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410U - 전기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410U
KR20130001410U KR2020120006678U KR20120006678U KR20130001410U KR 20130001410 U KR20130001410 U KR 20130001410U KR 2020120006678 U KR2020120006678 U KR 2020120006678U KR 20120006678 U KR20120006678 U KR 20120006678U KR 20130001410 U KR20130001410 U KR 201300014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battery chip
lead tab
electrode
chip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978Y1 (ko
Inventor
슈-시앙 페이
엔-텡 수
쿤-미아오 차이
야오-민 치우
제시 첸
치-중 린
Original Assignee
창홍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홍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창홍 에너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1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01M50/529Intercel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e.g. in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윗커버, 배터리칩 모듈, 및 아래커버를 포함하는 전기저장장치에 관한 것이고, 배터리칩 모듈의 양측변에는 각각 부분적으로 리드 탭 접합부가 성형되어 리드 탭과 용접 조립되며, 리드 탭 접합부와 리드 탭이 용접된 후, 리드 탭은 수평적으로 놓이거나 대략 경각을 갖추기만 되어 리드 탭의 전기적연결부를 일차적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윗커버의 전극과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종래의 리드 탭이 여러번의 구부러짐에 의해 리드 탭 또는 배터리칩 모듈외연에 덮인 소화금속보호막이 쉽게 균열되는 것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전기저장장치{POWER STORAGE DEVICE}
본 고안은 전기저장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배터리칩 모듈의 측변에 부분적으로 리드 탭 접합부가 성형되어 리드 탭과 용접 조립하고, 리드 탭에 전기적연결부가 성형되어 있는 전기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리튬 배터리는 고소모 전기량의 전원이 될수 있고, 비수전해액 2차 리튬 배터리를 예로 하여, 큰 전기공급량과 전기저장량을 제공할 수 있으나 리튬 배터리를 제조하는 제조과정에서 그 리드 탭 구조와 전극구조가 접합할 시 외연에 덮은 소화금속보호막이 쉽게 균율되어 액체 누설을 초래하게 되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칩 모듈과 리드 탭의 부재예시도이고 이 도와 같이 종래의 전기저장장치(10)는 주로 배터리칩 모듈(101) 및 전극(이 도에서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배터리칩 모듈(101)은 정극작용층과 음극작용층등 구조를 포함하고, 배터리칩 모듈(101)내의 각 작용층은 접합한 후 배터리칩 모듈(101)의 측연에 리드 탭 부위(1011)가 연장 성형되어, 리드 탭(102)과 용접 조립하게 되는데, 실시 시, 리드 탭 부위(1011)와 리드 탭(102)은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칩 모듈과 리드 탭의 실시예시도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 완성후의 리드 탭(102)은 작성후의 부피를 축소하도록 여러번의 구부림 작업을 걸쳐야 하며, 또한 도에서 도시한 A와 같이 여러번의 구부림을 걸친 후의 리드 탭(102)은 쉽게 균열을 발생하고 배터리칩 모듈(101)과 리드 탭(102)이 용접된 후, 배터리칩 모듈(101) 외연에 덮은 소화금속보호막(1012)도 여러번의 구부림 작업에 의해 쉽게 균열을 발생하여 보호의 효과에 영향을 끼치며, 또한 현재의 전기저장장치(10)는 주로 전 리드 탭구조이고 생산과정중에서 전해액이 신속히 배터리칩 모듈(101)내에 삼투하지 못하는 것을 쉽게 초래하고 全리드 탭구조가 사용하는 리드 탭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아, 제조원가의 향상을 더 초래하는데, 이로써 종래의 전기저장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적당한 개량이 진행할 수 있다면 그 전체완제품의 양품율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종래의 리드 탭구조와 전극구조의 접합과정에서 외연에 덮인 소화금속보호막 및 리드 탭이 쉽게 균열을 발생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는 전기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전기저장장치는 주로 그 배터리칩 모듈의 양측의 각각 부분적으로 리드 탭 접합부가 성형되어 있고 리드 탭과 용접하게 하는데 리드 탭 접합부와 리드 탭의 용접이 완성되면 耳僅는 수평하게 놓거나 약간 기울어 지는 형태를 나타내어 리드 탭이 성형하는 전기적연결부를 일차적으로 구부려지게 하여 윗커버중의 한 전극과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함으로써 리드 탭이 여러번의 구부림 작업을 하여야 전극과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피면하고 나아가 소화금속보호막이 쉽게 균열을 발생하는 것을 개선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칩 모듈과 리드 탭의 부재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배터리칩 모듈과 리드 탭의 