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590A -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전도식 가동보 - Google Patents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전도식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590A
KR20120136590A KR1020110055611A KR20110055611A KR20120136590A KR 20120136590 A KR20120136590 A KR 20120136590A KR 1020110055611 A KR1020110055611 A KR 1020110055611A KR 20110055611 A KR20110055611 A KR 20110055611A KR 20120136590 A KR20120136590 A KR 2012013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water
quality improvement
weigh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일
Original Assignee
(주)친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친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친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11005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6590A/ko
Publication of KR2012013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천수를 막기 위한 수문(10)과; 수문(10)의 하부에 고정 구비되는 회전축(20)과; 지지부(1)에 지지되고 상기 수문(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30)과; 회전축(20)에 연결되고 실린더부(5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수문(10)을 기립 전도시키는 가동링크(40)와; 가동링크(40)를 기립, 전도시키는 유압실린더(51)와 피스톤로드(55)로 구성된 실린더부(50)와; 회전축이 관통되는 설치공(H)이 구비된 내측벽(6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0)과 가동링크(40)와 실린더부(50)가 내장되는 하우징부(60)와; 수문(10)에 내장되는 수질개선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전도식 가동보 { Turning Type Floodgate }
본 발명은 수문에 수질 개선 기능을 접목시킨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스팬(Long Span)이란 폭이 큰 하천에 사용되는 수문과 같이 옆으로로 길다란 형상을 갖는 수문의 형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보(weir)는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는 일종의 물막이용 울타리를 말하며, 이러한 보는 농업, 공업 및 생활 용수의 확보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여 현재 널리 사용된다. 또한, 댐이 설치될 수 없는 하천에 보를 여러 개 설치하면 수량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 대형 댐의 대체 구조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보의 종류는 크게 나누어 고정보와 가동보가 있으며, 가동보는 고무식 보와 기계식 보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또는 산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나 수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하천이나 강 등의 각종 관계수로에는 수동이나 자동 및 반자동 또는 이들이 결합된 방식으로된 여러종류의 수문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관계수로등에 설치되는 종래의 수문들의 경우에는 거의 모두가 그 전체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설치가 어려우며,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결점이 있었으며, 한번 동력장치에 고장이 나면 전문가라 할지라도 고치기가 매우 어려운 등 유지, 보수등의 관리적인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토양과 하천 및 상수원 등의 수질오염은 일상생활에서 배출하는 생활폐수는 물론 축산 및 공장을 비롯하여 실험실, 연구소 등의 산업 현장에서 발생 되는 각종 산업용 오, 폐수에서 비롯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오, 폐수를 처리하고자 할 때에는 생물학적 처리공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의 생물학적 처리공법은 미생물을 배양시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되며, 이 배양된 미생물은 여재에 접촉되어 오폐수의 유기물을 섭취 제거하는 형태로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여재이다. 종래에는 상기의 축산 및 산업용 오, 폐수를 처리하게 되는 미생물 담체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과 같이 일정형상을 이루면서 한정된 공간에 불규칙한 배열을 갖고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미생물 담체는 이제까지 천연암석이나 인조 플라스틱으로서 제공되어 왔다. 이로인해 표면적이 적게 됨은 물론 표면 공극이 없게 되고 미생물과의 친화력이 작아 부착된 미생물이 이탈되는 탈리 현상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수문은 수문의 하부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 이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수문의 상류측 바닥면 근처(바닥으로부터 20cm 정도 아래)에 부유물질이 함유된 더러운 물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글라스파우다와 광물질 만을 성형하여 소성 발포하는 경우 다공질을 형성하는 구멍의 평균 입경이 커져서 미생물이 접촉하거나 오염물질, 악취를 흡착할 수 있는 유효 면적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수질개선수단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으며 수질개선 효과가 우수한 수질개선기능이 구비된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황토의 항균 탈취성과 친환경성을 가미하면서 종래의 발포유리보다 전체적으로 좀더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외층에 큰 공극을 갖는 글라스파우다 발포층을 형성하고 내부에 좀더 미세한 기공을 갖는 친환경적인 황토 발포층을 형성하여 황토의 항균 탈취성과 친환경성을 가미한 수질개선수단을 사용하는 전도식 가동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보조 수문을 개방하여 오염수 배출과 수질개선수단의 수질개선 효과가 결합하여 탁월한 수질개선 효과를 갖는 수직상승이 가능한 수질개선성 전도식 가동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는,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천수를 막기 위한 수문(10)과;
상기 수문(10)의 하부에 고정 구비되는 회전축(20)과;
지지부(1)에 지지되고 상기 수문(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30)과;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고 실린더부(5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수문(10)을 기립 전도시키는 가동링크(40)와;
