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571U -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571U
KR20130000571U KR2020110006438U KR20110006438U KR20130000571U KR 20130000571 U KR20130000571 U KR 20130000571U KR 2020110006438 U KR2020110006438 U KR 2020110006438U KR 20110006438 U KR20110006438 U KR 20110006438U KR 20130000571 U KR20130000571 U KR 201300005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deck
groove
flange bod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정석현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6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571U/ko
Publication of KR20130000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예에 따른 데크 플랜지 조립체는, 선박의 데크(deck)에 설치되는 플랜지 본체; 및 플랜지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파이프가 연결되지 않는 면에 결합되는 데크 플랜지를 포함하되, 플랜지 본체는, 중앙에 관통되어 데크의 상측과 하측간에 소정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홀; 및 플랜지 본체의 상면 및 하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플랜지 본체의 내측으로 함몰되고 그 내부에 나사홈을 구비하는 플랜지 홈을 포함하고, 데크 플랜지는, 플랜지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크 플랜지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Deck Flange assembly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상부 데크(Upper Deck)에 마련되는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박 운용을 위해 파트별로 다양한 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력 발전기 설치선(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의 경우에는 배의 특성상 블레이드와 같은 풍력설비를 상기 선박의 상부 데크에 적재하고 설치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풍력 발전기 설치선은 각 프로젝트별 풍력설비가 서로 달라서 상기 상부 데크의 활용이 유동적이었다.
상기 상부 데크에는 상기 데크를 관통하여 데크 플랜지(10)가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데크에 설치된 데크 플랜지에 대해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데크 플랜지(10)는 상부 데크(2)에서 소정의 돌출된 높이(H)를 갖으며 설치된다. 상기 돌출 높이(H)는 200~500mm 정도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데크 플랜지(10)에는 각종 파이프(20)가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데크(2)에는 다양한 각종 배관 또는 파이프가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데크 플랜지에 대해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데크 플랜지(10)는 상부 데크(2)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상부 데크(2)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소정의 길이 만큼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데크 플랜지(10)는 상부 데크(2)의 상부로 과도하게 돌출 설치되면서 주변에 이웃한 파이프 또는 설비와 간섭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상부 데크(2)의 상부 공간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상기 데크 플랜지(10)가 파이프(20)에 곧바로 연결 설치되지 않고, 장시간 미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경우에는 바닷물 또는 빗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데크 플랜지(1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상부 데크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플랜지 본체에 설치되는 각종 파이프의 설치를 용이하게 도모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데크(deck)에 설치되는 플랜지 본체; 및 상기 플랜지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파이프가 연결되지 않는 면에 결합되는 데크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 본체는,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데크의 상측과 하측간에 소정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삽입홀; 및 상기 플랜지 본체의 상면 및 하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 본체의 내측으로 함몰되고 그 내부에 나사홈을 구비하는 플랜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크 플랜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랜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소정의 볼트가 상기 데크 플랜지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랜지 본체와 상기 데크 플랜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 홈은, 상기 플랜지 본체에 결합할 수 있는 파이프 일단의 플랜지에 구비된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는 일반선박 또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에서 데크 상부에 배치되는 설비 부재의 용이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는 데크 상부에서 최소한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설비 부재와의 간섭이 최소화되고, 미사용시에는 데크 플랜지의 상부영역이 활용 가능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는 바닷물 또는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오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데크 플랜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데크 플렌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데크 플랜지 조립체(1)는 링 형상을 갖는 플랜지 본체(100)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 본체(100)는 중앙에 관통된 삽입홀(110)이 형성되고 파이프가 결합되기 위해 관통 형성된다.
플랜지 본체(100)는 상기 삽입홀(110)과 외측으로 이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플랜지 홈(120)을 더 포함한다. 플랜지 본체(100)는 선박의 상부 데크(미도시)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 홈(120)은 상기 플랜지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비되고 내부에 나사 홈이 형성된다. 플랜지 홈(120)은 동일축선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서로 연통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게 이루어진다.
플랜지 본체(100)는 이물질이 플랜지 홈(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 본체(1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상하면 모두 설치되는 데크 플랜지(130)를 포함한다. 상기 데크 플랜지(130)는 플랜지 본체(100)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홈(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데크 플랜지 홀(132)이 마련되며 내부에 나사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데크 플랜지(130)는 플랜지 본체(100)의 밀폐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고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 플랜지(130)는 상기 플랜지 본체(100)의 삽입홀(110)에 파이프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데크 플랜지(1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폐상태로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데크 플랜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데크 플랜지(130)는 데크(2)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를 가지며 설치되고, 상기 데크(2)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게 설치된다. 데크 플랜지(130)의 돌출되는 높이는 10~20mm 내외의 높이로 돌출되며 데크(2) 상부에 풍력설비(미도시) 또는 파이프가 배치되는 조건에서도 데크 플랜지 조립체(1)와의 간섭이 최소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크(2) 상면에 대한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본체(100)는 데크(2)로부터 20~30mm 돌출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데크 플랜지(130)는 10~20mm 도출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데크 플랜지보다 매우 적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2) 상면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 본체(100) 및 데크 플랜지(130)의 돌출된 높이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플랜지 홈(120)은 깊이(d)와 직경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플랜지 본체(100)에 결합되는 볼트(3)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깊이(d)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크 플랜지(130)는 데크 플랜지 조립체(1)가 설치된 상태에서 곧바로 파이프(5)(도 6참조)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플랜지 본체(100)의 상면에 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면과 하면에 모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데크 플랜지(130)가 이와 같이 설치될 경우에는 바닷물 또는 빗물이 삽입홀(110)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선박 내부의 부식 또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선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설비부재와 연결된 파이프(5)를 즉시 설치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플랜지 본체(100)를 데크(2)에 우선적으로 설치하고, 삽입홀(110)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데크 플랜지(130)를 설치하여 바닷물 또는 빗물 및 이물질의 유입을 우선적으로 차단시킨다.
상기 작업자는 데크 플랜지(130)를 플랜지 본체(100)의 상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플랜지 홈(120)과 데크 플랜지 홀(132)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데크 플랜지(130)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볼트(3)를 데크 플랜지홀(132)의 내측으로 삽입시켜서 플랜지 홈(120)과 나사 결합을 실시하여 플랜지 본체(100)와 데크 플랜지(13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된 데크 플랜지(130)는 데크(2) 상부로 비 또는 바닷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삽입홀(110)로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파이프(5)가 설치되기 이전까지 소정의 기간 동안 현 상태로 유지된다.
작업자는 파이프(5)를 설치하기 위해 플랜지 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된 데크 플랜지(130)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파이프(5)를 플랜지 본체(100)의 상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3)를 이용하여 상기 파이프(5)를 플랜지 본체(100)에 고정시킨다. 참고로 상기 파이프(5)는 단부에 원판 형상의 플랜지가 마련되어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5)는 에어 벤트 파이프 또는 쿨링 라인 파이프 및 압축공기 파이프와 같이 선박에 필요한 설비와 연결된 부속 파이프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특정 파이프로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파이프(5)와 플랜지 본체(100)의 연결이 필요할 경우에만 손쉽게 데크 플랜지(130)와 블랜지 본체(100)와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5)를 플랜지 본체(100)에 연결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2 : 데크
100 : 플랜지 본체
110 : 삽입홀
120 : 플랜지 홀
130 : 데크 플랜지
132 : 데크 플랜지 홀

