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802U -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 Google Patents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802U
KR20130000802U KR2020110006758U KR20110006758U KR20130000802U KR 20130000802 U KR20130000802 U KR 20130000802U KR 2020110006758 U KR2020110006758 U KR 2020110006758U KR 20110006758 U KR20110006758 U KR 20110006758U KR 20130000802 U KR20130000802 U KR 201300008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eak
weak electrical
plate
str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224Y1 (ko
Inventor
오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Priority to KR2020110006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2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3Profiles for cabinet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강전용 세대분전반과 약전용 정보통신단자함을 통합하여 설치의 편의성과 전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전면의 개구부가 도어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분전함 및 통신단자함이 상하로 분할 형성된 통합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의 내부는 강전격판에 의해 강전용 전선포설부 및 전선선로부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강전용 전선선로부는 상부차폐판에 의해 상/하부로 연통되는 강전배선통로 및 약전배선통로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강전용 전선포설부에 해당하는 상기 분전함의 상면에는 그 상부에서 내려오는 강전용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강전용 전선포설부로 유입되도록 강전인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강전배선통로에 해당하는 상기 강전격판에는 상기 강전용 전선포설부에서 분기하는 강전용 전선이 통과되도록 강전용 전선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신단자함의 내부는 약전격판에 의해 약전용 전선포설부 및 전선선로부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약전용 전선선로부는 하부차폐판에 의해 상기 분전함의 강전배선통로 및 약전배선통로와 상/하부로 연통되는 강전배선통로 및 약전배선통로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약전용 전선포설부에 해당하는 상기 통신단자함의 하면에는 그 하부에서 올라오는 약전용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약전용 전선포설부로 유입되도록 약전인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약전배선통로에 해당하는 상기 약전격판에는 상기 약전용 전선포설부에서 분기하는 약전용 전선이 통과되도록 약전용 전선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CONSOLIDATION CABINET PANEL}
본 고안은 통합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전용 세대분전반과 약전용 정보통신단자함을 통합하여 설치의 편의성과 전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등과 같은 건물의 단위세대에는 옥외의 상용전원을 옥내로 인입하여 필요 개소에 분기하는 개폐기나 회로의 쇼트, 누전 등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차단기를 구비하는 분전반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 전화, 인터넷 랜(LAN), 텔레비전 등의 정보통신 회선이나 각종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통신단자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분전반과 통신단자함을 별개로 분리하여 설치할 경우 별도의 자재와 시공으로 설치비용이 상승되고 유지보수 작업의 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불필요하게 많이 차지하므로 최근에는 분전반과 통신단자함의 일체형 구조인 이른바 통합분전반이 시장의 대세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두 개의 사용공간을 하나로 통합한 것에 불과하여 상호 전기적인 간섭에 취약한 데다 고전압 및 저전압으로 구분되는 강전 및 약전용 전선을 같은 공간에 배선할 경우 강전 구간에서 약전 구간으로 누설전류가 흐를 우려가 있고, 전력선에 의한 통신선의 유도장애 현상이 나타나는 등 전기적인 안전성과 통신 품질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통합분전반은 일체형 구조의 특성상 운반 및 설치에 상당한 불편함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강전용 분전반 또는 약전용 통신단자함 중 일부가 파손되거나 설치사양에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에 해당 부분만을 보수하거나 교체할 수 없어 그 전체를 다른 것으로 교체 또는 재설계 및 제작해야 하므로 각기 독립적인 형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지 관리비용이 많이 들고 운용에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새로운 형태의 분전반을 개발하고자 노력을 기울이던 중 본 고안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 양태는 전면의 개구부가 도어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분전함 및 통신단자함이 상하로 분할 형성된 통합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의 내부는 강전격판에 의해 강전용 전선포설부 및 전선선로부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강전용 전선선로부는 상부차폐판에 의해 상/하부로 연통되는 강전배선통로 및 약전배선통로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강전용 전선포설부에 해당하는 상기 분전함의 상면에는 그 상부에서 내려오는 강전용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강전용 전선포설부로 유입되도록 강전인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강전배선통로에 해당하는 상기 강전격판에는 상기 강전용 전선포설부에서 분기하는 강전용 전선이 통과되도록 강전용 전선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신단자함의 내부는 약전격판에 의해 약전용 전선포설부 및 전선선로부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약전용 전선선로부는 하부차폐판에 의해 상기 분전함의 강전배선통로 및 약전배선통로와 상/하부로 연통되는 강전배선통로 및 약전배선통로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약전용 전선포설부에 해당하는 상기 통신단자함의 하면에는 그 하부에서 올라오는 약전용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약전용 전선포설부로 유입되도록 약전인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약전배선통로에 해당하는 상기 약전격판에는 상기 약전용 전선포설부에서 분기하는 약전용 전선이 통과되도록 약전용 전선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제작이 용이하고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하며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강전격판 및 약전격판은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강전격판 및 약전격판의 전면에 그 각각의 작업구멍을 개폐하는 보조격판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된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고안은 분전함과 통신단자함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하며, 일부가 파손되거나 설치사양에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에 해당 부분만을 보수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그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강전용 전선과 약전용 전선이 상부 및 하부차폐판에 의해 서로 차폐 및 이격된 상태로 각각의 포설부로 안내되기 때문에 강전용 전선에 의한 약전용 전선의 유도장애 현상 등을 방지하여 전기적인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통신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을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을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중 도어와 보조격판을 제외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중 도어를 제외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확대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은 전면의 개구부가 도어(101/201)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분전함(100) 및 통신단자함(200)이 상하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분전함(100)은 내부에 분기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 누전차단기 및 개폐기 등이 수납 장착되는 것으로, 상하로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도어(10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건물 내벽의 천장 아래에 설치된다.
