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242B1 - 코퍼댐 - Google Patents

코퍼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242B1
KR101880242B1 KR1020170049990A KR20170049990A KR101880242B1 KR 101880242 B1 KR101880242 B1 KR 101880242B1 KR 1020170049990 A KR1020170049990 A KR 1020170049990A KR 20170049990 A KR20170049990 A KR 20170049990A KR 101880242 B1 KR101880242 B1 KR 10188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de wall
wall portion
contact
ster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우
Priority to KR102017004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18Arrangement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access to underwater elements, e.g. to propellers ; Externally attached cofferdams or the like
    • B63B2009/00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퍼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수리 작업을 위한 도킹이 요구되지 않아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퍼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는 폐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부유시키기 위한 부유체를 상기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선박의 선미관 외형과 대응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상기 선미관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은 수면 아래에 존재하는 선박의 결함 또는 손상 부위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선박의 수리 작업을 위한 도킹이 요구되지 않아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코퍼댐{Coffer dam}
본 발명은 코퍼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수리 작업을 위한 도킹이 요구되지 않아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퍼댐에 관한 것이다.
건조된 선박은 해수상에 부양되어 운항되어 소정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선박은 운항 중 뜻하지 않는 충돌이나 결함에 의해 선박의 손상이 종종 야기된다. 이러한 선박 선박의 손상부위가 해수면을 기준으로 해수면 위에 존재할 경우, 작업자가 선박의 손상부위로 용이하게 진입하여 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해수면을 기준으로 해수면 아래에 선박의 손상부위가 존재할 경우, 손상된 선박을 도크에 도킹해야 한다. 즉, 작업자가 해수면 아래에 존재하던 손상부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손상된 선박이 해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도크로 이동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손상된 선박의 즉각적인 수리가 어려움과 아울러, 도크로 이동 중 손상 부위가 더 커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뿐만 아니라, 도크의 사용을 위해서는 비용 부담이 커 선박의 수리 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KR 10-2006-0019076 A KR 10-0693286 B1 KR 10-149166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면 아래에 존재하는 선박의 결함 또는 손상 부위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선박의 수리 작업을 위한 도킹이 요구되지 않아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퍼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는 폐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부유시키기 위한 부유체를 상기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선박의 선미관 외형과 대응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상기 선미관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선미관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와 인접하는 상기 선미관의 외주면에 일정 면적 접촉되게 소정 길이 연장된 밀봉플랜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사각 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측벽부, 제4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3 측벽부 사이에는 일 측이 상기 제1 측벽부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제3 측벽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보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게 된 사다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은 수면 아래에 존재하는 선박의 결함 또는 손상 부위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선박의 수리 작업을 위한 도킹이 요구되지 않아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퍼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1)은 본체(100)와, 고정부(2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고, 공간부(101)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는 폐쇄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사각 형상의 바닥부(150)와, 바닥부(1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측벽부(110), 제2 측벽부(120), 제3 측벽부(130), 제4 측벽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벽부(110)와 제3 측벽부(130)는 일정 간격 이격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2 측벽부(120)와 제4 측벽부(140)는 양측 단부가 각각 제1 측벽부(110)와 제3 측벽부(13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1 측벽부(110) 내지 제4 측벽부(140) 사이로 작업자 및 선박의 선미관(10)이 진입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101)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에는 선박의 선미관(10) 외형과 대응되게 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선미관(10)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접촉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15)는 제1 측벽부(110)의 상단 측 양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하방으로 직선으로 절개되는 직선부(116)와, 직선부(116) 하단으로부터 반원 형태로 연장되어 선박의 선미관(10)이 안착 또는 접촉되는 곡선부(117)를 포함한다. 직선부(116)의 좌우 너비는 선미관(10)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접촉부(115)와 선미관(10)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촉부(115)를 따라 형성되고, 접촉부(115)와 인접하는 선미관(10)의 외주면에 일정 면적 접촉되게 소정 길이 연장된 밀봉플랜지부(1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밀봉플랜지부(118)와 본체(100) 사이에는 일 측에 본체(100)에 고정되고 타 측이 밀봉플랜지부(118)에 고정되는 보강편(119)이 설치되어 밀봉플랜지부(118)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밀봉플랜지부(118)의 내주면에는 선미관(10)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제1 측벽부(110)와 제3 측벽부(130) 사이에는 일 측이 제1 측벽부(110)에 고정되고, 타 측이 제3 측벽부(130)에 고정되어 제1 측벽부(110)와 제3 측벽부(130)가 서로 멀어지거나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보강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160)는 단면이 'ㄱ' 또는 'ㄴ'자 형상인 앵글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상측 네 모서리 부분에는 크레인과 와이어 로프 등을 이용하여 인양할 수 있게 인양고리부(17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200)는 본체(100)를 선박의 선미관(10)을 향해 이동시킬 때, 수면에 부유시킨 상태로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를 수면상에 부유시키기 위해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300)를 본체(100)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200)는 복수의 고정고리(201)를 포함하며, 고정고리(201)는 제2 측벽부(120) 및 제4 측벽부(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제2 측벽부(120) 및 제4 측벽부(140)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부유체(300)에는 본체(100)의 고정고리(201)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결합고리(301)가 고정고리(201)의 설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제1 측벽부(110) 내지 제4 측벽부(14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고, 제1 측벽부(110) 내지 제4 측벽부(14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잡고 오르내릴 수 있게 된 사다리부(18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바닥부(150)에는 본체(100)를 선미관(10)에 결합시키 뒤, 본체(100) 내부의 공간부(101)로 작업자가 진입하여 작업할 수 있게 본체(100)의 이동과정에서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1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수부(190)는 본체(100)의 바닥부(150)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배수챔버(191)와, 배수챔버(191)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되어 모터를 통해 배수챔버(191) 내부의 물을 흡입하여 빼내기 위한 드레인호스가 체결되는 드레인관(19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1)은 본체(100)에 구비된 고정부(200)에 부유체(300)를 설치하고, 본체(100)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수중에 투하시킨 후, 부유체(300)의 부력을 이용하여 본체(100)를 수리하고자 하는 선박의 선미관(10)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본체(100)를 선미관(10)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본체(100)의 접촉부(115)가 선미관(10)에 끼워지도록 배치한 후, 본체(100)를 선미관(10)에 고정시킨다. 본체(100)가 선미관(10)에 고정되면 본체(100)의 접촉부(115) 및 밀봉플랜지부(118)와 선미관(10)의 외주면 사이의 틈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 작업을 수행하며, 밀봉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본체(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배수부(190)를 통해 본채 내부의 물을 빼냄으로써, 작업자가 본체(100) 내부에서 수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퍼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코퍼댐
10 : 선미관
100 : 본체
101 : 공간부
110 : 제1 측벽부
115 : 접촉부
116 : 직선부
117 : 곡선부
118 : 밀봉플랜지부
119 : 보강편
120 : 제2 측벽부
130 : 제3 측벽부
140 : 제4 측벽부
150 : 바닥부
160 : 보강부
170 : 인양고리부
180 : 사다리부
190 : 배수부
191 : 배수챔버
192 : 드레인관
200 : 고정부
201 : 고정고리
300 : 부유체
301 : 결합고리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는 폐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부유시키기 위한 부유체를 상기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선박의 선미관 외형과 대응되게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상기 선미관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선미관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와 인접하는 상기 선미관의 외주면에 일정 면적 접촉되게 소정 길이 연장된 밀봉플랜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밀봉플랜지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는 상기 밀봉플랜지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 측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밀봉플랜지부에 고정되는 보강편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는 사각 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측벽부, 제4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3 측벽부 사이에는 일 측이 상기 제1 측벽부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제3 측벽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보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배수챔버와, 상기 배수챔버로부터 연장되어 모터를 통해 상기 배수챔버 내부의 물을 흡입하여 빼내기 위한 드레인호스가 체결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는 배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측벽부 및 제4 측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제2 측벽부 및 제4 측벽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에는 본체의 고정고리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된 복수의 결합고리가 고정고리의 설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퍼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게 된 사다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퍼댐.
KR1020170049990A 2017-04-18 2017-04-18 코퍼댐 KR10188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90A KR101880242B1 (ko) 2017-04-18 2017-04-18 코퍼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90A KR101880242B1 (ko) 2017-04-18 2017-04-18 코퍼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242B1 true KR101880242B1 (ko) 2018-07-20