Claims (3)

  1. 선박의 데크(deck)에 설치되는 플랜지 본체; 및
    상기 플랜지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파이프가 연결되지 않는 면에 결합되는 데크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 본체는,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데크의 상측과 하측간에 소정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삽입홀; 및
    상기 플랜지 본체의 상면 및 하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 본체의 내측으로 함몰되고 그 내부에 나사홈을 구비하는 플랜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크 플랜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랜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볼트가 상기 데크 플랜지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랜지 본체와 상기 데크 플랜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랜지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홈은,
    상기 플랜지 본체에 결합할 수 있는 파이프 일단의 플랜지에 구비된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랜지 조립체.
KR2020110006438U 2011-07-15 2011-07-15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 KR201300005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438U KR20130000571U (ko) 2011-07-15 2011-07-15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438U KR20130000571U (ko) 2011-07-15 2011-07-15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71U true KR20130000571U (ko) 2013-01-23

Family

ID=5242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438U KR20130000571U (ko) 2011-07-15 2011-07-15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57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410B1 (ko) 선박에 설치되는 가스관의 격벽 관통 구조
RU2013119694A (ru) Устройство, узел уплотнения, закрывающий фланец и прокладка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вала винта морского судна
JP2020535358A (ja) ボートのパイプの管路用の安全装置
KR20130084721A (ko) 선박용 배관 보호용 지지구
KR100540079B1 (ko) 선박용 벤트홀 또는 디스차지 관의 해수 유입 막음 장치
KR20140006430A (ko) 잠수함의 케이블 관통장치
RU2017123064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качки груз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открытом море
KR20130000571U (ko) 선박용 데크 플랜지 조립체
ES2753366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de cargas temporales para un cable de alta tensión armado y un método para facilitar las operaciones relacionadas con la instalación de un cable armado de alta tensión
CN105059520A (zh) 一种用于船舶水下检验的检验孔装置
KR200477367Y1 (ko) 수중 작업이 가능한 선미관 씰 보호용 커버 장치
KR101122773B1 (ko) 핸드 펌프용 오일 코밍이 구비된 선박
KR20110070427A (ko) 에코 사운더 프로텍터
KR101529695B1 (ko) 해상 풍력용 제이튜브씰
CN104180071B (zh) 一种船用带锌块座板
KR200394545Y1 (ko) 선박용 벤트홀 또는 디스차지 관의 해수 유입 막음 장치
KR20140001627U (ko) 관체용 보호캡
CN219933166U (zh) 一种开合式法兰垫圈安装工具
CN212318985U (zh) 分离式海底管道标记卡子
KR101880242B1 (ko) 코퍼댐
JP2018002046A (ja) 蓋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閉塞構造
JP2008245341A (ja) ケーブル防護管および防護管連結具
AU2018278952A1 (en) Moon pool plug
KR20130020357A (ko) 해양구조물의 파이프 관통부 수밀구조
KR20140058828A (ko) 해양 구조물용 케이슨 내부의 파이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