상기 가동링크(40)를 기립, 전도시키는 유압실린더(51)와 피스톤로드(55)로구성된 실린더부(50)와;
회전축이 관통되는 설치공(H)이 구비된 내측벽(6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0)과 가동링크(40)와 실린더부(50)가 내장되는 하우징부(60)와;
상기 수문(10)에 내장되는 수질개선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수질개선수단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으며 수질개선 효과가 우수한 수질개선기능이 구비된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황토의 항균 탈취성과 친환경성을 가미하면서 종래의 발포유리보다 전체적으로 좀더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외층에 큰 공극을 갖는 글라스파우다 발포층을 형성하고 내부에 좀더 미세한 기공을 갖는 친환경적인 황토 발포층을 형성하여 황토의 항균 탈취성과 친환경성을 가미한 수질개선수단을 사용하는 전도식 가동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의 수문 구조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수단 제조방법 흐름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수단 제조방법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조수문 구조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의 수문 구조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수단 제조방법 흐름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수단 제조방법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조수문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서 발포란 기포 형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결이란 가열, 또는 발포, 또는 가열 및 발포라는 용어로 해석 될 수 있으며 그런한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결(燒結)이란 반드시 어떤 물질이 용융, 연소되어(또는 용융 직전에 점성을 갖는 상태가 되어) 물질간 결합하는 것만이 아니라, 슬러리(또는 슬러디) 상태를 거친 혼합물의 성형체가 가열됨으로써 서로 뭉쳐져서 후에 냉각되어도 부스러지지 않게 서로 물리적으로 강하게 결합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벤토나이트 (bentonite)란 몬모릴로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석영?크리스로밸라이트?장석?제올라이트 등을 함유한 점토. 암석의 풍화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점토광물이다. 결정구조를 갖는 미세한 입자이며, 수분을 흡착하면 부피가 커지는 팽윤성이 큰 물질이다. 이와 같은 점토는 몬모릴로나이트군에 속하며, 대표적인 몬모릴로나이트와 함께 특이한 물리성을 가진다. 칼슘과 마그네슘이 함유된 규산알루미나 복합체인데, 강한 흡습성은 이 화학조성에 유래하는 구조에 의한다. 땅속에 응회암질이암이나 화산회암이 있을 때, 그 풍화분해의 과정에서 벤토나이트가 생성되는데, 이것이 땅사태 발생의 원인이 된다. 완만한 속력으로 계속되는 땅사태현상의 대부분은 땅속의 어떤 깊이에서 생성된 팽윤성 점토가 땅사태면(面)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짐작되며, 이 점토를 땅사태점토라 한다. 이름은 미국 와이오밍주의 벤톤지방에서 산출된 점에 연유하며, 주물용 사형바인더, 농약 캐리어, 토양 개량제, 도료 조제 등에 쓰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는 수문(10)과 회전축(20)과 지지브라켓(30)과 가동링크(40)와 실린더부(50)와 하우징부(60)와 수질개선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10)은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천수를 막기 위한 것이다. 회전축(20)은 수문(10)의 하부에 고정 구비된다. 지지브라켓(30)은 지지부(1)에 지지되고 상기 수문(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가동링크(40)은 회전축(20)에 연결되고 실린더부(5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수문(10)을 기립 전도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에 있어서 실린더부(50)는 가동링크(40)를 기립, 전도시키는 유압실린더(51)와 피스톤로드(55)로 구성된다. 하우징부(60)는 지지브라켓(30)과 가동링크(40)와 실린더부(50)가 내장된다. 수질개선수단(70)은 수문(10)에 내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에 있어서, 수문(10)은, 후면에 차폐된 후벽판(11)이 형성되고, 담수된 물과 접하는 전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후벽판(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격벽부(13)에 의해 수질개선수단용 안치홈(15)이 복수개 구획되어 형성되고, 수질개선수단용 안치홈(15)에 수질개선수단(70)이 안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성 차단판(80)이 투수 및 투공 가능하게 상기 수문(10)의 전면을 막아서 수질개선수단(7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에 있어서, 수문(10)의 전면에 고정편(17)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고정편(17)은 수문(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편(17a)과 상기 수직편(17a)으로부터 수직이되게 절곡된 수평편(17b)으로 구성되고, 투수성 차단판(80)이 상기 수직편(17a)과 상기 수평편(17b)이 이루는 공간에 삽입, 탈출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에 있어서, 수질개선수단(70)은 준비공정(S10)과 혼합공정(S20)과 성형공정(S30)과 소성공정(S40)과 냉각하는 공정(S50)을 거쳐서 제조된 다공성 소결체(燒結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공정(S10)은 생황토를 500 ~ 700℃로 가열 건조하고 분쇄하여 황토 분말을 준비하고, 광물질을 분쇄하여 광물질 분말을 준비한다. 천연광물인 제올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건조시키고 건조된 광물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한다. 분쇄기에서 나온 분쇄물을 150 ~ 200 메쉬의 체로 통과시켜 분말을 얻는다. 글라스파우더도 유사 방법으로 분말을 준비한다. 150 메쉬보다 입자가 큰 경우 입자가 커서 소결 작용이 용이하지 않거나 다공성 형성이 용이하지 않거나 입자가 거칠어 제품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으며 200 메쉬 이상의 경우 분쇄 비용이 증가한다. 하지만, 분말 입도는 100 ~ 300메쉬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분말의 입도는 100 ~ 300메쉬 범위 이내 또는 그 밖의 범위로 확대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혼합공정(S20)은 황토분말 30~34 중량%와, 글라스파우다 30~34 중량%와,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광물질분말 30~34 중량%, 발포제 3~5중량%를 혼합한다.