그리고 분전함(100)은 그 전면 및 후면 사이의 내부에 장착된 강전격판(110)에 의해 전/후방으로 구획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된 공간 중 전방에는 차단기, 개폐기 등과 강전용 각종 장치의 수납 및 유지보수 공간을 형성하는 강전용 전선포설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강전용 전선포설부(120)에 해당하는 분전함(100)의 상면에는 상부에서 내려오는 강전용 전선이 통과하여 강전용 전선포설부(120)로 유입되도록 하는 강전인입구멍(1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전함(100)의 분할된 공간 중 후방에는 상/하부로 연통되어 강전용 전선을 통신단자함(200) 쪽으로 안내 및 유도하고 하부에서 올라오는 약전용 전선을 안내 및 유도하는 강전용 전선선로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강전용 전선선로부(130)는 분전함(100)의 좌/우측면 사이 중심부에 장착된 상부차폐판(140)에 의해 좌/우측으로 구획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된 공간 중 우측에는 강전용 전선이 배선되는 강전배선통로(150)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에는 약전용 전선이 통과하는 약전배선통로(1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강전배선통로(150)에 해당하는 강전격판(110)에는 강전용 전선포설부(120)에서 분기하는 강전용 전선이 통과되어 강전배선통로(150)로 유입되도록 하는 강전용 전선구멍(115)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강전격판(110)에는 각종 유지보수 시 작업의 편의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구멍(19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강전격판(110)의 전면에는 작업구멍(190)을 개폐하는 보조격판(300)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격판(300)은 각종 차단기 또는 전력 분배기가 장착되므로 절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단자함(200)은 내부에 전자 및 정보통신용 각종 기자재가 수납 설치되는 것으로, 분전함(100)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도어(20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건물 내벽의 바닥 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통신단자함(200)은 그 전면 및 후면 사이의 내부에 장착된 약전격판(210)에 의해 전후방으로 구획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된 공간 중 전방에는 통신기자재 등과 같은 약전용 장치의 수납 및 유지보수 공간을 형성하는 약전용 전선포설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약전용 전선포설부(220)에 해당하는 통신단자함(200)의 하면에는 하부에서 올라오는 약전용 전선이 통과하여 약전용 전선포설부(2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약전인입구멍(2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신단자함(200)의 분할된 공간 중 후방에는 상/하부로 연통되어 약전용 전선을 분전함(100) 쪽으로 안내 및 유도하고, 상부에서 내려오는 강전용 전선을 안내 및 유도하는 약전용 전선인입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약전용 전선인입부(230)는 통신단자함(200)의 좌/우측면 사이 중심부에 장착된 하부차폐판(240)에 의해 좌/우측으로 구획 분할되어 있고, 그 분할된 공간 중 좌측에는 약전용 전선이 배선되는 약전배선통로(260)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에는 강전용 전선이 통과하는 강전배선통로(2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약전배선통로(260)에 해당하는 약전격판(210)에는 약전용 전선포설부(220)에서 분기하는 약전용 전선이 통과되어 약전배선통로(260)로 유입되도록 하는 약전용 전선구멍(215)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약전격판(210)에는 각종 유지보수 시 작업의 편의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구멍(29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약전격판(210)의 전면에는 작업구멍(290)을 개폐하는 보조격판(300)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격판(300)은 각종 통신기자재가 장착되므로 절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어(101/201)는 분전함(100)과 통신단자함(200)의 개구부를 동시에 개폐 가능하도록 단일체로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은 강전용 전선과 약전용 전선이 상부 및 하부차폐판(140/240)에 의해 서로 차폐 및 이격된 상태로 각각의 포설부로 안내되므로 강전용 전선에 의한 약전용 전선의 유도장애 현상 등을 방지하여 전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통신 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분전함 101: 도어
110: 강전격판 115: 전선구멍
120: 전선포설부 130: 전선선로부
140: 상부차폐판 150: 강전배선통로
160: 약전배선통로 170: 강전인입구멍
200: 통신단자함 201: 도어
210: 약전격판 215: 전선구멍
220: 전선포설부 230: 전선선로부
240: 하부차폐판 250: 강전배선통로
260: 약전배선통로 270: 약전인입구멍

Claims (2)

  1. 전면의 개구부가 도어(101/201)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분전함(100) 및 통신단자함(200)이 상하로 분할 형성된 통합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100)의 내부는 강전격판(110)에 의해 강전용 전선포설부(120) 및 전선선로부(130)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강전용 전선선로부(130)는 상부차폐판(140)에 의해 상/하부로 연통되는 강전배선통로(150) 및 약전배선통로(160)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강전용 전선포설부(120)에 해당하는 상기 분전함(100)의 상면에는 그 상부에서 내려오는 강전용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강전용 전선포설부(120)로 유입되도록 강전인입구멍(170)이 형성되고,