Family

ID=6310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990A KR101880242B1 (ko) 2017-04-18 2017-04-18 코퍼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2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664A (ko) * 2003-09-30 2005-04-06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댐
KR20060019076A (ko) 2004-08-26 2006-03-03 곽승규 수중 구조물 작업용 케이슨
KR100693286B1 (ko) 2006-01-18 2007-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플로팅 도크 건조를 위한 수중 연결용 물막이 구조및 방법
KR20080046437A (ko) * 2006-11-22 2008-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코퍼댐 구조를 이용한 선박의 선미관수밀장치 수리공법
KR101491665B1 (ko) 2013-05-09 2015-0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물막이 장치
KR20170019903A (ko) * 2015-08-13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664A (ko) * 2003-09-30 2005-04-06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댐
KR20060019076A (ko) 2004-08-26 2006-03-03 곽승규 수중 구조물 작업용 케이슨
KR100693286B1 (ko) 2006-01-18 2007-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플로팅 도크 건조를 위한 수중 연결용 물막이 구조및 방법
KR20080046437A (ko) * 2006-11-22 2008-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코퍼댐 구조를 이용한 선박의 선미관수밀장치 수리공법
KR101491665B1 (ko) 2013-05-09 2015-0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물막이 장치
KR20170019903A (ko) * 2015-08-13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892B2 (ja) 一体化沈埋函体
JP4528652B2 (ja) 水中構造物の仮締切工法及び仮締切用構造体
KR101106805B1 (ko) 코퍼댐 구조를 이용한 선박의 선미관수밀장치 수리공법
KR101880242B1 (ko) 코퍼댐
KR101083546B1 (ko) 대향면이 개방된 수중 구조물 보수작업용 육면체형 블랙박스
KR100818248B1 (ko) 수중구조물용 조립식 임시 물막이장치와 이를 이용한수중구조물 방식 및 보수 보강공법
JP5022947B2 (ja) 仮締切作業函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4504274B2 (ja) 捨石護岸の法面を被覆する防砂シートの敷設方法および防砂シート
KR20140035588A (ko) 불연속 선저부를 가지는 부양식 선체 및 그 조립방법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2376885B1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KR102156952B1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4714A (ko) 플로팅 도크에서의 선박 또는 해양 부유체 건조 공법
KR101313554B1 (ko) 선박 러더용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KR101599392B1 (ko) 선박 건조용 댐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 방법
KR101491665B1 (ko) 선박용 물막이 장치
CN217536900U (zh) 砂被和海上桩基防冲刷装置
KR20140111060A (ko) 부유식 도크 시스템
KR100824497B1 (ko) 선박의 해수 유입구멍 막음장치
EP2289796A1 (en) Method for repairing damages to a craft under the water line and device used for that purpose
JP2012052351A (ja) 浚渫汚濁拡散防止装置
KR20120051159A (ko) 해저 파이프라인의 누출 오일 제거장치
EP3461281B1 (e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joining pipes on water
KR20130004716A (ko) 부유식 안벽
KR20170001573U (ko) 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