서포트 파이프가 끼워져, 제 1 서포트 파이프가 상부 가동부재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하부 받침부재에 제 2 서포트 파이프가 끼워져, 제 2 서포트 파이프가 하부 받침부재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제 1 서포트 파이프의 하단에 형성된 볼록 곡면부가 제 2 서포트 파이프의 상단에 형성된 오목 곡면부에 안착되어, 상부 가동부재의 제 1 서포트 파이프가 하부 받침부재의 제 2 서포트 파이프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좌우로 와블 운동(롤링 및 요잉 운동)을 할 수 있고, 제 1 서포트 파이프와 제 2 서포트 파이프의 내부에 인장코일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가동부재는 중앙에서 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부면이 중앙에서 측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 제 1 장착구멍이 상하로 천공되고, 제 1 서포트 파이프의 상단부가 제 1 장착구멍의 하부로 끼워져, 제 1 서포트 파이프의 걸림턱이 제 1 장착구멍의 하단 둘레에 걸리게 되고, 제 1 마개가 제 1 장착구멍의 상부로 끼워져, 제 1 마개의 헤드부가 제 1 장착구멍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고, 제 1 마개의 하단부가 제 1 서포트 파이프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받침부재는 중앙에서 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부면이 중앙에서 측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 제 2 장착구멍이 상하로 천공되고, 제 2 서포트 파이프의 하단부가 제 2 장착구멍의 상부로 끼워져, 제 2 서포트 파이프의 걸림턱이 제 2 장착구멍의 상단 둘레에 걸리게 되고, 제 2 마개가 제 2 장착구멍의 하부로 끼워져, 제 2 마개의 헤드부가 제 2 장착구멍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고, 제 2 마개의 상단부가 제 2 서포트 파이프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블 장치는 상기 하부 받침부재에서 위로 돌출된 제 2 서포트 파이프의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제 2 서포트 파이프의 나선부에 체결되는 스톱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블 장치는 하부 받침부재에 의자의 다리 유니트가 장착되고, 상부 가동부재에 의자의 좌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블 장치는 제 1 서포트 파이프의 하단과 제 2 서포트 파이프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 1 서포트 파이프가 제 2 서포트 파이프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톱퍼 수단은 하부 받침부재에 힌지가 장착되고, 힌지에 회전축이 끼워지고, 회전축의 단부에 레버가 굴절되어 형성되며, 레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축에 2개의 포크부재가 연결되고, 포크부재가 제 2 서포트 파이프에 끼워진 링부재의 측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와블장치는 인장코일스프링에 의해 상부 가동부재가 어느 한 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당한 힘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상부 가동부재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좌우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상부 가동부재의 배치높이가 가변되지 않음으로써, 상부 가동부재의 초기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없고, 상부 가동부재와 하부 받침부재를 사출성형할 수 있고, 간단한 조립구조로 되어 있어,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에 사용자가 앉아 허리운동을 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에 사용자가 앉아 허리운동을 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에 스톱퍼 부재가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가 의자에 적용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와블장치에 스톱퍼 수단이 장착되어 작동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에 사용자가 앉아 허리운동을 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에 사용자가 앉아 허리운동을 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에 스톱퍼 부재가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장치가 의자에 적용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와블장치에 스톱퍼 수단이 장착되어 작동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상부 가동부재(10)의 하부면 중앙에 기둥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가동부재(10)의 상부면 중심에서 기둥부(11)를 관통하는 제 1 중공부(12)가 형성되고, 기둥부(11)의 하단 둘레가 라운딩 처리되어, 기둥부(11)의 하단 둘레에 볼록 곡면부(13)가 형성되고, 하부 받침부재(20)의 중앙에 제 2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제 2 중공부(21)가 상부 가동부재(10)의 제 1 중공부(12)와 일치되고, 하부 받침부재(20)의 상부면에서 제 2 중공부(21)의 둘레에 오목 곡면부(22)이 형성되어, 하부 받침부재(20)의 오목 곡면부(22)에 기둥부(11)의 볼록 곡면부(13)가 안착되고, 제 1 중공부(12) 및 제 2 중공부(21)에 인장코일스프링(30)이 배치되고, 제 1 중공부(12) 상단에 제 1 마개(33)가 체결되고, 제 2 중공부(21) 하단에 제 2 마개(35)가 체결되어, 인장코일스프링(30)의 상단이 제 1 마개(33)에 장착되고, 인장코일스프링(30)의 하단이 제 2 마개(35)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 가동부재(10)는 상부면(16)의 중간 부분에 비해 상부면의 양 측부가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엉덩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누르기 편리한 안장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중공부(12)의 상단에 나선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동부재(10) 및 하부 받침부재(2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사용자가 상부 가동부재(10)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으로 상부 가동부재(10)를 기울이면, 도 1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상부 가동부재(10)가 기울어지고, 인장코일스프링(30)이 꺾이게 된다. 