글라스파우더가 30 중량% 미만 함유되는 경우, 가열 발포 또는 소결시 가열온도가 증가하여 에너지 비용이 증가상승는 문제점이 있으며, 글라스파우더가 34 중량% 이상 함유되는 경우, 반제품의 강도가 떨어지고 취급 및 보관이 어렵다. 불량률이 높고 생산성 저하로 상대적으로 원가가 상승한다. 따라서, 글라스파우더의 바람직한 범위는 30 ~ 34 중량%이다. 광물질 분말이 34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소결을 위한 에너지 비용이 증가한다. 광물질 분말이 30 중량% 미만의 경우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발포제가 3중량% 미만인 경우 다공성이 약해지며 반제품의 비중이 커진다. 발포제가 중량% 이상인 비중이 약화되고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황토분말은 30~34 중량% 범위에서 적당한 공극 조절효과와 너무 높지 않은 적당한 온도에서 소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황토 분말의 양이 너무 많아지면 공극이 너부 적어지고 소성온도가 증가된다. 황토 분말의 양이 너무 적으면 황토 적용의 효과가 떨어지고 미세 기공의 양이 적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공정(S30)은 혼합하는 공정(S20)을 통해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하면서 펠릿 형상으로 절단 성형한다. 소성공정(S40)은 성형하는 공정(S30)을 통해 얻어진 성형체를 가열하여 소성시켜 발포시킨다. 다음으로 가열 발포 공정(S40)을 거친 소결체를 냉각하는 공정(S50)이 진행된다. 발포공정(S40)은 성형공정(S30)을 통해 얻어진 성형체를 단속로 또는 연속로에서 600 ~ 900℃로 30분간 가열 발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에 있어서, 수질개선수단(70)은 준비공정(S110)과 1차 성형공정(S120)과 건조하는 공정(S130)과 2차 성형 공정(S140)과 소성공정(S150)과 냉각하는 공정(S160)을 거쳐 제조된 구형상의 2중 다공성 소결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공정(S110)에서, 생황토를 500 ~ 700℃로 가열 건조하고 분쇄하여 황토 분말을 준비하고, 광물질을 분쇄하여 광물질 분말을 준비하고, 글라스파우다를 준비한다. 1차 성형공정(S120)은 황토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압출하면서 절단하고, 왕복운동하는 평판 위에서 구르게 하거나 회전체 안에서 회전시켜서 구르게 하여 소정 크기로 구형의 황토핵을 성형한다. 건조하는 공정(S130)에서 황토핵을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성형 공정(S140)에서, 건조된 황토핵을 왕복운동하는 평판에서 구르게 하거나 또는 회전체 안에서 회전시켜 구르게 하고 물을 분무하면서 황토핵 외면에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광물질분말과 발포제가 포함된 글라스파우다를 부착하여 구형볼을 성형한다. 소성공정(S150)에서 구형볼을 연속로에서 연속적으로 승온시켜 발포시킨다. 다음으로 냉각기에서 냉각하는 공정(S160)을 거쳐 구형상의 2중 다공성 소결체가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 성형 공정(S140)의 성형체는, 수분을 제외한 성형체 100중량부당, 황토분말 30~34 중량%와, 글라스파우다 30~34 중량%와,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광물질분말 30~34 중량%, 발포제 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가동보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베이스부(90)는 회전축(20)의 하부 중 상류쪽에 회전축(20)으로부터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수재(95)가 수문의 전면 하부와 횡베이스부(80)의 상면을 폐쇄하고 메인지수재(95)는 길다란 형상의 유연성(柔軟性)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보조수문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10)의 후벽판(11) 하부공간(14)은 절개된 상태에서 공간을 이루고 이 하부공간(14)은 보조수문(111)이 차폐하되, 상기 보조수문(111)의 상단은 상기 후벽판(11)에 회동되게 지지된다. 제2실린더부(116)가 상기 보조수문(111)의 하단을 밀고 당기어 개방 폐쇄시키되, 제2실린더부(116)는 지지부(1)에 지지된 제2실린더(116b)가 제2피스톤로드(116a)를 왕복운동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지지부 10 : 수문
11 : 후벽판 13 : 격벽부
15 : 수질개선수단용 안치홈 20 : 회전축
30 : 지지브라켓 40 : 가동링크
50 : 실린더부 51 : 유압실린더
55 : 피스톤로드 60 : 하우징부
70 : 수질개선수단 80 : 수질개선수단용 안치홈
90 : 횡베이스부 95 : 메인지수재
111 : 보조수문 116 : 제2실린더부

Claims (10)

  1.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천수를 막기 위한 수문(10)과;
    상기 수문(10)의 하부에 고정 구비되는 회전축(20)과;