실시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부재예시도(1)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부재예시도(2)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조합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조합완성예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1)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2)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3)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4)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부재예시도(1)이고, 이 도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저장장치(20)는 윗커버(201), 배터리칩 모듈(202) 및 아래커버(203)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윗커버(201)는 제1전극(204) 및 제2전극(205)이 성형되어 있으며, 제1전극(204)은 브릿지부(2041)가 성형되어 배터리칩 모듈(202)과 전기적인 연결을 하게 되고, 브릿지부(2041)의 상대하는 다른 단연에는 전기적연결부(2042)가 연장 성형되어 외부전자유닛과 전기적인 연결을 하며, 또한 제2전극(205)과 제1전극(204)의 구조가 동일함으로 전기저장장치(20)는 두 전극((204), (205))에 의해 충전, 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아래커버(203)에는 용납공간(2031)이 성형되어 배터리칩 모듈(202)을 그안에 배치할 수 있고, 윗, 아래커버((201), (203))가 조립을 완성하면 용납공간(2031)을 폐쇄형으로 만들며,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부재예시도(2)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칩 모듈(202)은 충전, 방전하는 기능이 있고 그 내부에는 한층 이상의 정극작용층 및 한층 이상의 음극작용층등 전기 에너지 저장 공급구조가 있으며, 각작용층은 각각 배터리칩 모듈(202)의 양단연과 접합을 구현하고 각각 부분적으로 리드 탭 접합부(2021)가 더 성형되어 리드 탭(2022)과 접합 조립하게 되며, 또한 부분적으로 성형된 리드 탭 접합부(2021)의 상대되는 이 리드 탭 접합부(2021)를 성형하지 않는 위치에는 배터리칩 모듈(202)이 극판사이로의 전해액 침투작업시의 삼투경로를 형성하여 전해액이 신속히 정극작용층 및 음극작용층 사이에 침투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생산과정을 간편하게 하며, 또한 도에서 도시한 C와 같이, 리드 탭(2022)이 리드 탭 접합부(2021)과 접합하려고 할 때 리드 탭(2022)을 리드 탭 접합부(2021)의 표면에 접착하여 리드 탭(2022)과 리드 탭 접합부(2021)가 면 접촉을 구현하게 하고 초음파 용접(또는 고주파 용접)을 통해 리드 탭(2022)이 리드 탭 접합부(2021)과 용접하게 하며, 용접의 완성은 도에서 도시한 B와 같고, 이 도시는 부분적인 용접을 예로 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리드 탭(2022)의 한단에는 전기적연결부(2023)가 연장 성형되어 있고, 이 전기적연결부(2023)는 윗커버(201)중의 한 전극((204) 또는 (205))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본 고안은 리드 탭 접합부(2021)와 전기적연결부(2023) 사이에 격리부(2024)가 더 성형되어 있고, 본 고안의 배터리칩 모듈(202)은 그 외연에 소화금속보호막(2025)이 덮여 있고, 이 소화금속보호막(2025)은 보호의 효능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합예시도이고, 전기저장장치(20)의 조립시 배터리칩 모듈(202)과 윗커버(201)의 두 전극((204), (205))이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하게 하여야 하고, 이 도와 같이 리드 탭(2022)은 수평으로 놓이는 형태를 띄고 리드 탭(2022)의 전기적연결부(2023)에 대해 일차적인 구부림을 진행하여 전기적연결부(2023)의 표면이 제1전극(204)의 브릿지부(2041)의 표면에 부착하게 한 다음 접합방식에 의해,전기적연결부(2023)와 제1전극(204)이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하게 하며, 이와 같이 배터리칩 모듈(202)은 제1전극(204)을 통하여 외부전자유닛과 충전, 방전을 진행할 수 있고 리드 탭(2022)은 전기적연결부(2023)를 일차적으로 구부러지게 하면 되어 리드 탭(2022)의 쉽게 균열되는 것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제2전극(205)과 배터리칩 모듈(202)의 조립방식은 제1전극(204)의 조립방식과 동일하며,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배터리칩 모듈(202)의 리드 탭(2022)이 각각 윗커버(201)의 두 전극((204), (205))과 전기적인 연결을 완성한 후, 조립을 완성한 세트를 아래커버(203)의 용납공간(2031)에 설치한 다음 윗, 아래커버((201), (203))를 조립하여 용납공간(2031)을 폐쇄하고 전기저장장치(20)의 조립을 완성하는데 조립완성의 형태는 도 6과 같고, 도에서 도시한 것은 본 고안의 조합완성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1)이고, 전기저장장치(20)는 전기공급량 또는 설계요구에 의존할 수 있으며, 더 큰 전류 또는 더 큰 전압의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배터리칩 모듈(202)을 쌓이고, 이 도와 같이 전기저장장치(30)는 제1배터리칩 모듈(301), 제2배터리칩 모듈(302) 및 제3배터리칩 모듈(303)을 갖고 있는데 각 배터리칩 모듈((301), (302), (303))의 리드 탭((3011), (3021), (3031))은 각각 윗커버(304)의 제1전극(3041)과 전기적인 연결을 하고, 각 배터리칩 모듈((301), (302), (303))의 다른 리드 탭((3012), (3022), (3032))은 각각 제2전극(3042)과 전기적인 연결을 하며, 이와 같이 각 배터리칩 모듈((301), (302), (303))은 병렬형태를 띄고, 또한 상기 리드 탭과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방식은 