이때, 하부 받침부재(20)의 오목 곡면부(22)에 안착된 기둥부(11)의 볼록 곡면부(13)가 자연스럽게 기울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부담스럽지 않게 상부 가동부재(10)를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우측으로 상부 가동부재(10)를 반대로 기울이면, 도 2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로 상부 가동부재(10)가 반대로 기울어진다. 이때, 인장코일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가동부재(10)가 우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부 가동부재(10)를 똑바로 세우고, 좌측으로 다시 기울이는데 큰 힘이 요구되지 않아, 반복적으로 좌우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사용자가 상부 가동부재(10)에 앉은 상태에서 앞뒤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어, 다양한 허리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하부 받침부재(20)의 오목 곡면부(22)에 기둥부(11)의 볼록 곡면부(13)가 안착된 상태에서 허리 운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상부 가동부재(10)의 배치높이가 가변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상부 가동부재에 앉기 전 상태인 초기 높이(h1)를 높게 할 필요가 없고, 상부 가동부재와 하부 받침부재를 사출성형할 수 있고, 간단한 조립구조로 되어 있어,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상부 가동부재(110)에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끼워져,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상부 가동부재(110)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하부 받침부재(150)에 제 2 서포트 파이프(160)가 끼워져, 제 2 서포트 파이프(160)가 하부 받침부재(150)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하단에 형성된 볼록 곡면부(121)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상단에 형성된 오목 곡면부(161)에 안착되어, 상부 가동부재(110)의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하부 받침부재(150)의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좌우로 와블 운동(롤링 및 요잉 운동)을 할 수 있고,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내부에 인장코일스프링(180)이 장착된다.
상기 상부 가동부재(110)는 중앙에서 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부면(111)이 중앙에서 측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 제 1 장착구멍(112)이 상하로 천공되고,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상단부가 제 1 장착구멍(112)의 하부로 끼워져,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걸림턱(122)이 제 1 장착구멍(112)의 하단 둘레에 걸리게 되고, 제 1 마개(130)가 제 1 장착구멍(112)의 상부로 끼워져, 제 1 마개(130)의 헤드부(131)가 제 1 장착구멍(112)의 걸림턱(113)에 걸리게 되고, 제 1 마개(130)의 하단부가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도 4에는 제 1 마개(130)와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나선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마개(130)의 외주면에 장착된 체크볼(도시하지 않음)이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에 형성된 볼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끼워져, 제 1 마개(130)와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결합되는 구조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는 것을 방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 받침부재(150)는 중앙에서 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부면(151)이 중앙에서 측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 제 2 장착구멍(152)이 상하로 천공되고,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하단부가 제 2 장착구멍(152)의 상부로 끼워져,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걸림턱(162)이 제 2 장착구멍(152)의 상단 둘레에 걸리게 되고, 제 2 마개(170)가 제 2 장착구멍(152)의 하부로 끼워져, 제 2 마개(170)의 헤드부(171)가 제 2 장착구멍(152)의 걸림턱(153)에 걸리게 되고, 제 2 마개(170)의 상단부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도 4에는 제 2 마개(170)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가 나선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2 마개의 외주면에 장착된 체크볼이 제 2 서포트 파이프에 형성된 볼구멍에 끼워져, 제 1 마개와 제 1 서포트 파이프가 결합되는 구조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는 것을 방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사용자가 상부 가동부재(110)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으로 상부 가동부재(110)를 기울이면, 도 4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상부 가동부재(110)가 기울어지고, 인장코일스프링(180)이 꺾이게 된다. 이때,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오목 곡면부(161)에 안착된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볼록 곡면부(121)가 자연스럽게 기울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부담스럽지 않게 상부 가동부재(110)를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우측으로 상부 가동부재(110)를 반대로 기울이면,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상부 가동부재(110)가 반대로 기울어진다. 