    지지부(1)에 지지되고 상기 수문(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30)과;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고 실린더부(5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수문(10)을 기립 전도시키는 가동링크(40)와;
    상기 가동링크(40)를 기립, 전도시키는 유압실린더(51)와 피스톤로드(55)로구성된 실린더부(50)와;
    상기 지지브라켓(30)과 가동링크(40)와 실린더부(50)가 내장되는 하우징부(60)와;
    상기 수문(10)에 내장되는 수질개선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은,
    후면에 차폐된 후벽판(11)이 형성되고,
    담수된 물과 접하는 전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후벽판(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격벽부(13)에 의해 수질개선수단용 안치홈(15)이 복수개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질개선수단용 안치홈(15)에 상기 수질개선수단(70)이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3. 제2항에 있어서,
    투수성 차단판(80)이 투수 및 투공 가능하게 상기 수문(10)의 전면을 막아서 수질개선수단(7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의 전면에 고정편(17)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7)은 수문(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편(17a)과 상기 수직편(17a)으로부터 수직이되게 절곡된 수평편(17b)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수성 차단판(80)이 상기 수직편(17a)과 상기 수평편(17b)이 이루는 공간에 삽입, 탈출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개선수단(70)은,
    생황토를 500 ~ 700℃로 가열 건조하고 분쇄하여 황토 분말을 준비하고, 광물질을 분쇄하여 광물질 분말을 준비하는 준비공정(S10)과,
    황토분말 30~34 중량%와, 글라스파우다 30~34 중량%와,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광물질분말 30~34 중량%, 발포제 3~5중량%를 혼합하는 혼합공정(S20)과,
    상기 혼합하는 공정(S20)을 통해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하면서 펠릿 형상으로 절단 성형하는 성형공정(S30)과,
    상기 성형하는 공정(S30)을 통해 얻어진 성형체를 가열하여 소성시켜 발포시키는 소성공정(S40)과,
    상기 가열 발포 공정(S40)을 거친 소결체를 냉각하는 공정(S50)을 거쳐서 제조된 다공성 소결체(燒結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공정(S40)은 상기 성형공정(S30)을 통해 얻어진 성형체를 단속로 또는 연속로에서 600 ~ 900℃로 30분간 가열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개선수단(70)은,
    생황토를 500 ~ 700℃로 가열 건조하고 분쇄하여 황토 분말을 준비하고, 광물질을 분쇄하여 광물질 분말을 준비하고, 글라스파우다를 준비하는 준비공정(S110)과,
    상기 황토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압출하면서 절단하고, 왕복운동하는 평판 위에서 구르게 하거나 회전체 안에서 회전시켜서 구르게 하여 소정 크기로 구형의 황토핵을 성형하는 1차 성형공정(S120)과,
    상기 황토핵을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로 건조하는 공정(S130)과,
    상기 건조된 황토핵을 왕복운동하는 평판에서 구르게 하거나 또는 회전체 안에서 회전시켜 구르게 하고 물을 분무하면서 황토핵 외면에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광물질분말과 발포제가 포함된 글라스파우다를 부착하여 구형볼을 성형하는 2차 성형 공정(S140)과,
    상기 구형볼을 연속로에서 연속적으로 승온시켜 발포시키는 소성공정(S150)과,
    냉각기에서 냉각하는 공정(S160)을 거쳐 제조된 구형상의 2중 다공성 소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성형 공정(S140)의 성형체는, 수분을 제외한 성형체 100중량부당, 황토분말 30~34 중량%와, 글라스파우다 30~34 중량%와,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광물질분말 30~34 중량%, 발포제 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의 하부 중 상류쪽에 회전축(20)으로부터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횡베이스부(90)와,
    수문의 전면 하부와 상기 횡베이스부(80)의 상면을 폐쇄하는 길다란 형상의 유연성(柔軟性)의 메인지수재(9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의 후벽판(11) 하부공간(14)은 절개된 상태에서 공간을 이루고 이 하부공간(14)은 보조수문(111)이 차폐하되,