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2)이고,이 도와 같이 본 고안은 서로 다른 회로설계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직렬형태로 쌓일 수도 있으며, 이 도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전기저장장치(40)는 제1배터리칩 모듈(401), 제2배터리칩 모듈(402) 및 제3배터리칩 모듈(403)을 포함하고 그 전기적 연결방식은 『제1전극(4041)→제1배터리칩 모듈(401)의 리드 탭(4011)→제1배터리칩 모듈(401)의 다른 리드 탭(4012)→제2배터리칩 모듈(402)의 리드 탭(4021)→제2배터리칩 모듈(402)의 다른 리드 탭(4022)→제3배터리칩 모듈(403)의 리드 탭(4031)→제3배터리칩 모듈(403)의 다른 리드 탭(4032)→제2전극(4042)』과 같으데, 이와 같이 각 배터리칩 모듈((401), (402), (403))은 병렬형태를 띄고,또한 그중의 두 배터리칩 모듈(예를 들면 (401), (402))의 리드 탭(예를 들면 (4012), (4021))이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하려고 할 때, 두 리드 탭((4012), (4021)) 사이에 직접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하거나 브릿지(도에서 도시한 (405)과 같음)을 통하여 연결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두 실시예는 다만 3조 배터리칩 모듈을 예로 하고 제조 시에는 요구에 따라 배터리칩 모듈의 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3)이고, 본 고안의 전기저장장치(20)의 작성 후의 부피를 적당히 축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리드 탭(2022)과 제1전극(204)(또는 제2전극)의 접합 시 ,리드 탭(2022)의 말단을 약간 구부려 경각(도에서 도시한 D와 같음)을 더 형성하게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리드 탭(2022)과 제1전극(204)이 접합한 후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4)이고, 이 도와 같이 전기저장장치(50)는 윗커버(501)에 압력누설부(5011)를 더 성형하여 있고, 성형 후의 압력누설부(5011)의 단면 두께는 윗커버(501)의 다른 부위보다 얇으므로 전기저장장치(50)의 내부 압력이 일정치에 도달할 때 압력누설부(5011)가 균열을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배출되어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저장장치는 리드 탭과 윗커버 전극의 전기적인 연결 시, 수평하게 놓거나 약간 적당한 각도로 기울이면 되고 리드 탭의 전기적연결부에 대해 일차적인 구부림을 진행하면 전기적인 연결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써 본 고안이 이와 같이 실시한 후 종래의 리드 탭 구조와 전극구조의 접합 생산과정에서 균열을 발생하는 것을 개선하는 전기저장장치를 확실히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실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않으며, 이 기술을 숙련하게 장악한 자가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실시한 균등한 변화 및 수정은 모두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10 전기저장장치
101 배터리칩 모듈
102 리드 탭
1011 리드 탭 부위
1012 소화금속보호막
20 전기저장장치
201 윗커버
202 배터리칩 모듈
2021 리드 탭 접합부
2022 리드 탭
2023 전기적연결부
2024 격리부
2025 소화금속보호막
203 아래커버
204 제1전극
2031 용납공간
2041 브릿지부
2042 전기적연결부
205 제2전극
30 전기저장장치
301 제1배터리칩 모듈
302 제2배터리칩 모듈
3011 리드 탭
3021 리드 탭
3012 리드 탭
3022 리드 탭
303 제3배터리칩 모듈
304 윗커버
3031 리드 탭
3041 제1전극
3032 리드 탭
3042 제2전극
40 전기저장장치
401 제1배터리칩 모듈
402 제2배터리칩 모듈
4011 리드 탭
4021 리드 탭
4012 리드 탭
4022 리드 탭
403 제3배터리칩 모듈
4041 제1전극
4031 리드 탭
4042 제2전극
4032 리드 탭
405 브릿지
50 전기저장장치
501 윗커버
5011 압력누설부
A 구부림부위
B 용접위치
C 침투부
D 경각

Claims (9)

  1. 전극을 갖고 있는 윗커버와,
    용납공간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윗커버와 조립한 후 상기 용납공간을 폐쇄형으로 만드는 아래커버, 및
    상기 용납공간에 조립하고 그 측연에 리드 탭 접합부가 있어 리드 탭과 접합을 하게 되며 상기 리드 탭의 한 단에는 전기적연결부가 연장형성 되어 있는 배터리칩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탭의 상기 전기적연결부가 일차적인 구부림을 진행한 후 상기 전기적연결부를 상기 전극에 접착하게 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전기저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윗커버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부의 다른 단에는 전기적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윗커버는 압력누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납공간의 크기는 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저장장치는 1조 이상의 배터리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장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상기 배터리칩 모듈은 병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장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상기 배터리칩 모듈은 직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장장치.