이때, 인장코일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가동부재(110)가 좌우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부 가동부재(110)가 똑바로 세워지기 때문에, 좌측으로 상부 가동부재(110)를 기울인 후 우측으로 상부 가동부재(110)를 다시 기울이는데 큰 힘이 요구되지 않아, 반복적으로 좌우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사용자가 상부 가동부재(110)에 앉은 상태에서 앞뒤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어, 다양한 허리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사용자가 상부 가동부재(110)에 발을 딛고 올라서서, 좌우로 스텝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하부 받침부재(150)에 장착된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오목 곡면부(161)에 상부 가동부재(110)에 장착된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볼록 곡면부(121)가 안착된 상태에서 허리 운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상부 가동부재(110)의 배치높이가 가변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상부 가동부재에 앉기 전 상태인 초기 높이(h2)를 높게 할 필요가 없고, 상부 가동부재(110)와 하부 받침부재(150)를 사출성형할 수 있고, 간단한 조립구조로 되어 있어,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는 하부 받침부재(150)에서 위로 돌출된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외주면에 나선부(165)가 형성되고,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나선부(165)에 체결되는 스톱퍼 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 부재(190)는 사용자가 상부 가동부재(110)를 이용하여 허리운동을 할 때,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외주면에 스톱퍼 부재(190)를 배치함으로써, 스톱퍼 부재(190)에 의해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움직임이 간섭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 또는 상부 가동부재(110)의 와블 운동이 요구되지 않을 때, 도 7b와 같이,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외주면에 배치된 스톱퍼 부재(190)를 위로 올려, 스톱퍼 부재(190)의 상단부가 제 1 서포트 파이프(120)를 감싸게 되어, 상부 가동부재(110)의 와블 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대안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블 장치(100)는 하부 받침부재(150)에 의자의 다리 유니트(210)가 장착되고, 상부 가동부재(110)에 의자의 좌판(220)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또한, 허리운동을 하지 않고, 의자 용도로 사용할 경우,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하단과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수단(2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 수단(230)은 하부 받침부재(110)에 힌지(231)가 장착되고, 힌지(231)에 회전축(232)이 끼워지고, 회전축(232)의 단부에 레버(233)가 굴절되어 형성되며, 레버(233)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축(232)에 2개의 포크부재(234)가 연결되고, 포크부재(234)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에 끼워진 링부재(235)의 측부홈(236)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톱퍼 수단(230)은 도 9의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레버(233)를 내리면, 힌지(231)에서 회전축(232)이 각회전되어, 포크부재(234)가 위로 각회전됨으로써, 포크부재(234)의 선단이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에 배치된 링부재(235)를 위로 밀어 올려, 링부재(235)가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하단과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상단을 동시에 감싸게 되고, 링부재(235)의 내주면 일부가가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에 소정의 힘으로 압착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없게 되어, 단순 의자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레버(233)를 위로 올리면, 링부재(236)의 록킹이 해제되어,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원상태로 복귀됨으로써, 사용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10 : 상부 가동부재 11 : 기둥부
13 : 볼록 곡면부 20 : 하부 받침부재
22 : 오목 곡면부 30 : 인장코일스프링
33 : 제 1 마개 35 : 제 2 마개
110 : 상부 가동부재 120 : 제 1 서포트 파이프
130 : 제 1 마개 150 : 하부 받침부재
160 : 제 2 서포트 파이프 170 : 제 2 마개
180 : 인장코일스프링
13 : 볼록 곡면부 20 : 하부 받침부재
22 : 오목 곡면부 30 : 인장코일스프링
33 : 제 1 마개 35 : 제 2 마개
110 : 상부 가동부재 120 : 제 1 서포트 파이프
130 : 제 1 마개 150 : 하부 받침부재
160 : 제 2 서포트 파이프 170 : 제 2 마개
180 : 인장코일스프링
Claims (8)
- 상부 가동부재(10)의 하부면 중앙에 기둥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가동부재(10)의 상부면 중심에서 기둥부(11)를 관통하는 제 1 중공부(12)가 형성되고, 기둥부(11)의 하단 둘레가 라운딩 처리되어, 기둥부(11)의 하단 둘레에 볼록 곡면부(13)가 형성되고, 하부 받침부재(20)의 중앙에 제 2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제 2 중공부(21)가 상부 가동부재(10)의 제 1 중공부(12)와 일치되고, 하부 받침부재(20)의 상부면에서 제 2 중공부(21)의 둘레에 오목 곡면부(22)이 형성되어, 하부 받침부재(20)의 오목 곡면부(22)에 기둥부(11)의 볼록 곡면부(13)가 안착되고, 제 1 중공부(12) 및 제 2 중공부(21)에 인장코일스프링(30)이 배치되고, 제 1 중공부(12) 상단에 제 1 마개(33)가 체결되고, 제 2 중공부(21) 하단에 제 2 마개(35)가 체결되어, 인장코일스프링(30)의 상단이 제 1 마개(33)에 장착되고, 인장코일스프링(30)의 하단이 제 2 마개(35)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블 장치.