    상기 보조수문(111)의 상단은 상기 후벽판(11)에 회동되게 지지되고,
    제2실린더부(116)가 상기 보조수문(111)의 하단을 밀고 당기어 개방 폐쇄시키되,
    상기 제2실린더부(116)는 지지부(1)에 지지된 제2실린더(116b)가 제2피스톤로드(116a)를 왕복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KR1020110055611A 2011-06-09 2011-06-09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전도식 가동보 KR20120136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11A KR20120136590A (ko) 2011-06-09 2011-06-09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전도식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11A KR20120136590A (ko) 2011-06-09 2011-06-09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전도식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90A true KR20120136590A (ko) 2012-12-20

Family

ID=4790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611A KR20120136590A (ko) 2011-06-09 2011-06-09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전도식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65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0230A (zh) * 2014-02-21 2014-06-11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偏心底轴卧式闸门
CN104674770A (zh) * 2015-02-11 2015-06-03 阮建华 一种液压活动坝
CN112267436A (zh) * 2020-10-14 2021-01-26 江苏省洪泽湖水利工程管理处 一种具有清淤功能的翻板闸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0230A (zh) * 2014-02-21 2014-06-11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偏心底轴卧式闸门
CN103850230B (zh) * 2014-02-21 2016-06-08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偏心底轴卧式闸门
CN104674770A (zh) * 2015-02-11 2015-06-03 阮建华 一种液压活动坝
CN112267436A (zh) * 2020-10-14 2021-01-26 江苏省洪泽湖水利工程管理处 一种具有清淤功能的翻板闸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7696A1 (en) Porous ceramic sintered body
CN108774041B (zh) 一种以人造碳化钢渣小球作骨料的透水砖及其制备方法
KR100994781B1 (ko) 바닥재를 포함하는 인공습지용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CN207749378U (zh) 一种海绵城市的路面结构
CN109607993A (zh) 一种黑臭水体底泥原位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20136590A (ko) 수질 개선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전도식 가동보
WO2003101179A2 (en) Animal arena surface amendment
CN110156426B (zh) 一种牡蛎壳作为固化材料用于余泥渣土的利用方法
JP2007327216A (ja) 砂及びその製造法とこれを目砂とする人工芝生
CN111362395A (zh) 一种提高地下渗滤系统脱氮的生态基质及其制备方法
KR20120034314A (ko) 수처리용 여과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252178A (zh) 一种用于制备园林绿化路面渗水材料的工艺
KR100735029B1 (ko) 녹화용 인공토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544344B (zh) 一种增强城市缓坡透水路面渗水性能的方法
KR101105343B1 (ko) 투수성 식생블럭
KR100599241B1 (ko)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KR20120136596A (ko) 이중 다공성 수질개선수단이 구비된 장스팬 전도식 가동보
CN109400090B (zh) 环保道路铺砌块、其制备方法及建筑垃圾处理方法
CN106564872A (zh) 生物炭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12708B1 (ko) 수질정화용 소결체와 그 제조방법
CN109354473A (zh) 一种免烧绿色环保透水砖的制备方法
KR20120136599A (ko) 수직상승이 가능한 장스팬 타입의 수질개선성 전도식 가동보
KR101842980B1 (ko) 친환경 다공성 구형체 자갈 블럭 제조방법
CN101279838B (zh) 一种利用河床淤积泥砂制备渗水砖的方法
KR100728696B1 (ko) 미생물 부착을 위한 미세 기공을 갖는 투수성 콘크리트담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