  9.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이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조립 시 경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저장장치.
KR2020120006678U 2011-08-22 2012-07-26 전기저장장치 KR2004729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215630 2011-08-22
TW100215630U TWM420107U (en) 2011-08-22 2011-08-22 Electrical stora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10U true KR20130001410U (ko) 2013-03-05
KR200472978Y1 KR200472978Y1 (ko) 2014-06-03

Family

ID=4615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678U KR200472978Y1 (ko) 2011-08-22 2012-07-26 전기저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52494A1 (ko)
EP (1) EP2562847A1 (ko)
JP (1) JP3178729U (ko)
KR (1) KR200472978Y1 (ko)
CN (1) CN202268428U (ko)
TW (1) TWM42010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9448B2 (en) * 2011-09-16 2015-12-08 Changs Ascending Enterprise Co., Ltd. Conductive connection structure for secondary batteries
CN105355830A (zh) * 2015-11-30 2016-02-24 江门市拓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短路锂电池极耳
TW201721984A (zh) * 2015-12-10 2017-06-16 Dijiya Energy Saving Tech Inc 一體式導電連接片及其成型方法
JP7170735B2 (ja) * 2018-10-26 2022-11-14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セルの損傷を防止できる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CN115172998A (zh) * 2022-07-26 2022-10-11 上海兰钧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二次电池、二次电池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2404B2 (ja) * 2002-03-04 2004-10-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4095912B2 (ja) * 2003-02-07 2008-06-04 三菱化学株式会社 平板積層型電池及び平板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JP2004303500A (ja) * 2003-03-31 2004-10-28 Sanyo Electric Co Ltd 角形電池
CN1655389A (zh) * 2005-03-04 2005-08-17 北京中信国安盟固利新材料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大容量金属外壳锂离子二次电池
US20070048603A1 (en) * 2005-08-26 2007-03-01 Amita Technologies Inc Ltd. Low resistance lithium battery set
JP2010135170A (ja) * 2008-12-04 2010-06-17 Hitachi Vehicle Energy Ltd リチウム二次電池、二次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二次電池パック
KR101023104B1 (ko) * 2008-12-26 2011-03-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623537B2 (en) * 2009-08-18 2014-01-0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JP5618515B2 (ja) * 2009-09-25 2014-11-05 株式会社東芝 電池
KR101048963B1 (ko) * 2009-09-30 2011-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093339B1 (ko) * 2009-10-29 2011-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출력 이차전지
US8440336B2 (en) * 2009-12-08 2013-05-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short circuit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2847A1 (en) 2013-02-27
JP3178729U (ja) 2012-09-27
KR200472978Y1 (ko) 2014-06-03
TWM420107U (en) 2012-01-01
US20130052494A1 (en) 2013-02-28
CN202268428U (zh)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6361B (zh) 二次電池組及其製造方法
US10522795B2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023885A1 (en) Secondary battery pack
TW201330360A (zh) 次電池組
JP6395208B2 (ja) 電気化学セル、電気化学セルモジュール、携帯機器、および電気化学セル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2498533B (zh) 蓄电模块
TW201336142A (zh) 次電池組
KR200472978Y1 (ko) 전기저장장치
JP2006310298A (ja) ポリマー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8248B2 (ja) 2次電池
KR101182901B1 (ko) 이차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54580B1 (ko) 이종 접합 탭을 가지는 배터리
KR101136288B1 (ko) 배터리 팩
JP2011151022A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53694A (ja) 電気化学セル
JP5269834B2 (ja) 二次電池
KR101934395B1 (ko) 배터리 팩
KR101219232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US9293743B2 (en) Battery pack
KR101770328B1 (ko) 과충전 방지 전지팩
JP6806001B2 (ja) 蓄電装置
CN105033540A (zh) 软包锂电池组焊接工艺、其阶梯定位装置及其制造电池组
KR20200124552A (ko) 배터리 팩
CN220209240U (zh) 一种极耳保护壳与软包电池
WO2013037124A1 (zh) 二次电池的电芯导电连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