- 상부 가동부재(110)에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끼워져,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상부 가동부재(110)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하부 받침부재(150)에 제 2 서포트 파이프(160)가 끼워져, 제 2 서포트 파이프(160)가 하부 받침부재(150)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하단에 형성된 볼록 곡면부(121)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상단에 형성된 오목 곡면부(161)에 안착되어, 상부 가동부재(110)의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하부 받침부재(150)의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좌우로 와블 운동(롤링 및 요잉 운동)을 할 수 있고,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내부에 인장코일스프링(18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동부재(110)는 중앙에서 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부면(111)이 중앙에서 측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 제 1 장착구멍(112)이 상하로 천공되고,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상단부가 제 1 장착구멍(112)의 하부로 끼워져,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걸림턱(122)이 제 1 장착구멍(112)의 하단 둘레에 걸리게 되고, 제 1 마개(130)가 제 1 장착구멍(112)의 상부로 끼워져, 제 1 마개(130)의 헤드부(131)가 제 1 장착구멍(112)의 걸림턱(113)에 걸리게 되고, 제 1 마개(130)의 하단부가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부재(150)는 중앙에서 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부면(151)이 중앙에서 측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 제 2 장착구멍(152)이 상하로 천공되고,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하단부가 제 2 장착구멍(152)의 상부로 끼워져,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걸림턱(162)이 제 2 장착구멍(152)의 상단 둘레에 걸리게 되고, 제 2 마개(170)가 제 2 장착구멍(152)의 하부로 끼워져, 제 2 마개(170)의 헤드부(171)가 제 2 장착구멍(152)의 걸림턱(153)에 걸리게 되고, 제 2 마개(170)의 상단부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하부 받침부재(150)에서 위로 돌출된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외주면에 나선부(165)가 형성되고,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나선부(165)에 체결되는 스톱퍼 부재(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하부 받침부재(150)에 의자의 다리 유니트(210)가 장착되고, 상부 가동부재(110)에 의자의 좌판(22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서포트 파이프(120)의 하단과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 1 서포트 파이프(120)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수단(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블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수단(230)은 하부 받침부재(110)에 힌지(231)가 장착되고, 힌지(231)에 회전축(232)이 끼워지고, 회전축(232)의 단부에 레버(233)가 굴절되어 형성되며, 레버(233)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축(232)에 2개의 포크부재(234)가 연결되고, 포크부재(234)가 제 2 서포트 파이프(160)에 끼워진 링부재(235)의 측부홈(236)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140A KR101269586B1 (ko) | 2011-06-27 | 2011-06-27 | 와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140A KR101269586B1 (ko) | 2011-06-27 | 2011-06-27 | 와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413A true KR20130001413A (ko) | 2013-01-04 |
KR101269586B1 KR101269586B1 (ko) | 2013-06-05 |
Family
ID=4783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2140A KR101269586B1 (ko) | 2011-06-27 | 2011-06-27 | 와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958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71083A1 (en) * | 2014-05-07 | 2015-11-12 | Blaško Ľubomír | Chair with balancing mechanis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4502B1 (ko) | 2014-03-14 | 2015-10-29 | 최재주 | 척추 교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358B1 (ko) * | 2004-11-01 | 2006-06-30 | 강성길 | 허리 운동기구 |
KR100884634B1 (ko) | 2006-02-07 | 2009-02-23 | 오리코스포텍(주) | 폐타이어 휠을 이용한 척추교정 허리골반운동기구 |
KR20070001031U (ko) * | 2006-03-16 | 2007-09-20 | 강성길 | 허리운동용 의자 |
KR20090100683A (ko) * | 2008-03-20 | 2009-09-24 | 원영신 | 시소형 운동의자 |
-
2011
- 2011-06-27 KR KR1020110062140A patent/KR1012695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71083A1 (en) * | 2014-05-07 | 2015-11-12 | Blaško Ľubomír | Chair with balancing mechanis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9586B1 (ko) | 2013-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289547B (zh) | 可倾斜的凳子或可倾斜的休闲椅 | |
US20120306249A1 (en) | Multifunctional chair | |
JPH11235A (ja) | バースツール | |
JP2013528105A5 (ko) | ||
US20190192902A1 (en) | Apparatus for squat exercise | |
KR101008489B1 (ko) | 운동용 의자 | |
KR101269586B1 (ko) | 와블 장치 | |
CN110150890B (zh) | 多档位支撑调节机构以及可调式坐具 | |
JP2008538950A (ja) | シンクロ機構 | |
TWI558443B (zh) | Waist roundabout fitness | |
KR20110121114A (ko) | 운동기구가 형성된 의자 | |
KR101160587B1 (ko) | 좌식운동 기능을 갖는 바이크용 안장 | |
JP3970956B2 (ja) | マッサージ装置 | |
JP3220461U (ja) | 椅子型運動器具 | |
KR102210240B1 (ko) |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 |
KR100334943B1 (ko) | 운동기구 겸용 의자 | |
KR101376114B1 (ko) | 진동하는 다리 안착부가 설치된 안마의자 | |
KR101000255B1 (ko) | 좌식운동시 시트의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의자 | |
KR20200000678U (ko) | 낚시의자 | |
US6926642B1 (en) | Exercise device | |
KR102437284B1 (ko) |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 |
JP2001057918A (ja) | 椅 子 | |
KR102503704B1 (ko) | 실내용 자전거 | |
KR101485502B1 (ko) | 키 성장 촉진 기구 | |
JP7382187B2 (ja) | 椅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