    상기 강전배선통로(150)에 해당하는 상기 강전격판(110)에는 상기 강전용 전선포설부(120)에서 분기하는 강전용 전선이 통과되도록 강전용 전선구멍(115)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신단자함(200)의 내부는 약전격판(210)에 의해 약전용 전선포설부(220) 및 전선선로부(230)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약전용 전선선로부(220)는 하부차폐판(240)에 의해 상기 분전함의 강전배선통로(150) 및 약전배선통로(160)와 상/하부로 연통되는 강전배선통로(250) 및 약전배선통로(260)로 구획하여 분할 형성되고,
    상기 약전용 전선포설부(220)에 해당하는 상기 통신단자함(200)의 하면에는 그 하부에서 올라오는 약전용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약전용 전선포설부(220)로 유입되도록 약전인입구멍(270)이 형성되고,
    상기 약전배선통로(260)에 해당하는 상기 약전격판(210)에는 상기 약전용 전선포설부(220)에서 분기하는 약전용 전선이 통과되도록 약전용 전선구멍(215)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전격판(110) 및 약전격판(210)은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구멍(190/290)이 형성되고, 상기 강전격판(110) 및 약전격판(210)의 전면에 그 각각의 작업구멍(190/290)을 개폐하는 보조격판(300)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KR2020110006758U 2011-07-25 2011-07-25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KR200465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58U KR200465224Y1 (ko) 2011-07-25 2011-07-25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58U KR200465224Y1 (ko) 2011-07-25 2011-07-25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02U true KR20130000802U (ko) 2013-02-04
KR200465224Y1 KR200465224Y1 (ko) 2013-02-07

Family

ID=5136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758U KR200465224Y1 (ko) 2011-07-25 2011-07-25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78B1 (ko) * 2014-05-22 2015-02-13 전영하 간섭 방지 기능을 가지는 계량 모듈 및 ITS/U-City/CCTV 모듈용 함체
KR20160002412U (ko) 2014-12-31 2016-07-08 (주)세진상아 통합 세대분전반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514B1 (ko) * 2015-12-31 2017-10-16 한국중부발전(주) 자동닫힘 도어를 갖는 분전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061Y1 (ko) 2001-09-14 2001-12-22 삼성물산 주식회사 통신 통합 분전함
KR200277311Y1 (ko) 2002-03-15 2002-06-03 원광재 열전도성 난방용 관
KR100809455B1 (ko) 2007-10-12 2008-03-06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강, 약전 일체형 분전반
KR101052117B1 (ko) 2009-06-17 2011-07-26 정성수 사용 편리 및 멀티 정보 제공을 위한 일체형 통합 세대 분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78B1 (ko) * 2014-05-22 2015-02-13 전영하 간섭 방지 기능을 가지는 계량 모듈 및 ITS/U-City/CCTV 모듈용 함체
KR20160002412U (ko) 2014-12-31 2016-07-08 (주)세진상아 통합 세대분전반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224Y1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072B1 (ko) 전기 패널용 셔터 도어 조립체
KR101907952B1 (ko) 배전반
KR200465224Y1 (ko) 전력 및 통신 통합분전반
KR20110137912A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CN203553648U (zh) 一种高压开关柜
KR100822668B1 (ko)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KR100877123B1 (ko)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KR101297551B1 (ko) 내아크 특성강화 모듈러 수배전반
KR101077243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CN106159776A (zh) 一种hms12金属铠装移开式开关柜
KR102237099B1 (ko) 신도시 지중 배전선로의 고정 시스템
IT202100017669A1 (it) Cabina elettrica di trasformazione
KR102160052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KR200257061Y1 (ko) 통신 통합 분전함
JP5751000B2 (ja) 配電盤
KR101333569B1 (ko) 삼각모선부를 이용한 고ㆍ저압 배전반
KR101570788B1 (ko) 케이블트레이가 구비된 모듈형 배전반
KR101070575B1 (ko) 스위치 기어
JP2007189758A (ja) 変圧器ケーブル設置方法及び変圧器設備
CN209231579U (zh) 一种适用于微型通讯基站的光电一体箱
KR100918232B1 (ko) 분전반
JP5971924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033846B1 (ko) 케이블 덕트가 마련된 전력설비용 함체
KR20160002412U (ko) 통합 세대분전반함
CN105938989A (zh) 一种上下走线式环网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